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헌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헌왕후는 조선 세종의 왕비로, 청송 심씨 심온과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의 딸이다. 1395년에 태어나 1446년에 사망했으며, 문종, 세조 등을 포함한 8남 2녀를 낳았다. 남편 세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으나, 외척 숙청 과정에서 아버지 심온이 처형되고 가문이 몰락하는 시련을 겪었다. 세종의 지지와 본인의 내조로 폐비 위기를 넘기고, 불교에 귀의하여 불법을 행하며, 석보상절 제작을 지원했다. 능은 세종과 함께 영릉에 안치되었고,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6년 사망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초기의 건축가, 조각가, 기술자로, 피렌체 대성당 돔 설계 및 건설, 선 원근법 체계화 등 건축과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만능인이다.
  • 1446년 사망 - 울루그 베그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이자 천문학,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학자로서,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통치하며 학문 장려 정책을 펼쳐 문화적 융성에 기여했고, 특히 천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는 아들에게 피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395년 출생 - 프라 안젤리코
    프라 안젤리코는 르네상스 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로,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의 특징을 아우르는 섬세한 색채, 고요한 분위기, 깊은 신앙심을 보여주는 종교화를 다수 제작하여 가톨릭 예술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 1395년 출생 - 피사넬로
    피사넬로는 15세기 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메달 제작가로서, 젠틸레 다 파브리아노의 영향을 받아 섬세하고 우아한 화풍을 확립하여 궁정풍 고딕 양식을 대표하면서도 르네상스 미술의 선구자적 면모를 보였으며, 특히 초상 메달 분야에서 독창적인 업적을 남겼다.
  • 조선의 불교 신자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조선의 불교 신자 - 김옥균
    김옥균은 1851년 충청도 공주에서 태어나 갑신정변을 일으킨 조선의 개화 운동가이며, 일본 망명 후 상하이에서 암살당했고, 사후 복권되어 규장각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소헌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소헌왕후의 인장
소헌왕후의 인장
왕조
가문청송 심씨
직위
조선 왕비재위 기간: 1418년 9월 18일 – 1446년 4월 28일
전임자: 원경왕후
후임자: 정순왕후
조선 왕세자빈재위 기간: 1418년 7월 20일 – 1418년 9월 18일
전임자:
정비
폐세자빈 수성 김씨
후임자:
폐세자빈 휘빈 김씨
폐세자빈 순빈 봉씨
권빈
생애
출생1395년 10월 20일
출생지양주, 경기도, 조선
사망1446년 4월 28일 (50세)
사망지수양대군 사저, 한성부, 조선
묻힌 곳영릉, 조선왕릉, 여주시 서쪽
정치
휘호선인제성(宣仁齊聖)
시호소헌(昭憲)
가족 관계
아버지심온
어머니순흥 안씨 삼한국대부인
배우자이도, 세종 (1408년 결혼, 1446년 사망)
자녀정소공주
이향, 문종
정의공주
이유, 세조
안평대군 이용
임영대군 이구
광평대군 이여
금성대군 이유
평원대군 이임
영응대군 이염

2. 생애

1395년(태조 4년), 문하시중 심덕부의 아들인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과 삼한국대부인 안씨의 장녀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청천부원군, 어머니는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였다.[1] 심씨는 심온안씨 부인 사이에서 9남매 중 장녀였다.[1] 그녀의 아버지의 형제인 심종은 태조의 딸인 경선공주와 결혼하여 청원부원군이 되었다.[1]

1408년(태종 8년), 당시 충녕대군이었던 세종과 혼례를 올리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1] 왕실과의 연관성 때문에, 태종의 아들인 충녕대군과 결혼하도록 정해졌으며, 이에 경숙옹주(敬淑翁主)가 되었다.[1] 남편이 대군이 되자 옹주에서 공주로 작위가 바뀌었다.[1]

1417년(태종 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1]

1418년 7월 6일, 태종 18년에 경숙옹주는 충녕대군(훗날 세종)이 왕세자로 책봉되면서 경빈(敬嬪)이 되었고,[1] 1418년 9월 9일 남편이 왕이 되면서 공비(恭妃)로 작위가 바뀌었다.[1] 공비는 온화하고 상냥한 외모를 가졌지만 법과 행동 강령을 엄격히 준수했다고 전해진다.[1]

