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O 트랜싯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O 트랜싯은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의 통근 열차 및 버스 시스템으로, 1967년 시범 운행을 시작하여 현재 광역 교통망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캐나다 최초의 통근열차 기관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노선 확장과 시스템 개편을 거쳐왔으며, 현재 메트로링스 산하에 있다. GO 트랜싯은 7개의 통근 열차 노선과 다수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요금 지불 수단과 환승 주차장을 제공한다. 2025년에는 전철화 계획을 통해 시스템을 더욱 확장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타리오주의 교통 - 프레스토 카드
    프레스토 카드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대중교통에서 사용되는 전자 요금 지불 시스템으로, 1998년 개발을 시작하여 여러 기술적 문제와 비판을 받았지만, 모바일 앱 출시 및 구글/애플 월렛 연동을 통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했다.
  • 온타리오주의 교통 - 런던 국제공항
    1929년 개항한 런던 국제공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에 위치하며, 2차 대전 중 공군 기지로 사용되었고, 활주로 확장과 터미널 개축을 거쳐 현재는 국내외 항공 노선과 연례 에어쇼가 열리는 공항이다.
  • 캐나다의 교통 - 토론토
    토론토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위치한 다문화 도시이자 경제 중심지로, "물 속에 나무가 서 있는 곳"을 의미하는 모호크어에서 유래했으며, 급속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북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 캐나다의 교통 - 토론토의 시내버스
    토론토의 시내버스는 1849년 윌리엄스 오토버스 버스 노선으로 시작되어 현재 토론토 교통국에서 6가지 유형의 다양한 버스 노선과 디젤, 하이브리드 전기, 전기 버스 등 다양한 차량을 운영하며, 2040년까지 배출가스 없는 버스 차량으로 전환을 목표하고 버스 우선 차로를 설치하여 운행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 GO 트랜싯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GO 트랜싯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GO 트랜싯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GO 트랜싯 로고
GO 트랜싯 로고
GO 트랜싯 콜라주 2017
GO 트랜싯 콜라주 2017
소유주메트로링스
운영자알스톰 (통근 열차)
식별 표시GOT
본사토론토, 온타리오 주, 캐나다
주요 인물필 버스터 (사장 겸 CEO)
마틴 갤러거 (최고 운영 책임자, COO)
운행 시작일1967년 5월 23일
노선통근 열차 7개 + 버스 39개
통근 열차 71개 역, 버스 터미널 15개 + 다수의 버스 정류장
차량기관차 96대
객차 979량
버스 752대:
269대 (단층)
248대 (2층)
일일 승객240,400명 (2023년 4분기 기준)
연간 승객50,036,900명 (2023년 기준)
시스템 길이625 km (철도)
2776 km (버스)
궤간표준궤
웹사이트GO 트랜싯 공식 웹사이트
GO 시스템 지도 2023
GO 시스템 지도 2023
운영
호스트캐나다 내셔널 철도
캐나다 태평양 철도
메트로링스
운행 지역골든 호스슈
교통 유형통근 철도, 시외버스
주요 노선 시작점토론토 유니언 역
주요 노선 종착점다양한 터미널 역
추가 정보
면적11,000 제곱킬로미터

2. 역사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은 1950년대에 이민과 산업화에 따른 성장으로 급격하게 팽창하였다. 대부분의 통근열차는 캐나다 내셔널 철도(CN)가 운행하였고, 당시에는 해밀턴과 토론토 시내 동부에 있는 댄포스 사이에만 운행하였다. 도시가 팽창하자 CN이 다른 지역에도 통근열차를 운행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CN은 당시 이를 운영할 자금이나 다른 자원이 부족하였다.[96] 1962년에는 토론토 통합시의 토지 사용 및 교통을 연구하는 광역교통연구를 시작하여 토론토와 인접 지역의 교통에 있어서 무엇이 필요한 지 연구하였다.[96] GO 트랜싯은 수 년 간에 걸친 도시계획의 중심을 잃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시범사업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영구 운행을 염두하여 설립되었다.[97] 1965년, 온타리오주 정부는 9.2억캐나다 달러를 투자해 캐나다의 첫 통근열차 기관을 설립하였다.[92]

온타리오주정부교통 (Government of Ontario Transit)으로 시작하여 나중에 GO 트랜싯으로 이름이 축약된 이 회사는 1967년 5월 23일에 온타리오호를 따라 놓여진 단선 철로에서 푸시풀(PP) 디젤 동차와 단층 객차를 3년간 시범 운행하면서 시작되었다.[98] GO 통근열차는 평상시에는 오크빌에서 피커링까지 운행되었고, 출퇴근 시간에는 해밀턴까지 운행되었다. 이 시범 운행은 큰 성공을 거두어, 운행 시작 4개월 만에 누적 승객 100만 명을 돌파하였고, 이후 하루 평균 15,000명이 이용하였다. 이 노선은 현재 레이크쇼어 이스트선레이크쇼어 웨스트선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GO 트랜싯의 중심 노선이 되었다.[98]

1970년대와 1980년대에 GO 트랜싯은 승객 수를 늘리기 위해 1974년에 조지타운선을 개통하고, 1978년에는 리치먼드힐선을 개통하였다.[99][100] 이후 밀턴선은 1981년에 개통되었고, 브래드퍼드선스토우빌선이 이듬해에 개통되어 오늘날의 GO 트랜싯 철도망을 구축하였다.[100] 1977년에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서 제작한 2층 열차인 봄바디어 바이레벨 코치를 도입하여 열차 내 승객 수용량을 늘렸다.[101] GO 버스는 1970년 9월 8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여 통근열차를 보조하는 버스에서 광역버스로 발전하였다.[103]

1982년 말, 온타리오주 교통 및 커뮤니케이션부 장관이었던 제임스 W. 스노우는 26억캐나다 달러를 투입해 광역 경전철 노선망을 구축하는 GO-ALRT 계획안을 발표하였다.[104] 이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지만, 역 신설, 평시에 휘트비벌링턴까지 열차 연장 운행 및 버스와 통근열차의 시간표 연계를 통해 이 계획의 일부 목표가 달성되었다.[104] 1990년대 온타리오주의 경기 침체로 당시 주지사였던 밥 래는 GO 트랜싯의 예산을 감축하여, 199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노선 연장 및 증편은 다시 원위치로 돌아갔다.[105]

2000년대 이후 GO 트랜싯은 오샤와까지 종일 열차 운행을 재개하고, 올더숏역까지 운행을 개시하는 등 확장 계획을 수립하여 캐나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통근열차 사업을 진행하였다. GO 트랜싯은 이 사이에 세 차례의 주요 개편을 거쳤다. 1997년 온타리오주는 GO 트랜싯에 대한 자금 지원 책임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하였으나, 2001년에 다시 주정부가 자금 지원 책임을 맡게 되었다. 2009년에는 메트로링스에 합병되어 유니언 피어슨 급행과 프레스토 카드와 함께 메트로링스의 소속 부서가 되었다.[114]

2011년 돌턴 맥귄티 온타리오 주지사는 GO 트랜싯의 모든 노선을 양방향 매일 운행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고, 메트로링스는 GO 확장계획을 통해 이를 진행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토론토 시내에 두 번째 기차역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된 바 있다.[122]

GO 트랜싯은 현재 통근열차 운행 횟수와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확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1월 1일부터 독일철도와 에이콘 컨세션으로 구성된 온익스프레스(ONxpress) 컨소시엄이 GO 트랜싯 통근열차의 운행, 유지, 보수를 맡게 되며, GO 확장 사업 또한 총괄하게 된다.[127]

2. 1. 초창기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은 1950년대에 이민과 산업화에 따른 성장으로 급격하게 팽창하였다. 대부분의 통근열차는 캐나다 내셔널 철도(CN)가 운행하였고, 당시에는 해밀턴과 토론토 시내 동부에 있는 댄포스 사이에만 운행하였다. 도시가 팽창하자 CN이 다른 지역에도 통근열차를 운행하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CN은 당시 이를 운영할 자금이나 다른 자원이 부족하였다.[96] 토론토의 광역교통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한 건 1962년에 토론토 통합시의 토지 사용 및 교통을 연구하는 광역교통연구로, 토론토와 인접 지역의 교통에 있어서 무엇이 필요한 지 연구하였다.[96] GO 트랜싯이 생겨난 데에는 수 년 간에 걸친 도시계획에 있어서 중심을 잃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시범사업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영구 운행을 염두하여 설립되었다.[97] 1965년, 온타리오주 정부는 9.2억캐나다 달러를 투자해 캐나다의 첫 통근열차 기관을 설립하였다.[92]

