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와 전철역 간의 연계를 목적으로 하는 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운영된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초록색으로 도색되어 '그린버스'라고 불리며, 일반 지선버스와 차등 지선버스로 구분된다.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 전라남도 목포시, 나주시 등에서도 지선버스가 운영되며,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번호 체계, 요금, 운행 방식 등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버스에 관한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버스에 관한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종류별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종류별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지선버스 |
---|
2. 지역별 특성
- 서울특별시: 2004년 대중교통 체계 개편과 함께 간선버스와 전철역 간의 연계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초록색으로 도색되어 '그린버스'라고도 불린다. 일반 지선버스와 차등 지선버스로 구분된다. 일반 지선버스는 네 자릿수 번호 체계를 가지며,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차등 지선버스는 요금이 저렴하고, 10km 이내의 초단거리를 운행하며, 현대 그린시티나 자일대우 BS090 같은 중형차량이 주로 투입된다.
- 인천광역시: 500번대(533, 534번 제외), 700번대(한정면허) 노선이 지선버스이며, 초록색이다. 과거 마을버스였으나 2001년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간선버스보다 요금이 저렴하다. 일부 노선에서는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대구광역시: 2006년 개편 이전 마을버스를 운영했으나, 일반버스로 통합되었다. 지선버스는 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대전광역시의 외곽노선버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지역별 이름과 일련번호를 붙여 운영하며, 요금은 간선버스와 동일하다. 일부 노선은 간선 노선과 거의 차이가 없다.
- 광주광역시: 2006년 개편 때 50번 이후부터의 번호 체계를 적용하였다. 2007년 재개편으로 지선 노선 일부가 간선버스로 변경되거나, 간선 노선 일부가 지선버스로 변경되었다. 요금은 1400KRW이며, 시계외 노선은 시계외 요금이 적용된다.[1]
- 세종특별자치시: 간선과 급행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 전광판에는 초록색으로 "지선 + 운행노선번호" 형식으로 표시된다.[1]
- 울산광역시: 한 구·군 내의 마을 간 연결을 담당하며, 900번대 번호가 부여된다. 각 구·군별로 두 번째 자리 번호가 구분된다.
- 경상남도: 창원시의 지선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주로 시가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200번(창원, 마산), 300번(진해) 단위 번호가 부여된다. 입석형 시내버스가 투입되며, 대표 안내 색상은 녹색이다. 요금은 간선 일반 노선과 동일하다.
- 전라남도: 목포시, 나주시 등에서 지선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목포시의 지선버스는 노란색으로 운행 중이며, 여러 노선이 있다.[1] 나주시에서는 100번대~700번대 노선을 운행하며,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은 999번으로 변경되었다.[1] 나주교통에서 단독으로 운행한다.[1]
2. 1. 서울특별시
2004년 대중교통 체계 개편과 함께 간선버스와 전철역 간의 연계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초록색으로 도색되어 '그린버스'라고도 불린다. 일반 지선버스와 차등 지선버스로 구분된다.2. 1. 1. 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종류
2004년 7월 1일 간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 및 환승 시스템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초록색으로 칠해져 있어 '그린버스'라고도 불린다. 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요금은 2가지 형태로 나뉜다.- '''일반 지선버스''': 간선버스와 마찬가지로 도시형버스로 운행하며, 간선버스와는 달리 평균적으로 굴곡이 많은데다 노선의 길이도 짧다(요금은 간선버스하고 비슷). 번호 체계는 네 자릿수로 출발지(첫 번째), 종점(두 번째), 일련번호(세 번째하고 네 번째)로 되어있어서 번호 체계가 좀 복잡한 편이다. 일부 지선버스 노선은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2020년 현재 210여 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다.
- '''차등 지선버스''': 일반 지선버스와 마찬가지로 번호는 네 자릿수로 이루어져 있다. 요금이 일반 지선버스에 비해 저렴하고, 보통 10km 이내의 초단거리를 운행하며, 현대 그린시티나 자일대우 BS090 같은 중형차량이 주로 들어간다.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5621번(삼익아파트~구로디지털단지역)이 대표적으로, 이 노선의 운행 거리는 왕복 6.5km에 불과하다.
2. 2. 인천광역시

500번대(533, 534번 제외), 700번대(한정면허) 노선은 인천광역시의 지선버스이다. 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와 같은 초록색이다. 환승 시에는 거리비례제가 적용되어 간선버스와 같은 규칙이 적용된다. 과거에는 마을버스였으나 2001년 2월 1일에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다른 지역과 달리 인천광역시는 간선과 지선의 요금이 동일하지 않고, 지선버스의 요금이 더 저렴하다.
