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의황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의황귀비는 청나라 건륭제의 후궁으로, 강희제의 후궁이었던 경씨를 가리킨다. 1689년에 태어나 1703년 옹왕부에 들어가 격격이 되었고, 1712년 황5자 홍주를 낳았다. 옹정 연간에 유빈, 유비로 봉해졌으며, 건륭 연간에 황고유귀태비로 책봉되었다. 건륭 43년 90세 생일에 황귀비로 봉해졌고, 건륭 49년에 사망하여 순의황귀비로 시호를 받았다. 『청사고』에는 순각황귀비로 잘못 기록되었다. 자녀로는 홍주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9년 출생 - 새뮤얼 리처드슨
    새뮤얼 리처드슨은 18세기 영국의 소설가이자 인쇄업자로, 서간체 소설의 선구자이며, 『파멜라, 또는 미덕의 보상』, 『클라리사』, 『찰스 그랜디슨 경의 역사』 등의 작품으로 18세기 영국 소설 발전에 기여했고, 도덕적 가치와 여성의 지위에 대한 통찰, 섬세한 심리묘사로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 1689년 출생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1785년 사망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는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식민지 건설가로서, 조지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감옥 및 해군 개혁, 노예제도 반대 등 박애주의 활동을 펼쳤다.
  • 1785년 사망 - 이벽
    이벽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한국 천주교회 개척자로, 천주교 서적을 통해 교리를 독학하고 권철신, 정약용 등과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전교 활동을 펼치다 체포 후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한국 천주교회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순의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순각황귀비
본관겅 (耿) → 아이신 교로 (愛新覺羅) (결혼 후)
출생강희 28년 11월 (1689년 12월/1690년 1월)
사망건륭 49년 12월 17일 (1785년 1월 27일)
사망 장소자금성
매장지청태릉 비원침
배우자
배우자옹정제 (1704년 결혼, 1735년 사망)
자녀
자녀홍주
작위
작위격격 → 유빈 → 유비 → 황고유귀태비 → 황고유황귀태비 → 순의황귀비
시호 및 존호
시호순의황귀비
묘호없음
가문
아버지정보 없음
어머니정보 없음
기타 정보
종교정보 없음
직업정보 없음

2. 생애

순의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정제건륭제 시대를 거치며 황귀비까지 오른 인물이다.

강희 42년(1703년), 14세에 옹정제의 저택에 들어가 격격(格格, 낮은 서열의 후궁)이 되었다. 이후 화공친왕 홍주를 낳았다.

옹정제가 즉위하면서 유빈(裕嬪)으로 책봉되었고, 이후 유비(裕妃)로 승격되었다. 옹정 11년(1733년)에는 아들 홍주가 화친왕으로 봉해졌다.

건륭제 즉위 후에는 황고유귀태비(皇考裕貴太妃)로 추봉되었으며, 건륭 43년(1778년) 90세 생신을 맞아 황고유황귀태비(皇考裕皇貴太妃)로 격상되었다.

건륭 49년(1784년) 96세로 서거하였으며, 순의황귀비(純懿皇貴妃)라는 시호를 받았다. 태릉 비원침에 안장되었으며, 지궁은 원침에서 가장 귀한 자리이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강희 28년 11월 3일 (1689년 12월 14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내무부 관리인 덕금(德金)이다.[1] 순의황귀비는 한족 경씨(耿氏) 출신으로,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강희 42년 (1703년), 14세의 경씨는 옹왕부에 격격으로 들어갔다. 강희 51년 (1712년) 11월 27일, 경씨는 황5자 화공친왕 홍주를 낳았다.