2. 2. 설립, 성장 및 침체

온타리오주정부교통 (Government of Ontario Transit)으로 시작하여 나중에 GO 트랜싯으로 이름이 축약된 이 회사는 1967년 5월 23일에 온타리오호를 따라 놓여진 단선 철로에서 푸시풀(PP) 디젤 동차와 단층 객차를 3년간 시범 운행하면서 시작되었다.[98] GO 통근열차는 평상시에는 오크빌에서 피커링까지 운행되었고, 출퇴근 시간에는 해밀턴까지 운행되었다. 이 시범 운행은 큰 성공을 거두어, 운행 시작 4개월 만에 누적 승객 100만 명을 돌파하였고, 이후 하루 평균 15,000명이 이용하였다. 이 노선은 현재 레이크쇼어 이스트선레이크쇼어 웨스트선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GO 트랜싯의 중심 노선이 되었다.[98]

1970년대와 1980년대에 GO 트랜싯은 승객 수를 늘리기 위해 1974년에 조지타운선 (오늘날의 키치너선)을 개통하였고, 1978년에는 리치먼드힐선을 개통하였다.[99][100] 이후 밀턴선은 1981년에 개통되었고, 브래드퍼드선 (오늘날의 배리선)과 스토우빌선이 이듬해에 개통되어 오늘날의 GO 트랜싯 철도망을 구축하였다.[100]

GO 트랜싯은 노선 신설 외에도 1977년에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서 제작한 2층 열차인 봄바디어 바이레벨 코치를 도입하여 열차 내 승객 수용량을 늘렸다.[101] 또한 1979년에는 늘어나는 GO 트랜싯 승객을 위해 유니언역에 베이 스트리트 대합실을 조성하였다.[102] GO 버스는 1970년 9월 8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여 레이크쇼어선 통근열차와 연계해 해밀턴과 오샤와까지 운행하였고, 브래드퍼드선 통근열차와 연계해 뉴마켓배리까지 운행하였다. GO 버스는 1989년 이후 통근열차를 보조하는 버스에서 광역버스로 발전하여 통근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지역의 승객들을 수송하였다.[103]

1982년 말, 온타리오주 교통 및 커뮤니케이션부 장관이었던 제임스 W. 스노우는 26억 달러(26억캐나다 달러)를 투입해 광역 경전철 노선망을 구축하는 GO-ALRT 계획안을 발표하였다.[104] 이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지만, 역 신설, 평시에 휘트비벌링턴까지 열차 연장 운행 및 버스와 통근열차의 시간표 연계를 통해 이 계획의 일부 목표가 달성되었다.[104]

GO 트랜싯은 출퇴근 시간대 브래드퍼드, 조지타운, 레이크쇼어선에 열차를 증편하였고, 1992년에는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이 벌링턴까지 연장되었다.[98][99][105] 그러나 1990년대 온타리오주의 경기 침체로 당시 주지사였던 밥 래는 GO 트랜싯의 예산을 감축하였고, 이에 따라 199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노선 연장 및 증편은 다시 원위치로 돌아갔다.[105]

2. 3. 재편 및 재기

2000년, 벌링턴에서 휘트비까지 통근열차가 종일 운행을 재개하였으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오샤와까지 운행하였다. 2000년대 중반, GO 트랜싯을 확장하는 계획인 GO 트랜싯 철도발전계획이 수립되었고, 이 사업에 10억캐나다 달러를 투자하여 캐나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통근열차 사업이 되었다.[106][107] 이 계획은 이후 2007년 온타리오주 선거를 앞두고 돌턴 맥귄티 주지사가 무브온타리오 2020 계획안을 발표하면서 광역철도 계획안으로 발전하였다. GO 트랜싯은 광역철도에 적극 투자하여 2006년에 오샤와까지 종일 열차 운행을 재개하였고, 2007년에는 올더숏역까지 운행을 개시하였다. 또한 2007년에는 배리 사우스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2008년에는 링컨빌역 (오늘날의 올드엠역), 2011년에는 키치너역까지 연장되었다.[108] 이와 동시에 여름 주말에는 나이아가라폴스까지 통근열차가 운행하였고, 이는 나중에 연중 내내 운행하게 되었다.[109]

GO 트랜싯은 이 사이에 세 차례의 주요 개편을 거쳤다. 1997년 1월, 온타리오주는 GO 트랜싯에 대한 자금 지원 책임을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110] 광역자치의장, 시장 및 시의원으로 구성된 광역토론토공무위원회(Greater Toronto Services Board)는 1999년 1월에 시 기관으로 설립되었고, GO 트랜싯은 1999년 8월에 이 기관의 산하 부서가 되었다.[111] 하지만 당시 주지사였던 마이크 해리스는 2년 뒤 GO 트랜싯에 대한 자금 지원 책임을 다시 맡을 것이라고 번복하였고, 이후 2002년 1월 1일에 광역토론토공무위원회가 폐지되면서 주정부가 다시 맡게 되었다.[112] 2006년,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에서 광역교통을 조정, 계획, 자금 조달 및 개발하는 책임을 지는 기관인 광역토론토교통기관(Greater Toronto Transport Authority)이 2006년에 설립되었다.[113] 이 기관은 2009년에 메트로링스라는 이름을 달고 GO 트랜싯에 합병되었다. GO 트랜싯은 유니언 피어슨 급행과 프레스토 카드와 함께 메트로링스의 소속 부서가 되었다.[114]

2. 4. 미래

돌턴 맥귄티 온타리오 주지사는 2011년 온타리오주 선거 공약으로 GO 트랜싯의 모든 노선을 양방향 매일 운행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115] 메트로링스는 이후 GO 확장계획(GO Expansion)으로 알려진 이 계획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메트로링스의 '빅 무브' 광역교통계획에 따르면, 2031년까지 3천만 명의 승객을 추가로 수송하는 데 49억달러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였다.[116] 2012년에 발표한 GO 2020 계획에서는 나이아가라 지역, 볼턴, 브랜트퍼드, 피터버러, 억스브리지까지 통근열차 노선을 연장할 가능성도 제시하였다.[117] 2011년 1월, 메트로링스는 레이크쇼어 웨스트, 레이크쇼어 이스트, 키치너선과 유니언 피어슨 급행을 전철화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118]

2021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메트로링스는 토론토 유니언역과 런던을 잇는 통근열차를 하루에 한 차례 시범 운행하였으며, 현재는 VIA 철도가 이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119]

캐나다에서 가장 승객이 많은 교통시설인 유니언역은 향후 10년에서 15년 동안 승객 수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0년부터 2021년 7월까지 재단장 공사가 진행되었다.[120] 이 공사로 유니언역 승강장과 선로 위에 새로운 지붕과 유리 아트리움이 조성되었고, 새로운 대합실, 계단, 출입문과 역 내부 대부분이 새로 단장되었다.[120] 2022년부터는 유니언역에 새로운 개선 공사가 진행 중이며, 유니언역 남쪽에 새로운 대합실을 짓고 선로 용량을 늘려 한 시간에 80대의 열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121] 장기적으로 토론토 시내에 두 번째 기차역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된 바 있다.[122]

GO 트랜싯은 현재 통근열차 운행 횟수와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확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GO 확장 계획에 따르면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배리선, 스토우빌선은 물론 레이크쇼어 웨스트선도 벌링턴까지 복선 전철화되고, 키치너선브래멀리까지 전철화될 예정이며, 이 노선을 따라 최대 15분 간격으로 통근열차가 운행할 예정이다.[123] 또한 토론토 내외에 새로운 역도 신설될 예정이다.[95] 이 사업으로 배리, 키치너, 스토우빌선 열차는 양방향으로 상시 운행될 것이다.[95] GO 트랜싯은 2015년 기준 일주일에 1,500대의 열차가 운행하였는데, 2020년에는 2,200대, GO 확장이 완료되면 일주일에 10,500대의 열차가 운행할 예정이다.[124] 증편되는 열차는 대부분 평일 평시나 주말에 운행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열차 증편, 시설 개편 및 기존 노선의 복선 전철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10년에 걸친 광역급행철도계획에는 총 135억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며,[125] 새로운 다리와 터널을 포함하여 총 150km의 선로가 새로 건설될 예정이다.[126]

2025년 1월 1일부터 온익스프레스(ONxpress) 컨소시엄이 GO 트랜싯 통근열차의 운행, 유지, 보수를 맡게 되며, GO 확장 사업 또한 총괄하게 된다. 온익스프레스는 독일철도와 에이콘 컨세션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업체이다.[127]

3. 체계

GO 트랜싯은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토론토, 해밀턴, 홀턴, , 요크, 더럼)을 중심으로, 황금 말발굽 지역에 해당하는 나이아가라, 워털루, 브랜트퍼드, 피터버러, 심코, 더퍼린, 웰링턴까지 운행한다. 온타리오주 헌장에 따르면 온타리오주의 다른 지역에도 운행할 수 있지만, 현재 확장 계획은 없다.[93]

GO 통근열차와 버스는 토론토 시내에서 140km 이상 떨어진 4200km2 이내 지역에 거주하는 700만 명의 인구를 대상으로 한다.[93] 서쪽으로는 브랜트퍼드와 키치너, 북쪽으로는 오렌지빌과 배리, 동쪽으로는 피터버러와 뉴캐슬, 남쪽으로는 나이아가라폴스까지 운행한다.[93]

골든 호스슈 지역의 GO 트랜싯 대략적인 서비스 지역


GO 트랜싯은 통근열차와 버스를 운행하며, 대부분 통근열차 노선명을 따라 버스 노선 번호가 지정된다.

