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버러역 (온타리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카버러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위치한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철도역이다. 1870년 스카버러 정션역으로 개통했으며, 1960년 화재로 소실된 후 1967년 현재 위치에 재건되었다. 킹스턴선과 억스브릿지선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유니언역과 오샤와역을 오가는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열차가 정차한다. 토론토 교통국 버스 노선과 환승 가능하며,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론토의 철도역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토론토의 철도역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 1967년 개업한 철도역 - 광양역
광양역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복선전철화와 노선 확장을 거쳐 현재는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쌍섬식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 1967년 개업한 철도역 - 석불역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석불역은 돌부처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 후 여객 취급이 재개되어 ITX-새마을과 누리로 등이 정차하는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GO 트랜싯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GO 트랜싯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스카버러역 (온타리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토론토, 온타리오주 세인트클레어 애비뉴 이스트 3615번지 (3615 St. Clair Avenue East) |
연결 노선 | TTC 버스 |
승강장 구조 | 1개 상대식 승강장 및 1개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3개 + 1개 우회 선로 |
주차 공간 | 626대 |
자전거 보관소 | 6개 보관함 |
개업일 | 1967년 5월 23일 |
폐업일 | 해당사항 없음 |
재건축 | 해당사항 없음 |
전철화 여부 | 미전철 |
접근성 | 예 |
GO 트랜싯 역 코드 | SC |
소유주 | 메트로링스 |
구역 | 06 |
연간 이용객 수 | 225,000명 (2018년) |
운행 정보 | |
노선 | 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
인접 역 | 전역: 댄포스 후역: 에글린턴 |
과거 운행 정보 | |
과거 노선 | 캐나다 국유철도 그랜드 트렁크 본선 캐나다 국유철도 토론토-벨빌 캐나다 국유철도 토론토-포트 호프 |
과거 인접 역 | 전역: 댄포스 후역: 포트 유니언 / 아진코트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스카버러 GO 역 정보 |
2. 역사
스카버러역은 1870년에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건설한 스카버러 정션역이 전신이다. 1960년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67년 GO 트랜싯이 레이크쇼어 이스트선을 개통하면서 현재 위치(기존 위치에서 서쪽으로 500m)에 개통하였다. 1982년에는 GO 트랜싯이 토론토 & 니피싱 철도가 운영했던 스토우빌선 통근열차를 운행하기 시작하였다.[9]
2. 1. 초기 역사 (1856년 ~ 1960년)
