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라극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카라극장은 1935년 일본인이 약초정(현재의 충무로)에 세운 약초극장에서 시작하여, 수도극장을 거쳐 1962년 스카라극장으로 이름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영화관이다. 1990년대 초까지 서울 10대 영화관으로 손꼽혔으나, 경쟁 심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5년 근대문화유산 등록이 예고되었으나, 건물주가 철거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문화 - 대한극장
1958년 서울 최대 규모의 최고급 극장으로 개관하여 블록버스터 영화 상영으로 전성기를 누렸던 대한극장은 경영난으로 폐관 후 멀티플렉스로 재개관했으나 2024년 최종 폐관하며 한국 영화 산업의 상징적 공간이자 변화하는 영화 관람 문화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남았다. - 서울 중구의 문화 - 경성극장
경성극장은 1916년 권업극장에서 개칭되어 일제강점기 종합 예술 공간으로 기능했으며, 미군정 시대 서울극장으로 개명 후 한국 영화 부흥에 기여했고, 멀티플렉스 영화관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복합 문화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 서울 중구의 역사 -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크리스마스에 발생한 대연각호텔 화재는 LP가스 폭발로 시작되어 가연성 내장재로 인해 22층 건물 전체로 확산, 최소 162명의 사망자를 낸 대형 참사로, 건축 및 소방법 개정을 촉발하고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건이다. - 서울 중구의 역사 - 숭례문 방화 사건
숭례문 방화 사건은 2008년 채종기가 숭례문에 방화하여 국보 1호인 숭례문 2층 문루의 대부분을 소실시키고 현판을 훼손시킨 사건이며, 이후 채종기는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고 2013년 5월 복원된 숭례문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 없어진 영화관 - 조선극장
조선극장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개관하여 연극, 영화 상영 등 조선인들의 문화 향유 및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폐관되었다. - 없어진 영화관 - 경성고등연예관
경성고등연예관은 1910년 서울에 개관한 조선 최초의 활동사진 상설관으로, 현대식 시설과 영사장비를 갖추고 영화 상영을 시작했으나 1915년에 폐관되었다.
스카라극장 |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스카라극장 |
원래 이름 (한국어) | 스카라극장 |
원래 이름 (로마자) | Seukala Geukjang |
원래 이름 (한글) | 스카라극장 |
원래 이름 (영어) | Scala Theatre |
종류 | 사업장 |
시장 정보 | 소멸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중구 초동 41번지 |
설립 | 1935년12월 30일 |
업종 | 서비스업 |
사업 내용 | 영화의 흥행 |
관련 인물 | 岡本清次郎 (오카모토 세이지로) 井手俊郎 (이데 도시로) |
약력 |
2. 역사
1935년 일본인이 약초정(지금의 충무로)에 '''약초극장'''(若草劇場, わかくさげきじょう|와카쿠사게키조일본어)을 세웠다.[17] 해방 이후 1946년, 지배인이던 홍찬이 극장을 인수하여 '''수도극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단성사, 국도극장과 함께 서울의 대표적인 극장으로 이름을 알렸다. 1954년 12월 14일에는 국내 최초의 키스신이 나오는 영화 《운명의 손》(한형모 감독)이 개봉되어 당시 대중들에게 문화적 충격을 주었다. 1955년 이후로는 외화 상영을 주로 하게 되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의 영화를 상영하였다.
1962년 4월, 수익 악화로 김근창 대표에게 소유권이 넘어가고, 같은 해 9월 13일 '''스카라극장'''(Theatre Scala)으로 이름을 바꾸고 재개관하였다. 1990년대 초까지 대형 상영관을 갖춘 현대식 시설로 서울 10대 영화관으로 손꼽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건너편 명보극장이 5개관으로 확장되고 현대식 극장들이 새로 생기면서 작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통해 좌석을 700여 석으로 줄이고 좌석 간 거리를 넓혔다. 그 결과, 영화 주간지 《씨네21》이 선정한 극장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18][19]
스카라 극장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35년 12월 30일 | 와카쿠사 극장(若草劇場)으로 신축·준공, 이듬해 12월 31일에 개관[1][2][8] |
1940년 전후 | 도호 와카쿠사 극장(東寶若草劇場)으로 개칭[3][6] |
1946년 | 수도 극장(首都劇場)으로 개칭[2][4][5][7] |
1962년 8월 27일 | 스카라 극장(スカラ劇場)으로 개칭[2][4][5][7] |
2005년 | 폐관·해체[2] |
2. 1. 약초극장 (1935-1946)
1935년 일본인이 약초정(지금의 충무로)에 '''약초극장'''(若草劇場, わかくさげきじょう|와카쿠사게키조일본어)을 세웠다. 12월 30일에 낙성하고, 12월 31일부터 영업을 시작했다.[17] 약초 동보 극장으로도 불렸는데, ‘동보’란 이름은 일본의 메이저 영화사인 도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당시 일본 영화사들의 국내 투자가 부분적으로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대지 면적은 약 300평으로 도로면이 좁아 극장 전면을 대로에 접하게 했다. 건축연면적은 658평으로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2개층의 관람석을 갖는 순수 영화관으로 계획되었다. 당시에는 영화 상영과 공연물 등이 극장에 함께 선보였다. 약초극장은 1,172석을 보유한 대형극장으로서, 한국영화사에서 끊임없이 화제를 만들었던 공간이기도 하다.