GO 트랜싯의 통근 철도 서비스는 "GO 트레인(GO Train)"이라고 불린다. GO 트레인의 노선도에는 토론토의 유니언 역 발 7개 노선이 게재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종착지를 따서 명명되었다. 노선의 색상과 알파벳도 기재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노선명으로 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캐나다에서는 드물게 일본의 철도 사업자에서 행해지는 "지적 확인"을 도입하고 있다. 일본의 지적 확인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관계자가 휴가로 일본을 방문했을 때 목격한 것이 채용의 계기였다.[87]

GO 버스 서비스는 여러 노선으로 조합되어 있으며, 철도가 운행하지 않거나 열차 서비스가 터미널 너머의 지역 사회로 확장될 때 열차 서비스를 대신한다. 다른 GO 버스는 407번 고속도로 노선과 같이 철도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운행되며, 토론토 시내를 순환하며 모든 열차 노선을 연결하는 궤도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피어슨 국제공항과 여러 대학 및 대학교와 같은 계절별 목적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선도 있다.[130]

GO 트랜싯은 통근열차 및 버스로 갈아타는 운전자들을 위해 철도역에서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3. 1. 운행 지역

GO 트랜싯은 주로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 (토론토, 해밀턴, 홀턴, , 요크, 더럼)에서 운행한다. GO 트랜싯 노선은 황금 말발굽 지역에 해당하는 나이아가라, 워털루, 브랜트퍼드, 피터버러, 심코, 더퍼린, 웰링턴까지 이어진다. 온타리오주 헌장에 따르면 GO 트랜싯은 온타리오주의 다른 지역에도 운행할 수 있지만, 그 외 지역으로의 확장 계획은 존재하지 않는다.[93]

GO 통근열차와 버스는 토론토 시내에서 140km 이상 떨어진 4200km2 이내에 지역에 거주하는 700만 인구를 대상으로 운행하며, 서쪽으로는 브랜트퍼드와 키치너, 북쪽으로는 오렌지빌과 배리, 동쪽으로는 피터버러와 뉴캐슬, 남쪽으로는 나이아가라폴스까지 운행한다.[93]

3. 2. 노선

GO 트랜싯은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토론토해밀턴을 포함하여 홀턴, , 요크, 더럼 지역을 운행한다. GO 트랜싯 노선은 황금 말발굽 지역에 속하는 나이아가라, 워털루, 브랜트퍼드, 피터버러, 심코, 더퍼린, 웰링턴까지 연결된다. 온타리오주 헌장에 따라 GO 트랜싯은 온타리오주의 다른 지역에도 운행할 수 있지만, 추가 확장 계획은 없다.[93]

GO 통근열차와 버스는 토론토 시내에서 140km 이상 떨어진 4200km2 이내 지역에 거주하는 700만 명의 인구를 대상으로 운행하며, 서쪽으로는 브랜트퍼드와 키치너, 북쪽으로는 오렌지빌과 배리, 동쪽으로는 피터버러와 뉴캐슬, 남쪽으로는 나이아가라폴스까지 운행한다.[93]

GO 노선도에는 토론토 유니언역에서 출발하여 대부분 외곽 종점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7개의 통근열차 노선이 표시되어 있으며, 각 노선은 고유한 색상과 알파벳 기호로 구분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노선명으로 불린다.

노선노선명비고
레이크쇼어 웨스트선해밀턴, 나이아가라폴스 방면, 브랜트퍼드까지 버스 연계 운행
레이크쇼어 이스트선오샤와 방면, 뉴캐슬, 피터버러까지 버스 연계 운행
밀턴선
키치너선
리치먼드힐선
스토우빌선링컨빌 방면, 억스브리지까지 버스 연계 운행
배리선



버스 노선은 가장 가까운 열차 노선에 맞춰 번호가 배정되었다. 10번대는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20번대는 밀턴선, 30번대는 키치너선, 60번대는 리치먼드힐선과 배리선, 70번대는 스토우빌선, 80번대와 90번대는 레이크쇼어 이스트선과 연계된다. 40번대와 50번대는 407번 고속도로를 따라 운행하는 급행버스로, 통근열차와는 별도로 운행한다.[128]

GO 트랜싯 열차와 봄바디어 바이레벨 코치


레이크쇼어 웨스트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GO 트레인

3. 2. 1. 철도

GO 트랜싯의 통근열차는 GO 승차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012년까지만 해도 레이크쇼어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평일 출근 시간대에 토론토 방면, 퇴근 시간대에는 외곽 방면으로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대에는 버스편으로만 운행하였다. 하지만 GO 확장 사업이 계속 진행되면서 평시와 주말에도 일부 노선이 상시 운행하고 있다.

현재 평시와 주말에도 운행하고 있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레이크쇼어 웨스트선과 레이크쇼어 이스트선은 평일 평시와 주말에 3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일부 열차는 나이아가라폴스까지 운행하고 있다. 유니언역을 기점으로 두 노선으로 나뉘지만 실질적으로 유니언역에 도착하여 행선지만 바꾸고 계속 운행하기 때문에 올더숏, 웨스트하버, 또는 나이아가라폴스에서 오샤와역까지 열차를 갈아탈 필요 없이 직행으로 운행한다.
  • 키치너선 열차는 평일 평시와 주말에 브램턴에 있는 마운트플레전트역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키치너까지 운행한다. 주말에는 유니언역에서 마운트플레전트역까지만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 배리선 열차는 평일 평시와 주말에 유니언역과 오로라역 사이에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배리의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까지 운행한다.
  • 스토우빌선 열차는 평일 평시와 주말에 마운트조이역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리치먼드힐선과 밀턴선 열차는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지만 최근에는 운행 횟수가 늘어나고 있는 편이다. 메트로링스가 수립한 광역급행철도 계획에 따르면, 평일 평시와 주말에 운행하는 위 다섯 개 노선은 토론토와 비교적 가까운 중심 지역에 한해 양방향 15분 간격으로 운행할 예정에 있다.[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GO 통근열차 승객의 90%는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이용한다.[93]

GO 트랜싯의 통근 철도 서비스는 전체 이용객의 대다수를 수송한다. 2012년까지 5개의 GO 트레인 노선은 평일 러시 아워 시간대에만 피크 방향(오전에는 유니언 역 방향, 오후 및 초저녁에는 외곽 방향)으로 운행했으며, 이 노선의 비첨두 시간대 서비스는 버스만으로 제공되었다. 그 이후, 이 노선 중 5개 노선에 시간당 비첨두 시간대 열차 서비스가 추가되거나 더 개선되었다.

현재 비첨두 시간대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레이크쇼어 웨스트 노선과 레이크쇼어 이스트 노선은 평일 비첨두 시간대와 주말에 30분 간격으로 열차를 운행하며, 레이크쇼어 웨스트 노선의 주말 서비스는 나이아가라 폭포까지 연장된다. 두 노선의 거의 모든 열차는 직통 운행하므로 알더숏 (또는 나이아가라 폭포)과 오샤와 사이를 유니언 역에서 환승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 키치너 노선은 평일에만 브램턴의 마운트 플레전트 역까지 시간당 왕복 운행하며, 2대의 비첨두 시간대 평일 열차가 키치너까지 운행한다. 주말에는 마운트 플레전트까지 시간당 왕복 운행을 제공한다.
  • 배리 노선은 전 노선에 걸쳐 평일 및 주말 열차 서비스를 하루 종일 제공하지만, 대부분은 오로라까지만 운행한다.
  • 스토우빌 노선은 평일에만 마운트 조이까지 시간당 정오 및 늦은 저녁 서비스가 있으며, 양방향으로 시간당 주말 서비스를 제공한다.


