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빈 봉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빈 봉씨는 창녕 현감 봉려의 딸로, 1429년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남편인 문종의 총애를 받지 못했다. 문종의 후궁인 현덕왕후가 임신하자 상상 임신을 하고 궁녀와 동침하는 등 파행적인 행동을 보였으며, 결국 1436년 세종에 의해 폐출되었다. 이후, 궁녀와의 동성애, 궁중 물품을 친정에 보낸 행위 등이 폐위 사유로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소수자 귀족 - 로베르 드 몽테스키우
    로베르 드 몽테스키우는 19세기 말 프랑스 벨 에포크 시대 파리 사교계의 중심인물로, 시인이자 평론가, 소설가, 전기 작가였으며, 화려한 언변과 독특한 스타일로 유명하고 마르셀 프루스트 소설 등장인물의 모델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 성소수자 귀족 - 프란체스카 그레고리니
    프란체스카 그레고리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영화 제작자, 작가, 감독으로, 영화 제작, 음악 활동, 킬링 이브 감독 참여, 테라노스 시리즈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15세기 성소수자 사람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15세기 성소수자 사람 - 아시카가 요시미쓰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끝내고 무로마치 막부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기타야마 문화를 발전시키고 명나라와의 무역을 통해 막부의 재정을 늘리는 데 기여한 무로마치 막부의 제3대 쇼군이다.
  • 한국의 성소수자 인물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 한국의 성소수자 인물 - 혜공왕
    혜공왕은 신라 36대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잦은 반란과 정치적 혼란을 겪었으며 김지정의 난으로 살해당해 무열왕계 직계 왕통이 단절되었다.
순빈 봉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순빈 봉씨
작위세자빈(폐빈)
생년1414년
사망 시기1454년 이후
출생지조선
가문해음 봉씨 (출생)
가문 (혼인)전주 이씨
아버지봉려
배우자문종
왕조
왕가이씨 (혼인)
경력
재위 기간1429년 – 1436년
직위세자빈
이전폐세자빈 김씨
이후현덕왕후 권씨

2. 생애

창녕 현감 봉려의 딸로, 1429년(세종 11) 음력 10월 15일 폐출된 휘빈 김씨의 뒤를 이어 세자빈에 책봉되었다. 아버지 봉려는 종2품 종부시소윤(宗簿寺少尹)으로 승진하였다.[7] 전임 휘빈이 주술 행위로 인해 궁궐에서 쫓겨난 지 몇 달 후였다.[1]

남편 세자 이향은 순빈 봉씨를 총애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봉씨는 매우 분노했다고 한다.[2] 봉씨는 남편의 의복과 여성 의복을 궁궐 밖으로 가져가 친정에 보냈는데, 이는 예법을 어기는 행위였다.[2]

1436년(세종 18) 음력 7월 12일에 아버지 봉려가 병으로 먼저 졸(卒)하였다.

2. 1. 세자와의 불화 및 상상임신

창녕 현감 봉려의 딸로, 1429년(세종 11) 음력 10월 15일 폐출된 휘빈 김씨의 뒤를 이어 세자빈에 책봉되었다. 봉씨의 아버지 봉려는 종2품 종부시소윤(宗簿寺少尹)으로 승진하였다.[7]

남편 세자 이향과의 사이는 소원했다.[8] 세자의 후궁인 승휘 권씨(훗날의 현덕왕후)가 임신을 하자 세자빈은 후사가 없는 자신의 위치가 위협받을 것을 두려워했고 바깥에 새어나갈 정도로 큰 소리를 내어 울기도 했다.[8][9] 세종은 "여러 후궁들이 있다고는 하나 정부인에게서 아들을 두는 것만큼 귀한 일이 있겠느냐"고 세자를 타일렀고, 그 후 세자는 순빈과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세자가 잠시 봉씨를 가까이 하기도 하였으나 봉씨는 상상임신을 했다가 이후 유산을 하였다고 거짓말을 했다. 또한 승휘 권씨를 못살게 구는 등 파행을 일삼았다.[9]

이후, 순빈은 임신했지만 유산했고, 유해를 매장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하인들이 아이의 유해를 찾으러 갔을 때, 빈 매장 옷만 발견되었다고 한다.[2]

