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투스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투스주의는 중세 시대 프란체스코회에서 발전한 신학 사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주의를 따르다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비판하며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했다. 토마스주의와 달리 플라톤주의적 경향을 보이며, 원죄 없는 잉태 교리 등에서 토마스주의와 대립했다. 스코투스주의는 유명론에 반대하고,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일부 교리가 정의되었으며, 예수회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5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유럽 각지 대학에서 스코투스 학파가 형성되었으나, 19세기에 쇠퇴했다. 20세기 이후에는 프란치스코회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개신교 신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사 - 1910년 세계선교대회
1910년 에든버러 세계 선교 대회는 개신교 선교 100주년을 기념하고 세계 복음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개최되었으며, 윤치호가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연설했고, 국제선교협의회와 세계 교회 협의회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사 - 더글라스 (희곡)
《더글라스》는 존 홈이 1756년에 발표한 비극으로, 스코틀랜드 고지대를 배경으로 어머니와 아들의 비극적인 재회를 다루며 초연 당시 큰 성공과 논란을 동시에 낳았고 18세기 영국 연극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코투스주의 - 주의주의
주의주의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의지를 중요시하는 사상적 경향으로, 철학에서는 의지를 존재의 본질로, 심리학에서는 심적 생활의 근본 기능으로, 윤리학에서는 윤리적 과제의 중심으로, 신학에서는 종교 활동의 근원으로 간주한다. - 스코투스주의 - 존재론적 신학
존재론적 신학은 하이데거 철학의 영향을 받아 인간 존재 이해를 통해 신의 의미를 탐구하는 신학 분야로, 칸트의 비판 이후 현대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며 종교적 경험, 윤리,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기독교 신학 운동 - 고전정통주의
고전정통주의는 교회 대분열 이전의 공교회 신학과 종교개혁 당시 전통의 조화를 추구하며, 이성주의 신학에 대한 반성과 자유주의 신학의 한계 극복, 그리고 포스트모던 신학 운동의 파편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현대 기독교 신학 경향이다. - 기독교 신학 운동 - 칼케돈 기독교
칼케돈 기독교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결정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신앙을 따르는 기독교 교파로,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등 주요 교파의 신학적 기초가 되었으며 비칼케돈파 정교회와 구분된다.
스코투스주의 | |
---|---|
스코투스주의 | |
![]() | |
학파 | 스콜라 철학 |
주요 개념 | 개체성 신플라톤주의 형상 존재의 제일성 이성 의지 원죄 없는 잉태 본질 스코투스적 실재론 신 존재 증명 |
영향 받은 학자 | 아리스토텔레스 성 바울 아우구스티누스 보에티우스 아비케나 피터 롬바르드 아베로에스 마이모니데스 성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성 토마스 아퀴나스 교회 |
주요 인물 | |
핵심 인물 | 요한네스 둔스 스코투스 |
관련 인물 | 안토니우스 안드레아스 페트루스 아우레올리 카를레스 발리치 존 반월 보나벤투라 바론 니콜라스 보넷 란돌포 카라치올로 안젤로 카를레티 디 키바소 필립 파버 매튜 페르치 클로드 프라센 다니엘 호란 오드 맥 카트마오일 바르톨로메오 마스트리우스 프란치스코 데 메이로니스 니콜라스 도르벨리스 무이리스 오 피체알라이흐 알바루스 펠라기우스 존 펀치 피터 오브 아퀼라 파울 스크립토리 페트루스 토마에 식스토 4세 루크 와딩 |
철학적 특징 | |
주요 특징 | 스콜라 철학 존재의 제일성 개체성 원죄 없는 잉태 지복직관 형식적 구별 형상-질료론 스코투스적 실재론 실체 이론 우시아 개체화 신의 존재 증명 기독론 플라톤적 실재론 범주 보편자 문제 기독교와 노예제 |
저서 | |
주요 저서 | 옥스포드 논평 제1원리에 대한 논고 개별 문제집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아리스토텔레스주의 프란치스코회 옥스포드 대학교 로마 가톨릭 신학 프란치스코회 신학자 목록 경험주의 |
2. 발전
스코투스주의는 구 프란체스코 학파에서 발전했는데, 이 학파는 중세 동안 신학을 지배했다. 이 학파는 처음에는 당시 신학을 지배했던 아우구스티누스주의를 따랐다.