리치몬드 힐 노선과 밀턴 노선은 여전히 러시 아워에만 운행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이 노선의 운행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광역 급행 철도 계획의 일환으로, 나머지 5개 노선의 중앙 구간에 15분 간격 또는 더 나은 왕복 하루 종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워 서비스는 GO 트레인 이용객의 90% 이상을 차지한다.[4]

GO 트랜싯의 철도 노선은 "GO 트레인(GO Train)"이라고 불린다. GO 트레인의 노선도에는 토론토의 유니언 역 발 7개 노선이 게재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종착지를 따서 명명되었다. 노선의 색상과 알파벳도 기재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노선명으로 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캐나다에서는 드물게 일본의 철도 사업자에서 행해지는 "지적 확인"을 도입하고 있다. 일본의 지적 확인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관계자가 휴가로 일본을 방문했을 때 목격한 것이 채용의 계기였다.[87]

3. 2. 2. 버스

GO 버스 서비스는 여러 노선으로 조합되어 있으며, 그 중 많은 노선이 열차가 운행하지 않거나 열차 서비스가 터미널 너머의 지역 사회로 확장될 때 열차 서비스를 대신한다. 다른 GO 버스는 407번 고속도로 노선과 같이 철도 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운행되며, 토론토 시내를 순환하며 모든 열차 노선을 연결하는 궤도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피어슨 국제공항과 여러 대학 및 대학교와 같은 계절별 목적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선도 있다.[130] GO 열차역의 대다수는 GO 버스 서비스를 연결하며, 예외는 거의 모두 토론토 시내에 위치해 있다. 또한 GO 버스가 운행하는 16개의 버스 터미널이 있으며, 이 중 많은 터미널이 지역 대중교통 연결을 제공하며, 버스 정류장과 티켓 대리점도 있다.[4][49]

GO 트랜싯이 운행하는 최초의 버스는 GM New Look 버스의 교외형으로, 1970년 8월 11일 퀸스 파크에서 공개되었으며, 이는 토론토 동, 서, 북쪽으로 확장된 서비스를 시작하기 약 한 달 전이었다.[50] Gray Coach에서 운행하며,[51] 1970년 9월 8일에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피커링에서 시범 프로그램을 실시했다.[52] 이후 버스에는 오리온 버스 산업과 뉴 플라이어에서 제작한 단일 문, 교외형 대중교통 버스와 프레보 카 및 모터 코치 산업 (MCI, 현재 뉴 플라이어의 자회사)에서 제작한 단층 코치 버스가 결합되었다.

오늘날 GO 트랜싯은 단층 코치 버스와 통근형 2층 버스를 함께 운행한다. 모든 버스에는 자전거 캐리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휠체어 접근성이 보장된다. 함대에서 가장 오래된 버스 대부분은 약 13.72m 길이의 D4500CT 코치 버스로, 모터 코치 산업에서 제작되었으며 57명을 수용할 수 있고 플랫폼 리프트가 특징이다. 이 유형의 첫 번째 모델은 2001년에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5년까지 주문이 이어졌다. 2008년 4월, GO는 영국 제조업체 알렉산더 데니스에서 제작한 약 13.11m 길이의 Enviro 500 2층 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다.[53] 이 버스는 크기와 높이가 주로 다른 세 가지 디자인으로 제공된다. 모든 2층 버스는 저상 버스 설계를 갖추고 있으며 앞문에 휠체어 램프가 있다.

2층 버스의 처음 두 배치 크기는 4.2m로, 온타리오주 교통부에서 정한 많은 높이 기준을 충족하기에는 너무 높다. 따라서 낮은 다리와 언더패스를 피하는 노선으로 제한된다. 특히, 407번 고속도로 및 403번 고속도로 회랑의 노선에서 독점적으로 운행되며, 필 지역과 요크 지역 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54][4]

2012년, GO는 함대용으로 새로운 Enviro500 2층 버스 유닛을 주문했다. "어디든 갈 수 있는" 모델로 지정되었으며, Enviro400을 기반으로 한 재설계된 전면부(나중에 글로벌 Enviro500 MMC 새로 디자인의 기반이 될 것임)와 이전 모델보다 4.1m 높이, 10cm 낮다. 낮은 높이 덕분에 이러한 버스는 더 많은 통과 기준을 충족할 수 있으며 401번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노선을 포함하여 더 광범위한 노선에 사용된다.[55] "어디든 갈 수 있는" Enviro500의 세 개의 추가 배치가 2015년까지 주문되었다.

낮은 높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버스는 여전히 여러 GO 터미널, 즉 해밀턴, 요크데일, 요크 밀스 및 유니언 역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높다. 2016년부터 GO 트랜싯은 Enviro500 2층 버스의 추가 주문을 시작했다. GO 트랜싯 네트워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슈퍼 로"로 지정된 이 버스는 3.9m로, 사실상 전체 GO 버스 네트워크에서 운행할 수 있을 정도로 낮다.[56] 또한 이전 주문보다 길이가 길어서 약 13.72m (코치 버스와 동일)이고 후면에 수하물 전용 공간이 있다. 이 차량의 섀시는 보언에 새로 설립된 시설에서 현지에서 조립되어 최대 30개의 새로운 정규직을 창출하고 있다.[56]

각 철도역에서 출발하는 형태로, "GO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철도가 통하지 않는 지역이나, 운행 시간 외에 버스가 운행되는 경우도 많다. 토론토의 다운타운에는 유니언 역에 인접한 버스터미널에 진입한다. 장거리 노선의 경우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도 있다.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도 미시소거 중앙부 및 지하철 요크 밀스 역에서 진입한다.

대부분의 버스 차량은 도시 간 교통용 50인승 대형 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2008년 4월에 2층 버스를 일부 노선에서 채택했다.

GO 버스 노선에는 15곳의 버스 터미널이 있으며, 각각 지역의 버스 회사, 교통국 등과 공용인 경우가 많다.

3. 3. 환승 주차장

GO 트랜싯은 통근열차 및 버스로 갈아타는 운전자들을 위해 철도역에서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GO 기차역은 선착순으로 무료 주차가 가능하지만, 다운즈뷰파크, 댄포스, 블루어, 엑시비션, 유니언역에는 무료 주차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케네디, 키치너, 키플링역해밀턴 GO 센터에서는 유료 주차만 가능하다. 앨런데일 워터프론트역을 제외한 대부분 역의 무료 주차 공간에는 48시간 동안 무료로 주차가 가능하다.[131]

무료 주차가 선착순인 만큼 기차역에 자주 주차하는 운전자들을 위해 GO 트랜싯은 월 98USD의 비용으로 전용 주차 공간을 제공하며, 계약 기간은 최소 6개월이다. 전용 주차 공간은 대부분 역에서 제공되지만, 토론토 시내와 가까운 일부 역은 수요가 많아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전용 주차 공간에는 CCTV 보안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차 안전요원이 주기적으로 순찰한다.[132]

GO 트랜싯은 또한 동승자와 함께 이동하는 운전자를 위한 카풀 주차 허가증을 발급해주고 있다. 이 허가증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9시 30분 이전에 지정된 카풀 전용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일부 역에서는 대기자가 많아 현재 새로운 신청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카풀 공간은 선착순으로 제공되며, 차량에 카풀 차량이라고 표시해야 한다. 카풀 공간을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범칙금은 물론 견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133]

4. 요금

GO 트랜싯의 요금은 거리에 비례한 구간 요금제로 책정되며, 승객 유형에 따라 다르다.[134] 요금 지불 수단은 프레스토 카드, 신용카드, 직불 카드, 1일권이나 주말권, GO 트랜싯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이티켓이나 종이 티켓 등 다양하다.[134] 승객 유형은 성인, 청소년, 학생, 노인, 단체 등으로 나뉘며, 2019년 3월 9일부터 12세 이하의 승객은 GO 트랜싯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135]

프레스토 카드는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에서 쓸 수 있는 통일된 교통카드이다.[136] 토론토 교통국, 요크 지역 교통국과 같은 대중교통 기관은 물론, 오타와의 OC 트랜스포에서도 이용 가능하다.[137] 2024년 2월 26일부터 프레스토 카드나 신용카드, 전자지갑을 통해 GO 트랜싯 요금을 지불하는 경우, 시내 대중교통으로 갈아탈 때 추가 요금 차감 없이 무료로 환승할 수 있다.[138]

승객들은 프레스토 카드에 잔액을 충전하고, 카드를 단말기에 승차 및 하차 시에 태그하여 구간 요금을 지불한다. 카드를 태그할 때마다 이동 구간을 계산하여 카드 잔액에서 요금이 차감된다. 프레스토 카드는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와 연계하여 잔액이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충전되는 오토로드(autoload)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139]

2022년 8월 11일부터 GO 트랜싯에서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는 물론 Apple Pay, 구글 페이와 같은 전자지갑을 프레스토 카드 단말기에 태그하여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140]

GO 트랜싯은 '운임 증명' 정책을 실시하며, 승객은 유효한 티켓, 패스, 단말기에 접촉한 결제 수단 등을 소지하여 운임을 지불했음을 증명해야 한다. 요금을 지불하지 않은 승객은 메트로링스 규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된다.[142] 2022년 9월부터 무임승차 과태료는 처음에 적발된 경우 35USD, 두 번째는 50USD, 세 번째는 100USD, 네 번 이상 적발된 경우 주법 위반 통지서가 발급되며 200USD의 과태료가 부과된다.[143][144]

만 12세 이하 아동은 GO 트랜싯에 무료로 승차할 수 있지만, 아동용 프레스토 카드를 구매할 때 아동의 나이를 증명해야 할 수도 있다.[145]

롱 브랜치 GO 역의 열차 정보 게시판

5. 차량 및 시설

GO 트랜싯의 철도 차량은 토론토 미미코역 서쪽에 있는 윌로우브룩 차량기지와 2018년 3월에 완공된 휘트비 차량기지에서 유지 및 관리를 받는다. 윌로우브룩 차량기지는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1910년에 설립한 화물기지를 캐나다 내셔널 철도로부터 인수하여 확장한 시설이다.[153] 휘트비 차량기지는 약 46451.52m2 규모로, 광역철도 확장사업에 필요한 추가 열차를 수용할 수 있다.[154]

일부 오래된 제어차는 일반 차량에 운전석을 추가한 형태로 운행 중이며, 15대의 노후 제어차를 개량하여 운행 열차를 증편할 예정이다.[155]

GO 트랜싯은 7개 통근열차 노선에 걸쳐 평일 평시와 주말에 열차를 주박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175] 주박 시설 목록은 다음과 같다.

