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의 국기는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십자가가 그려진 형태이며, 스웨덴의 국기 규격과 색상은 법률로 정해져 있다. 가로 세로 비율은 5:8이며, NCS 기준으로 노란색은 NCS 0580-Y10R, 파란색은 NCS 4055-R95B로 지정되어 있다. 16세기 초 구스타프 1세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현재의 삼중 꼬리 형태의 군기는 스웨덴 해군의 국적기로 사용되며, 왕실기는 국장 또는 소문장을 중앙에 둔 형태이다. 국기 게양 규칙과 페넌트에 대한 규정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기 - 사미의 기
사미의 기는 사미족을 대표하는 깃발로, 1986년 아스트리드 보엘이 디자인한 공식 기가 공인되었으며, 빨강, 녹색, 노랑, 파랑의 네 가지 색상을 사용한다. - 스웨덴의 상징 - 스웨덴의 국가
스웨덴의 국가로 널리 알려진 "Du gamla, Du fria"는 공식적인 국가는 아니지만, 19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정부 행사나 스포츠 행사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스웨덴 국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스웨덴의 상징 - 스웨덴어
스웨덴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며, 덴마크어, 노르웨이어와 분화되어 독자적인 맞춤법, 사전, 문법을 갖게 되었고, 스웨덴어 위원회와 스웨덴 아카데미의 규제를 받으며, 현대 스웨덴에서는 대부분의 스웨덴인과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자가 사용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스웨덴의 국기 | |
---|---|
기본 정보 | |
국기 명칭 | 스웨덴의 국기 |
사용 비율 | 5:8 |
채택일 | 1906년 6월 22일 |
디자인 | 청색 바탕에 금색 (또는 황색)의 노르딕 십자가 그려져 있음 |
깃대 쪽 | 십자의 세로 부분이 깃대 쪽으로 치우쳐 있음 |
군기 | |
![]() | |
군기 별칭 | 군사 깃발 |
군기 사용 | 001001 |
군기 비율 | 1:2 |
군기 채택일 | 1663년 11월 6일 (법률에 명시), 현재 디자인은 1906년 6월 22일 |
군기 디자인 | 청색 바탕에 금색 (또는 황색)의 노르딕 십자가 그려져 있으며, 꼬리 부분이 제비꼬리 모양임. |
상징 | |
기원 및 의미 | |
종교적 의미 | 국기에 있는 십자가는 기독교를 상징함 |
십자 기원 | 덴마크에서 유래되었으며,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기독교 상징을 포함시킴 |
기타 | |
스웨덴어 명칭 | Sveriges flagga |
참조 | 스웨덴의 깃발 목록 |
2. 규격과 색상
스웨덴의 국기 규격과 색상은 법률로 규정되어 있다.[3][4][5][6] 가로 세로 비율은 5:8이며, 아르헨티나, 과테말라, 팔라우, 폴란드 국기와 함께 5:8 비율을 사용하는 다섯 개의 국기 중 하나이다.
