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선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선버스는 주요 도시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을 의미한다.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창원시, 목포시, 나주시 등에서 운행되며, 각 지역별로 고유한 특징을 갖는다.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는 파란색으로 칠해진 도시형 버스이며, 대구광역시는 녹색 또는 푸른색, 광주광역시는 노란색을 사용한다. 노선 번호 체계, 요금, 환승 시스템 등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버스에 관한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버스에 관한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종류별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종류별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간선버스

2. 지역별 특성

2004년 서울특별시에서 간선버스 체계가 도입된 이후, 여러 지역에서 각자의 특성에 맞는 간선버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2004년 7월부터 간선, 지선, 광역, 순환버스 노선을 도입하여 환승 시스템을 구축했다. 간선버스는 파란색으로 도색되어 '블루버스'라고도 불리며,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해 서울 주요 도심을 연결한다. 2020년 기준 128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 번호는 세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출발지, 종점, 일련번호를 나타낸다.[1] 교통카드 사용 시 10km까지 기본요금 1500KRW(현금 1500KRW)이며, 5km마다 100KRW씩 추가된다.
  • 대구광역시: 급행, 지선, 순환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간선버스에 해당하며, 세 자리 숫자 번호를 사용한다. 생활 권역별로 번호가 부여되며, 교통카드를 이용해 버스와 지하철 간 환승이 가능하다. (30분 이내 1회) 2015년 기준 56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 성인 요금은 1250KRW이다.(2017년 기준)[1]
  • 인천광역시: 도시형버스에 해당하는 1~99번 노선과 700번대(한정면허) 노선이 간선버스이다. 지선버스보다 노선이 길고 저상버스가 많이 투입되며, 성인 현금 기준 요금은 1500KRW이다.
  • 광주광역시: 2006년 12월 21일 개편으로 10번 이후 번호 체계를 적용하였고, 2007년 2월 8일 재개편을 통해 노선이 조정되었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와 달리 노란색을 사용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2013년 4월 22일 대개편으로 7개 노선을 운행한다. 301, 350, 550, 551, 601, 602, 801번이 있으며, 전광판에 '간선 + 운행노선번호' 형식으로 표출된다.
  • 경상남도 창원시: 시가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간선 좌석노선(700번대)과 간선 일반노선(100번대)으로 구분된다. 좌석노선은 좌석형 시내버스, 일반노선은 입석형 시내버스가 투입되며, 요금 체계가 다르다. 정류장 표지판에는 좌석노선을 '좌석', 일반노선을 '일반'으로 안내한다.[3]


창원시 간선버스 요금
구분현금교통카드
간선 좌석노선1700KRW (청소년 및 어린이는 1350KRW)1600KRW (청소년 및 어린이는 1250KRW)
간선 일반노선1200KRW (청소년 900KRW, 어린이 650KRW)1100KRW (청소년 800KRW, 어린이 600KRW)


  • 전라남도: 목포시나주시에서 간선버스를 운행한다.
  • 목포시: 2007년 3월 1일부터 빨간색으로 도색한 간선버스를 운행한다.[4]
  • 나주시: 2016년 6월 1일 개편으로 광주 방면 노선을 999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한다. 혁신도시를 경유하며, 나주교통에서 단독 운행한다.[1]

2. 1. 서울특별시

2004년 7월부터 지선, 광역, 순환버스와 함께 환승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도시형버스로 운행하며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어 '블루버스'라고도 불린다.

교통카드를 사용해 버스, 지하철 등에서 환승 시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사용 시 최초 10km까지 기본요금 1500KRW(현금은 1500KRW), 매 5km 추가시 100KRW씩 추가된다.

번호 체계는 세 자릿수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순한 편이며 출발지(첫 번째), 종점(두 번째), 일련번호(세 번째)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현재 128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주간선버스 :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주 계통으로 하여 서울시의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운행체계로 짜여져 있으며, 현재 네 개의 컨소시엄 업체에서 운영한다.[1]
  • '''보조간선버스 : '''지선버스와 함께 주간선버스를 보완하여 운행되며, 컨소시엄 업체를 제외한 시내버스 업체에서 운영한다(보조간선버스 노선 중에는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음).[2]

2. 2.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의 간선버스는 급행, 지선, 순환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을 가리킨다. 번호표는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활 권역별로 번호가 별도로 부여되어 있다. 교통카드를 사용해 버스, 지하철 등에서 환승 시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30분 이내 1회 환승이 가능하다.(2회 체크 시 요금 지불) 녹색, 푸른색의 버스이며, 2015년 현재 56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요금은 성인 기준 1250KRW이다. (2017년 기준)[1]

2. 3. 인천광역시

도시형버스에 해당하며 1번 ~ 99번 노선과 700번대(한정면허) 노선이 해당한다. 지선버스와 다르게 저상버스가 많이 투입되어 있고, 지선버스 노선보다 2배 이상 길다. 요금은 성인 현금 기준 1500KRW이다.