주박선 이름노선주박 시간
노스배서스트 주박선해당 없음평일 낮 시간
돈 주박선해당 없음평일 낮 시간
링컨빌 주박선스토우빌선평일 저녁과 주말
밀턴 주박선밀턴선평일 저녁과 주말
앨런데일 주박선배리선평일 저녁과 주말
조지타운 주박선키치너선평일 저녁과 주말
키치너 주박선키치너선평일 저녁 및 주말
해밀턴 GO 센터레이크쇼어 웨스트선평일 저녁 및 주말
헨리 스트리트 주박선레이크쇼어 이스트선해당 없음



GO 트랜싯의 버스 차고지는 나이아가라폴스, 뉴마켓, 링컨빌, 배리, 보먼빌, 브램턴, 스트리츠빌, 스티프록, 에이버포일, 에이잭스, 오샤와, 칼레든, 피터버러, 해밀턴, 홀턴힐스 등지에 있다.[175]

5. 1. 차량

GO 트랜싯은 열차 맨 앞뒤에 운전실을 편성하여 양방향 운행이 가능한 전후동력형(PP동차) 열차를 운행한다. 객차는 모두 선더베이에서 제작된 봄바디어 바이레벨 코치 이층열차이다.[146] 이 객차는 북미 여러 통근열차에서 사용되며, 좌석 정원 162명, 최대 5,256명까지 수용 가능하다.[93]

주로 MPI MPXpress 시리즈 기관차가 객차를 견인하며, 현재 모델인 MP40PH-3C는 12량까지 견인할 수 있다.[150] 기관차 반대편에는 제어차가 있으며, 2015년에 가시성, 안전 기능 등이 개선된 새로운 디자인으로 교체되었다.[152]

차량은 토론토 미미코역 서쪽의 윌로우브룩 차량기지와 휘트비 차량기지에서 유지 보수한다.[153]

GO 트랜싯의 버스는 단층 고속버스와 통근형 이층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버스는 휠체어 승객이 이용 가능하다. 구형 버스 대부분은 모터 코치 인더스트리에서 제작한 D4500CT 단층 버스였다.[151] 2008년부터는 알렉산더 데니스가 제작한 인바이로 500 이층버스를 도입했는데, 초기에는 높이 제한으로 운행에 제약이 있었다.[158] 이후 높이가 낮은 모델과 '슈퍼로' 모델을 도입하여 운행 범위를 넓혔다.[158]

차량은 기관차와 객차 모두 녹색과 흰색으로 도색되어 있으며, 객차는 2층 구조에 옆으로 늘린 팔각형 모양이다. 2025년경 전철화가 완료되면 신형 차량이 도입될 예정이다.

5. 1. 1. 철도

GO 트랜싯의 철도 노선은 "GO 트레인(GO Train)"이라고 불린다. GO 트레인 노선도에는 토론토의 유니언 역에서 출발하는 7개 노선이 있으며, 대부분 종착역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노선 색상과 알파벳도 있지만, 보통 노선 이름으로 불린다.[87] 또한, 캐나다에서는 드물게 일본의 철도 사업자처럼 "지적 확인"을 한다. 일본의 지적 확인에 관심 있던 관계자가 휴가로 일본에 갔을 때 본 것이 채택 이유였다.[87]

GO 트랜싯은 열차 앞뒤에 운전실이 있는 전후동력형(PP동차) 열차를 운행한다. 모든 객차는 선더베이에서 제작한 봄바디어 바이레벨 코치(Bombardier BiLevel Coach)이다.[146] 이 이층열차는 1970년대 중반에 호커 시들리 캐나다가 GO 트랜싯의 단층열차를 더 효율적인 열차로 바꾸기 위해 설계했다.[147] 이후 객차는 캔카/UTDC에서 만들었고, 최근 객차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서 제작했다.[147] 지금은 알스톰이 이 열차의 설계와 제조 시설을 가지고 있다. GO 트랜싯은 총 979량의 바이레벨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객차는 북미의 여러 통근열차에서 쓰인다.[148] 각 차량의 좌석 정원은 162명이며, 입석까지 포함하면 248명, 한 열차에 최대 5,256명까지 탈 수 있다.[93] 모든 열차의 상층부는 출퇴근 시간에 '조용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149]

이 객차는 주로 MPI MPXpress 시리즈 기관차가 끄는데, 현재 모델인 MP40PH-3C (4000hp)는 이전 모델인 EMD F59PH보다 강력하며, 10량 대신 12량을 끌 수 있다.[150] 2006년 도입 이후 이 기관차를 60대 이상 주문했고, 더 강력한 모델인 MP54AC (5400hp) 기관차 16대도 추가 주문했다.[151] 이 기관차는 12량으로 이루어진 전체 열차를 더 효율적으로 끌 수 있다.[150] 기관차 반대편에는 운전석이 있는 제어차가 있다. GO 트랜싯은 2015년 여름에 운전실 차량을 새로 설계해 가시성, 안전 기능, 승무원 편의를 개선했다.[152]

GO 트랜싯의 철도 차량은 토론토 미미코역 서쪽의 윌로우브룩 차량기지와 최근 지어진 휘트비 차량기지에서 관리한다. 윌로우브룩 차량기지는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1910년에 설립한 화물기지를 통근열차 유지 보수에 쓰고 있다. GO 트랜싯은 설립 이후 캐나다 내셔널 철도로부터 차량기지를 인수해 윌로우브룩 차량기지를 짓고 확장하여 늘어나는 열차를 관리하고 있다.[153] GO 트랜싯은 휘트비에 약 46451.52m2 규모의 두 번째 차량기지를 지어 광역철도 확장사업에 필요한 열차를 더 수용할 수 있게 했으며, 2018년 3월에 완공되었다.[154] 오래된 제어차 일부는 일반 차량에 운전석을 추가한 형태로 여전히 운행하고 있으며, 15대의 노후 제어차를 개량하여 운행 열차를 늘릴 예정이다.[155]

GO 트랜싯은 기관차와 객차를 직접 소유하지만, 선로는 대부분 화물철도회사인 캐나다 내셔널 철도(CN)나 캐나다 태평양 캔자스시티(CPKC)가 소유하고 있다. 1988년에 피커링 동쪽으로 통근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GO 트랜싯은 자체 선로를 직접 건설했다.[98] 1998년부터 2009년까지 GO 트랜싯은 운행 노선 중 8%만 소유했다. 2009년부터 메트로링스가 통근열차를 더 많이 운행하기 위해 CN과 CPKC로부터 선로를 조금씩 사들였다. 메트로링스는 현재 배리, 스토우빌,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선로 전체와 레이크쇼어 웨스트, 리치먼드힐, 키치너선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CPKC는 여전히 밀턴선 선로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으며, 메트로링스는 GO 트랜싯이 현재 운행하는 전체 선로의 80% 가량을 직접 소유하고 있다.[161]

GO 열차는 3인 승무로 운행하는데, 두 명은 운전석에서 기차를 운전하고, 고객 서비스 담당자는 열차 중앙에서 문과 휠체어 램프를 여닫고, 정차역 안내방송을 하며, 승객들을 돕는다.[162] 알스톰은 기차 운행을 메트로링스로부터 위탁받아 맡고 있으며, 2021년에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이 알스톰에 인수되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163] GO 트랜싯은 정시운행률(5분 미만 지연) 94%를 목표로 하며, 2018년 하반기 정시운행률은 90.7%에서 93.9% 사이였다.[164] GO 트랜싯은 통근열차가 15분 이상 지연되면 천재지변이 아닌 이상 요금을 환불해준다.[165]

5. 1. 2. 버스

각 철도역에서 출발하는 형태로, "GO 버스" ()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철도가 통하지 않는 지역이나, 운행 시간 외에 버스가 운행되는 경우도 많다. 토론토의 다운타운에는 유니언 역에 인접한 버스터미널에 진입한다. 장거리 노선의 경우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도 있다.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도 미시소거 중앙부 및 지하철 요크 밀스 역에서 진입한다.

대부분의 버스 차량은 도시 간 교통용 50인승 대형 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2008년 4월에 2층 버스를 일부 노선에서 채택했다. GO 버스 노선에는 15곳의 버스 터미널이 있으며, 각각 지역의 버스 회사, 교통국 등과 공용인 경우가 많다.

