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탄 켄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탄 켄튼은 미국의 재즈 음악가로, 빅 밴드 재즈의 편곡 형식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11년 캔자스주 위치타에서 태어나 197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했으며, 피아니스트, 밴드 리더, 작곡가, 교육자로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켄튼은 여러 시기에 걸쳐 밴드의 스타일을 변화시키며, 실험적인 사운드를 추구했다. 그의 음악은 "재즈 클리닉"을 통해 재즈 교육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사운드의 벽"과 같은 독특한 스타일로 평가받는다. 켄턴은 여러 차례 결혼했으며, 1960년대에는 멜로폰을 활용한 음악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1970년대에는 건강 악화로 활동을 중단했다. 그의 음악은 골드 레코드와 빌보드 차트 히트곡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사후에도 다큐멘터리 제작과 재즈 클리닉을 통해 그의 유산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편곡가 - 레이 앤서니
레이 앤서니는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으로 트럼펫 연주를 시작해 글렌 밀러 밴드에서 활동했으며,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히트곡을 발표하고 텔레비전 음악 감독과 영화에 출연하며 빅 밴드 리더로 활동하다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편곡가 - 윌리 딕슨
윌리 딕슨은 시카고 블루스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베이시스트, 작곡가, 가수, 프로듀서로, 체스 레코드에서 머디 워터스, 척 베리, 하울린 울프 등과 협력했으며, "후치 쿠치 맨", "리틀 레드 루스터"를 포함한 500곡 이상의 블루스 표준곡을 작곡했고, 블루스 헤븐 재단을 설립하여 블루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캐피틀 레코드 아티스트 - 지미 헨드릭스
지미 헨드릭스는 1960년대 후반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를 결성하여 혁신적인 앨범을 발표하고 파격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을 선보이며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 캐피틀 레코드 아티스트 - 비틀즈
1960년대 영국에서 결성되어 혁신적인 음악과 문화적 현상을 일으키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멤버 간의 갈등으로 1970년 해산한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로 구성된 록 밴드가 비틀즈이다. - 캘리포니아주 출신 음악가 - 오스틴 버틀러
오스틴 버틀러는 1991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배우로, 2005년 연기를 시작하여 《엘비스》에서 엘비스 프레슬리 역을 맡아 호평을 받으며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과 골든 글로브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캘리포니아주 출신 음악가 - 잭 블랙
잭 블랙은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가수, 작곡가, 유튜버로, 영화 《스쿨 오브 락》, 《쿵푸 팬더》 시리즈 등에 출연했으며, 2018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스탄 켄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탠리 뉴컴 켄튼 |
출생 | 1911년 12월 15일 |
사망 | 1979년 8월 25일 |
사망 장소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출생지 | 위치타, 캔자스, 미국 |
활동 연도 | 1930–1978 |
악기 | 피아노 |
장르 | 프로그레시브 재즈 웨스트 코스트 재즈 스윙 관현악 재즈 |
직업 | 밴드 리더 음악가 작곡가 편곡가 |
관련 인물 | |
과거 멤버 | 메이너드 퍼거슨 주트 심스 게리 멀리건 냇 킹 콜 애니타 오데이 럭키 톰슨 준 크리스티 크리스 코너 아트 페퍼 피트 루골로 피터 어스킨 에디 사프란스키 |
추가 정보 | |
레이블 | 캐피틀 데카 크리에이티브 월드 |
2. 초기 생애
스탄 켄튼은 1911년 12월 15일 캔자스주 위치타에서 태어났다. 그는 세 살, 여덟 살 터울의 두 여동생(뷸라와 에르마 메이)을 두었다. 그의 부모인 플로이드와 스텔라 켄튼은 가족을 콜로라도로 이주했고, 1924년에는 로스앤젤레스 광역권으로 이주하여 교외 지역인 캘리포니아주 벨에 정착했다.
스탄 켄튼은 1941년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조직하여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1943년 캐피털 레코드와 계약하면서 "Eager Beaver" 등의 곡으로 인지도를 높였다. 1940년대 중반에는 '사운드 벽(The Wall of Sound)'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독특한 스타일을 구축했으며, 아트 페퍼, 스탄 게츠 등 뛰어난 솔리스트들을 영입하여 밴드의 역량을 강화했다. 또한, 가수 준 크리스티의 히트곡들은 밴드의 재정적 안정에 기여했다.