국기의 가로 비율은 5:2:9, 세로 비율은 4:2:4이다. 삼각형 꼬리가 세 개 달린 스웨덴 국기의 가로 비율은 5:2:5:8, 세로 비율은 4:2:4이다.[3]
국기에 사용된 파란색과 노란색은 카자흐스탄, 팔라우, 우크라이나 국기에서도 사용된다. 스웨덴 국기의 색상은 NCS를 통해 노란색은 NCS 0580-Y10R, 파란색은 NCS 4055-R95B로 정해져 있다.[4] 파란색은 팬톤 ''PMS 301 C/U'', 노란색은 ''PMS 116'' 또는 ''PMS 109 U''로 지정되어 있다.[5]
색 구성표 | 노란색 (Gul) | |
---|---|---|
NCS | 4055-R95B | 0580-Y10R |
팬톤 | 301 C | 116 C |
CMYK | 100, 44, 0, 42 | 0, 20, 99, 0 |
HEX | #005293 | #FFCD00 |
RGB | 0, 82, 147 | 254, 204, 2 |
구스타프 1세 시대인 16세기 초,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십자가가 그려진 깃발이 처음 등장했다.[8] 1562년 4월 19일 왕실 명령서에는 국기 디자인이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십자가"로 법적으로 처음 명시되었다.[8] 1569년 왕실 명령서에 따라 노란색 십자가는 항상 스웨덴 전투 표준과 깃발에 사용되었다. 그 이전에는 요한 3세 공국의 문장에 유사한 깃발이 등장했는데, 이 문장은 오늘날 남서핀란드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깃대에 국기를 게양할 때는 국기의 너비가 깃대 높이의 1/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어떤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깃대의 높이(길이)의 1/3 너비의 국기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국기를 게양하는 것은 낮 동안에만 하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되며, 늦어도 오후 9시까지로 한다. 단, 국가가 전쟁 상태에 있다면 밤에도 국기를 게양하는 것이 권장된다.
3. 역사
전설에 따르면, 12세기 에리크 9세 국왕은 1157년 제1차 스웨덴 십자군 당시 핀란드에 상륙했을 때 하늘에서 금십자가를 보았다고 한다. 그는 이것을 신의 계시로 여기고 파란색 바탕에 금십자가를 자신의 깃발로 채택했다.
스웨덴 기원 설화는 16세기에 기록된 덴마크 국기의 기원 이야기에 맞서기 위해 선택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스웨덴 국기는 1442년 스웨덴의 국장을 도입한 칼 8세 국왕의 통치 기간에 만들어졌다. 국장은 알베르트 국왕의 1364년 문장과 마그누스 3세 국왕의 1275년 문장을 결합한 것으로, 파란색 바탕에 금색 사선십자가로 4분할되어 있다.
다른 역사학자들은 1420년 이전에는 스웨덴 국기가 흰 십자가가 있는 파란색이었으며, 1521년 크리스티안 2세를 폐위시킨 구스타프 1세 국왕의 초기 통치 기간에 금십자가가 있는 파란색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3. 1. 초기 역사
구스타프 1세 시대인 16세기 초,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십자가가 그려진 깃발이 처음 등장했다.[8] 1562년 4월 19일 왕실 명령서에는 국기 디자인이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십자가"로 법적으로 처음 명시되었다.[8][37] 1569년 왕실 명령서에 따라 노란색 십자가는 항상 스웨덴 전투 표준과 깃발에 사용되었다. 그 이전에는 요한 3세 공국의 문장에 유사한 깃발이 등장했는데, 이 문장은 오늘날 남서핀란드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두 갈래 깃발(이중 꼬리 깃발)이 사용되었으나, 17세기 중반부터 세 갈래 깃발(삼중 꼬리 깃발)이 등장했다. 1663년 11월 6일 왕실 칙령은 삼꼬리기를 국기 및 해군기로서만 사용하도록 규정했다.[9][38]
같은 왕실 칙령에 따르면, 상선은 각각의 지방 색깔을 가진 정방형 도시기를 게양하는 것만 허용되었으나, 실제로는 상선 함대가 국기의 정방형 민간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730년 선박 건조에 관한 정부 지시에 따르면, 이 민간기는 정방형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국기와 같은 비율과 색상을 가져야 했다.[10][39] 1756년에는 사선의 깃발 사용이 금지되었다.[11][40]
1761년 8월 18일의 왕실 명령서는 육군의 한 부대인 군도 함대가 사용할 전 청색 삼미선기를 규정했다. 함대 사령관은 상황에 따라 청색기 대신 일반 전투기를 사용할 권한도 가졌다.[12][41] 청색기는 1813년까지 사용되었다.