5. 2. 역과 터미널

GO 트랜싯 역은 기차와 버스 간의 원활한 환승을 위해 설계되었다. 여기에는 엘리베이터, 화장실, 주차장, 공중전화, 승차권 자동 발매기, 매표 키오스크,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의 편의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모든 GO 역에는 프레스토 카드 단말기가 있으며, 대부분의 버스 터미널에도 자동판매기나 매표소가 있다.[167] 2016년 기준으로 GO 트랜싯 기차역 건설에 드는 자본 비용은 약 5000만달러에서 7500만달러 사이였다.[57]

대부분의 GO 트랜싯 역에는 승객들을 위한 환승 주차장과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을 위한 버스 터미널이 있으며,[131] 역에 정차하는 버스 다수는 통근열차 정차 시각에 맞추어 출발한다.[168]

GO 트랜싯 일부 역은 토론토 유니언역에서 피어슨 국제공항까지 이어지는 유니언 토론토 급행, 캐나다의 여객 열차 기관인 VIA 철도, 미국의 여객 열차 기관인 암트랙과 역 시설을 같이 사용한다. GO 트랜싯은 또한 토론토 교통국(TTC)과 요크 지역 교통(YRT)과 같은 15개의 시내 교통기관은 물론 온타리오 노스랜드, 메가버스, 플릭스버스, 미국행 그레이하운드와 같은 시외버스로도 갈아탈 수 있다.[138][169] 메트로링스는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 지점을 모빌리티 허브(mobility hub)라고 부르며, 빅 무브 광역교통계획에서 모빌리티 허브를 주축으로 계획을 세우고 있다.[170]

5. 3. 본사, 차고지, 사무실

GO 트랜싯은 온타리오주의 광역 교통을 책임지는 메트로링스의 자회사로 본사는 토론토 유니언역 근처에 있는 베이 스트리트 20번가에 위치해있다. GO 트랜싯 고객센터는 유니언역 요크 대합실에 위치해있으며, 평일 오전 5시 45분부터 다음 날 오전 12시 45분까지, 주말과 공휴일에는 오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12시 45분까지 개장한다.[171]

GO 트랜싯의 철도 차량기지 중에서 주요 기지는 두 곳이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차량기지는 윌로우브루크 차량기지로,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미미코역롱브랜치역 사이에 위치해있다. 이 기지는 1910년에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지은 시설로, 1923년에 캐나다 내셔널 철도가 이를 인수하여 1965년까지 이용하다가 온타리오주 정부가 GO 트랜싯을 설립하면서 이곳을 GO 트랜싯의 첫 차량기지로 이용하게 되었다.[172] 윌로우브룩 차량기지에는 기관차와 객차를 위한 수리, 청소, 유지 보수 시설 및 주박 선로가 있는데, 이곳은 북쪽 기지와 남쪽 기지, 주박 기지 세 곳으로 다시 나뉜다. 북쪽 기지는 5번에서 8번까지 네 개의 선로로 이루어져있으며, 5번 선로는 유지 보수 시설을 통과하고, 6번 선로는 주박 선로, 7번과 8번은 자가 추진 철도 차량을 위해 쓰인다. 남쪽 기지는 1번에서 4번까지 네 개의 선로로 이루어졌으며, 기관차와 객차가 이곳에 주박한다. 주박 기지는 9번과 10번 두 개의 선로로 이루어져있으며, 9번과 10번은 남쪽 기지의 차량이 가득 찼을 때 초과분을 수용하기 위해 예비로 쓰이고 있다.[172]

GO 트랜싯이 운행하는 열차 수가 점차 늘어나면서 메트로링스는 레이크쇼어 이스트선 휘트비역오샤와역 사이에 새로운 차량기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메트로링스는 2015년에 플레너리 인프라스트럭처 컨소시엄 업체에 새로운 차량기지를 설계, 건설하고 30년 동안 유지하는 데 8.592억캐나다 달러 규모의 계약을 발주하였다.[173] 휘트비 차량기지는 2015년 3월 27일에 착공하여 2018년 3월 14일에 완공하였다.[174] 약 46451.52m2 규모의 휘트비 차량기지는 12량 열차를 총 22대 주박할 수 있으며, 정비 및 유지 보수 시설은 물론, 사무실과 직원들을 위한 주차장도 마련되어 있다. 이 기지는 추후 필요에 따라 열차 9대를 더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174]

이 외에 GO 트랜싯은 통근열차 7개 노선에 걸쳐 평일 평시와 주말에 열차를 주박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데, 주박 시설 목록은 다음과 같다.[175]

주박선 이름노선주박 시간
노스배서스트 주박선(North Bathurst Yard)해당 없음평일 낮 시간
돈 주박선(Don Yard)해당 없음평일 낮 시간
링컨빌 주박선(Lincolnville Yard)스토우빌선평일 저녁과 주말
밀턴 주박선(Milton Yard)밀턴선평일 저녁과 주말
앨런데일 주박선(Allandale Yard)배리선평일 저녁과 주말
조지타운 주박선(Georgetown Yard)키치너선평일 저녁과 주말
키치너 주박선(Kitchener Yard)키치너선평일 저녁 및 주말
해밀턴 GO 센터(Hamilton GO Centre)레이크쇼어 웨스트선평일 저녁 및 주말
헨리 스트리트 주박선(Henry Street Yard)레이크쇼어 이스트선해당 없음



GO 트랜싯의 버스 차고지는 나이아가라폴스, 뉴마켓, 링컨빌, 배리, 보먼빌, 브램턴, 스트리츠빌, 스티프록, 에이버포일, 에이잭스, 오샤와, 칼레든, 피터버러, 해밀턴, 홀턴힐스 등지에 있다.[175]

6. 로고

GO 트랜싯 로고는 설립 이후 거의 바뀌지 않고 그대로인데, 이 디자인은 캐나다 내셔널 철도 및 히드로퀘벡의 기업 이미지를 담당한 몬트리올 기반의 디자인 회사인 가뇽/발커스(Gagnon/Valkus)에서 제작하였다. 디자인 회사 측은 온타리오 주정부의 이니셜인 GO를 사용하여 두 개의 원과 그 안에 포함된 T로 통일된 로고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수석 디자이너인 프랭크 폭스는 로고의 탄생을 "우연한 행운"이라고 설명하며, "팀 전체가 이것이 사실일 수가 없다는 느낌을 받았고, 다른 대안도 많이 나왔지만 이것만큼 파급력이 좋지 않았다"고 밝혔다.[176]

이 로고는 이후 토론토의 도시 경관에 녹아들어 GO 트랜싯을 식별하는 주요 표지로 자리잡았다. 한 그래픽 디자인 전문가는 이 로고가 "대부분의 그래픽 디자이너가 모든 로고 디자인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부러워할 만한 목표를 GO 로고는 달성했다"고 말했다.[176] 원본이 공개된 후 단 한 번의 사소한 수정이 이루어졌는데, G와 O가 서로 맞닿아 있던 부분에 간격이 생기고, 이를 강화하기 위해 더 굵은 흰색 T가 추가되었다. 기업 색상은 "GO 그린"으로 알려졌으며, 온타리오 고속도로 표지판의 녹색과 일치했고, 모든 차량, 표지판 및 인쇄물에 이 로고가 사용되었다. 2013년에 GO 트랜싯은 주 색상을 더 어두운 녹색으로 변경하고, 두 번째 밝은 청사과색을 추가한 이중 색상 체계를 도입하였다.[177] 이러한 변경 사항은 메트로링스 및 그 다른 운영 부서의 브랜드와 조화를 이루고, 디지털 표시를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졌다.[178]