양녕대군이 품행 불량으로 왕세자에서 폐위되고 남편인 충녕대군이 세자로 승격되면서 세자빈이 되었다.[1] 1418년, 태종의 양위로 세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1] 그러나 태상왕이 된 태종은 외척을 경계하여 아버지 심온을 비롯한 일족 다수가 처형되었고, 어머니 삼한국대부인 안씨는 노비로 전락하여 일족은 몰락했다.[1] 그녀 자신도 폐위될 위기에 처했으나, 세종의 간청과 그녀가 많은 자녀를 낳은 공로로 불문에 부쳐졌다.[1] 부모의 명예는 후에 회복되었다.[1]

2. 1. 탄생과 세자빈 책봉

1395년(태조 4년), 문하시중 심덕부의 아들인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과 삼한국대부인 안씨의 장녀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청천부원군, 어머니는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였다.[1] 심씨는 심온안씨 부인 사이에서 9남매 중 장녀였다.[1] 그녀의 아버지의 형제인 심종은 태조의 딸인 경선공주와 결혼하여 청원부원군이 되었다.[1]

1408년(태종 8년), 당시 충녕대군이었던 세종과 혼례를 올리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1] 왕실과의 연관성 때문에, 태종의 아들인 충녕대군과 결혼하도록 정해졌으며, 이에 경숙옹주(敬淑翁主)가 되었다.[1] 남편이 대군이 되자 옹주에서 공주로 작위가 바뀌었다.[1]

1417년(태종 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1]

1418년 7월 6일, 태종 18년에 경숙옹주는 충녕대군(훗날 세종)이 왕세자로 책봉되면서 경빈(敬嬪)이 되었고,[1] 1418년 9월 9일 남편이 왕이 되면서 공비(恭妃)로 작위가 바뀌었다.[1] 공비는 온화하고 상냥한 외모를 가졌지만 법과 행동 강령을 엄격히 준수했다고 전해진다.[1]

양녕대군이 품행 불량으로 왕세자에서 폐위되고 남편인 충녕대군이 세자로 승격되면서 세자빈이 되었다.[1] 1418년, 태종의 양위로 세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1] 그러나 태상왕이 된 태종은 외척을 경계하여 아버지 심온을 비롯한 일족 다수가 처형되었고, 어머니 삼한국대부인 안씨는 노비로 전락하여 일족은 몰락했다.[1] 그녀 자신도 폐위될 위기에 처했으나, 세종의 간청과 그녀가 많은 자녀를 낳은 공로로 불문에 부쳐졌다.[1] 부모의 명예는 후에 회복되었다.[1]

2. 2. 왕비 시절

1418년(태종 18년) 음력 6월, 충녕대군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경빈(敬嬪)이 되었으며,[2] 그해 음력 8월 충녕대군이 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중궁(中宮)이 되어 공비(恭妃)에 책봉되었다.[3][4] 같은 해, 아버지 심온과 숙부 심정이 태종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당하였고 소헌왕후의 어머니와 친족들은 관비가 되었다. 소헌왕후에 대해서도 폐비(廢妃)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크고, 왕자를 2명이나 출산하였으며 당시에 안평대군을 임신중이었기에 폐비가 되지 않았다. 세종은 왕비가 갈등 이전에 두 명의 왕자를 낳았기 때문에 그 지위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헌왕후는 남편에게 원한을 품기보다는 이 시련을 겪는 남편을 이해하고 지지했다. 의무를 다하는 왕비로서, 내명부는 그녀의 보살핌 아래 가장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다고 전해진다. 세종은 또한 그녀가 궁궐의 여인들을 잘 이끌었다고 칭찬했다. 1426년, 어머니 안씨와 가족들은 천안에서 제명되고 직첩이 복원된다.[4]

1432년(세종 14년), 국초에 사용하던 왕비와 세자빈에게 미칭을 붙이던 제도를 폐지하면서 공비에서 왕비(王妃)로 개봉되었다. 생애 후반의 세종과 소헌왕후는 불교에 귀의하여, 자주 불법(佛法)을 행하였다. 1444년(세종 26년)과 1445년(세종 27년), 어머니인 삼한국대부인 안씨와 아들인 광평대군평원대군을 연이어 잃고 불교에 의지했으며 승려를 모아 기도를 하고 불법을 행하였다. 또한 법당을 방문하고 석탑을 조성하기도 하였는데, 당시의 집현전 학자들이 반발하였다.