3. 2.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1814년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이 수립된 후,[42] 1815년 6월 6일 스웨덴과 노르웨이 양국은 칸톤에 붉은 바탕에 흰색 살티어가 추가된 공통 군함기를 도입했다. 이 깃발은 노르웨이 총리 페데르 안케르가 제안한 것으로, 붉은색 바탕에 흰색 살티어는 과거 덴마크-노르웨이의 깃발을 사용한 노르웨이를 상징했다.[13][42]
노르웨이 선박은 피니스테레 곶 북쪽에서 덴마크 상선기를 사용했지만, 지중해에서는 스웨덴 상선기를 게양해야 했다. 1818년에는 양국 공통 상선기가 도입되었는데, 이 깃발은 군함기를 정사각형으로 만든 형태였다. 이 깃발은 스웨덴 선박에는 선택 사항이었지만, 원거리 해역에서 노르웨이 선박은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했다. 1821년 노르웨이는 현재의 노르웨이 국기와 동일한 새로운 국가 상선기를 채택했다.[14]
1821년 7월 17일 왕실 규정에 따라, 양국 선박은 "원거리 해역"에서 공통 정사각형 상선기(살티어 포함)를 사용해야 했다.[14] 이 규정은 1838년까지 시행되었다.
1844년 6월 20일 왕실 결의안에 따라 양국의 동등한 지위를 나타내는 새로운 국기와 문장이 도입되었다. 양국 모두 합동 마크가 추가된 동일한 패턴의 민간 및 군사 깃발을 부여받았다. 해군기는 전통적인 스웨덴식 삼꼬리 형태였다. 새로운 합동 마크는 해군기 및 해외 공동 외교 대표부의 깃발로도 사용되었다. 상선 함대는 각국의 정방형 민간 깃발에 새로운 합동 마크를 포함하여 사용하도록 규정되었다.[15][43]
새로운 합동 국기는 노르웨이에서 환영받았지만, 스웨덴에서는 'Sillsallaten'(스웨덴어) 또는 'Sildesalaten'(노르웨이어)이라는 비판적인 별명으로 불렸다.[15][43]
19세기 동안 군사 깃발은 세관, 항만 안내선, 왕립 우체국 등 민간 정부 선박과 건물에서도 사용되었다. 1897년 5월 7일에는 이중꼬리 대체 국기가 도입되어, 삼꼬리 군사 깃발을 게양하지 않는 정부 소유 선박 및 건물에서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 연합에 대한 노르웨이의 불만이 커지면서 1899년 노르웨이 민간 깃발에서 합동 마크가 제거되었다. 그러나 합동 마크는 스웨덴 국기에 1905년 11월 1일까지 남아있었다.[18][46]
3. 3. 1906년 국기법
1905년 노르웨이-스웨덴 연합 해체 이후, 3개의 꼬리를 가진 해군기가 일반 해군기에 대체되어 스웨덴 해군기가 되었다.[49] 1906년 6월 22일 국기법은 국기의 사용과 디자인을 더욱 규정하여 색상을 "ljust mellanblå"(밝은 중간색 파랑)와 "guldgul"(황금색 노랑)으로 명시하였는데, 이는 이전보다 더 어두운 파란색에서 벗어난 것이었다.[49] 스웨덴 국가기는 정사각형 민간기와 동일해졌고, 3개의 꼬리를 가진 기의 모든 개인 사용은 금지되었다.[49]
1905년 11월 1일, 삼지창형 꼬리깃(燕尾型) 깃발이 스웨덴 군함의 국적기가 되었다.[49] 그리고 1906년 6월 22일에 제정된 국기 관련 법률에 따라 국기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규정이 정해졌다. 이때 제정된 국기는 이전 깃발보다 밝은 파란색이 채택되었다. 이 스웨덴 국기는 직사각형의 상선기가 되었으며, 개인적으로 삼지창형 꼬리깃(燕尾型) 깃발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었다.[49]
과거 삼색 꼬리형 군함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몇 가지 유명한 예외가 있었으나, 1906년 6월 22일 새 국기 규정 제정 시 모두 폐지되었다.[49]
4. 왕실기
스웨덴 왕실기(Kungliga flaggansv)는 세 꼬리 해군기와 동일하지만, 중앙에 대문장 또는 소문장이 세라핌 기사단으로 둘러싸인 흰색 바탕이 있다.[7] 기사단의 수장은 국왕이며, 국왕이 직접 왕실기의 사용에 대해 결정한다.[7]
스웨덴 국왕과 국왕 배우자는 큰 국장이 새겨진 왕실기를 사용하고, 왕실의 다른 구성원들은 작은 국장이 새겨진 왕실기를 사용한다.[7] 해군 함정에서는 국왕의 깃발과 큰 국장이 새겨진 분할형 삼각기가 함께 게양되며, 왕세자의 깃발과 작은 국장이 새겨진 분할형 삼각기도 해군 함정에서 함께 게양된다.