2. 2. 궁녀와의 동성애와 폐위

1435년(세종 17) 11월 즈음, 세자빈 봉씨는 궁녀 소쌍(召雙)과 동침하였고, 1436년(세종 18)에는 소쌍에게 자신의 혀를 빨도록 시켰으나 세종에게 발각되었다.[9] 세종은 세자빈에게 아이가 없고 투기를 하는 것 등을 이유로 1436년(세종 18) 음력 10월 26일 그녀를 폐출하였다.[9]

궁중 기록에 따르면, 순빈 봉씨는 궁중 식사에서 남은 음식을 친정에 보내고, 궁녀들의 변소 벽 틈으로 궁 밖 사람들을 엿보았으며, 아버지 사후 세자에게 알리지 않고 이모부의 방문을 받았다. 이는 공공의 이익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 것이라고 한다.[2]

봉씨는 자신의 시녀이자 노비 신분인 소쌍(召雙|소쌍중국어)과 과도하게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두 사람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로 묘사되었으며, 소쌍은 봉씨의 안방에서 함께 잠을 잤다고 전해진다. 세자 향이 어째서 시녀와 함께 잤는지 묻자, 순빈은 세자를 사랑하지만 세자는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소쌍은 나중에 법정에서 순빈이 다른 시녀들이 밖에서 자는 동안 자신에게 함께 눕자고 초대했다고 진술했다. 소쌍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순빈이 끈질기게 요구했고, 결국 소쌍은 옷을 벗고 병풍 뒤로 가서 순빈이 남아 있는 옷을 벗고 마치 남자와 함께 있는 것처럼 자신 옆에 눕도록 강요했다고 한다.[3] 순빈 봉씨는 이후 법정에서 소쌍과 밤낮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었고, 또 다른 시녀 단지(丹只|단지중국어)와도 관계를 맺었는데, 이는 그녀가 혼자 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2]

이러한 소식을 들은 세종은 여러 대신들과 상의하여 세자빈을 폐위할 것을 결정했다. 대신들은 폐위를 지지했고, 순빈 봉씨는 상민으로 강등되어 추방되었다. 그러나 폐위 교서에는 시녀와 잠자리를 함께 한 사실은 언급되지 않았고, 대신 궁중 물품을 친정에 보내고 남편의 허락 없이 손님을 받은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2]

봉씨는 1454년 이후 조선에서 추방되었으며, 그녀의 삶에 대한 더 이상의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소쌍과 단지는 처형되었다.[4]

3. 가족 관계

순빈 봉씨 가계
조부모봉유례(奉由禮, 1354~1419),
이름 미상(1347~?)
부모봉려(奉礪, 1375~1436),
이름 미상(1375~?)
백부봉즙(奉楫, 1378~1439),
이름 미상(1395~?)
사촌봉여해(奉汝諧, 1419~1436),
순천 박씨(順天 朴氏, 1430~ ?)
백부봉림(奉霖, 1381~?),
이름 미상(1384~?)
사촌하음 봉씨(河陰 奉氏, 1411~1480),
봉극검(奉極儉, 1420~?)
형제봉극화(奉克和, 1420~?),
이름 미상(1413~?)
조카하음 봉씨(河陰 奉氏, 1440~?),
이진(李瑱, 부원군, 1440~?)
종손전주 이씨(全州 李氏, 1458~?),
이계남(李繼男, 구산군, 1461~?),
전주 이씨(全州 李氏, 1464~?),
전주 이씨(全州 李氏, 1467~?)
기타남동생 : 봉극유(奉克柔)
배우자이향, 문종 (1414년 11월 15일 ~ 1452년 6월 1일) — 자녀 없음.
시부모이도, 세종대왕 (1397년 5월 7일 ~ 1450년 3월 30일),
청송 심씨 소헌왕후 (1395년 10월 12일 ~ 1446년 4월 19일)


4. 대중문화 속 순빈 봉씨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 여민주가, 2021년 KBS드라마스페셜 《그녀들》에서 정다은이 순빈 봉씨를 연기했다.[1][2]

참조

[1] 서적 Veritable Records of Sejong
[2] 서적 Sejong Sillok
[3] 문서
[4] 논문 From King Hyegong to Suh Dongjin: the evolution of LGBT and homosexual rights in the Korean community, according to historiographical texts https://pressto.amu.[...] 2024-08-25
[5] 문서
[6] 문서
[7] 웹사이트 세종실록 74권, 세종 18년 7월 12일 을사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서적 왕을 낳은 후궁들 김영사 2007
[9] 서적 세종실록 1436-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