송악산 (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악산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있는 산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은 송악산 해안 절벽에 군사용 굴을 뚫어 기지화했으며, 인근에 군용 비행장을 건설하여 가미카제 전투기 출격 등에 이용했다. 한국전쟁 중에는 군경에 의해 상모리 주민 132명이 학살되었으며, 유족들은 유해를 모아 백조일손지지를 조성했다. 송악산 정상에서는 산방산, 가파도, 마라도, 형제섬 등을 조망할 수 있으며, 주변 해역은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수 3 화산 - 베이커산
베이커산은 캐스케이드 산맥의 화산으로, 원주민과 유럽인들이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렀으며, 태평양판 섭입으로 형성되었고, 11개의 빙하와 푸마롤 활동이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 지수 3 화산 - 스메루산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에 있는 활화산인 스메루산은 잦은 분화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일으키고 등반 목적지로도 이용되지만, 힌두교 신화 속 메루산에서 유래되었으며 국립공원 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나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측화산 - 산굼부리
산굼부리는 제주도에 있는 한라산의 기생화산으로, 폭발 또는 함몰로 인해 형성된 평지의 거대한 화구이며, 다양한 식물군락과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여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측화산 - 물영아리오름
물영아리오름은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오름으로, 분화구 습지가 대한민국 최초 습지보호구역 및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으며, 물이 고인 분화구와 영화 촬영지로 유명하고 목가적인 풍경을 자랑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산 - 산방산
산방산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있는 해발 345m의 종상 화산으로, 산방굴사와 '산방덕의 눈물' 전설, 그리고 용머리해안, 하멜표류기념탑 등의 관광지와 함께 한라산 바위가 변했다는 전설이 있는 신성한 곳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산 - 한라산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남한 최고봉의 휴화산으로, 백록담 화산호와 다양한 화산 지형, 식생, 동식물상을 보유하여 국립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문화·역사적 가치도 지닌다.
송악산 (제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송악산 |
한글 | 송악산 |
로마자 표기 | Songaksan |
위치 |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 |
지리 | |
좌표 | 33.199, 126.291 |
지도 확대 수준 | 13 |
기타 | |
제주올레길 | 제주올레길 10코스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은 송악산 해안 절벽에 군사용 굴을 뚫고, 주변에 알뜨르 비행장을 만들어 가미카제 전투기 출격 등에 이용하였다.[3][4] 한국전쟁 발발 직후, 군경은 예비 검속으로 상모리 주민 132명을 섯알오름에서 학살하고, 그 현장을 은폐하였다. 1957년 유해가 발견된 후, 유가족들은 백조일손지지를 조성하였다.[5]
2. 1. 일제 강점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은 송악산의 해안 절벽에 군사용 굴을 뚫어 기지화하였다.[3] 일제는 송악산 주변에 군용 비행장(현 알뜨르 비행장)을 만들어 가미카제 전투기 출격 등에 이용하였다.[4]2. 2. 한국전쟁과 민간인 학살
한국전쟁 발발 직후, 군경은 예비 검속을 통해 상모리 주민 132명을 송악산과 이어진 섯알오름에서 학살하였다.[5] 당국은 학살 현장을 은폐하고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였으나, 1957년 유해가 우연히 발견되어 발굴되었다.[5] 유해는 뒤엉켜 구분하기 어려웠기에, 유가족들은 유해를 한데 모아 132개의 작은 봉분을 만들어 백조일손지지를 조성하였다.[5]3. 관광
송악산에 오르면 산방산, 가파도, 마라도, 형제섬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송악산 주변의 해역은 감성돔, 뱅에돔, 다금바리 등 낚시터로 유명하다.[2]
4. 갤러리
이 섹션은 갤러리 섹션이므로, 하위 섹션의 내용을 중복하여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결과는 적절합니다.
4. 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해안 벙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은 송악산의 해안 절벽에 군사용 굴을 뚫어 기지화하였다.[3] 일본군은 송악산 주변에 군용 비행장(현 알뜨르 비행장)을 만들어 가미카제 전투기의 출격과 같은 용도로 전쟁에 이용하였다.[4]4. 2. 송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
송악산에 오르면 산방산, 가파도, 마라도, 형제섬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송악산 주변의 해역은 감성돔, 뱅에돔, 다금바리 등의 낚시터로 유명하다.[2]참조
[1]
웹사이트
Jejuolle Trail - Route 10
https://www.jejuolle[...]
2024-06-15
[2]
웹사이트
송악산
http://www.jejutour.[...]
2016-01-30
[3]
서적
한라산(오름의 왕국 생태계의 보고)
돌베개
2007
[4]
서적
진혼 아리랑
답게
2007
[5]
서적
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