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고속은 1930년 경충버스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2년 고속버스 인가를 받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회사이다. 시외버스, 고속버스, 시내버스, 공항버스 등을 운행하며, KD 운송그룹 계열로 편입되어 있다. 2000년대 이후 KD운송그룹과의 경쟁 및 차고지 특혜 의혹 등의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설립되어 동아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을 거쳐 2011년 CJ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계약물류, 택배, 포워딩, 항만하역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2013년 CJ GLS와 합병하여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2017년 CJ Logistics로 영문 사명을 변경, 해외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193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소신여객
소신여객은 1930년 설립되어 부천시에 연고를 두고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하는 업체로, 2022년 기준 20개 노선과 319대의 차량을 통해 부천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 1961년 해체된 기업 - SPC삼립
SPC삼립은 1945년 상미당으로 시작하여 1968년 삼립식품공업주식회사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호빵 출시, 파리크라상 인수 등을 거쳐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6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포켓몬빵을 재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 1961년 해체된 기업 - 대한방송
대한방송(HLKZ-TV)은 1956년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한국 방송 발전에 기여했으나, 경영난, 화재, 군사정권의 언론 통제 등으로 1961년 폐국되었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경기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 | |
이름 | 주식회사 경기고속 |
원어 | Kyunggi Express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30년 1월 15일 |
법인 설립일 | 1961년 4월 1일 |
전신 | 경기여객자동차 |
시장 정보 | 비상장 |
본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
면허 등록지 | 경기도 광주시 광주대로 171 (송정동) |
국가 | 대한민국 |
주요 인물 | 허명회 (대표이사 회장), 허상준 (사장), 김승한(부사장) |
산업 | 운수업 및 석유류 판매업 |
제품 | 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마을버스 시내버스 전세버스 공항버스 |
자본금 | 10,06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182,683,071,861원 (2020) |
영업 이익 | -26,130,286,560원 (2020) |
순이익 | -27,091,284,919원 (2020) |
자산 총액 | 357,453,656,566원 (2020.12) |
모기업 | KD운송그룹 |
주주 | 권동현 외 4명: 37.07% 주식회사 대원고속: 31.34% 허명회 외 1인: 24.92% 대원재단: 5.00% 기타: 1.67% |
종업원 | 2,329명 (2020.12) |
웹사이트 | KD운송그룹 |
2. 역사
경기고속의 역사는 1930년 1월 15일 설립된 경충버스 주식회사에서 시작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상호 변경과 운영 주체 변화를 겪었으며, 1944년 경기여객 자동차 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광복 이후 교통부 산하 적산 관리업체로 운영되다가 1961년 정식 법인화되었다.
1978년 8월 12일, 허명회를 중심으로 한 대원여객(현 KD 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현재의 경영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92년에는 고속버스 사업 인가를 받으며 상호를 주식회사 경기고속으로 변경하였고, 기존의 경기여객운수는 경기고속의 시내사업부가 되었다. 이후 공항버스,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등으로 사업 영역을 꾸준히 확장하며 성장해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1. 설립 초기 (1930년 ~ 1960년대)
1930년 1월 15일 경충버스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1] 1944년 2월 23일에는 회사 이름을 경기여객 자동차 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에는 교통부 산하의 적산 관리업체로 운영되다가, 1961년 3월 27일 정식으로 법인화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경기여객운수 주식회사로 법인이 설립되었다.2. 2. 성장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7년 2월 10일, 지입체제에서 준직영업체로 전환하였다. 1978년 8월 12일에는 허명회를 중심으로 한 현 경영진, 즉 대원여객 주식회사가 회사를 인수하였다.1992년 2월 12일, 고속버스 사업 인가를 받으면서 회사 이름을 주식회사 경기고속으로 변경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경기여객운수 주식회사는 경기고속의 시내사업부가 되었고, 고속버스 사업은 시외사업부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1994년 2월 1일에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에 서울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95년에는 광주시내버스 1005-1번 노선을 개통하였다.[2] 1996년 8월 22일에는 경기도 이천시로 이천영업소를 이전하였고, 다음 날인 8월 23일에는 전세버스 사업 인가를 받아 시외사업부에서 분리된 경기고속관광(경기고속 관광사업부)을 설립하였다. 같은 해 9월 9일에는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에 부천영업소를 설치하였으며, 9월 23일에는 부천시외버스터미널 운영 인가를 받았다.
1997년 1월 31일에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에 지점영업소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에 수원영업소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어 2월 24일에는 경상북도 안동시에 안동영업소를 설치하며 사업 영역을 넓혔다. 같은 해 6월 9일에는 공항버스 사업 인가를 받았다.
2. 3. 확장기 (2000년대 이후)
- 2003년 1월 1일: 내구연한이 충분한 시외사업부, 공항버스, 경기고속관광 소속 차량들에 한해 현 보라색 도색으로 변경하였다.
- 2007년 10월 1일: 부천시외버스터미널 인가가 해제되었다 (타사가 부천터미널 소풍을 인가받음).
- 2008년 1월 22일: 부천영업소를 현 위치인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708-5로 이전하였다.
- 2008년 3월 26일: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 631에 영업소를 설치하였으며, 지점영업소를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547로 이전하였다.
- 2009년: 마을버스,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를 인가받았다.
- 2010년 2월 1일: 선진고속[3]을 인수 합병하였다.
- 2010년 8월 23일: 경기순환버스를 인가받았다.
- 2011년 12월 28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백석동)에 고양터미널영업소를 설치하였다.
- 2012년 5월 10일: 주식회사 대원산업개발(철원군 철원읍 금학로 310 소재)을 흡수합병하였다.
3. 운행 노선
경기고속은 대한민국의 주요 운송 기업으로, 경기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운행 노선은 크게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로 구분된다.
시내버스는 경기도 내 여러 도시를 연결하며 시민들의 일상적인 이동을 지원한다. 여기에는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일반 시내버스 등이 포함된다.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는 경기도를 넘어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을 담당한다.
또한, 주요 공항을 연결하는 공항버스 노선도 운영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한다.
각 노선 종류별 상세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시내버스
노선 수등록 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