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안왕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안왕대비는 고려 태조의 제8비인 정목부인의 딸로, 개성 왕씨이며, 시호는 순안왕대비이다. 순안왕대비에 대한 기록은 정목부인의 소생이라는 것 외에는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왕대비에 봉해진 이유나 남편에 대한 정보도 상세히 알 수 없다. 그녀의 손녀가 고려 목종의 비인 선정왕후였고, 남편은 수명태자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고려 태조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고려 태조 - 태봉
    태봉은 궁예가 건국한 후고구려의 국호로, 고려 건국에 영향을 미치고 불교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궁예의 폭정으로 멸망했으며, 도성터가 비무장지대에 있어 연구가 어렵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순안왕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공주 (고려)
재위미상
전임왕녀
후임왕녀
군주왕건, 태조
왕가왕씨 (출생)
종교불교
개인 정보
이름순안왕대비
본관왕씨
아버지태조 왕건
어머니정목부인 강릉 왕씨
배우자왕욱 (추정)
기타 정보
비고성목대장공주의 어머니로 추정

2. 생애

순안왕대비는 태조의 제8비 정목부인 왕씨의 딸로, 정목부인의 유일한 소생이다. 은 왕, 본관개성이다. 정목부인은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삼한공신이자 태사 삼중대광에 증직된 왕경의 딸이다.[7]

고려사》〈열전〉 등에는 순안왕대비에 대해 정목부인 소생이라는 것 외에 생애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어,[8] 왕대비에 봉해진 이유나 자세한 생애는 알 수 없다.

2. 1. 시호와 지위

시호는 '''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이다. 태조의 왕녀 중 왕후가 된 딸을 두거나 왕이 된 아들을 둔 이들은 후대 고려 국왕에 의해 추존 왕후가 되었지만, 순안왕대비는 왕후 아래 등급인 비(妃)로 추증되었고, 작호 앞에 '대(大)' 자가 붙어 특징적이다.

고려 초 대비 칭호의 유일한 사례는 성종의 비 문화왕후 김씨의 후비전 기록에서 확인된다. 문화왕후는 성종의 비이자 현종의 비 원정왕후의 어머니였다. 성종과 현종 재위 기간에는 연흥궁주, 현덕궁주로 불렸던 그녀는 1029년(현종 20) 대비로 책봉되었다.[9] 왕후의 어머니이자 전왕 성종의 후비였기 때문에 생전 태후 아래 등급인 대비로 책봉된 것이다.

문화왕후의 사례를 통해 선의왕후, 문혜왕후와 달리 순안왕대비에게만 차별화된 칭호가 부여된 이유를 추론할 수 있다. 왕대비는 왕후보다 윗 வரி의 왕실 여성을 가리킨다. 즉, 순안왕대비의 손자녀 세대에 국왕 또는 왕후가 있어 그녀의 자녀 세대가 추존 국왕·왕후에 견주어졌고, 이에 따라 순안왕대비의 시호에 추존 국왕·왕후보다 윗 வரி임을 뜻하는 '대(大)' 자가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시호가 태후 아래 등급인 대비로 결정된 이유는 추증이 이루어질 당시 순안왕대비의 혈통이 국왕보다는 왕후와 직접 연결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순안왕대비의 손녀 세대, 즉 태조 왕건의 증손녀 세대에서 선대 정보가 누락된 인물로는 목종의 비였던 선정왕후의 할머니가 있다. 따라서 순안왕대비의 배우자는 선정왕후의 할아버지인 수명태자로 추정된다.[10][11] 수명태자의 후손이 왕실에서 유력한 위치에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순안왕대비가 수명태자의 부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2]

2. 2. 남편과 가계

태조의 제8비 정목부인 왕씨의 딸이며, 정목부인의 유일한 소생이다. 은 왕, 본관개성이다.[7]

고려사》〈열전〉 등에는 순안왕대비에 대해 정목부인 소생이라는 것 말고는 생애에 대한 기록이 전무하여[8] 남편 등에 대한 내용도 자세히 알 수 없다.

순안왕대비의 손녀 세대, 태조 왕건의 증손녀 세대에서 선대 정보가 누락된 인물로 목종비였던 선정왕후의 조모가 있다. 즉, 순안왕대비의 배우자로 선정왕후의 조부 수명태자로 추정된다.[10][11] 수명태자의 후손이 왕실에서 유력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던 사실로 미루어 보아 순안왕대비가 수명태자의 부인일 가능성이 높다.[12]

가계
조부추존 세조 (?~897)
조모추존 위숙왕후
부친태조 (877~943, 재위:918~943)
외조부왕경[13]
외조모미상
모친정목부인
시조부추존 세조 (?~897)
시조모추존 위숙왕후
시부태조 (877~943, 재위:918~943)
시외조부평준
시외조모미상
시모헌목대부인 평씨 (생몰년 미상)
남편수명태자 (생몰년 미상)
장남홍덕원군 왕규 (생몰년 미상)
자부문덕왕후 (생몰년 미상)
손녀선정왕후 유씨 (생몰년 미상)
손서목종 (980~1009 재위: 997~1009)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추존 세조 (?~897)
조모추존 위숙왕후
부친태조 (877~943, 재위: 918~943)
외조부왕경[13]
외조모미상
모친정목부인
시조부추존 세조 (?~897)
시조모추존 위숙왕후
시부태조 (877~943, 재위: 918~943)
시외조부평준
시외조모미상
시모헌목대부인 평씨 (생몰년 미상)
남편수명태자 (생몰년 미상)
장남홍덕원군 왕규 (생몰년 미상)
자부문덕왕후 (생몰년 미상)
손녀선정왕후 유씨 (생몰년 미상)
손서목종 (980~1009, 재위: 997~1009)


참조

[1] 문서 Half older sister and a wife of Grand Prince Uiseongbuwon (의성부원대군)
[2] 문서 Half younger sister and a wife of Wang Tae (왕태)
[3] 문서 Although there are no detailed records about her left, many historians believed that it was highly probable if she was Anjong of Goryeo|Wang Uk (her half older brother)'s wife who gave birth into Grand Princess Seongmok|Princess Seongmok
[4] 서적 The Annals of the Goryeo Dynasty https://books.google[...] North Korea and South Korea 2021-06-02
[5] 서적 Politics Theory of Korean https://books.google[...] Korean History, 한국사학 2021-06-14
[6] 웹사이트 순안왕대비 http://db.history.go[...] 2021-06-02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목부인〉항목 https://terms.naver.[...]
[8] 문서 《고려사》권91〈열전〉4, 태조 공주 - 순안왕대비
[9] 문서 ≪고려사≫ 권88, 열전1 后妃 文和王后 金氏
[10] 저널 10~13세기 高麗 王室의 構造와 編制 https://s-space.snu.[...] 2022
[11] 웹인용 KOOKHAK - 두계이병도박사구순기념한국사학논총(斗溪李丙燾博士九旬紀念韓國史學論叢) 180쪽 http://www.kookhak.c[...] 2024-12-10
[12] 문서 仁井田陞 著, 서용석·채지혜 역, 2010 <唐代의 封爵과 食封制> ≪역사와 교육≫ 10, 306~314쪽
[13] 두산백과 두산백과 〈왕경〉항목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