500번대 버스 번호의 둘째 자리는 구별 번호이다.
- 동구: 500~510번
- 남구: 511~521번
- 연수구: 522~529번
- 남동구: 531~540번
- 부평구: 551~586번 (530번도 있음)
- 계양구: 587~590번
- 서구: 591~596번
일부 노선에서는 저상버스가 지선버스로 운행된다 (신흥교통 517번, 성원운수 537번).
2. 3.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에서는 2006년 개편 이전에 마을버스를 잠시 운영했으나,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해 개편 때 일반버스로 통합하였다. 이때 일부 오지 지역 노선들도 분리하였다. 따라서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는 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대전광역시의 외곽노선버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동구1번, 수성1번과 같이 지역별 이름과 일련번호를 붙여 운영 중이며, 요금은 일반 간선버스와 동일하다. 다만, 최근에는 한 지역만이 아닌 여러 권역에 걸쳐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 북구에서 시내 및 동대구역을 거쳐 동구 반야월역으로 운행하는 북구3번과 같은 일부 노선은 간선 노선과 거의 차이가 없다.2. 4. 광주광역시
2006년 12월 21일 개편 때 50번 이후부터의 번호 체계를 적용하였다. 2007년 2월 8일부터 재개편하면서 지선 노선 일부가 간선버스로 변경되고, 간선 노선 일부가 지선버스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요금은 1400KRW이며 학생 할인이 되지만, 시계외 노선은 광주광역시 경계를 벗어나면 시계외 요금이 적용된다.[1]2. 5.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선버스는 간선과 급행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 전광판에는 초록색으로 "지선 + 운행노선번호" 형식으로 표시된다.[1]2. 6. 울산광역시
지선버스는 한 구·군 내의 마을 간 연결을 담당하며, 900번대 번호가 부여된다. 각 구·군별로 두 번째 자리 번호가 구분된다. 중구는 910번 단위, 남구는 920번 단위, 동구는 930번 단위, 북구는 940번 단위, 울주군은 950번 단위가 부여된다.2. 7.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창원시의 지선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창원시의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와 마찬가지로 주로 시가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통합 전에는 하나의 도시 내부에서 각 중요 거점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마산 시내의 남북 노선, 창원시 내의 시내 순환 노선이 있었다. 지선버스 번호로는 200번(창원, 마산), 300번(진해) 단위가 부여되고 입석형 시내버스가 투입되며, 대표 안내 색상은 녹색이다. 버스 정류장의 표지판 안내 등에서는 간선 일반, 읍면 노선과 더불어 '일반' 범주에 포함되며, 교통카드 사용 시 성인 기준 요금은 1500KRW으로 간선 일반 노선과 동일하다.2. 7. 1. 창원시
간선버스와 마찬가지로 주로 시가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통합 전에는 하나의 도시 내부에서 각 중요 거점을 이어주는 역할로서 마산 시내의 남북 노선, 창원시 내의 시내 순환 노선이 있었다. 번호로는 200번(창원, 마산), 300번(진해) 단위가 부여되고 입석형 시내버스가 투입되며, 대표 안내 색상은 녹색이다. 버스 정류장의 표지판 안내 등에서는 간선 일반, 읍면 노선과 더불어 '일반' 범주에 포함되며, 요금 또한 교통카드 사용 시 성인 기준 1500KRW으로 간선 일반 노선과 요금이 동일하다.2. 8. 전라남도
전라남도에는 목포시, 나주시 등에서 지선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목포시의 지선버스는 2007년 3월 1일 개편되어 현재 노란색으로 운행 중이며, 6번, 9번, 10번, 20번, 60번, 108번, 112번, 130번(외곽연계) 노선이 있다.[1] 나주시에서는 2016년 6월 1일 개편으로 100번대~700번대 노선을 운행하며,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은 999번으로 변경되었다.[1] 나주교통에서 단독으로 운행한다.[1]2. 8. 1. 목포시
2007년 3월 1일 개편시 기존의 노란색(황색)으로 현재까지 유지되어 운행되고 있다. 노선은 6번, 9번(공식적으로는 간선 노선이지만 노선 형태로만 보면 지선이다.), 10번, 20번, 60번, 108번, 112번, 130번(외곽연계)이 있다.[1]2. 8. 2. 나주시
2016년 6월 1일 개편으로 종전의 100번대~700번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은 999번으로 변경되었다.[1] 나주교통에서 단독 운행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