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우미양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우미양가는 점수 또는 성적 순위에 따라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평가 시스템이다. 절대 평가에서는 점수대에 따라, 상대 평가에서는 성적 순위에 따라 수, 우, 미, 양, 가 등급을 부여한다.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중등학교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본의 수우량가 시스템을 수정하여 미 등급을 추가하고 인과 불가 등급을 제거한 형태이다. 1998년 초등학교에서 폐지되었고, 2012년 중학교에서 이 시스템이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고등학교에서 상대평가 9등급제를 사용하며, 대학교에서는 4.0, 4.3, 4.5 만점의 학점 시스템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 평가 - 기능적 행동 평가
    기능적 행동 평가는 응용 행동 분석에서 문제 행동을 유지하는 변인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문제 행동의 기능적인 선행 자극과 결과를 파악하여 문제 행동의 원인이 되는 교육 환경 내 요인을 분석하고 적절한 치료법과 긍정적인 지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한다.
  • 교육 평가 - 총괄평가
    총괄 평가는 학습 활동 후 학습 성과를 측정하여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평가 방법이다.
  • 평가 방법 - 양적 연구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여 과학적 방법과 통계 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 평가 방법 - 사례 연구
    사례 연구는 소수 사례에 대한 심층 연구로 현상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 설계와 사례 선택 전략을 활용하여 이론 생성 및 검증 등에 유용하지만 일반화의 어려움과 선택 편향의 위험이 존재하며 교육 분야에서 교수법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어린이들에게 다채로운 꿈과 희망을 주고자 아동 문화 운동을 펼친 단체로, 잡지 발간, 어린이날 제정,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아동문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광복 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며 아동 교육에 공헌한 사람들을 시상하는 색동회상을 제정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수우미양가

2. 기준

수우미양가는 절대 평가상대 평가 방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절대 평가 방식에서는 점수대를 기준으로, 상대 평가 방식에서는 성적 순서를 기준으로 등급을 나눈다.

2. 1. 절대 평가

절대 평가 방식에서는 점수대에 따라 수·우·미·양·가를 나눈다.

등급점수대
100 ~ 90
89 ~ 80
79 ~ 70
69 ~ 60
59 ~ 0


2. 2. 상대 평가

상대 평가 방식에서는 성적 순서대로 수·우·미·양·가를 나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7]

  • 상위 10% 수
  • 상위 11-30% 우
  • 상위 31-70% 미
  • 상위 71-90% 양
  • 상위 91-100% 가

3. 수우미양가 시스템

한국중등학교에서 과거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했던 5단계 평가 시스템이다. 주로 중간고사기말고사 성적을 기준으로 학생의 성취 수준을 '수(秀)', '우(優)', '미(美)', '양(良)', '가(可)'의 다섯 등급으로 나누었다.[1] 이 평가 방식은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어 오랫동안 한국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었다.

3. 1. 역사

수우미양가 평가 방식은 일제강점기 조선 보통학교[8]에서 사용하던 방식[9]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일본의 수우량가(秀良可) 시스템을 바탕으로 '미(美)' 등급을 추가하고 '인(認)'과 '불가(不可)' 등급은 제외하여 수정한 형태였다. 이 시스템은 1943년 한반도에 처음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1] 한편, 이 용어의 기원이 일본 전국시대 사무라이들이 적의 목을 벤 숫자에 따라 등급을 매긴 것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정확하지 않다.

한국중등학교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전통적으로 수우미양가라는 5단계 평가 시스템을 사용해 왔다. 이는 주로 중간고사기말고사에서 학생의 원점수(100점 만점)를 기준으로 5개의 평가 등급으로 변환하는 방식이었다. 광복 이후에는 심태진에 의해 수우미양가의 현대적인 평가 기준이 마련되기도 했다.[2]

이 시스템에서 사용된 등급과 해당 점수 범위는 다음과 같다.

  • '''수'''(秀): 91-100% (A 등급에 해당)
  • '''우'''(優): 81-90% (B 등급에 해당)
  • '''미'''(美): 71-80% (C 등급에 해당)
  • '''양'''(良): 61-70% (D 등급에 해당)
  • '''가'''(可): 60% 미만 (E 등급에 해당)


한국 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유급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가장 낮은 등급인 '가(可)' 역시 통과 점수로 간주되었다.