켄튼은 벨 고등학교에 다녔으며, 그의 고등학교 졸업 앨범 사진에는 "재즈 노인"이라는 예언적인 문구가 적혀 있었다. 10대 시절 지역 피아니스트 겸 오르간 연주자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15세 즈음 고등학교 재학 시절, 피아니스트이자 편곡가인 랄프 야우(Ralph Yaw)는 그에게 루이 암스트롱과 얼 하인스의 음악을 소개했다. 그는 1930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6세가 되던 해, 켄튼은 이미 지역 햄버거 가게에서 밤에 50USD와 팁을 받는 정기적인 피아노 독주 연주를 하고 있었다. 그 시기에 그는 "벨톤스(The Bell-Tones)"라는 자신의 공연 그룹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첫 번째 편곡은 이 시기에 근처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연주하는 8인조 밴드를 위해 쓰여졌다.
1930년대(그의 20대)에는 비도 무소와 함께 댄스 밴드와 할리우드의 스튜디오에서 연주했지만, 본심으로는 자신의 밴드를 이끄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음악 활동
켄튼은 자신의 음악을 "프로그레시브 재즈"라고 칭하며, 단순한 댄스 밴드를 넘어선 콘서트 오케스트라를 지향했다. 피트 루고로를 수석 편곡자로 영입하여 음악적 실험을 시도했으며, 아프로-쿠바 음악의 요소를 도입하기도 했다. 1947년에는 'Artistry in Rhythm' 앙상블을 해체하고, 5개월간의 공백기 후 '프로그레시브 재즈 콘서트'를 선보이는 새로운 앙상블을 구성했다. 이 시기에는 밥 그라에팅거 등 새로운 작곡가들이 참여하여 더욱 진보적인 음악을 선보였다.
1950년에는 16개의 현악기를 포함한 39인조 대규모 오케스트라인 '현대 음악의 혁신(Innovations in Modern Music)'을 구성했으나,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19인조 라인업으로 복귀하여 게리 멀리건, 조니 리차드 등 새로운 편곡자들과 함께 비밥 스타일의 음악을 선보였다. 1953년 앨범 《리듬의 예술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New Concepts of Artistry in Rhythm)》은 켄튼의 밴드 리더 경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1950년대 중후반에는 《쿠반 파이어!》 앨범을 통해 라틴 재즈를 선보였고, 《실루엣의 스탠다드(Standards in Silhouette)》 앨범으로 성숙한 작곡과 공간 활용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엘비스 프레슬리 등 새로운 대중음악 아티스트들의 등장으로 켄튼 오케스트라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멜로포니움 섹션을 추가한 새로운 밴드로 인기를 회복했다. 《Kenton's West Side Story》, 《Adventures In Jazz》 앨범으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며 음악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1963년에는 멜로포니움 밴드 시대를 마감하고, 1964년에는 제3의 흐름 음악으로의 발전을 보여주는 《Kenton / Wagner》 앨범을 발표했다.
1970년에는 캐피톨 레코드에서 크리에이티브 월드 레코드사로 이적하여 젊은 청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새로운 음악을 시도했다. 행크 레비, 밥 커노우 등 새로운 편곡자들과 함께 활동하며, 음반 산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했다. 켄튼은 1978년 건강 악화로 밴드를 해체할 때까지 지속적인 투어와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3. 1. 1930년대
자금이 부족했던 켄튼은 피아노를 연주하며 샌디에이고와 라스베이거스의 비밀 술집을 돌아다녔다.[1] 1932년까지 그는 프랜시스 길버트 테리토리 밴드와 함께 연주하며 애리조나를 순회했으며, 1933년에는 에버렛 호글랜드 오케스트라와 함께 활동했는데, 이때가 렌데부 볼룸에서 처음 연주한 시기였다. 그 후 러스 플러머, 할 그레이슨과 함께 연주했으며, 마침내 거스 언하임과 함께 큰 기회를 얻게 되었다.[1]
1936년 4월, 언하임은 밴드를 베니 굿맨 스타일로 재편성했고, 켄튼은 피아노 자리를 맡게 되었다. 1937년 여름 언하임이 브런스윅 레이블을 위해 14곡을 녹음하면서 켄튼은 처음으로 녹음을 하게 되었다. 거스 언하임 그룹을 떠난 켄튼은 피아노와 작곡을 개인 교습을 받으며 공부했다. 1938년 켄튼은 비도 무소와 함께 짧은 기간 동안 밴드에 합류했지만, 그에게 매우 교육적인 경험이 되었다.