스웨덴 왕실 원수는 1987년 4월 6일 스톡홀름 왕궁에서 왕실기를 게양하는 방법에 대한 규칙을 발표했다.[19]
- 국왕이 왕국 내에 있고 국가 원수로서의 의무를 수행할 때는 큰 국장이 새겨진 왕실기가 왕궁에 게양된다.
- 국왕이 질병, 해외 여행 또는 기타 이유로 의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유효한 계승 순위에 따라 왕실 구성원 중 그러한 방해를 받지 않는 사람이 임시 섭정으로서 국가 원수의 직무를 맡아 수행할 때는 작은 국장이 새겨진 왕실기가 왕궁에 게양된다.
- 유효한 계승 순위에 있는 왕실 구성원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정부 명령에 따라 의회가 임시 섭정으로 임명한 사람이 직무를 수행할 때는 국장이 없는 일반적인 3개의 꼬리가 달린 깃발이 왕궁에 게양된다.[20] 의장 또는 의장의 불가피한 부재 시에는 부의장 중 한 명이 정부 명령에 따라 유효한 계승 순위에 있는 왕실 구성원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임시 섭정으로 직무를 수행할 때도 3개의 꼬리가 달린 전쟁기가 왕궁에 게양된다.[20]
1973년부터 국왕으로 재위한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시대에 일반적인 3개의 꼬리가 달린 깃발이 왕궁에 게양된 것은 단 한 번뿐이었다. 1988년 7월 2일부터 3일까지 국왕이 독일 뷔르퍼탈(Wuppertal)을 사적으로 방문했을 때, 그의 삼촌이자 계승 순위에서 유일한 인물인 할란드 공작 베르틸이 프랑스 생트막심(Sainte-Maxime)을 사적으로 방문하여, 정부는 의회 의장 잉게문드 벵트손(Ingemund Bengtsson)에게 이틀 동안 임시 섭정을 맡기도록 명령했다.
5. 군기
스웨덴의 군기는 삼중 꼬리 깃발(tretungad flaggasv) 형태이며, 전체 비율은 1:2이다.[32] 이 깃발은 해군의 국적기(함선기)로도 사용되는데, 해군기는 군기보다 크기가 작지만 비율은 같다.[32] 원래 스웨덴 제비꼬리 깃발은 국왕의 개인 문장 또는 국왕이 수여한 지휘권을 나타내는 문장이었다. 처음에는 두 갈래였지만 17세기 중반에 독특한 혀가 달린 제비꼬리가 등장했다.[32] 이 깃발은 국방부에서도 사용되며, 민간 부처는 정사각형 깃발을 사용한다.[32]
군기 및 군함기는 삼색 꼬리 모양이며, 전체 세로:가로 비율은 1:2이다. 세로 방향의 색상 비율은 국기와 같고 가로 방향은 5:2:5:8로 파랑·금색·파랑·삼색 꼬리의 비율이 된다.[32]
해군기는 제독(대장)기, 부제독(중장)기, 후방제독(소장)기, 소함대제독기, 준장기 등 계급에 따라 다른 디자인을 사용한다.