참조

[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7-03-10
[2] 웹사이트 Metrolinx Senior Management Team https://www.metrolin[...] Metrolinx 2020-04-01
[3] 웹사이트 GO Transit: Fact Sheet https://www.gotransi[...] 2019-04-01
[4] 웹사이트 GO transit Fact Sheet https://www.gotransi[...] GO Transit 2018-06-01
[5] 웹사이트 Metrolinx Overview http://www.metrolinx[...] Metrolinx 2011-07-01
[6] 웹사이트 GO Expansion http://www.metrolinx[...] 2018-11-25
[7] 웹사이트 GO 50 Years Going Strong – 1960s http://goingstrong.g[...] Metrolinx 2018-01-26
[8] 문서 Garcia et al.: Lakeshore corridor
[9] 문서 Garcia et al.: Georgetown corridor
[10] 문서 Garcia et al.: Regional Transit Routes
[11] 웹사이트 BiLevel Coaches in Canada and the USA http://www.bombardie[...] Bombardier Transportation 2012-07-13
[12] 웹사이트 GO keeps Growing – we now have 500 buses on the road to serve you better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7-03-10
[13] 문서 Garcia et al.: GO ALRT
[14] 문서 Garcia et al.: Bradford corridor
[15] 웹사이트 GO Transit Rail Improvement Program (GO TRIP) http://www.tc.gc.ca/[...] Transport Canada 2001-04-23
[16] 웹사이트 Award Of Excellence – Project Management GO Transit Rail Improvements http://www.canadianc[...] Canadian Consulting Engineer 2016-11-10
[17] 뉴스 Next stop, Guelph! GO Train service starts Dec. 19 http://www.guelphmer[...] Guelph Mercury 2011-11-25
[18] 웹사이트 Train Schedule Changes {{pipe}} Service Updates {{pipe}} GO Transit https://www.gotransi[...]
[19] 웹사이트 Remarks By Gary Mcneil, Managing Director, GO Transit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01-04-23
[20] 웹사이트 Provincial-Municipal Relations in Ontario: Approaching an Infection Point http://munkschool.ut[...] Munk School of Global Affairs 2014-01-01
[21] 웹사이트 GO Transit History https://www.gettoron[...] Get Toronto Moving Transportation Committee 2016-11-10
[22] 웹사이트 The Ontario Liberal Plan 2011–2015 http://www.ontarioli[...] Ontario Liberal Party 2013-07-30
[23] 웹사이트 GO Rail Service Expansion: More Two-Way All-Day & Rush Hour Service http://www.bigmove.c[...] Metrolinx 2013-05-20
[24] 웹사이트 Board Report: GO Electrification Study http://www.gotransit[...] Metrolinx 2011-01-26
[25] 웹사이트 GO trains to run between London and Toronto with stops in between https://www.cbc.ca/n[...] CBC 2021-09-15
[26] 웹사이트 Changes to Front Street at Union Station http://www.toronto.c[...] City of Toronto 2011-07-01
[27] 웹사이트 Union Station Revitalization http://www.toronto.c[...] City of Toronto 2011-07-01
[28] 뉴스 Toronto's Union Station in store for a makeover https://toronto.ctvn[...] 2011-07-01
[29] 웹사이트 Union Station 2031 and Related Planning Studies http://www.metrolinx[...] Metrolinx 2011-11-23
[30] 웹사이트 Metrolinx - GO Electrification https://www.metrolin[...] 2023-11-19
[31] 웹사이트 GO Expansion explained – What it means for you https://blog.metroli[...] Metrolinx 2022-04-13
[32] 뉴스 GO Expansion deal means faster, greener, GO Train service https://www.metrolin[...] Metrolinx 2022-04-21
[33] 뉴스 GO to add almost 50 per cent more trains in next 5 years https://www.thestar.[...] 2015-04-17
[34] 뉴스 Toronto's grand transit plan (maybe, hopefully)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Inc. 2016-03-14
[35] 웹사이트 Metrolinx partners with ONxpress to transform GO Transit service in the region https://www.metrolin[...] Metrolinx 2024-01-25
[36] 웹사이트 GO Transit Service Expansion Update http://www.metrolinx[...] 2017-06-28
[37] 웹사이트 GO News: Winter 2011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1-05-24
[38] 웹사이트 Quick Facts: GO Trains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5-04-04
[39] 웹사이트 Welcome to the Quiet Zone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3-07-28
[40] 뉴스 GO expects new look cab cars this summer https://www.thestar.[...] 2015-05-14
[41] 웹사이트 GO Transit's Willowbrook Maintenance Centre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42] 웹사이트 East Rail Maintenance Facility http://www.metrolinx[...] GO Transit 2020-03-03
[43] 웹사이트 GO Transit's Lakeshore Line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44] 웹사이트 Rail Corridor Ownership http://www.metrolinx[...] Metrolinx 2014-09-24
[45] 웹사이트 GO Transit 2008–09 Annual Report http://www.metrolinx[...] Metrolinx
[46] 뉴스 A transformational step for Alstom: completion of the acquisition of Bombardier Transportation https://www.alstom.c[...] 2021-01-29
[47] 웹사이트 GO Transit President's Board Update http://www.metrolinx[...] Metrolinx 2013-06-27
[48] 뉴스 GO Transit riders eligible for full-fare credit if train delayed 15 minutes http://news.national[...] 2012-11-14
[49] 웹사이트 GO Transit 2008–09 Annual Report http://www.gotransit[...] GO Transit
[50] 뉴스 GO Transit bus unveiled http://news.ourontar[...] 1970-08-12
[51] 간행물 GO grows with Newmarket The Era 1970-09-16
[52] 뉴스 GO buses—but no trains http://news.ourontar[...] 1970-05-06
[53] 웹사이트 Quick Facts: GO Buses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1-05-24
[54] 뉴스 Stacking the deck for transit service http://www.yorkregio[...] Markham Economist and Sun 2008-04-09
[55] 뉴스 GO adds new double-deckers that ride a bit lower https://www.thestar.[...] 2013-04-03
[56] 뉴스 Metrolinx bus purchase to improve service and create jobs http://www.metrolinx[...] 2014-11-24
[57] 뉴스 GO Transit service to expand to Grimsby by 2021, Niagara Falls by 2023 http://toronto.ctvne[...] CTV News 2016-06-28
[58] 웹사이트 GO Expansion Full Business Case Metrolinx 2018-11-01
[59] 웹사이트 GO 2020 http://www.gotransit[...] GO Transit
[60] 웹사이트 REGIONAL EXPRESS RAIL (RER) http://www.metrolinx[...] Metrolinx 2014-09-05
[61] 웹사이트 Fare Info http://www.gotransit[...] GO Transit
[62] 웹사이트 Ticket Types http://www.gotransit[...] GO Transit
[63] 웹사이트 Kids 12 and Under Ride Free on GO Transit https://news.ontario[...] 2019-02-28
[64] 웹사이트 GO with PRESTO http://www.gotransit[...] GO Transit
[65] 웹사이트 Fares & Travel Info https://www.prestoca[...] PRESTO
[66] 웹사이트 Co-Fare Discounts with Other Transit Agencies | GO Transit https://www.gotransi[...]
[67] 웹사이트 Loading Your Card https://www.prestoca[...] Metrolinx
[68] 웹사이트 New fare options for GO, Brampton, MiWay & Oakville Transit https://blog.metroli[...] 2022-08-11
[69] 웹사이트 Tap to Pay with Credit or Debit https://www.gotransi[...]
[70] 웹사이트 GO Transit By-law No. 2 http://www.gotransit[...] GO Transit
[71] 뉴스 Metrolinx raises ticket fines for the 29 per cent who don't pay up https://www.thestar.[...] 2014-02-14
[72] 웹사이트 Dealing with a fine https://www.gotransi[...] 2024-06-29
[73] 웹사이트 Fare Types and Discounts https://www.prestoca[...] 2024-05-05
[74] 웹사이트 The design history of the GO Transit logo http://www.gregcunne[...] 2012-08-29
[75] 웹사이트 Hydro-Québec Logo http://www.famouslog[...] Famous Logos 2012-08-29
[76] 웹사이트 Static Signage Catalogue http://www.ontla.on.[...] Metrolinx 2012-08-19
[77] 뉴스 GO Transit trains and buses get a makeover https://www.thestar.[...] 2011-11-25
[78] 웹사이트 FAQ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7-03-10
[79] 웹사이트 Safety and Security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3-07-31
[80] 웹사이트 Special Constable Program http://www.opp.ca/ec[...] Ontario Provincial Police 2013-07-31
[81] 웹사이트 GO Transit By-law No. 5 http://www.gotransit[...] GO Transit 2013-07-31
[82] 웹사이트 1975: Bus / GO train tragedy http://scarboroughhi[...] Scarborough Historical Society 2013-07-31
[83] 웹사이트 TSB Railway Occurrence Report Number R97T0299 http://www.tsb.gc.ca[...]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13-07-31
[84] 뉴스 'It felt like a sinking boat': Police rescue 1,400 passengers from waterlogged commuter GO train http://news.national[...] 2016-06-21
[85] 웹사이트 Woman, 56, dead after GO bus rollover in Vaughan http://www.citynews.[...] CityNews Toronto 2015-03-02
[86] 웹사이트 GO bus driver charged in deadly crash on Hwy. 407 http://www.cbc.ca/ne[...] CBC News 2015-03-02
[87] 뉴스 「日本流」安全確認で出発!カナダの鉄道が導入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5-10
[88] 뉴스 Ontario improving GO Transit service along all corridors http://news.ontario.[...] オンタリオ州政府 2015-04-17
[89] Citation RER メトロリンクス http://www.metrolinx[...]
[90] 뉴스 GO to add almost 50 per cent more trains in next 5 years http://www.thestar.c[...] トロント・スター 2015-04-17