스카버러역의 전신은 1870년에 개통한 스카버러 정션역으로, 토론토에서 동쪽으로 협궤 철도인 토론토 & 니피싱 철도가 지어지는 동안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건설하였다. 본선인 킹스턴선은 그보다 14년 전인 1856년에 지어졌지만, 이 역은 철도 분기점이 되기 전까지 딱히 지을 필요는 없었다.[9]협궤 철도였던 토론토 & 니피싱 철도는 당시 광궤였던 그랜드 트렁크 철도에 세 번째 레일을 추가해 두 궤간의 철도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토론토 & 니피싱 철도의 선로 부설은 1870년 말 스카버러 분기점에서 시작되었고, 이 역은 주로 나무로 만들어진 2층 구조로, 그랜드 트렁크가 지난 20년 동안 벽돌과 돌로 주로 지은 역 건물과는 대조적이다. 이와 비슷한 디자인 요소를 가진 역은 포트페리역, 스토우빌역, 스트랫퍼드역 등이 있다.[9]
역이 개통한 지 불과 10여 년 만에 두 철도 간의 궤간 격차 문제가 해소되었다. 1870년대 내내 그랜드 트렁크는 기존의 광궤 철도에서 표준궤로 궤간을 개조하였고, 토론토 & 니피싱 철도도 1881년에 표준궤로 전환했는데, 비교적 작은 철도 노선이었던 이 노선은 궤간 변경에 적지 않은 비용을 감당했다. 토론토 & 니피싱 철도는 1882년 캐나다 미들랜드 철도에 흡수되었고, 그랜드 트렁크 철도는 2년 후인 1884년에 미들랜드 철도를 인수하였다. 그랜드 트렁크 본선은 1889년 토론토와 스카버러 분기점 사이를 복선화하였고, 1892년에는 스카버러를 넘어 포트유니언까지 복선화되었다.[9]
스카버러 정션역은 토론토와 몬트리올을 잇는 중요한 간선과 시골 지선이 분기하는 분기역으로, 20세기 초반에 특히 분주한 역이 되었다. 1920년대 초반, 스카버러 정션역에는 하루 4대의 여객 열차가 정차하였고, 토론토 & 니피싱 철도는 이 역에 하루 9대의 열차를 정차하였다. 이 외에도 이 역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급행 여객열차도 5대 있었다. 이 열차 운행 횟수는 재정난을 겪고 있던 그랜드 트렁크가 1923년에 캐나다 내셔널 철도에 인수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9]
스카버러 정션역은 1960년 12월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불에 탄 잔해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제거되었다. 화재는 성탄절을 앞두고 일어나 화물실에 보관되어 있던 많은 크리스마스 소포가 불길에 휩싸였다.[9]
2. 2. 화재 및 재건 (1960년 ~ 현재)
1960년 12월, 스카버러 정션역은 화재로 소실되었고, 불에 탄 잔해는 곧 제거되었다. 성탄절을 앞두고 발생한 화재로 화물실에 보관되어 있던 많은 크리스마스 소포가 불에 탔다.[9] 스카버러 정션역을 대체할 역 건물이 지어질 때까지 컨테이너 차량이 임시 역 건물로 사용되었다. 이후 GO 트랜싯이 1967년에 레이크쇼어 이스트선을 개통하면서 스카버러역이 서쪽으로 500m 가량 떨어진 곳에 새로 지어졌다. 기존 토론토 & 니피싱 철도가 운영했던 스토우빌선은 1982년에 GO 트랜싯이 통근열차 운행을 시작하였다.[9]3. 위치 및 구조
스카버러역은 메트로링스가 소유하는 킹스턴선 약 523.36km 지점에 있으며, 서쪽으로는 댄포스역, 동쪽으로는 에글린턴역이 있다.[6] 스카버러역 바로 동쪽에는 메트로링스의 억스브릿지선이 북쪽으로 분기하며, 북쪽으로는 케네디역이 있다.[7] 두 역은 가깝고 토론토 교통국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주차장은 종종 만원이 되기 때문에 스카버러 지역 내 GO 트랜싯의 인기를 보여준다. 킹스턴선을 따라 댄포스역과 길드우드역 사이에는 세 개의 선로가 있는데, 1967년에 역이 지어졌을 때 GO 트랜싯이 선로를 지었다. 원래의 동쪽 방향 선로는 이제 가운데에 있다.[8]
미들랜드 애비뉴와 세인트클레어 애비뉴 사이로 킹스턴선은 스카버러 분기점에서 억스브릿지선과 합류하는데, 억스브릿지선은 GO 트랜싯의 스토우빌선 열차가 운행한다. 스토우빌선 열차도 한때 스카버러역과 댄포스역에 정차했지만, 스토우빌선 열차가 혼잡해지는 관계로 지금은 무정차 통과하고 있다. 댄포스역에는 1965년 CN 맥밀런 차량기지가 개통하기 전까지 쓰였던 미들랜드 차량기지의 흔적을 볼 수 있는데, 맥밀런 차량기지가 생긴 이후로 킹스턴선 토론토 시내 구간을 따라 운행하는 화물열차가 눈에 띄게 줄었으며, 이 차량기지가 없었다면 GO 트랜싯의 통근열차 운행에 많은 제약을 받았을 것이다.[8]
4. 시설