6. 옛 국기
16세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스웨덴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1520년경부터 1650년경까지 사용된 국기, 17세기 중반부터 1815년까지 사용된 해군기,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시절의 국기(1815년 ~ 1905년)와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해군기 등이 있었다.
1899년 스웨덴-노르웨이 국기를 보면, 오른쪽 아래의 상선기에서는 연합 왕국의 문장이 제외되었지만, 노르웨이 군함기에서는 연합 왕국의 문장이 계속 사용되었다. 이는 해외 대사관이 상선기 변경을 알리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초기 군함기는 17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고, 칼마르 동맹의 깃발도 있었다. 1761년까지 사용되었던 군함기와 1761년부터 1813년까지 사용되었던 단색 청색 해상기도 있었다.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의 상선기는 1818년부터 1844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켄톤 부분에 노르웨이를 상징하는 붉은색 바탕에 살티어가 배치되었다. 1815년부터 1844년까지 사용되었던 스웨덴 국기와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의 군함기(1815년-1844년)도 켄톤 부분에 노르웨이를 상징하는 붉은색 바탕에 살티어가 배치되었다.
1844년부터 1905년까지 사용되었던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의 깃발은 5:4의 종횡비를 가지며, 연합 왕국의 해군 국적기 및 외교용 깃발로도 사용되었다. 이 시기 스웨덴 군함기와 민간기, 상선기도 사용되었다.
7. 스웨덴 국외에서의 사용
미국의 델라웨어주윌밍턴의 기와 펜실베이니아주필라델피아의 기는 과거 뉴스웨덴이라 불리는 스웨덴의 식민지를 기념하기 위해 스웨덴 국기를 본떠 만들었다.[22] 윌밍턴의 기에는 십자가 중앙에 도시의 문장이 있다. 필라델피아의 깃발은 노르딕 크로스가 아닌 세로 삼색기이지만, 깃발의 파란색과 노란색은 이 지역의 스웨덴 정착을 기념하기 위해 선택되었다.[22]
상하이 국제 조계의 시의회 인장에는 1844년 스웨덴 민간기가 포함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의 축구팀 보카 주니어스의 깃발과 색상은 스웨덴 국기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23][50]
8. 국기 게양 규칙
독립형 깃대에 스웨덴 국기를 게양할 경우, 깃발의 너비는 깃대 높이의 4분의 1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건물에서 깃대를 뻗어 국기를 게양할 경우에는 깃발의 너비가 깃대 높이의 3분의 1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24]
스웨덴 국기를 게양하고 내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25]
- 3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는 오전 8시부터 국기를 게양할 수 있다.
- 11월 1일부터 2월 28일 또는 29일까지는 오전 9시부터 국기를 게양할 수 있다.
- 국기는 일몰 시에 내려야 하며, 늦어도 오후 9시까지는 내려야 한다.
- 국기에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면, 일몰 후에도 계속 게양할 수 있다.
국기가 더 이상 보기 좋은 상태가 아니라면, 예의를 갖춰 태워서 폐기하거나 제조업체에 반환하여 폐기해야 한다.
일반 시민은 공식적인 국기 게양일에 국기를 게양할 의무는 없지만, 권장된다. 스웨덴의 국기 게양일 외에도, 가족이나 기타 축하할 일이 있을 때는 언제든지 국기를 게양할 수 있다.[26] 일반적인 깃대에 국기를 게양할 때는 국기의 너비가 깃대 높이의 1/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어떤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깃대의 높이(길이)의 1/3 너비의 국기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리고 국기를 게양하는 것은 낮 동안에만 하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되며, 늦어도 오후 9시까지로 한다. 단, 만약 국가가 전쟁 상태에 있다면 밤에도 국기를 게양하는 것이 권장된다.