3. 2. 1940년대
1940년, 켄튼은 자신의 첫 오케스트라를 결성했다. 초기에는 편곡자로서 더 많은 활동을 했다. 첫 밴드에는 하워드 럼지(베이스), 치코 알바레즈(트럼펫)를 제외하면 유명한 뮤지션은 없었지만, 1941년 여름 캘리포니아주 뉴포트 비치의 랑데부 볼룸(Rendezvous Ballroom)에서 정기 공연을 가졌다.[3] 베니 카터(Benny Carter)와 지미 런스포드(Jimmie Lunceford)의 영향을 받은 켄튼 오케스트라는 초창기 성공 이후 한동안 어려움을 겪었다. 데카 레코드(Decca Records)의 음반 판매 부진과 1943-44 시즌 밥 호프 라디오 밴드에서의 불운한 경험을 겪었고, 레스 브라운(Les Brown)에게 자리를 내주었다.[3]
1942년 2월 로즈랜드 볼룸(Roseland Ballroom)에서 뉴욕에 처음으로 출연했고, 간판에는 프레드 아스테어(Fred Astaire)의 보증 문구가 있었다.[4] 1943년 말, 캐피톨 레코드(Capitol Records)와 계약하고 "Eager Beaver"를 발매하면서 점차 인기를 얻어 1940년대 가장 유명한 서부 해안 앙상블 중 하나로 성장했다. 전쟁 기간 동안 아트 페퍼(Art Pepper), 스탄 게츠(Stan Getz), 부츠 무솔리(Boots Mussulli), 애니타 오데이(Anita O'Day) 등이 솔리스트로 참여했다.[3] 1945년, 작곡가 조 그린은 "And Her Tears Flowed Like Wine", "Don't Let the Sun Catch You Cryin'"과 같은 히트곡의 가사를 제공했다.[5] 피트 루골로가 수석 편곡자가 되었고, 밥 쿠퍼와 비도 무소는 테너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준 크리스티가 새로운 가수로 합류했다. 그녀의 히트곡("Tampico", 조 그린의 "Across the Alley from the Alamo" 포함)은 켄튼이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3. 2. 1. 리듬의 예술성 (Artistry in Rhythm)
피트 루골로가 1945년 말 스탠 켄턴 오케스트라의 전속 편곡가로 합류하면서 재즈, 스트라빈스키, 바르토크에 대한 영향을 가져왔다. 켄턴으로부터 자유로운 권한을 부여받은 루골로는 실험을 했고, 켄턴 자신이 루골로 재직 전에도 이미 실험적인 악보를 시도하고 있었지만, 밴드를 예술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추가적인 재즈와 클래식의 영향을 가져온 것은 루골로였다.[6]
루골로는 직책을 맡은 처음 6개월 동안 켄턴의 사운드를 모방하려고 노력했고, 리더의 격려에 힘입어 자신의 목소리를 탐구했다. 그가 연구한 현대 클래식 음악에서 차용한 작곡 기법을 통합함으로써 루골로는 켄턴의 가장 풍부하고 창의적인 시기의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6]
대부분의 편곡 작업을 마친 후 루골로는 켄턴이 1946년 밴드의 첫 앨범 (''Artistry in Rhythm'')에서 선보인 세 곡의 오리지널 곡("Artistry in Percussion", "Safranski", "Artistry in Bolero")을 만들었다. 1947년 초에는 "Machito", "Rhythm Incorporated", "Monotony", "Interlude"가 추가되었다(일부는 그해 말에 녹음됨). 이러한 작곡들은 준 크리스티의 목소리와 함께 ''Artistry in Rhythm'' 밴드를 정의하게 되었다. 루골로의 "Machito"와 같은 작곡들을 통해 아프로-쿠바 작곡이 켄턴의 레퍼토리에 추가되었다. 그 결과 상당한 양의 금관악기를 활용한 악기 편성은 "사운드의 벽"으로 묘사되었다.[7]
''Artistry in Rhythm'' 앙상블은 뛰어난 솔리스트들이 함께 한 획기적인 밴드였다. 1947년 초, 스탠 켄턴 오케스트라는 재정적, 대중적 성공의 정점에 도달하여 미국 최고의 극장과 무도회장에서 공연했으며 수많은 히트 곡을 냈다. 켄턴은 음반 사인회, 라디오 방송국 인터뷰, 캐피톨 레코드 광고를 위한 시간을 가졌다. 재정적, 개인적 요구로 인해 터스컬루사에서 4월 공연을 마친 후, 그는 ''Artistry in Rhythm'' 형태의 켄턴 앙상블을 해체했다.