[91] 웹인용 Public Transportation Ridership Report: Fourth Quarter 2023 https://www.apta.com[...] 미국대중교통연합 2024-03-04
[92] 웹인용 1960s http://goingstrong.g[...] GO 트랜싯
[93] 웹인용 GO Transit: Fact Sheet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19-04
[94] 웹인용 About Us https://www.metrolin[...] 메트로링스 2024-04-27
[95] 웹인용 GO Expansion https://www.metrolin[...] 메트로링스 2024-04-27
[96] 웹인용 Metropolitan Toronto Transportation Research Program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Toronto Planning Board 2024-04-27
[97] 뉴스인용 Celebrating 50 Years of GO Transit https://urbantoronto[...] Johnson 2024-05-05
[98] 웹인용 GO Transit's Lakeshore Line https://transittoron[...] Garcia 2024-05-05
[99] 웹인용 GO Transit's Kitchener Line https://transittoron[...] Garcia 2024-05-05
[100] 웹인용 Regional Transit Route & Network Histories Page https://transittoron[...] 2024-05-05
[101] 웹인용 The Bi-Level Coaches (1977-?) https://transittoron[...] Garcia 2024-05-05
[102] 웹인용 1970s http://goingstrong.g[...] GO 트랜싯 2024-05-05
[103] 웹인용 New lower double-decker buses are now in service http://www.gotransit[...] GO 트랜싯 2024-05-05
[104] 웹인용 The GO-ALRT Program https://transittoron[...] Drost 2024-05-05
[105] 웹인용 GO Transit's Barrie Line https://transittoron[...] Garcia 2024-05-05
[106] 웹인용 GO Transit Rail Improvement Program (GO TRIP) http://www.tc.gc.ca/[...] 2024-05-11
[107] 웹인용 AWARD OF EXCELLENCE – PROJECT MANAGEMENT GO Transit Rail Improvements https://www.canadian[...] 2024-05-11
[108] 뉴스 GO trains arrive in Guelph Dec. 19 https://www.guelphme[...] 2024-05-11
[109] 웹인용 GO Train to Niagara on Weekends https://www.gotransi[...] 2024-05-11
[110] 웹인용 GO Transit goes golden https://www.railwaya[...] 2024-05-11
[111] 보고서 Citizens' Task Force on the Future of Mississauga: Final Report https://www.mississa[...] 2024-05-11
[112] 저널 Provincial-Municipal Relations in Ontario: Approaching an Inflection Point https://tspace.libra[...] 토론토 대학교 2024-05-11
[113] 웹인용 Greater Toronto Transportation Authority Act, 2006, S.O. 2006, c. 16 https://www.ontario.[...] 2024-05-11
[114] 웹인용 Annual Reports and Corporate Plans https://www.metrolin[...] 2024-05-11
[115] 웹인용 The Ontario Liberal Plan 2011-2015 https://www.poltext.[...] 2024-05-11
[116] 웹인용 GO Rail Service Expansion: More Two-Way All-Day & Rush Hour Service http://www.bigmove.c[...] 2024-05-11
[117] 웹인용 GO 2020 http://www.gotransit[...] 2024-05-11
[118] 웹인용 GO Electrification Study http://www.gotransit[...] 2024-05-11
[119] 뉴스 GO Train service between London and Toronto ending this fall as VIA Rail returns https://www.cbc.ca/n[...] 2024-05-11
[120] 웹인용 Union Station Revitalization Project https://www.toronto.[...] 2024-05-11
[121] 웹인용 Union Station Enhancement Project https://www.metrolin[...] 2024-05-11
[122] 웹인용 Union Station 2031 and Related Planning Studies http://www.metrolinx[...] 2024-05-11
[123] 웹인용 GO Rail Network Electrification https://www.metrolin[...] 2024-05-18
[124] 웹인용 GO Expansion deal means faster, greener, GO Train service https://www.metrolin[...] 2024-05-18
[125] 뉴스 GO to add almost 50 per cent more trains in next 5 years https://www.thestar.[...] 2024-05-18
[126] 뉴스 Toronto's grand transit plan (maybe, hopefully) https://www.theglobe[...] 2024-05-18
[127] 웹인용 Metrolinx partners with ONxpress to transform GO Transit service in the region https://www.metrolin[...] 2024-05-18
[128] 웹인용 PDF Schedules https://www.gotransi[...] 2024-05-18
[129] 웹인용 GO Transit Service Expansion Update: Metrolinx Board of Directors Meeting http://www.metrolinx[...] 2024-05-18
[130] 웹인용 50 Years of GO Transit Bus Operations https://transittoron[...] 2024-05-24
[131] 웹인용 Free Parking at GO Stations https://www.gotransi[...] 2024-05-24
[132] 웹인용 Reserved Parking at GO Stations https://www.gotransi[...] 2024-05-24
[133] 웹인용 Carpool Parking https://www.gotransi[...] 2024-05-24
[134] 웹인용 Fare Information https://www.gotransi[...] 2024-05-26
[135] 웹인용 Kids 12 and Under Ride Free on GO Transit https://news.ontario[...] 2024-05-26
[136] 웹인용 Paying with PRESTO https://www.gotransi[...] 2024-05-26
[137] 웹인용 How to Use PRESTO https://www.prestoca[...] 2024-05-26
[138] 웹인용 Connecting to Local Transit with Ontario's One Fare https://www.gotransi[...] 2024-06-29
[139] 웹인용 Loading a PRESTO Card https://www.prestoca[...] 2024-06-29
[140] 뉴스 Transit Briefs: TransLink, MARTA, Metrolinx, CTA, Ottawa LRT, Metrolink, SEPTA, MDOT https://www.railwaya[...] 2024-06-29
[141] 웹인용 Tap On and Off With a Credit or Debit Card on GO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3-05-02
[142] 웹인용 Notice of Violation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6-29
[143] 웹인용 Dealing with a Fine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6-29
[144] 웹인용 Provincial Offences Overview https://www.ontarioc[...] 온타리오주 법원 2024-06-29
[145] 웹인용 Fare Types and Discounts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6-29
[146] 뉴스 GO Transit to receive 36 additional Bombardier BiLevel coaches https://www.masstran[...] 2024-05-24
[147] 웹인용 The Bi-Level Coaches (1977-?) https://transittoron[...] 2024-05-24
[148] 웹인용 Photos capture the impacts of COVID-19 pandemic https://www.metrolin[...] 2024-05-24
[149] 웹인용 Quiet Zone on GO Trains now sponsored by Audible https://www.metrolin[...] 2024-05-24
[150] 웹인용 GO's MPI Series (MP40PH-3C and MP54AC) Locomotives (2007~) https://transittoron[...] 2024-05-24
[151] 웹인용 A Field Guide to GO Transit's Fleet https://transittoron[...] 2024-05-24
[152] 뉴스 GO expects new look cab cars this summer https://www.thestar.[...] 2024-05-24
[153] 웹인용 GO Transit's Willowbrook Maintenance Centre https://transittoron[...] 2024-05-24
[154] 웹인용 Whitby (East Rail) Maintenance Facility https://www.infrastr[...] 2024-05-24
[155] 웹인용 Whitby Rail Maintenance Facility http://www.metrolinx[...] 메트로링스 2024-05-24
[156] 뉴스 GO Transit bus unveiled https://news.ouronta[...] 2024-06-07
[157] 뉴스 GO buses---but no trains https://images.ouron[...] 2024-06-07
[158] 웹인용 GO Transit's Double Decker Buses https://transittoron[...] 2024-06-29
[159] 뉴스 GO adds new double-deckers that ride a bit lower https://www.thestar.[...] 2024-06-29
[160] 웹인용 Metrolinx bus purchase to improve service and create jobs https://www.newswire[...] 메트로링스 2024-06-29
[161] 웹인용 RAIL CORRIDOR OWNERSHIP http://www.metrolinx[...] 메트로링스 2024-06-07
[162] 웹인용 Accessible Vehicles & Stations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6-07
[163] 웹인용 A transformational step for Alstom: completion of the acquisition of Bombardier Transportation https://www.alstom.c[...] 알스톰 2024-06-07
[164] 뉴스 CANADA Metrolinx numbers show GO Transit falling short of train arrival time targets https://globalnews.c[...] 2024-06-07
[165] 웹인용 Service Guarantee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6-07
[166] 웹인용 Accessible Vehicles & Stations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6-07
[167] 웹인용 Clarkson GO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7-01
[168] 웹인용 PDF Schedules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7-01
[169] 웹인용 Intermodal Stations & Connections https://www.viarail.[...] VIA 철도 2024-07-01
[170] 웹인용 Mobility Hub Policy Review https://assets.metro[...] 메트로링스 2024-07-01
[171] 웹인용 Connect with GO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4-07-01
[172] 웹인용 GO Transit's Willowbrook Maintenance Centre https://transittoron[...] 2024-07-01
[173] 뉴스 Metrolinx to build 22-train facility in Whitby https://www.thestar.[...] 2024-07-01
[174] 웹인용 Whitby (East Rail) Maintenance Facility https://www.infrastr[...] Infrastructure Ontario 2024-07-01
[175] 웹인용 Regional transit terminals, yards and other properties https://transittoron[...] 2024-07-01
[176] 웹인용 The Forgotten History of the GO Transit Logo https://descan.ca/de[...] 2024-07-01
[177] 뉴스 GO Transit trains and buses get a makeover https://www.thestar.[...] 2024-07-01
[178] 웹인용 Static Signage Catalogue https://www.gosite.c[...] 2024-07-01
[179] 웹인용 Metrolinx https://assets.metro[...] 2024-07-05
[180] 웹인용 Customer Protective Officers https://www.gotransi[...] 2024-07-05
[181] 웹인용 Safety and Security https://www.gotransi[...] 2024-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