9. 페넌트
스웨덴 삼각기는 이등변삼각형 모양이며(해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등변사다리꼴 모양인 경우도 있음), 위쪽은 파란색, 아래쪽은 노란색의 두 개의 수평 띠로 구성되어 있다.[27][28]
스웨덴 국가기록원은 삼각기의 길이를 깃대 높이의 1/3로 권장한다.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십자가가 있는 국기를 닮은 비공식적인 삼각기 버전도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27][28]
참조
[1]
서적
State Religion Relationships and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12-31
[2]
서적
The Australian Flag: Colonial Relic or Contemporary Icon
https://books.google[...]
William Gaunt & Sons
2007-12-31
[3]
웹사이트
Lag (1982:269) om Sveriges flagga
https://www.riksdage[...]
Riksdag
2019-08-02
[4]
웹사이트
Förordning (1983:826) med riktlinjer för färgnyanserna i Sveriges flagga
https://www.riksdage[...]
Riksdag
2019-08-02
[5]
웹사이트
Sveriges flaggas färger
https://riksarkivet.[...]
2019-03-03
[6]
웹사이트
Vimpel
https://riksarkivet.[...]
2019-03-03
[7]
웹사이트
Förordning (1994:657) om användning av tretungad flagga
https://www.riksdage[...]
Riksdag
2019-08-02
[8]
문서
Original quote: "gult udi korssvijs fördeelt påå blott"
[9]
문서
Plakat, av den 6. Nov. 1663, angående den åtskillnad som härefter bör observeras emellan de flaggor som Kongl. Maj:ts enskilda skepp och farkoster föra, så ock de skepps och farkosters flaggor, som private personer tillhöra och af dem brukas skola.
[10]
문서
Nödig underrättelse om skiepz-byggeriet och der utaf härflytande högnödige och siöväsendet samt taklingen tilhörige proportioner
[11]
문서
Kongl. Maj:ts förbud, den 19. November 1756, emot vimplars bruk på kofferdi- och privata fartyg.
[12]
문서
Kongl. bref, den 18. Augusti 1761
[13]
문서
Krigskollegii samt Förvaltningens af sjöärendena kungörelse, den 3 Maj 1815, om den för konungarikena Sverige och Norge fastställda örlogsflaggans allmänna anläggnade.
[14]
문서
Kungl. Maj:ts kungörelse, den 17. Juli 1821, om de förenade konungarikena Sveriges och Norges handelsflagga.
[15]
문서
The Brakel family was introduced to the Swedish House of Lords in 1756 and is best known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eat Northern War in Finland. C.O. Brakel was a secretary of the Swedish House of Lords (Riddarhussekreterare), and his remark was made in a speech in 1868.
[16]
문서
Kongl. Maj:ts skrivelse 1825 till Förvaltningen af sjöärendena om förslag till en särskild lotsflagg
[17]
문서
General-tullstyrelsens cirkulär, 26. September 1844, till herrar tulldistriktschefer och tullkamrarne med tillkännagifvande, att en särskild flagga för tullverkets fartyg blifvit av Kongl. Maj:t fastställd.
[18]
문서
Lag, den 28. Oktober 1905, om upphäfvande för Sveriges del af den till bestämmande af de genom föreningen emellan Sverige och Norge uppkomna konstitutionella förhållanden antagna riksakt.
[19]
문서
Riksmarskalkens beslut den 6. April 1987, för flaggning.
[20]
문서
This is also one of the royal flags, and rumours that the three-tailed war flag is mainly chosen since the Royal Palace is the home of the Palace Guard – is not correct.
[21]
문서
One of the oldest flags preserved is a double-tailed flag from 1760 at the Maritime Museum in Stockholm
[22]
웹사이트
Philadelphia, Pennsylvania (U.S.)
[23]
웹사이트
Club Atletico Boca Juniors (Argentina)
https://web.archive.[...]
2009-01-02
[24]
웹사이트
Parad 2: Flaggor, fälttecken & heraldik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1-07-21
[25]
웹사이트
Flaggningstider
https://riksarkivet.[...]
National Archives of Sweden
2019-08-02
[26]
웹사이트
Flaggdagar i Sverige
https://riksarkivet.[...]