3. 2. 2. 프로그레시브 재즈 (Progressive Jazz)
5개월간의 공백기를 가진 후, 켄턴은 새로운 앙상블을 구성하여 "프로그레시브 재즈 콘서트"를 선보였다. 앙상블을 유지하는 것은 대부분 가능했지만, 밴드는 특히 여름 동안 댄스 공연과 영화관 공연을 채워야 했다.
피트 루골로는 새로운 음악의 대부분을 작곡하고 편곡했다. 켄턴은 이 작품들을 "프로그레시브 재즈"라고 선언했다. 유명한 작곡가이자 교육자인 러셀 가르시아의 제자인 밥 그라에팅거는 밴드를 위해 수많은 작품을 썼는데, 그의 작곡 "Thermopylae"가 그 시작이었다. 그의 획기적인 작품 "City of Glass"는 1948년 4월 시카고에서 밴드에 의해 초연되었지만, 2년 반 후에 혁신 오케스트라를 위해 재작업된 버전으로 녹음되었다. 켄 한나는 트럼펫 연주자로 투어를 시작하여 "Somnambulism"을 포함한 몇 곡을 새 밴드에 기여했다. 켄턴은 "프로그레시브 재즈" 밴드에 새로운 악보를 기여하지 않았지만, "Concerto to End All Concertos", "Eager Beaver", "Opus in Pastels", "Artistry in Rhythm"을 포함한 몇몇 그의 이전 작품들이 콘서트에서 연주되었다.
"프로그레시브 재즈" 시대의 쿠바풍 곡으로는 루골로의 "Introduction to a Latin Rhythm", "Cuban Carnival", "The Peanut Vendor", "Journey to Brazil", 그리고 밥 그라에팅거의 "Cuban Pastorale" 등이 있다. 밴드에 정규직 봉고 연주자와 브라질 기타리스트가 추가되면서 켄튼의 작곡가들은 아프로-라틴 리듬을 훨씬 더 폭넓게 탐구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그레시브 재즈" 시대는 1947년 9월 24일 Rendezvous Ballroom에서 스탠 켄턴 오케스트라가 콘서트를 연 것을 시작으로 14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그리고 1948년 12월 14일 뉴욕 파라마운트 극장에서의 마지막 공연으로 끝을 맺었다. 1948년 한 해 동안 지속된 미국 음악가 연맹의 녹음 금지 조치로 인해 밴드는 한 장의 앨범과 몇 개의 싱글만을 제작했다.
유일한 음반인 "A Presentation of Progressive Jazz"는 톰 헤릭에 의해 DownBeat에서 4점 만점에 3점을 받았다. 메트로놈은 "C" 등급을 매기며 "효과와 반대 효과의 어설픈 엉터리"이며 "이 앨범은 재즈나 프로그레시브라고 정당하게 부를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고 평했다. Billboard는 100점 만점에 80점을 매겼지만 "의심하지 않는 대중에게 풀린 적 없는 혼란스러운 소리의 엉터리 모음"이라고 선언했다.
"Artistry" 밴드의 많은 사이드맨들이 돌아왔지만,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라우린도 알메이다의 클래식 기타와 잭 코스탄조의 봉고는 밴드의 음색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둘 다 켄튼 밴드에게는 처음이었고, 어떠한 재즈 밴드에게도 처음이었다. 리듬 섹션에는 에디 사프란스키(베이스)와 셸리 만(드럼)이 돌아왔으며, 둘 다 다운 비트 어워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섯 명의 트럼펫 연주자 중 네 명이 돌아왔다: 버디 차일더스, 레이 웨첼, 치코 알바레즈, 그리고 켄 한나. 알 포르시노가 이미 강력한 섹션에 추가되었다. 콘테 칸돌리는 1948년 2월에 포르시노를 대신하여 밴드에 합류했다.
카이 와인딩, "Artistry in Rhythm" 밴드의 스타 트롬본 연주자는 몇 차례 대타로 나온 것을 제외하고는 "프로그레시브 재즈" 시대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밀트 번하트가 리드 트롬본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바트 바르살로나가 베이스 트롬본으로 돌아왔다. 번하트가 켄튼 밴드와 함께 한 첫 번째 주요 솔로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The Peanut Vendor"였다.