2. 2. 옹정제 시기

옹정 원년 (1723년) 2월 14일, 경씨는 유(裕)빈으로 봉해졌고, 그해 12월 22일 책봉례를 했다. 이부좌시랑 바타이를 정사로, 예부좌시랑 왕경은 부사를 맡았다. 책문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다. "朕惟化理肇自閨闈。令儀是式。功容凜夫圖史。禮秩攸崇。爰賁徽章。用昭彞典。咨爾格格耿氏、克葉柔嘉。早推淑慎。允合珩璜之度。宜膺象服之榮。曾仰承仁壽皇太后慈諭冊封爾為裕嬪。爾其聿修懿行。迓景福於方來。式佩綸言。荷洪禧於勿替。欽哉"[2]

옹정 8년 (1730년), 궁중분부에 따르면 유비로 진봉되었다.[3]

그러나, 유황귀비가 사망한 후, '유황귀비 금책 금보'는 관례대로 보관하고 있는 것 외에 '유귀비 금책 금보'와 '유빈 금책'만 특별히 광저사에 제출해 녹은 것은 과친왕 윤례, 황4자 홍력, 황5남 홍주와 대학사 악이태, 장정옥에게 명하여 묘강 사업을 수행하였다.

2. 3. 건륭제 시기

건륭제 즉위 후, 옹정제의 비빈들은 육식을 멈추고 소선을 드렸다.[4] 건륭 2년(1736년) 9월 7일, 유비는 황고유귀태비로 정식 책봉되었다. 정식 책봉 전에는 궁중에서 경씨를 귀비라고 불렀다.

건륭 43년(1778년) 2월, 숭경황태후 뉴호록씨의 1주기 대제가 끝난 후, 건륭제는 유귀비의 90세 생신을 기념하여 황귀비로 봉했다. 황태후의 장례는 보통 27개월이 걸리지만, 건륭제는 유황귀비의 생신을 중요하게 여겨 이례적으로 사흘 동안 크게 경축했다. 건륭제는 직접 현판과 어제시(御製詩)를 써서 경씨의 생신을 축하했고, 군신을 거느리고 유황귀비에게 절을 올리는 등 사흘간 연회를 베풀었다. 그해 10월 28일, 황고유황귀태비로 정식 책봉되었다.[5]

건륭 49년(1784년) 2월 17일, 유황귀비는 병으로 쇠약해졌다. 건륭제는 궁중 예제에 따라 장례 준비를 미리 하고, 황6자 영용, 황8자 영선, 내무부 대신에게 편지를 보내 임시 급락을 피했다. 같은 해 12월 17일(서력 1785년), 유황귀비는 96세로 병사하였다. 시신은 서각문에서 영안우문 북쪽 옆문을 통해 나와 신무문으로 나가 길안소에 잠시 안치되었다.

유황귀비가 죽은 다음 날, 건륭제는 직접 금관 앞에 가서 술을 올렸고, 12월 20일 금관은 경북 조팔리둔장에 봉안되었다. 건륭 50년 2월, 시호는 순의황귀비로 정해졌으며, 4월 9일 순의황귀비의 금관은 태릉 비원침에 모셔졌고, 4월 16일 지궁에 묻혔다. 순의황귀비의 지궁은 원침 중 가장 귀한 자리이다.

2. 4. 시호 논란

『청고종실록』과 『청황실사보』에는 경씨의 시호가 순의황귀비(純懿皇貴妃)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청사고』에는 경씨가 순각황귀비(純愨皇貴妃)로 잘못 기록되어 있다. (역자 주: 한자가 비슷하다 보니 잘못 기록한 것 같음.)

3. 자녀

홍주(1712년~1770년)는 정1품 화공친왕이었다.[1]

4. 미디어 매체에서의 등장

년도제목배우극중 이름극중 호칭
2012궁쇄주렴장가예경가 옥수옥귀인
2018연희공략白珊 (1969년)|바이 샹중국어경씨유태비


  • 드라마 《궁쇄심옥》에서 리이쥔이 순의황귀비 역을 맡았다.
  • 드라마 《연희공략》에서 白珊 (1969년)|바이 샹중국어이 순의황귀비 역을 맡았다.
  • 드라마 《궁쇄연성》에서 장정이 순의황귀비 역을 맡았다.
  • 드라마 《여의전》(2018년, 배우: 白珊 (1969년)|바이 샹중국어)

참조

[1] 서적 "清皇室四譜" / "Four Genealogies of Qing Dynasty"
[2] 웹사이트 Yongzheng ReignThe Palace Museum https://en.dpm.org.c[...] 2020-07-22
[3] 서적 《宮中檔簿》"The Diary of Palace Affairs"
[4] 서적 《宮內等處女子嬤嬤媽媽裡食肉底賬》
[5] 서적 《清史稿》/ "Draft History of Q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