1940년 전후 시기에는 '''도호 와카쿠사 극장'''(東寶若草劇場)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도호"의 문자를 붙였다.[3]
2. 2. 수도극장 (1946-1962)
1935년 일본인이 약초정(지금의 충무로)에 '''약초극장'''(若草劇場, わかくさげきじょう)을 세웠다. 12월 30일 낙성, 31일부터 영업을 시작했다.[17] 약초 동보 극장으로도 불렸는데, ‘동보’란 이름은 일본의 메이저 영화사인 도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당시 일본 영화사들의 국내 투자가 부분적으로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대지 면적은 약 300평으로 도로면이 좁아 극장 전면을 대로에 접하게 했다. 건축연면적은 658평으로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2개층의 관람석을 갖는 순수 영화관으로 계획되었다. 당시에는 영화 상영과 공연물 등이 극장에 함께 선보였다. 약초극장은 1,172석을 보유한 대형극장으로서, 한국영화사에서 끊임없이 화제를 만들었던 공간이기도 하다.
해방 이후 1946년, 지배인이던 홍찬이 극장을 인수하여 '''수도극장'''으로 명을 바꾸고 이후 단성사, 국도극장과 함께 서울의 대표적인 극장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2][4][5] 1954년 12월 14일에는 국내 최초의 키스신이 나오는 영화 《운명의 손》(한형모 감독)이 개봉되어 당시 대중들은 문화적 충격을 받게 된다. 1955년 이후로는 외화 상영을 주로 하게 되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의 영화를 상영하게 된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고, 같은 해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이 건국되기까지, 재조선 미국 육군 사령부 군정청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종전 당시 동관의 지배인이었던 홍찬한국어(1909년 - 1964년)이 1946년, 동관을 매수하여 복구하고, 관명도 '''수도극장'''으로 개칭했다.[2][4][5] 주로 미국 영화를 상영하는 봉절관이었으며, 1957년 3월 25일에는 국도극장과 동시 봉절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감독 빅터 플레밍)를 한국 최초로 공개했다.[12]
그 후 수익 악화로 1962년 4월 김근창 대표에게 소유권이 넘어가고 9월 13일 '''스카라극장'''(Theatre Scala)으로 이름을 바꾸고 재개관을 한다.
2. 3. 스카라극장 (1962-2005)
1962년 4월, 경영난으로 소유권이 김근창 대표에게 넘어가면서, 그해 9월 13일 '''스카라극장'''(Theatre Scala)으로 이름을 바꾸고 재개관하였다.[18][19] 재개관 당시에는 70mm 필름 영사기를 도입하여,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을 상영하였다.[7]90년대 초까지 대형 상영관을 갖춘 현대식 시설로 서울 10대 영화관으로 손꼽혔다. 하지만 건너편 명보극장이 5개관으로 확장되고, 다른 현대식 극장들이 새로 생기면서 작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대응하여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통해 좌석을 700여 석으로 줄이고 좌석 간 거리를 넓혔다. 이러한 노력으로 그해 영화 주간지 《씨네21》이 선정한 극장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18][19]
3. 철거 논란
문화재청은 2005년 11월 11일 스카라극장을 근대문화유산으로 문화재 등록하겠다는 예고를 했다.[20] 한 달 뒤인 12월 6일, 건물주가 스카라극장의 문화재 등록을 피하기 위해 건물을 철거하였다.[21][22][23]
4. 현재
참조
[1]
논문
1920年代-1930年代、京城の映画館 : 映画館同士の関係性を中心に
https://ritsumei.rep[...]
立命館大学コリア研究センター
2013
[2]
뉴스
문화재 예고 '스카라' 무단 철거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05-12-08
[3]
서적
年鑑
1942
[4]
서적
이
2001
[5]
서적
이
2008
[6]
서적
年鑑
1943
[7]
간행물
全映画팬待望의劇場! 遂!27日開館!
スカラ劇場
1962-08
[8]
뉴스
京城日報
1935-12-31
[9]
서적
総覧
1930
[10]
서적
松山市
1995
[11]
웹사이트
Gone with the Wind
http://www.imdb.com/[...]
2013-11-27
[12]
간행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首都劇場
1957-03-25
[13]
웹사이트
Solomon and Sheba
http://www.imdb.com/[...]
2013-11-27
[14]
웹사이트
Vera Cruz
http://www.imdb.com/[...]
2013-11-27
[15]
웹사이트
Nana
http://www.imdb.com/[...]
2013-11-27
[16]
웹사이트
女優ナナ
http://www.allcinema[...]
2013-11-27
[17]
뉴스
京城日報
1935-12-31
[18]
논문
일제강점기 근대 문화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19]
논문
해방 전 조선 영화극장사 고찰
청주대학교
2001
[20]
웹사이트
문화재청공고 제2005-190호
http://www.korea.kr/[...]
[21]
뉴스
문화재 예고 ‘스카라’ 무단 철거
http://www.hani.co.k[...]
2005-12-08
[22]
뉴스
<고침> 문화(문화재 등록예고 스카라극장 일부 철거)
https://news.v.daum.[...]
2005-12-08
[23]
웹사이트
근대문화재 등록예고 이후 훼손 심각
http://www.cleanshim[...]
심재철 (1958년)
2006-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