2. 3. 사망

1446년(세종 28년) 3월 10일, 소헌왕후가 병이 들자 세종은 죄수를 방면하고 산천초목에 기도를 드렸으며 승려들에게 불사를 주문하여 소헌왕후의 병에 감응하게 하였다.[5] 병세가 악화되자 세자는 식사를 거두고 병간호를 하였으나, 3월 24일 소헌왕후는 수양대군의 저택에서 승하하였다.[5] 시호는 '''소헌'''(昭憲)이며, 문종 대에 선인제성(宣仁齊聖)의 존호가 올려졌다.[5] 명나라가 세종의 시호를 장헌(莊憲)으로 내려주자 '헌' 자가 같으니 문종이 이를 고쳐야 할지 신하들에게 하문했지만 왕과 왕비의 시호가 같은 사례가 많아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고 답하여 고치지 않았다.[5]

능은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왕대리에 위치한 영릉(英陵)이며, 세종과 합장되었다.[5]

3. 사후

소헌왕후는 남편 세종대왕과 함께 무덤에 묻혔으며, 무덤은 학자, 무관, 말의 조각상으로 둘러싸여 있다. 묘역에는 사당과 연못이 있다. 그녀의 능인 영릉은 조선왕릉 내에 있으며, 여주시 서쪽에 위치해 있다.

수양대군은 어머니인 소헌왕후의 사후세계로의 순조로운 여정을 기원하며 《석보상절》의 제작을 지시했다. 이 책은 또한 한국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 불교 신앙의 확산을 장려했다. 《석보상절》은 중국어에서 한국 고유의 한글 문자로 번역되었으며, 이는 한국 고유 문자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책은 아버지의 요청에 따라 쓰여졌으며, 세종대왕이 쓴 580편 이상의 불교 가사가 《월인천강지곡》에 포함되어 있다. 《석보상절》은 1447년에 24권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서울)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용문사(양평군) 경내 모습

4. 가족 관계

   조선의 왕비      소헌왕후 심씨   
昭憲王后 沈氏
출생사망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 (50세)



'''부모'''



'''형제'''

  • 여동생 − 청송 심씨 (1397년 ~ 1458년)
  • 남동생 − 심준 (1398년 ~ 1448년)
  • 여동생 − 청송 심씨 (1400년 ~ ?)
  • 이복 형제 – 심장수 (1400년 ~ ?)
  • 여동생 − 청송 심씨 (1402년 ~ ?)
  • 이복 형제 – 심장기 (1402년 ~ ?)
  • 여동생 − 청송 심씨 (1405년 ~ 1466년)
  • 여동생 − 청송 심씨 (1407년 ~ ?)
  • 남동생 − 심회 (1418년 ~ 1493년)
  • 남동생 − 심결 (1419년 ~ 1470년)


'''남편'''

  • 세종 (1397년 5월 15일 ~ 1450년 4월 8일)
  • 시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1365년 7월 29일 ~ 1420년 8월 18일)
  • 시아버지 – 태종 (1367년 6월 13일 ~ 1422년 5월 30일)


'''자녀'''

'''기타'''

  • 의붓 고모: 경선공주 ( 초대 국왕 태조의 딸이며 남편의 고모 (시부, 태종의 여동생), 숙부 청원군 심종의 부인)
  • 의붓 여동생: 여흥 민씨 (남편의 사촌에 해당하며 (시어머니 원경왕후의 동생, 여원군 민무휼의 딸), 남동생 영중추원사 심준의 부인)
  • 조카: 영빈 강씨 (여동생과 지돈녕 진양부원군 姜碩德의 딸. 남편 세종의 측실이며 서장자 화의군의 생모)
  • 조카: 박중선 (막내 여동생과 부지돈녕부사 박거소의 아들)
  • * 증손: 영의정 평성부원군 박원종
  • * 증손녀: 승평부대부인 순천 박씨 (고손자 월산대군의 부인)
  • * 증손녀: 승평부부인 순천 박씨 (고손자 제안대군의 부인)

4. 1. 부모

소헌왕후의 아버지는 청천부원군 심온(청송 심씨)이며, 어머니는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이다. 심온은 심덕부의 아들이며, 태종 18년(1418년)에 처형되었다. 어머니 순흥 안씨는 안천보의 딸로, 1444년에 사망했다.

구분이름본관생몰년비고
청천부원군 심온청송 심씨1375년 - 1418년심덕부의 아들, 태종 18년(1418년) 처형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순흥 안씨? - 1444년안천보의 딸


4. 2. 배우자

소헌왕후의 배우자는 세종이다.[6] 세종은 1397년 5월 7일(음력 4월 10일) 조선 한성부 준수방 사저에서 태어났으며, 1450년 3월 30일(음력 2월 17일) 52세의 나이로 한성부 영응대군 사저에서 사망했다. 소헌왕후는 세종과의 사이에서 2명의 공주와 8명의 대군을 두었다. 장녀는 정소공주(1412년 ~ 1424년), 차녀는 정의공주(1415년 ~ 1477년)이다. 정의공주는 안맹담과 혼인하여 4남 2녀를 낳았다.