색소폰 섹션은 훨씬 개선되고 현대화되었다. 바리톤 밥 지오가는 처음부터 자리를 지키며 돌아온 색소폰 연주자였고, 밥 쿠퍼는 테너 색소폰을 연주했다. 비도 무소가 떠나면서 쿠퍼와 그의 모더니스트 사운드는 주 테너 솔리스트가 되었다. 아트 페퍼는 두 번째 알토, 즉 "재즈" 자리에 들어왔다. 그리고 새로운 리드 알토는 조지 윌리엄 와이들러였다.
이 밴드는 진정으로 올스타 밴드였다. 그들은 1947년 말 다운 비트 투표에서 5개의 1위 상을 받았고, 다른 잡지에서도 비슷한 상을 받았다. 편곡자들은 그들의 작곡에서 이러한 훌륭한 악기 연주자들의 한계를 계속 밀어붙였다. 이 시대의 작품들은 "Artistry" 밴드를 위해 쓰여진 작품들보다 더 세련되었으며, 최초이자 가장 성공적인 "third stream" 작곡 중 일부이다.
밴드는 전국을 횡단하며 카네기 홀, 보스턴 심포니 홀, 시카고 시빅 오페라 하우스, Academy of Music (Philadelphia), 그리고 할리우드 보울을 포함한 국내 최고의 콘서트 공연장에 출연했다. 그들은 뉴욕의 파라마운트 극장과 호텔 코모도어, 필라델피아의 클릭, 디트로이트의 이스트우드 가든, 미니애폴리스의 라디오 시티 극장, 그리고 켄튼의 음악 생활에서 특별한 장소였던 Rendezvous Ballroom에서 장기간 공연을 했다.
켄튼의 밴드는 유명한 야외 경기장인 할리우드 보울에서 콘서트를 선보인 최초의 밴드였다. 1948년 6월 12일 그곳에서의 그의 콘서트는 15,000명 이상의 관객을 끌어모았고, 예술적,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켄튼은 박스 오피스의 절반을 챙겨, 그날 저녁 콘서트에 13000USD를 벌었다.
밴드는 전국에서 관람 기록을 깼다. 켄튼의 홍보 수완 덕분에 그는 콘서트 관람객과 음반 구매자들에게 그의 음악의 중요성을 설득할 수 있었다. 코미디 넘버와 준 크리스티의 보컬은 새로운 음악의 진지함을 깨는 데 도움이 되었다.
켄튼의 성공은 모든 사람에게 호의적이지 않았다. "재즈의 경제와 인종"이라는 에세이에서 레슬리 B. 루트 주니어는 다음과 같이 썼다:
> "1946-1949년 기간의 진짜 재앙은 백인으로만 구성된 스탠 켄튼 밴드였다. 그의 음악 레퍼토리를 ''프로그레시브 재즈''라고 칭하면서, 켄튼은 그의 오케스트라가 재즈 역사상 최초로 1948년에 연간 총액 100만 달러를 달성하게 했다."
루트는 이것을 또 다른 주요 재즈 아티스트에 대한 비판적이고 대중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과 대조했다.
> "디지 길레스피는 최고의 비밥 연주자로서 현실의 동전으로 변형될 수 없었다."
1948년 말, 밴드가 뉴욕 시의 파라마운트 극장에서 장기 공연을 하는 동안, 리더는 그의 사이드맨, 부커 및 언론에게 다시 해산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켄튼의 가장 예술적이고 상업적으로 성공한 밴드는 그들의 정점에서 멈추었다. 1948년 12월 14일, 스탠 켄튼 오케스트라는 1년 이상 마지막 연주를 했다. 그들은 새로운 얼굴, 새로운 음악, 그리고 현악 섹션을 가지고 돌아올 것이다.
