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오 마사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오 마사유키는 일본의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이다. 릿쿄 대학에서 영화 표현론을 배우고 핑크 영화 조감독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1984년 오즈 야스지로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핑크 영화 《변태가족 형의 신부》로 감독 데뷔했다. 1989년 정규 극영화 《화려한 춤》을 연출했으며, 이후 《으랏차차 스모부》(1991), 《쉘 위 댄스?》(1996) 등의 작품으로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았다. 2016년 자수포장을 수훈했으며, 2018년부터 릿쿄 대학 씨름부 명예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감독상 수상자 - 스즈키 세이준
    스즈키 세이준은 독특한 영상미와 스타일로 '세이준 미학'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마니아층을 형성한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닛카쓰에서 해고 후 복귀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감독상 수상자 - 이상일 (영화 감독)
    니가타현 출신 재일조선인 3세 영화 감독인 이상일은 일본영화학교에서 영화 제작을 공부하고 《69 sixty nine》으로 데뷔하여 《훌라 걸스》, 《악인》, 《분노》, 《유랑의 달》 등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통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으며 일본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릿쿄 대학 동문 - 구로사와 기요시
    구로사와 기요시는 1955년 효고현 고베시 출생의 일본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고, 2023년에는 가자지구 휴전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
  • 릿쿄 대학 동문 - 김상용 (시인)
    김상용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망향의 정서와 시대적 고뇌를 표현한 시집 『망향』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집 『무궁화』를 발표한 시인이다.
  • 일본의 영화 감독 - 스즈키 세이준
    스즈키 세이준은 독특한 영상미와 스타일로 '세이준 미학'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마니아층을 형성한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닛카쓰에서 해고 후 복귀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일본의 영화 감독 - 이상일 (영화 감독)
    니가타현 출신 재일조선인 3세 영화 감독인 이상일은 일본영화학교에서 영화 제작을 공부하고 《69 sixty nine》으로 데뷔하여 《훌라 걸스》, 《악인》, 《분노》, 《유랑의 달》 등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통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으며 일본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오 마사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9년 도쿄 국제 영화제 개막식에서
2019년 스오
이름스오 마사유키
본명(알 수 없음)
출생일1956년 10월 29일
출생지도쿄도, 일본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 기간1983년–현재
배우자구사카리 다미요
가족사촌: 스오 요시카즈
주요 작품
영화『팬시 댄스』(1989년)
『시코 훈쟛타。』(1991년)
『Shall we ダンス?』(1996년)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2007년)
『종신신탁』(2012년)
『마이코는 레이디』(2014년)
수상
일본 아카데미상최우수 감독상
1993년『시코 훈쟛타』
1997년『Shall we ダンス?』
최우수 각본상
1992년『시코 훈쟛타』
1996년『Shall we ダンス?』
블루 리본상감독상
1993년『시코 훈쟛타』
2008년『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일본 영화 감독 협회 신인상1991년『시코 훈쟛타』
후지모토상1991년『시코 훈쟛타』
2006년『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전미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6년『Shall we ダンス?』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8년『Shall we ダンス?』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6년『Shall we ダンス?』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6년『Shall we ダンス?』
라스베이거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6년『Shall we ダンス?』
새틀라이트상외국어 영화상
1996년『Shall we ダンス?』
야마지 후미코 영화상2012년『종신신탁』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7년『Shall we ダンス?』
서훈
2016년자수포장

2. 생애 및 경력

릿쿄 대학 재학 중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되어 핑크 영화계에서 조감독과 각본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1984년 오즈 야스지로 감독에게 오마주를 바친 핑크 영화 《이상한 가족: 형의 신부》로 감독 데뷔하여 주목받았다.[5][6]

이후 일반 영화계로 진출하여 《화려한 춤》(1989)을 연출했고, 《상업의 하늘》(1991)로 일본 영화 감독 협회 신인 감독상을 수상했다.[7] 1996년 발표한 《쉘 위 댄스?》는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주요 상을 수상하고[8] 미국에서도 흥행에 성공하며[9]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 후에도 법정 영화 《나는 고발하지 않았다》(2006)[10], 의료 영화 《터미널 트러스트》(2012)[11], 뮤지컬 영화 《레이디 마이코》(2014)[12][13]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꾸준히 발표하며 활동하고 있다.