스코투스는 이미 토마스 아퀴나스의 추종자들과의 갈등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매우 자유롭게 사용했지만, 그 사용에 있어 날카로운 비판을 가했으며, 특히 형태의 다원성, 즉 영혼의 다원성, 천사 및 영혼의 영적 물질 등에 관해서는 구 프란체스코 학파의 가르침을 고수하며, 아퀴나스와 격렬하게 싸웠다. '''스코투스주의''', 또는 후기 프란체스코 학파로 알려진 것은, 페리파토스 사상을 광범위하게(비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수용하면서, 이전 학파의 연속 또는 더 발전된 형태일 뿐이다. 토마스주의와 스코투스주의의 차이점은, 둘 다 아랍 신플라톤화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서 파생되었지만, 토마스주의는 마이모니데스, 아베로에스, 아비센나의 정통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더 가깝고, 스코투스주의는 아비체브론, 순수 형제단, 리베르 데 카우시스, 프로클로스를 거쳐 플로티노스에 이르는 플라톤주의적 경향을 반영한다는 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들 학파 간의 관계, 또는 스코투스와 알렉산데르 오브 헤일스, 성 보나벤투라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플랑드르 출신 레콜렉트 수도사 마티아스 호제르의 저서를 참고하라. 토마스주의는 교황청의 전례 없는 지지를 받았지만,[3] 스코투스주의의 영향력은 여러 중요한 부분에서, 특히 원죄 없는 잉태 교리에 있어 우세했다.
2. 1. 스코투스와 토마스주의의 갈등
스코투스주의는 토마스주의와 여러 면에서 대립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 방식, 형이상학, 인식론,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원죄 없는 잉태 교리를 둘러싼 논쟁은 두 학파의 대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스코투스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플라톤주의적 경향을 유지하였다.유명론은 스코투스보다 오래되었지만, 오컴주의에서 그 부활은 스코투스 사상의 일부 명제들이 일방적으로 과장된 데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스코투스주의의 형식주의는 유명론과 정반대이며, 스코투스주의자들은 유명론에 맞서 싸우는 데 있어 토마스주의자들과 뜻을 같이 했다. 오컴 자신도 스코투스의 강력한 반대자였다.
트리엔트 공의회는 스코투스주의자들이 특히 강조했던 일련의 교리들(예: 의지의 자유, 은총과의 자유로운 협력 등)을 교리로 정의했다. 다른 점에서는 공의회 교령이 스코투스주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구성되었다(예: 최초의 인간이 성결과 정의 안에서 구성되었다는 것). 이는 바티칸 공의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나님의 예지, 예정, 자유 의지에 대한 은총의 관계에 관한 토마스주의-몰리나주의 논쟁에서 스코투스주의자들은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그들은 양측 중 하나를 지지하거나, 토마스주의자들의 예정설과 몰리나주의자들의 중간 지식을 모두 거부하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스코투스주의에서 하나님은 자유로운 미래의 행위를 그 본질 안에서 인식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를 미리 결정하지 않고 단지 그것에 수반되는 자유로운 의지의 결정을 제공한다.
