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기고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고속은 1930년 경충버스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2년 고속버스 인가를 받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회사이다. 시외버스, 고속버스, 시내버스, 공항버스 등을 운행하며, KD 운송그룹 계열로 편입되어 있다. 2000년대 이후 KD운송그룹과의 경쟁 및 차고지 특혜 의혹 등의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설립되어 동아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을 거쳐 2011년 CJ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계약물류, 택배, 포워딩, 항만하역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2013년 CJ GLS와 합병하여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2017년 CJ Logistics로 영문 사명을 변경, 해외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193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소신여객
    소신여객은 1930년 설립되어 부천시에 연고를 두고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하는 업체로, 2022년 기준 20개 노선과 319대의 차량을 통해 부천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 1961년 해체된 기업 - SPC삼립
    SPC삼립은 1945년 상미당으로 시작하여 1968년 삼립식품공업주식회사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호빵 출시, 파리크라상 인수 등을 거쳐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6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포켓몬빵을 재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 1961년 해체된 기업 - 대한방송
    대한방송(HLKZ-TV)은 1956년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한국 방송 발전에 기여했으나, 경영난, 화재, 군사정권의 언론 통제 등으로 1961년 폐국되었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경기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주식회사 경기고속
원어Kyunggi Express
종류주식회사
창립1930년 1월 15일
법인 설립일1961년 4월 1일
전신경기여객자동차
시장 정보비상장
본사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면허 등록지경기도 광주시 광주대로 171 (송정동)
국가대한민국
주요 인물허명회 (대표이사 회장), 허상준 (사장), 김승한(부사장)
산업운수업 및 석유류 판매업
제품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마을버스
시내버스
전세버스
공항버스
자본금10,060,000,000원 (2020.12)
매출액182,683,071,861원 (2020)
영업 이익-26,130,286,560원 (2020)
순이익-27,091,284,919원 (2020)
자산 총액357,453,656,566원 (2020.12)
모기업KD운송그룹
주주권동현 외 4명: 37.07%
주식회사 대원고속: 31.34%
허명회 외 1인: 24.92%
대원재단: 5.00%
기타: 1.67%
종업원2,329명 (2020.12)
웹사이트KD운송그룹

2. 역사

경기고속의 역사는 1930년 1월 15일 설립된 경충버스 주식회사에서 시작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상호 변경과 운영 주체 변화를 겪었으며, 1944년 경기여객 자동차 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광복 이후 교통부 산하 적산 관리업체로 운영되다가 1961년 정식 법인화되었다.

1978년 8월 12일, 허명회를 중심으로 한 대원여객(현 KD 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현재의 경영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92년에는 고속버스 사업 인가를 받으며 상호를 주식회사 경기고속으로 변경하였고, 기존의 경기여객운수는 경기고속의 시내사업부가 되었다. 이후 공항버스,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등으로 사업 영역을 꾸준히 확장하며 성장해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1. 설립 초기 (1930년 ~ 1960년대)

1930년 1월 15일 경충버스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1] 1944년 2월 23일에는 회사 이름을 경기여객 자동차 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에는 교통부 산하의 적산 관리업체로 운영되다가, 1961년 3월 27일 정식으로 법인화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경기여객운수 주식회사로 법인이 설립되었다.

2. 2. 성장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7년 2월 10일, 지입체제에서 준직영업체로 전환하였다. 1978년 8월 12일에는 허명회를 중심으로 한 현 경영진, 즉 대원여객 주식회사가 회사를 인수하였다.

1992년 2월 12일, 고속버스 사업 인가를 받으면서 회사 이름을 주식회사 경기고속으로 변경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경기여객운수 주식회사는 경기고속의 시내사업부가 되었고, 고속버스 사업은 시외사업부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1994년 2월 1일에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에 서울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95년에는 광주시내버스 1005-1번 노선을 개통하였다.[2] 1996년 8월 22일에는 경기도 이천시로 이천영업소를 이전하였고, 다음 날인 8월 23일에는 전세버스 사업 인가를 받아 시외사업부에서 분리된 경기고속관광(경기고속 관광사업부)을 설립하였다. 같은 해 9월 9일에는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에 부천영업소를 설치하였으며, 9월 23일에는 부천시외버스터미널 운영 인가를 받았다.

1997년 1월 31일에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에 지점영업소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에 수원영업소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어 2월 24일에는 경상북도 안동시에 안동영업소를 설치하며 사업 영역을 넓혔다. 같은 해 6월 9일에는 공항버스 사업 인가를 받았다.

2. 3. 확장기 (2000년대 이후)


  • 2003년 1월 1일: 내구연한이 충분한 시외사업부, 공항버스, 경기고속관광 소속 차량들에 한해 현 보라색 도색으로 변경하였다.
  • 2007년 10월 1일: 부천시외버스터미널 인가가 해제되었다 (타사가 부천터미널 소풍을 인가받음).
  • 2008년 1월 22일: 부천영업소를 현 위치인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708-5로 이전하였다.
  • 2008년 3월 26일: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 631에 영업소를 설치하였으며, 지점영업소를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547로 이전하였다.
  • 2009년: 마을버스,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를 인가받았다.
  • 2010년 2월 1일: 선진고속[3]을 인수 합병하였다.
  • 2010년 8월 23일: 경기순환버스를 인가받았다.
  • 2011년 12월 28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백석동)에 고양터미널영업소를 설치하였다.
  • 2012년 5월 10일: 주식회사 대원산업개발(철원군 철원읍 금학로 310 소재)을 흡수합병하였다.