2. 4. 광주광역시

2006년 12월 21일 개편으로 10번 이후부터의 번호 체계를 적용하였다. 2007년 2월 8일 재개편을 통해 지선 노선 일부가 간선버스로, 간선 노선 일부가 지선버스로 변경되어 유지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와 달리 간선버스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노란색을 사용한다.

2. 5. 세종특별자치시

2013년 4월 22일 대개편으로 7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301번, 350번, 550번, 551번, 601번, 602번, 801번이 있으며, 전광판에 빨간색으로 '간선 + 운행노선번호' 형식으로 표출된다.

2. 6.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창원시의 간선버스가 있다. 창원시의 간선버스는 주로 시가지를 연결하는 노선 역할을 하며, 간선 좌석노선과 간선 일반노선으로 구분된다. 좌석노선에는 좌석형 시내버스, 일반노선에는 입석형 시내버스가 투입된다. 간선 좌석노선은 700번대, 간선 일반노선은 100번대 번호를 사용하며, 대표 안내 색상은 각각 빨강과 파랑이다.[3] 요금은 좌석노선과 일반노선 간에 차이가 있다. 버스 정류장 표지판에서는 간선 좌석노선을 '좌석', 간선 일반노선을 지선노선 및 읍면노선과 함께 '일반'으로 안내한다.

창원시 간선버스 요금
구분현금교통카드
간선 좌석노선1700KRW (청소년 및 어린이는 1350KRW)1600KRW (청소년 및 어린이는 1250KRW)
간선 일반노선1200KRW (청소년 900KRW, 어린이 650KRW)1100KRW (청소년 800KRW, 어린이 600KRW)


2. 6. 1. 창원시

주로 시가지를 이어주는 노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간선 좌석노선과 간선 일반노선으로 나뉘며, 좌석노선에는 좌석형 시내버스, 일반노선에는 입석형 시내버스가 각각 투입된다. 번호는 간선 좌석노선이 700번 단위, 간선 일반노선이 100번 단위가 부여되며, 대표 안내 색상은 간선 좌석노선이 빨강, 간선 일반노선이 파랑이다.[3] 요금 또한 차이가 있으며, 버스 정류장의 표지판에서는 간선 좌석노선을 '좌석', 간선 일반노선을 지선노선과 읍면노선 등과 함께 묶어 '일반'의 범주에 넣어 안내하고 있다.

창원시 간선버스 요금
구분현금교통카드
간선 좌석노선1700KRW (청소년 및 어린이는 1350KRW)1600KRW (청소년 및 어린이는 1250KRW)
간선 일반노선1200KRW (청소년 900KRW, 어린이 650KRW)1100KRW (청소년 800KRW, 어린이 600KRW)


2. 7. 전라남도

전라남도에는 목포시나주시에서 간선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목포시에서는 2007년 3월 1일부터 빨간색으로 도색한 간선버스를 운행하고 있다.[4]

나주시에서는 2016년 6월 1일 개편 때 기존 100번대~500번대 노선의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을 123번으로 변경했으나, 광주역 수요가 없어 같은 해 8월 22일에 999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다. 999번은 기본적으로 혁신도시를 경유하며 남평정류장,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버스터미널에서 각 지역별 지선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나주교통에서 단독 운행하며, 999-1번만 혁신도시가 아닌 내기리를 경유하지만 공통적으로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를 경유한다.[1]

2. 7. 1. 목포시

2007년 3월 1일 개편으로 빨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을 운행한다.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4]

노선 번호비고
1번
1A번근화희망타운 지선
1B번군산동 지선
2번
13번
13-1번통학버스
30번
30-1번통학버스


2. 7. 2. 나주시

2016년 6월 1일 개편 때 기존 100번대~500번대 노선의 광주광역시 방면 노선을 123번으로 변경했으나, 광주역 수요가 없어 같은 해 8월 22일에 999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혁신도시를 경유하며 남평정류장,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버스터미널에서 각 지역별 지선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나주교통에서 단독 운행하며, 999-1번만 혁신도시가 아닌 내기리를 경유하지만 공통적으로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를 경유한다.[1]

참조

[1] 문서 네 개의 컨소시엄 업체는 한국BRT, 다모아자동차, 메트로버스, 서울교통네트웍이 있다. 단, 서울시내버스 370번은 주간선버스이지만 컨소시엄 업체가 아닌 대원여객과 송파상운에서 운행 중이고, 서울시내버스 500번, 660번은 컨소시엄 업체와 다른 업체가 공동배차 중이다.
[2] 문서 북부운수와 메트로버스가 공동 배차 중인 262번은 보조간선버스이다.
[3] 문서 단, 버스 회사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안내 색상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4] 문서 2007년 11월 2일에 저상버스를 1번에 처음 운행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