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리시외버스정류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유리시외버스정류장은 과거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던 시외버스 노선들의 출발지였다. 3003번은 수유역에서 동송까지 운행했으며, 관인, 팔호동, 육호동, 자일리, 운천, 만세교, 포천, 도봉산역을 경유했다. 3005번은 수유역에서 와수리까지 운행했으며, 지경리, 신철원, 운천, 양문, 포천, 제2청사, 도봉산역을 경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우이령
우이령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고개로, 출입 통제 후 2009년 개방되었으며, 환경 문제 논란 속에 탐방 예약제를 통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작하여 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엔티산업에서 운영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 하나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지하철 강변역과 연결되고 공항 리무진 버스도 운행하지만, 현대화 사업 후 상가가 퇴거하여 홈페이지나 앱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한 고속버스·시외버스 통합 터미널로, 2001년 도심 교통 체증 완화와 아시안 게임 대비를 위해 이전·통합되었으며, 3층 건물에 다양한 편의 시설과 대중교통 연결, 전국 각지 버스 노선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 -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은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하여 영남권과 수도권 방면 시외버스를 운행하며, 임시 터미널 형태로 운영되고 시설 부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수유리시외버스정류장 | |
---|---|
기본 정보 | |
이름 | 수유리시외버스정류장 |
종류 | 정류장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
개장 | 알 수 없음 |
이전 | 알 수 없음 |
폐지 | 2020년 4월 1일 |
운영 기관 | KD운송그룹 |
터미널 코드 | 알 수 없음 |
표기 | 수유리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과거 운행 노선
수유리시외버스정류장에서는 과거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과거 운행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 3003번: 수유역에서 동송까지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다. 관인, 팔호동, 육호동, 자일리, 운천, 만세교, 포천, 도봉산역을 경유했다. 배차 간격은 20~30분, 첫차는 06:00, 막차는 21:00였다.
- 3005번: 수유역에서 와수리까지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다. 지경리, 신철원, 운천, 양문, 포천, 경기도청 제2청사[1], 도봉산역을 경유했다. 배차 간격은 40~60분, 첫차는 06:20, 막차는 20:40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