2. 1. 어린 시절 및 학창 시절

도쿄도 메구로구에서 태어나[19], 이후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에서 자랐다. 어린 시절에는 야구를 좋아하여, 야구를 계속하기 위해 일부러 멀리 떨어진 무사시 공업 대학 부속 중학교·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 때 팔꿈치를 다쳐 야구 선수의 길을 포기해야 했다[19].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2년간 재수 생활을 했다[19].

1981년, 릿쿄 대학 문학부 불문학과에 재학하던 중, 비상근 강사로 온 하스미 시게히코의 "영화 표현론" 강의를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 졸업 후 영화 감독이 되기로 결심했다[20]. 대학 시절에는 아르바이트로 번 돈으로 직접 8mm 영화를 제작하며 보냈다[21].

당시 일본 영화계는 사양 산업으로 여겨져 영화사의 신입사원 채용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핑크 영화 업계는 꾸준히 작품을 만들고 있었기에, 스오는 어떻게든 영화 촬영 현장에 들어갈 방법을 모색했다. 대학 4학년 때 한 극단 여배우의 소개로 다카하시 반메이 감독을 만나 "조감독으로 써달라"고 부탁하여 승낙을 받았다. 만약 다카하시 감독에게 거절당했다면 야마모토 신야 감독에게 부탁할 생각이었다고 한다[21].

2. 2. 핑크 영화 제작 참여 (1980년대 초)

1981년, 릿쿄 대학 문학부 불문학과 재학 중 비상근 강사로 온 하스미 시게히코의 강의 "영화 표현론"을 듣고 영화 감독을 지망하게 되었다[20]。 대학 시절에는 아르바이트로 자금을 모아 8mm 영화를 자주 제작했다[21]

당시 일본 영화계는 사양 산업으로 영화사의 신입 채용이 거의 없었으나, 핑크 영화는 꾸준히 제작되고 있었다. 스오는 핑크 영화 촬영 현장에 참여할 방법을 모색했고, 대학 4학년 때 한 극단 여배우의 소개로 다카하시 반메이 감독을 만나 조감독으로 받아 달라고 부탁하여 승낙을 얻었다. 덧붙여 만약 다카하시에게 거절당했다면 야마모토 신야에게 부탁할 생각이었다고 한다[21]。 이후 이미지 포럼 영상 연구소에 진학하며 다카하시 반메이, 와카마츠 코지, 이즈츠 카즈유키 등의 감독 밑에서 조감독으로 경험을 쌓았다[19]

1982년에는 영화 제작자 후쿠오카 요시호, 이소무라 이츠미치, 미즈타니 토시유키, 요네다 아키라와 함께 제작사 '유닛 5'를 설립했다[2]。 스오는 조감독으로 활동하며 구로사와 기요시의 감독 데뷔작인 핑크 영화 ''간다 강가 변태 전쟁''(1983)에 배우로 출연하기도 했다[3]。 또한 이 시기에 ''Scanty Panty Doll: Pungent Aromaeng''(1983)와 같은 핑크 영화의 각본을 쓰기도 했다[4]

5년간의 조감독 생활 끝에 1984년, 스오는 오즈 야스지로 감독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핑크 영화 ''이상한 가족: 형의 신부''로 감독 데뷔를 했다[5][22]。 이 작품에서 스오는 존경하는 오즈 야스지로의 카메라 워크를 충실히 재현했는데, 낮은 다다미 높이에서 배우를 촬영하는 구도,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정적인 인물들이 서로 다른 곳을 보며 대화하는 모습, 단순하고 감상적인 배경 음악 등 오즈 특유의 스타일을 모방했다[6]。 재스퍼 샤프는 그의 저서 ''Behind the Pink Curtaineng''(2008)에서 이 영화를 초기 걸작이자 핑크 영화 장르에서 가장 재치 있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했다[6]。 영화 개봉 후, 영화학도들 사이에서는 영화 곳곳에 숨겨진 오즈 야스지로와 그의 작품에 대한 오마주를 찾아내는 것이 유행하기도 했다[4]。 이 작품은 『아사히 신문』에서 하스미 시게히코가 그 해의 베스트 5 영화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이상한 가족''은 스오가 핑크 영화 장르에서 감독한 유일한 작품이다. 이 영화를 계기로 핑크 영화계 외부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하여 다른 영상 제작 의뢰를 받게 되었다. 이후 가라오케 비디오 등 다양한 영상 제작을 통해 경험을 쌓았다. 가라오케 비디오는 가사와 함께 흘러나오는 드라마 형식의 영상으로, 노래가 흘러나오는 약 4분 동안 이야기를 만들고 노래 분위기에 맞는 영상을 제작하는 방식인데, 스오 마사유키는 이를 "영상 제작의 좋은 훈련이 되었다"고 말했다[21]

2. 3. 일반 영화 진출 (1980년대 후반 ~ 현재)

야지마 슈헤이 명의로 핑크 영화에 관여하기도 했으나, 1989년 《팬시 댄스》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일반 영화계로 진출했다.