스카버러역은 직원이 상주하는 유인역으로, GO 트랜싯 매표소는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 45분까지, 주말과 공휴일에는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8시 45분까지 개장하며, 나머지 시간대에는 무인으로 운영한다. 매표소에서는 프레스토 카드를 연령층에 맞춰서 설정하거나 기본 출발 및 도착역을 설정하여 하차 태그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근열차 티켓 구매나 카드 충전은 역에 있는 자동판매기에서 할 수 있다. 프레스토 카드가 없는 경우에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해 요금을 정산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서 GO 트랜싯 홈페이지에 들어가 이티켓 (e-ticket)을 구매할 수도 있다.[10]
스카버러역에는 대합실, 화장실, 와이파이, 공중전화가 있으며, 승강장에는 눈과 비를 피할 수 있는 쉼터가 있고 겨울에는 난방도 된다. 역 건물과 승강장, 열차 내부는 휠체어 승객도 이용할 수 있으며, 역 건물과 지하도, 승강장을 잇는 엘리베이터와 승강장 중앙에 있는 휠체어 경사로를 통해 휠체어 승객도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10] 환승 주차장에는 총 625대의 주차 공간이 있으며, 최대 48시간까지 무료 주차가 가능하다. 이 역으로 카풀해서 오는 승객들은 카풀 전용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다. 이 역으로 마중 나오는 차량 또한 역 앞에 있는 정차 공간에서 대기할 수 있다. 이 역에는 카셰어링 차량인 짚카 차량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자전거 이용 승객을 위한 자전거 거치대도 있다.[10]
스카버러역에서 토론토 교통국의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세인트클레어 애비뉴나 미들랜드 로드, 킹스턴 로드, 케네디 로드 등지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에 승차할 수 있다.[10]
5. 운행 계통
스카버러역은 매일 상시 30분 간격으로 유니언역과 오샤와역을 오가는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열차가 정차하며, 유니언역에서는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올더숏역이나 웨스트하버역 방면 열차로 행선지를 바꾸어 계속 운행한다.
6. 버스 연결편
스카버러역 앞 버스 정류장에서는 토론토 교통국 (TTC)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9번 벨라미와 102번 마컴 로드 버스가 역 바로 앞에 정차하며, 16번 매코원, 20번 클리프사이드, 113번 댄포스 버스도 근처에서 이용 가능하다. 이 역에서 GO 트랜싯 열차로 환승할 때 위에 언급된 버스 노선들을 이용하면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5]
6. 1. 버스 노선 목록
역 앞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는 토론토 교통국의 9번 벨라미와 102번 마컴 로드 버스가 정차하며, 16번 매코원, 20번 클리프사이드, 113번 댄포스 버스 또한 근처에서 갈아탈 수 있다.노선 | 이름 | 종점 | 비고 |
---|---|---|---|
9 | 벨라미 | 스카버러 센터역 ↔ 워든역 | 매일 상시 운행 |
16 | 매코원 | 스카버러 센터역 ↔ 워든역 | 매일 상시 운행 |
20 | 클리프사이드 | 메인 스트리트역 ↔ 케네디역 | 매일 상시 운행 |
102 | 마컴 로드 | 센테니얼 대학 프로그레스 캠퍼스 ↔ 워든역 | 평일 상시 운행 |
마컴 로드 / 스틸즈 ↔ 워든역 | 매일 상시 운행. 2021년 3월 29일부터 아마존 물류센터 경유.[11] | ||
스틸즈 방면 평일 아침, 세인트클레어 방면 평일 오후 러시 아워 운행 | |||
메이저 매켄지 / 마컴 로드 ↔ 워든역 | 월-토 오후 11시까지, 일/공휴일 오후 10시까지 운행. 스틸즈 북쪽으로 YRT 요금 부과. | ||
113 | 댄포스 | 메인 스트리트역 ↔ 케네디역 | 매일 상시 운행 |
300B | 블루어-댄포스 | 블루어 / 이스트몰 ↔ 케네디역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902 | 마컴 로드 급행 | 아마존 물류센터 ↔ 워든역 | 평일 출근 시간대부터 퇴근 시간대까지 운행 |
7. 인접한 역
(유니언 방면)
(오샤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