3. 운행 노선

경기고속은 대한민국의 주요 운송 기업으로, 경기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운행 노선은 크게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로 구분된다.

시내버스경기도 내 여러 도시를 연결하며 시민들의 일상적인 이동을 지원한다. 여기에는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일반 시내버스 등이 포함된다.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는 경기도를 넘어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을 담당한다.

또한, 주요 공항을 연결하는 공항버스 노선도 운영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한다.

각 노선 종류별 상세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시내버스

노선 수직행좌석
등록 대수경기고속 (용인시) (KD)454경기고속 (성남시) (KD)554경기고속 (광주시) (KD)332경기고속 (오산시) (KD)29경기고속 (이천시) (KD)--경기고속 (의정부시) (KD)36


3. 1. 1. 광역급행버스 (M버스)

wikitext

운행업체보유 노선수
(광역급행)
등록 대수
(광역급행)
경기고속 (광주시) (KD)7108


3. 1. 2. 경기순환버스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정보가 원본 소스에 없습니다.)

3. 1. 3. 일반 시내버스

노선 수시내일반
등록 대수경기고속 (용인시) (KD)--경기고속 (성남시) (KD)--경기고속 (광주시) (KD)148346경기고속 (오산시) (KD)--경기고속 (이천시) (KD)1265경기고속 (의정부시) (KD)--


3. 2.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운행업체보유 노선수등록 대수
노선 합계시외버스고속버스대수 합계시외버스고속버스
경기고속1301201031828038



자세한 내용은 경기고속의 시외버스 노선 문서를 참고하라.

3. 3. 공항버스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공항버스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경기고속의 시외버스 노선 문서를 참고하라.

4. 보유 차량

(내용 없음)

4. 1. 주요 차종

5. 논란

(내용 없음)

5. 1. 경쟁사와의 갈등

경기고속이 속한 KD운송그룹선진네트웍스는 과거 경쟁 관계에 있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양 그룹 계열사들의 주요 경합 지역이었던 남양주시하남시에서는 경쟁이 매우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청량리역이나 강변역 등 주요 버스 회차지에서 상대 회사 차량의 운행을 고의로 방해하거나 지연시키는 속칭 '짱박기'[5]와 같은 과열 경쟁 행태가 나타나 비판을 받기도 했다.[6] 그러나 2010년대에 들어서 남양주시의 시내버스하남시의 시내버스 노선 상당수를 KD운송그룹이 인수하면서 두 그룹 간의 극심했던 경쟁은 점차 완화되었다.

5. 2. 가평 차고지 특혜 의혹

경기고속 가평차고지 부지를 500여 평 더 사용하고, 인가받은 대수보다 훨씬 많은 차량을 주차시킨 사실이 드러나 특혜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에 KD운송그룹 허명회 회장은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6. 본점 및 지점 현황

명칭소재지
본점(면허등록지)경기도 광주시 광주대로 171 (송정동)
서울사무소(본사)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이천영업소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경충대로 1583
지점영업소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4길 34, 지하1층 (구의동, 현대하이엘)
안동영업소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663 (남부동)
광릉내주유소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경복대로 499
종합터미널고양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백석동)
대월영업소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경충대로 1583
화성영업소경기도 화성시 안녕남로 111 (안녕동)
분당01영업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탄천상로 171 (구미동)
분당02영업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43번길 30 (구미동)
분당03영업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64
수원대영업소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효행로 400-5
성수사업소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원주영업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276-1 (단계동)
용인영업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석성로850번길 11
동서울기숙사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58나길 7-6 (구의동)
동서울사업소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4길 34, 지층103호 (구의동, 강변현대하이엘)
죽전영업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포은대로896번길 42-10
진벌리영업소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경복대로 499
문산영업소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충현로 29
영통영업소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269번길 55 (원천동)
사능영업소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372번길 1
대성리영업소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경춘로 46


참조

[1] 웹인용 KD운송그룹 계열사 소개 - 경기고속 http://buspia.co.kr/[...] 2015-03-08
[2] 문서 2018년 10월 1일 노선 폐지
[3] 문서 1954년에는 [[부천군]] 영종면에 소재하고 있는 영종여객으로 설립되었고 1960년대에는 경기도 북부 지역의 중심지인 [[의정부시]]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2004년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서 인수하였다가 KD운송그룹에 재차 매각하였다.
[4]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2
[5] 문서 일종의 법률 위반 행위로, 법을 더 어긋나게 행동하는 것이다.
[6] 뉴스 승객 목숨 위협하는 시내버스 짱박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