1992년 공개된 《으랏차차 스모부》는 비평과 흥행 양면에서 성공을 거두며 일본 내 영화상을 휩쓸었고, 같은 해 일본 영화 감독 협회 신인 감독상과[7] 야마지 후미코 영화상 문화재단 특별상도 수상했다.[23] 1993년에는 알타미라 픽처스 설립에 참여했다.[23]

1996년에 개봉한 《쉘 위 댄스?》는 당시까지 비주류였던 사교 댄스 붐을 일으키며 기록적인 흥행 성공을 거두었고, 다시 한번 일본 내 주요 영화상을 석권했다. 이 작품은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녀 주연상 등 14개 부문을 수상하며[8] 스오 마사유키 감독의 명성을 확고히 했다. 또한, 미국 배급사 미라맥스를 통해 북미 지역에 개봉되어 일본 영화로서는 이례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9]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과 전미 비평가 위원회 등 미국 각지의 영화상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다만,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일본 대표로는 선정되지 못했다. 이듬해인 1997년 7월, 스오 감독은 미라맥스와 차기작 제작에 관한 퍼스트룩 계약을 맺었으나, 현재 이 계약은 효력이 상실된 상태이다.[24]

이후 한동안 공백기를 가진 스오 감독은 2007년, 카세 료 주연의 법정 드라마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를 발표했다.[10] 이 영화는 일본 사법 시스템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파고들며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고, 2008년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일본 영화 부문 1위에 선정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26] 같은 해 오타 출판의 감사역에 취임했으며,[25] 과거 《마루사의 여자》 메이킹 비디오 연출을 맡았던 인연으로 이타미 주조 감독의 이름을 딴 이타미 주조상의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2009년에는 배우 쿠사카리 타미요와 함께 제2회 플래티넘 부부 어워드를 수상했다.[27] 2011년에는 발레리나 쿠사카리 타미요를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댄싱 채플린》을 발표했다. 같은 해 6월 발족한 '새 시대의 형사 사법 제도 특별부회' 위원으로 선임되어, "취조의 전면 가시화", "증거의 전면 공개", 인질 사법 개선 등을 주장하며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8]

2012년에는 존엄사 문제를 다룬 의료 영화 《쓰이노 신타쿠》(終の信託|쓰이노 신타쿠일본어, 영어 제목: A Terminal Trust)를 제작했으며,[11] 이 작품으로 2013년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일본 영화 대상을 수상했다.[29] 2014년에는 교토마이코를 소재로 한 뮤지컬 영화 《마이코는 레이디》(舞妓はレディ|마이코와 레디일본어, 영어 제목: Lady Maiko)를 발표하여 2014년 상하이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12][13] 같은 해 야마지 후미코 영화상에서 제31회 문화상을 수상했다.[30]

2016년 봄에는 자수포장을 수훈했으며,[31] 2018년 3월 13일부터는 모교인 릿쿄 대학 씨름부의 명예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32]

3. 작품 세계

(내용 없음)

3. 1. 스타일 및 영향

1997년 인디와이어와의 인터뷰에서 스오 마사유키는 자신의 영화 제작 스타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영화 제작에서 제게 가장 중요한 것은 영화 속 캐릭터들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캐릭터와 몇 초 동안만 함께하더라도 그 사람에게는 그만의 삶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그들을 존중하고 싶고, 각 캐릭터가 자신만의 개성을 갖는 영화를 만들고 싶습니다."[14]

그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감독은 오즈 야스지로이다. 스오는 "만약 오즈 감독이 생존해 계셨을 때 만날 수 있었다고 해도, 너무 동경한 나머지 곁에 가지 못할 정도로 긴장했을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오즈 감독을 존경한다.[21]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배우로는 카사 지슈를 꼽았다. 대학 시절부터 "나이가 들면 카사 지슈 같은 노인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스오는 이타미 주조 감독의 영화 마루사의 여자2의 메이킹 비디오 연출을 맡았을 때, 본편에 출연한 카사 지슈를 메이킹 영상으로 꼭 담고 싶어 직접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게 했다.[21]