8명의 대군은 장남 문종(1414년 ~ 1452년), 차남 세조(1417년 ~ 1468년), 삼남 안평대군(1418년 ~ 1453년), 사남 임영대군(1420년 ~ 1469년), 오남 광평대군(1425년 ~ 1444년), 육남 금성대군(1426년 ~ 1457년), 칠남 평원대군(1427년 ~ 1445년), 팔남 영응대군(1434년 ~ 1467년)이다.

소헌왕후의 가계는 조선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소헌왕후의 아버지는 심온, 어머니는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이다. 의붓 고모는 태조의 딸인 경선공주이며, 의붓 여동생은 원경왕후의 동생인 여원군 민무휼의 딸로 남동생 심준의 부인이다. 또한 소헌왕후의 후손들은 조선의 역대 왕으로 이어져, 마지막 국왕인 순종까지 그 혈통이 이어진다.

4. 3. 자녀

소헌왕후는 슬하에 8남 2녀를 두었다. 장녀는 정소공주(1412년 ~ 1424년)이며, 장남은 문종(1414년 ~ 1452년)이다. 차녀는 정의공주(1415년 ~ 1477년)이며, 차남은 세조(1417년 ~ 1468년)이다.[7] 3남은 안평대군(1418년 ~ 1453년)으로 육종영 중 한사람으로 단종 1년(1453년) 사사되었다,[8] 4남은 임영대군(1420년 ~ 1469년)이다. 5남은 광평대군(1425년 ~ 1444년)이며, 6남은 금성대군(1426년 ~ 1457년)으로 육종영 중 한사람으로 세조 3년(1457년) 사사되었다.[9] 7남은 평원대군(1427년 ~ 1445년)이며, 8남은 영응대군(1434년 ~ 1467년)이다.[10]

소헌왕후의 자녀들은 조선 왕실의 주요 인물로, 그 후손들 또한 왕위를 계승하거나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마지막 국왕인 순종까지 소헌왕후의 혈통이 이어진다.

작호이름생몰년배우자비고
장녀정소공주1412년 - 1424년미혼
장남문종대왕향 珦1414년 - 1452년현덕왕후 권씨제5대 국왕
차녀정의공주1415년 - 1477년안맹담
차남세조대왕
수양대군
유 瑈1417년 - 1468년정희왕후 윤씨제7대 국왕
3남안평대군용 瑢1418년 - 1453년연일 정씨육종영 중 한사람
단종 1년(1453년) 사사됨
4남임영대군구 璆1420년 - 1469년의령 남씨
최씨
연산군비 폐비 신씨의 외조부
중종비 단경왕후의 외증조부
5남광평대군여 璵1425년 - 1444년신씨
6남금성대군유 瑜1426년 - 1457년최씨육종영 중 한사람
세조 3년(1457년) 사사됨
7남평원대군임 琳1427년 - 1445년홍씨
8남영응대군염 琰1434년 - 1467년송씨[10]
정씨
김씨
영흥대군
역양대군


5. 소헌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5. 1. 드라마

1983년 MBC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 김영애가, 1996년~1998년 KBS1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 임서연이 연기했다.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는 남지현이윤지가, 2011년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는 장지은이 소헌왕후를 연기했다. 2015년 MBC 드라마 《퐁당퐁당 Love》에서는 진기주가, 2019년 영화 《나랏말싸미》에서는 전미선이 연기했다. 2021년~2022년 KBS 1TV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는 김비주가 소헌왕후 역을 맡았다.

5. 2. 영화

참조

[1] 서적 심온의 어머니 민씨를 변한국대부인에, 딸을 경숙옹주에 봉하다 1408-02-17
[2] 서적 세자 이제를 폐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다 1418-06-03
[3] 문서 세종의 비의 미칭 변경
[4] 서적 왕세자가 내선을 받고 근정전에서 즉위하다 1418-08-10
[5] 서적 왕비가 수양대군의 제택에서 훙하다. 종친 등이 소복차림으로 곡하고 위문하다 1446-03-24
[6] 문서 세종대왕 탄생일(양력 환산)
[7] 문서 수양대군의 작호 변천사
[8] 서적 1453-10-18
[9] 서적 1457-10-21
[10] 문서 정순왕후의 고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