3. 가톨릭 교회 내의 교리적 갈등
유명론은 스코투스보다 오래되었지만, 오컴주의에서 그 부활은 스코투스 사상의 일부 명제들이 일방적으로 과장된 데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스코투스주의의 형식주의는 유명론과 정반대이며, 스코투스주의자들은 유명론에 맞서 싸우는 데 있어 토마스주의자들과 뜻을 같이 했다. 오컴 자신도 스코투스의 강력한 반대자였다. 트리엔트 공의회는 스코투스주의자들이 특히 강조했던 일련의 교리들(예: 의지의 자유, 은총과의 자유로운 협력 등)을 교리로 정의했다. 다른 점에서는 공의회 교령이 스코투스주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구성되었다(예: 최초의 인간이 성결과 정의 안에서 구성되었다는 것). 이는 바티칸 공의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나님의 예지, 예정, 자유 의지에 대한 은총의 관계에 관한 토마스주의-몰리나주의 논쟁에서 스코투스주의자들은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그들은 양측 중 하나를 지지하거나, 토마스주의자들의 예정설과 몰리나주의자들의 중간 지식을 모두 거부하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스코투스주의에서 하나님은 자유로운 미래의 행위를 그 본질 안에서 인식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를 미리 결정하지 않고 단지 그것에 수반되는 자유로운 의지의 결정을 제공한다.
예수회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일련의 스코투스주의 명제를 채택했다. 이후 권위자들은 이러한 명제 중 많은 부분을 부분적으로 거부했으며, 또 다른 일련의 명제는 오해를 바탕으로 가톨릭 신학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예를 들어, '존재의 동일성' 교리, 그리스도와 인간의 공로 수용 등이다.
수많은 다른 명제들이 받아들여졌거나 적어도 많은 가톨릭 학자들에 의해 호의적으로 다루어졌으며, 그 중에는 심리학의 많은 명제들이 있다. 예를 들어, 영혼의 능력은 영혼의 단순한 우연적 속성, 심지어 자연적이고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영혼의 본질이나 서로에게서 실질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또한 천사 교리에 관한 많은 명제를 스코투스주의에서 가져왔다.
4. 철학과 신학에 미친 영향
스코투스주의는 철학과 신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토마스 아퀴나스와 토마스주의 학파에 대한 비판을 가했다는 사실은 스코투스주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한가지 예시이다.
Sarnano(Costanzo Torri, ''Conciliatio omnium controversiarum etc.'' (1589– ))와 같이 스코투스주의의 가르침과 아퀴나스의 가르침을 비교하려는 시도가 자주 이루어졌다. 많은 경우, 차이점은 주로 용어에 있으며, 스코투스나 아퀴나스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고 다른 부분을 넘어가거나 완화하면 조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몇 가지 요점에 대해 일부 모순이 남아 있다.
스코투스주의는 프란치스코회 안에서 지지자를 찾았다. 도미니코회(즉, 아퀴나스)에 대한 반대는 그 수도회의 많은 구성원들을 스코투스의 제자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것이 스코투스주의의 기초와 발전을 두 수도회의 경쟁의 산물로 간주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스코투스주의 교리는 또한 많은 소(小)수도회에 의해 지지받았다. 또한 스코투스주의는 특히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페인에서 세속 교수들과 다른 수도회(예: 아우구스티누스회, 세르비테회 등)에서 적지 않은 지지자를 얻었다. 콘벤투알회는 스코투스를 가장 충실하게 지지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파도바 대학교에서 그러했다.
5. 스코투스 학파의 등장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 요한 둔스 스코투스의 저작들이 수집, 출판되고 주석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스코투스 학파가 형성되었다. 1501년부터 시작된 수도회 총회는 스코투스주의를 수도회의 가르침으로 자주 권고하거나 직접 규정했다.
스코투스주의는 17세기 초에 절정에 달했다. 16세기와 17세기 동안 파리, 로마, 코임브라, 살라망카, 알칼라, 파두아, 파비아 등 유럽 각지의 대학교에서 스코투스 학파 전용 강좌가 개설되었다. 18세기에도 스코투스주의는 여전히 중요한 추종 세력을 유지했지만, 19세기에는 크게 쇠퇴했다. 이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수도회가 반복적으로 탄압받았고, 여러 교황들이 성 토마스의 가르침을 권장했기 때문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스코투스주의가 가톨릭교회에서 단순히 용인되는 정도였다고 묘사한다. 그러나 가톨릭 백과사전은 이러한 주장에 반박하며, 스코투스주의의 어떤 명제도 비난받지 않았고, 많은 저명한 가톨릭 인사들이 스코투스주의의 지지자였으며, 다양한 일반 규정에서 이를 권장한다고 주장한다. 레오 13세와 비오 10세는 칙서를 통해 성 토마스뿐만 아니라 스콜라 철학 전반, 그리고 스코투스 학파까지도 권장했다.