스오 본인은 "어릴 적부터 주변 사람들을 기쁘게 하거나 웃게 하는 것이 자신의 행복이다. 그 웃음의 비결을 배워온 것이 영화 감독을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21]

쉘 위 댄스?의 미국 홍보 활동 중에는 유명 여배우 로렌 바콜과 라이자 미넬리와 함께 춤을 추며 감격하기도 했다.[21]

어린 시절 야구를 좋아했던 영향으로 현재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열렬한 팬이다.[19] 또한 어린 시절에는 야구 선수뿐만 아니라 초밥집 주방장에 대한 동경도 품었다고 한다.[21]

3. 2. 주제

좋아하는 영화 감독은 오즈 야스지로이다. 만약 오즈 감독이 생존했을 때 만날 수 있었다면, 너무 동경한 나머지 곁에 가지 못할 정도로 긴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21]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배우로는 카사 지슈를 꼽았다. 대학 시절부터 나이가 들면 카사 지슈 같은 노인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마루사의 여자2의 메이킹 비디오 연출을 맡았을 때, 본편에 출연한 카사를 메이킹 영상으로 꼭 담고 싶어 메이킹 카메라맨에게 부탁하여 직접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게 했다.[21]

스스로 말하기를, 어릴 적부터 주변 사람들을 기쁘게 하거나 웃게 하는 것이 자신의 행복이며, 그 웃음의 비결을 배운 것이 영화 감독을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한다.[21]

쉘 위 댄스?의 미국 홍보 활동 중에는 유명 배우 로렌 바콜과 라이자 미넬리와 춤을 추며 감격하기도 했다.[21]

어린 시절 야구를 좋아했던 영향으로 현재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열렬한 팬이다.[19] 또한 어린 시절에는 야구 선수에 대한 관심과 함께 초밥집 주인을 동경하기도 했다.[21]

4. 작품 목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이 섹션에 추가할 고유 정보가 없습니다.)

4. 1. 감독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이 섹션에 추가할 고유 정보가 없습니다.)

4. 1. 1. 영화

4. 2. 제작


  • ''여자는 괴로워'' 제작기 (1987)
  • ''여자는 괴로워 2'' 제작기 (1988)
  • 힘내서 가자! (1998)
  • ''춤추는 채플린'' (2010)

4. 3. 출연


  • 간다 강 음란 전쟁 (1983년) - 맨션 관리인 역
  • 묘와 이혼 (1993년)
  • 119 (1994년) - 하라쿠리 주재소 순경 역
  • 도쿄일화 (1997년) - 우체부 역

5.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상 이름작품
1993년일본 아카데미상감독상쉘 위 댄스?
1997년일본 아카데미상감독상쉘 위 댄스?
2016년자수포장[16]
2019년제43회 일본 아카데미상우수 감독상[33]활극 변사!


6. 기타 활동

1996년 12월 31일에는 제47회 NHK 홍백가합전의 심사원을 맡았다.

2007년 오타 출판의 감사역에 취임했다.[25] 영화 《마루사의 여자》의 메이킹 비디오 연출을 맡았던 인연으로, 이타미 주조 감독의 이름을 딴 이타미 주조상의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2008년에는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가 2007년도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일본 영화 부문 1위로 선정되었다.[26] 2009년에는 아내 쿠사카리 타미요와 함께 제2회 플래티넘 부부 어워드를 수상했다.[27]

2011년 6월 발족한 '새 시대의 형사 사법 제도 특별부회' 위원으로 선임되어, "취조의 전면 가시화", "증거의 전면 공개", 인질 사법 개선 등 인권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을 주장했다.[28]

2013년에는 《마지막 부탁》으로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일본 영화 대상을 수상했으며,[29] 이듬해 2014년에는 야마지 후미코 영화상에서 제31회 문화상을 받았다.[30]

2016년 봄에는 자수포장을 수훈했다.[31] 2018년 3월 13일부터는 릿쿄 대학 씨름부의 명예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32]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송에 출연했다.