2021-06-06
[27]
웹사이트
Vimpel
https://riksarkivet.[...]
National Archives of Sweden
2024-09-02
[28]
웹사이트
Reglerna enkla att följa: Behandla flaggan med respekt
https://nationaldage[...]
Stiftelsen Sveriges Nationaldag
2024-09-02
[29]
서적
State Religion Relationships and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12-31
[30]
서적
The Australian Flag: Colonial Relic or Contemporary Icon
https://books.google[...]
William Gaunt & Sons
2007-12-31
[31]
서적
Iceland
https://books.google[...]
Bradt
2007-12-31
[32]
웹사이트
Förordning 1983 nr. 826 med riktlinjer för färgnyanserna i Sveriges flagga
http://www.riksdagen[...]
[33]
웹사이트
Sveriges flagga
http://www.statensar[...]
[34]
문서
デンマークの国旗は、赤地に白いスカンディナヴィア十字を施した旗。神話における起源は1219年だが、描かれるようになるのは14世紀終わりごろになってからである。
[35]
문서
カール8世はスウェーデンの国章を導入した人物でもある。この国章は1364年のスウェーデン王・アルブレクトの紋章、1275年のマグヌス3世の紋章を組み合わせたもので、それに青地が追加され、金色のクロスパティーで4つの領域に分割されている。
[36]
웹사이트
Svensk författningssamling (SFS) - Riksdagen
http://www.riksdagen[...]
Riksdagen.se
2010-04-12
[37]
문서
Kongl. bref, den 19. April 1562
[38]
문서
Plakat, av den 6. Nov. 1663, angående den åtskillnad som härefter bör observeras emellan de flaggor som Kongl. Maj:ts enskilda skepp och farkoster föra, så ock de skepps och farkosters flaggor, som private personer tillhöra och af dem brukas skola.
[39]
서적
Nödig underrättelse om skiepz-byggeriet och der utaf härflytande högnödige och siöväsendet samt taklingen tilhörige proportioner
1730
[40]
문서
Kongl. Maj:ts förbud, den 19. November 1756, emot vimplars bruk på kofferdi- och privata fartyg.
[41]
문서
Kongl. bref, den 18. Augusti 1761
[42]
문서
Krigskollegii samt Förvaltningens af sjöärendena kungörelse, den 3 Maj 1815, om den för konungarikena Sverige och Norge fastställda örlogsflaggans allmänna anläggnade.
[43]
문서
The Brakel family was introduced to the Swedish House of Lords in 1756 and is best known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eat Northern War in Finland. C.O. Brakel was a secretary of the Swedish House of Lords (Riddarhussekreterare), and his remark was made in a speech in 1868.
[44]
문서
Kongl. Maj:ts skrivelse 1825 till Förvaltningen af sjöärendena om förslag till en särskild lotsflagg
[45]
문서
General-tullstyrelsens cirkulär, 26. September 1844, till herrar tulldistriktschefer och tullkamrarne med tillkännagifvande, att en särskild flagga för tullverkets fartyg blifvit av Kongl. Maj:t fastställd.
[46]
문서
Lag, den 28. Oktober 1905, om upphäfvande för Sveriges del af den till bestämmande af de genom föreningen emellan Sverige och Norge uppkomna konstitutionella förhållanden antagna riksakt.
[47]
문서
Riksmarskalkens beslut den April 6, 1987, för flaggning.
[48]
문서
This is also one of the royal flags, and rumours that the three-tailed war flag is mainly chosen since the Royal Palace is the home of the Palace Guard - is not correct.
[49]
문서
One of the oldest flags preserved is a double-tailed flag from 1760 at the Maritime Museum in Stockholm
[50]
웹사이트
Boca Juniors
http://fotw.net/flag[...]
[51]
문서
店舗自体も地色が青・IKEAロゴが黄色の、スウェーデンの国旗と近い色を使っ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