3. 3. 1950년대
1950년, 켄튼은 39인조 대규모 오케스트라인 현대 음악의 혁신(Innovations in Modern Music)을 구성했다. 여기에는 16개의 현악기, 목관악기 섹션, 2개의 프렌치 호른이 포함되었다. 이 오케스트라는 밥 그라팅거, 매니 알밤, 프랭클린 마크스 등이 작곡한 작품의 연장선이었다.[1] 메이너드 퍼거슨, 쇼티 로저스, 밀트 베른하트, 아트 페퍼, 준 크리스티 등 유명 재즈 뮤지션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이 오케스트라는 두 번의 투어를 진행했지만 상업적으로는 큰 실패를 겪었고, 켄튼은 곧 19인조 라인업으로 복귀했다.[1]
1951년, 켄튼은 밴드를 재편성하여 색소폰 5개, 트롬본 5개, 트럼펫 5개, 피아노, 기타, 베이스, 드럼으로 구성된 표준적인 악기 편성을 갖추었다. 게리 멀리건, 조니 리차드, 빌 홀먼, 빌 루소와 같은 편곡자들이 레퍼토리를 주도했다. 이 음악은 디지 길레스피, 우디 허먼과 같은 비밥 지향 빅 밴드의 스타일을 반영했다. 메이너드 퍼거슨, 리 코니츠, 콘테 칸돌리, 프랭크 로솔리노 등 젊은 연주자들이 참여하여 밴드의 수준을 높였다.[1] 1953년 앨범 ''리듬의 예술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New Concepts of Artistry in Rhythm)''은 켄튼의 밴드 리더 경력에서 중요한 지점으로 평가받는다.
1953년 앨범 ''스탠다드에 대한 스케치(Sketches on Standards)''는 켄튼이 밴드와 빌 루소의 편곡 능력을 활용하여 대중에게 어필한 좋은 예이다.[1] 1954년에는 드러머 멜 루이스가 합류하여 밴드의 스윙감을 더했다. 이 시기 켄튼의 앨범 ''현대적 개념(Contemporary Concepts)''(1955)과 ''하이파이 켄튼(Kenton in Hi-Fi)''(1956)은 비밥과 표준 댄스 녹음으로 매우 인상적이었다.[1] ''하이파이 켄튼(Kenton in Hi-Fi)''은 10년 전 히트곡들을 스테레오로 재녹음하여 빌보드 앨범 차트 22위까지 오르며 큰 인기를 얻었다.[1]
1955년 여름, 켄튼은 CBS 텔레비전 시리즈 ''뮤직 55''(Music 55)의 진행을 맡았으나, 열악한 제작 기술과 이상한 게스트 조합으로 인해 실패했다.[18] 1958년에는 로스앤젤레스 KTTV에서 켄튼 자금 지원 에피소드가 6회 방영되었으나, 스폰서를 찾지 못해 중단되었다.[1]
1956년 발매된 ''쿠반 파이어!''(Cuban Fire!) 앨범은 조니 리차드의 경력에 분수령이 되는 작품이자, 켄튼 오케스트라의 뛰어난 성과이며, 대규모 앙상블 라틴 재즈 녹음의 랜드마크로 평가받는다.[19][1] 이 앨범은 빅 밴드 재즈와 라틴 아메리카 리듬을 결합한 방식으로 진정성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32]
1956년, 켄튼은 ''다운 비트(Down Beat)'' 비평가 투표 결과에 대해 "새로운 소수 민족, 백인 재즈 음악가"를 비난하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재즈 평론가 레너드 페더는 켄튼의 인종적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는 공개 서한을 보냈다.[1]
1959년, 켄튼은 19인조 오케스트라의 마지막 형태로 ''실루엣의 스탠다드(Standards in Silhouette)'' 앨범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성숙한 작곡, 공간 활용, 라이브 그룹의 풀 스테레오 녹음 등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20][21]
1950년대 후반, 켄튼 오케스트라는 엘비스 프레슬리 등 신세대 대중음악 아티스트들과의 경쟁으로 판매량과 인기가 감소했다. 1958년경에는 경기 침체와 맞물려 어려움을 겪었고, 콘서트 관객 부족으로 댄스홀에 의존하게 되었다.[21]
3. 4. 1960년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탠 켄튼 오케스트라는 엘비스 프레슬리, 바비 대린 등 새로운 대중음악 스타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음반 판매량과 인기가 점차 감소했다. 1958년경에는 국가적인 경기 침체와 맞물려 활동하는 빅 밴드가 줄어들고, 켄튼 오케스트라는 공연장 섭외에 어려움을 겪었다. 1959년에는 콘서트 관객 부족으로 댄스홀 공연에 더 의존해야 했다.[21]
하지만 1960년, 켄튼은 새로운 사운드와 함께 '멜로포니움' 섹션을 추가한 더 큰 규모의 밴드로 재편성하여 인기를 회복했다.[21] 켄튼은 멜로포니움을 사용하여 트럼펫과 트롬본 섹션 사이의 음역과 음색의 "간극을 메우"려 했다. 원뿔형의 오케스트라에서 호른(프렌치 호른)과 유사한 중간 음역의 소리를 냈지만, 악기의 벨은 앞으로 향했다.