  • ETV 특집 "탄생 120년·서거 60년 오즈 야스지로가 살아있다" (2023년 12월 2일,
  • ETV 특집 "탄생 100년 영화감독 오카모토 기하치가 남긴 것" (2024년 12월 7일, NHK E 텔레)[35]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hochi.co.[...] 2014-09-21
[2] 서적 Japanese Cinema Encyclopedia: The Sex Films Vital Books : Asian Cult Cinema Publications
[3] 문서 Weisser, p.217.
[4] 문서 Weisser, p. 308-309.
[5] 웹사이트 Midnight Eye review: Abnormal Family (Hentai Kazoku: Aniki No Yomesan, 1983, director: Masayuki SUO) http://www.midnighte[...]
[6] 서적 Behind the Pink Curtain: The Complete History of Japanese Sex Cinema FAB Press
[7] 웹사이트 Nihon Eiga Kantoku Kyōkai Shinjinshō http://www.dgj.or.jp[...] Directors Guild of Japan 2010-12-11
[8] 웹사이트 Awards for Shall We Dansu?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8-08-11
[9] 웹사이트 Box office / business for Shall we dansu?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1997-07-11
[10] 뉴스 Suo pic hits dance card https://variety.com/[...] 2006-11-01
[11] 웹사이트 Understand Japanese cinema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2-10-19
[12] 웹사이트 "'Lady Maiko': Shanghai Review" https://www.hollywoo[...] 2014-06-18
[13] 웹사이트 Film Review: ''Lady Maiko'' https://variety.com/[...] 2014-09-19
[14] 웹사이트 Eight Questions for Masayuki Suo, The Director of "Shall We Dance?" https://www.indiewir[...] Indiewire 1997-07-11
[15] 뉴스 'My Fair Lady' wrapped in a geisha's kimono https://www.japantim[...] 2014-09-17
[16] 뉴스 State honors list names 704 people https://www.japantim[...] 2016-04-28
[17] 웹사이트 大辞泉 http://dic.yahoo.co.[...]
[18]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www.ohtabooks[...]
[19] 웹사이트 渡辺支配人のおしゃべりシネマ館「周防正行監督・Shall we ダンス?」 http://www.nhk.or.jp[...] NHKBSオンライン 2011-11-14
[20] 웹사이트 立教大学 http://www.rikkyo.ac[...]
[21] 문서 さくらももこのエッセイ「さるのこしかけ」の周防正行+さくらももこによる巻末お楽しみ対談より。
[22] 문서 この5年間の下積み時代の周防の年収はたった30万~40万円ほどで、本人曰く「この作品は、5年間の低賃金の恨みつらみをこめて好き勝手に作った(笑)」とのこと。
[23] 웹사이트 周防正行(SUO MASAYUKI) http://altamira.jp/s[...]
[24] 문서 『「Shall we ダンス?」アメリカを行く』p.365
[25] 웹사이트 太田出版、監査役に周防正行監督 売上高8億6657万円で増収 http://www.bunkanews[...]
[26] 웹사이트 日本映画1位「それでもボクはやってない」 キネマ旬報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8-01-10
[27] 웹사이트 周防正行監督、妻・草刈民代に頭あがらず? 『プラチナ夫婦アワード』受賞 https://beauty.orico[...] オリコン 2009-11-17
[28] 문서 2014年4月23日中日新聞朝刊33面「冤罪の危険省みられていない〜捜査側可視化骨抜きの恐れ」
[29] 웹사이트 ひと:周防正行さん 毎日映画コンクールで大賞受賞 http://mainichi.jp/o[...] 毎日新聞 2013-01-18
[30] 웹사이트 受賞者一覧 http://www18.ocn.ne.[...]
[31] 뉴스 704人26団体 紫綬褒章に映画監督の周防正行さん、囲碁棋士の石田芳夫さんら http://www.sankei.co[...] 2016-04-28
[32] 웹사이트 周防監督立教大学相撲部就任インタビュー http://www.rikkyo.ne[...] 立教大学相撲部
[33] 뉴스 第43回日本アカデミー賞「翔んで埼玉」が最多12部門で優秀賞!「閉鎖病棟」「キングダム」が追う https://eiga.com/new[...] 2020-01-15
[34] 웹사이트 生誕120年・没後60年 小津安二郎は生きている https://www.nhk.jp/p[...] NHK 2023-12-02
[35] 웹사이트 ドキュメンタリー『生誕100年 映画監督 岡本喜八が遺したもの』 Eテレで12月7日放送 https://amass.jp/179[...] amass 2024-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