6. 스코투스주의자들
대부분의 스코투스주의자들은 철학자이자 신학자였다. 14세기의 주목할 만한 스코투스주의자로는 안토니우스 안드레아와 ''Tractatus de transcendentibus''의 저자 프란치스코 데 마이론(c. 1280–1328)이 있다. 프란치스코 마이론은 파리 대학교에 ''actus sorbonicus''를 도입했다.
6. 1. 14세기
6. 2. 15세기와 16세기
15세기 스코투스주의자로는 두 명의 교황, 알렉산데르 5세와 식스토 4세, 작센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 그리고 안젤루스 키바시우스가 있었다. 후자의 스코투스주의 신학에 대한 저술은 너무나 악명 높아 마르틴 루터에 의해 분서되었다.16세기에는 튀빙겐 대학교의 저명한 교수인 파울 스크립토리스와 아테네 대주교 안토니오 트롬베타가 주목할 만한 스코투스주의자였다.
6. 3. 17세기와 18세기
안젤로 불페(볼페)는 12권의 대형본으로 된 『수마』와 『스코투스 신학 해설』을 저술했다. 루크 와딩은 저명한 연대기 작가로, 로마의 S. 이시도르 칼리지에서 다른 아일랜드인들과 함께 스코투스의 전집(12권, 리옹, 1639년)을 편집했다. 람베르투스 람브레흐트는 비엔나의 스코투스라고 불렸다. 추기경 로렌조 브란카티 디 라우리아는 여러 교황들에게 큰 총애를 받았다. 프란시스코 마세도는 포르투갈 출신으로 파도바 대학교의 교수였으며, 100편이 넘는 저서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졌고 공개 토론으로 명성을 얻었다. 클로드 프라센은 30년 동안 소르본 대학교의 저명한 교수였으며, "스코투스 아카데미쿠스, 즉 스코투스 신학 전반"을 저술했다. 바르톨로메우스 뒤랑은 위대한 『스코투스 신학의 방패』를 저술했다.6. 4. 19세기
19세기에는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규정에 따라 학교에서 스코투스주의가 유지되었지만, 이 전통에 따른 주목할 만한 작품이나 인물은 거의 없었다.6. 5. 20세기와 21세기
20세기와 21세기에 스코투스주의는 다소 구식화되었지만, 케난 오스본(Kenan Osborne OFM)과 다니엘 호란(Daniel Horan) OFM과 같이 프란치스코회 출신의 여러 현대 신학자들은 스코투스주의 전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가톨릭 대학교의 스코투스 프로젝트, 로마의 국제 스코투스 위원회, OFM 영어권 회의의 프란치스코 지성 전통 위원회 등 여러 최근 프로젝트들은 당대 신학에서 둔스 스코투스와 스코투스주의에 대한 인식을 높이려는 노력을 해왔다. 스코투스주의는 영국 성공회의 리처드 크로스와 토마스 윌리엄스를 포함하여,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와 같은 개신교 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7. 현대의 스코투스주의 연구
참조
[1]
문서
Ordinatio III, d.3, q.1
[2]
웹사이트
Papal Definition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www.ewtn.com/[...]
[3]
웹사이트
Aeterni Patris (August 4, 1879) {{!}} LEO XIII
https://www.vatican.[...]
2023-04-29
[4]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September 1, 1681
http://www.fiu.edu/~[...]
[5]
웹사이트
Bartholomaeus Durandus
http://users.bart.nl[...]
[6]
논문
John Duns Scotus on God's Foreknowledge and Future Contingents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