수우미양가 시스템은 1998년 한국 초등학교에서 먼저 폐지되었으며,[3] 2012년 중학교에서의 폐지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공식적인 평가 제도로 사용되지 않는다.[4]

3. 2. 등급

절대 평가 방식에서는 점수대에 따라, 상대 평가 방식에서는 성적 순서에 따라 수·우·미·양·가를 나눈다.

등급점수
100 ~ 90
89 ~ 80
79 ~ 70
69 ~ 60
59 ~ 0


등급비율
상위 10%
상위 11% ~ 30%
상위 31% ~ 70%
상위 71% ~ 90%
상위 91% ~ 100%



각 등급의 의미와 통상적인 점수 기준 및 알파벳 등급은 다음과 같다.

등급 (한자)의미점수 (%)해당 등급 (알파벳)
수 (秀)빼어날 수91 ~ 100%A
우 (優)뛰어날 우81 ~ 90%B
미 (美)아름다울 미71 ~ 80%C
양 (良)어질 량61 ~ 70%D
가 (可)옳을 가60% 미만E



한국 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유급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가(可)' 등급도 통과 점수로 간주되었다.

4. 현재 시스템

2004년 10월, 대한민국 교육부는 고등학교 학업 성적 평가 방식을 기존의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변경하였다. 이 시스템은 현재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학교의 경우, 각 학교의 학칙에 따라 다양한 학점 부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4.5점 만점 기준이 널리 사용되지만, 4.3점이나 4.0점 만점 기준을 사용하는 학교도 있다. 대학 학점은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4. 1. 상대평가 등급

2004년 10월, 대한민국 교육부는 고등학교 학업 성적 평가 방식을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변경했다.

개정된 성적 평가 시스템은 학기 동안 같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9개의 등급을 제공한다.

등급123456789
비율4%7%12%17%20%17%12%7%4%
누적 백분율4%11%23%40%60%77%89%96%100%


4. 2. 대학 학점 시스템

대한민국의 대학교에서는 각 학교의 학칙에 따라 다양한 학점 만점 기준을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4.0, 4.3 또는 4.5 만점 시스템이 있다. 이 중 4.5 만점 시스템이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학교에서는 A+와 A0 등급을 동일한 평점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많은 대학교에서 학생의 성취도를 나타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자 등급과 백분율 기준을 사용한다.

문자 등급백분율
A+95-100%
A90-95%
B+85-90%
B80-85%
C+75-80%
C70-75%
D+65-70%
D60-65%
F60% 미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5 만점 기준의 평점 환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

문자 등급평점 (4.5 만점)
A+4.5
A04.0
B+3.5
B03.0
C+2.5
C02.0
D+1.5
D01.0
F0.0
P통과 (Pass, 학점은 인정되나 평점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음)
S만족 (Satisfactory, 학점은 인정되나 평점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음)
I미완료 (Incomplete)



일부 대학에서 사용하는 4.3 만점 기준의 평점 환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

문자 등급평점 (4.3 만점)
A+4.3
A04.0
A−3.7
B+3.3
B03.0
B−2.7
C+2.3
C02.0
C−1.7
D+1.3
D01.0
D−0.7 (최저 통과 등급)
F0.0 (미이수)
S만족 (Satisfactory, 학점은 인정되나 평점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음)
U불만족 (Unsatisfactory, 학점 미부여)


5. 논란

이 평가 방법은 일제강점기 조선 보통학교[8]에서 쓰던 방식[9]을 들여온 것이 시초이다. 그러나 이 용어의 기원이 전국(戰國)시대에 사무라이들이 누가 적의 목을 많이 베어오는가에 따라 수, 우, 양, 가를 매긴 것에서 비롯되었다는 논란이 있다. 이 유래는 정확하지 않다.

참조

[1] 서적 안홍선,일제강점기 중등교육 정책
[2] 웹사이트 가르치다보니 어느덧정년 https://newslibrary.[...] 1981-08-29
[3] 서적 이명학,이명학 교수의 어른이 되어 처음 만나는 한자
[4] 웹사이트 '수우미양가'와 'ABCDE' https://www.kyongbuk[...] 2012-08-28
[5] 뉴스 가르치다 보니 어느덧停年 동아일보 1981-08-29
[6] 뉴스 國校성적표「記述式」으로 동아일보 1984-02-21
[7] 뉴스 學校成績이 전부는 아니다 동아일보 1973-07-23
[8] 문서 일제에서 1938년까지 시행되었던 교육 체계
[9] 문서 일본 소학교 평가에서는 '수, 우, 양, 가'만 있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