1961년에 발매된 《The Romantic Approach》는 캐피톨에서 발매된 "멜로포니움 밴드"를 특징으로 하는 11개의 LP 중 첫 번째 앨범이었다. 켄튼은 이 앨범 전체를 직접 편곡했으며, 1961년 9월 《다운 비트》에서 호평을 받았다.[22]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켄튼 오케스트라는 꾸준한 녹음 활동을 통해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Kenton's West Side Story》 (조니 리처즈 편곡)와 《Adventures In Jazz》 앨범은 각각 1962년과 1963년에 그래미 상을 수상했다. 랄프 카마이클이 편곡한 크리스마스 곡들은 《A Merry Christmas!》 앨범으로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조니 리처즈의 《Adventures in Time》 스위트(1962년 녹음)는 멜로포니움 밴드의 정점을 보여주었다.[23]
1963년 가을, 미국/영국 투어를 마친 후 켄튼 밴드의 멜로포니움 시대는 막을 내렸다. 재즈 가수 앤 리처즈와의 이혼 조건으로, 스탠은 두 자녀 양육을 위해 1년간 투어를 중단해야 했다.[24] 켄튼은 1965년까지 새로운 투어 밴드를 결성하지 않았다.
1962년에는 컨트리 가수 빌 앤더슨이 쓰고 켄튼이 내레이션을 맡은 싱글 "Mama Sang a Song"을 발표하여 마지막 톱 40 히트(빌보드 32위, 뮤직 벤더 22위)를 기록했다. 이 싱글은 이듬해 그래미 최우수 다큐멘터리 또는 스포큰 워드 레코딩 부문 후보에 올랐다. 같은 해에 발매된 《Stan Kenton! Tex Ritter!》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멜로포니움 밴드 해체 후, 1964년에 발매된 《Kenton / Wagner》는 켄튼이 직접 편곡한 중요한 프로젝트로, 제3의 흐름 음악으로의 발전을 보여주었다. 상업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했지만, 켄튼을 '예술 음악' 해석의 선두 주자로 만들었다. 1965년에 발매된 《Stan Kenton Conducts the Los Angeles Neophonic Orchestra》는 또 다른 그래미 후보 지명을 안겨준 예술적인 성공작이었다. 이 시기에 켄튼은 NBC 텔레비전 시리즈 《Mister Roberts》(1965–66)의 주제가를 공동 작곡하기도 했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캐피톨에서 발매된 스탠 켄튼의 음반들은 그의 경력에서 심각한 저점이었다. 캐피톨 프로듀서 리 질레트는 1968년 뮤지컬 《헤어》를 포함한 인기 히트곡들을 활용하려 했지만, 캐피톨의 홍보 부족으로 인해 4개의 LP는 재정적으로 실패했다. 이는 켄튼과 캐피톨의 마지막 음반이 되었다. 켄튼은 《헤어》 LP 녹음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랄프 카마이클과 레니 니하우스가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예외적으로, 1967년에 발표된 《드래그넷》 테마곡은 빌보드 차트 싱글에 올랐고, 전 밴드 멤버 디 바턴의 음악을 담은 《The Jazz Compositions of Dee Barton》(1967)은 상업적으로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예술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
3. 5. 1970년대
1970년 캐피톨에서 크리에이티브 월드 레코드사로 이적한 것은 음악 사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기였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켄튼은 행크 레비와 밥 커노우 같은 편곡자들에게 젊은 청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곡을 의뢰했다. 켄튼은 음반 산업을 우회하고, 크리에이티브 월드 레이블이 음반을 판매하기 위해 필요한 재즈 팬들의 직접 우편 목록에 의존했다.[25] 또한 여러 출판사를 통해 대학 및 고등학교 무대 밴드에 자신의 악보를 제공했다. 켄튼은 1978년 8월 20일 건강 악화로 밴드를 해체할 때까지 빅 밴드를 이끌고 투어를 계속했다.[26]
1973년 6월 밥 커노우는 크리에이티브 월드 레코드사의 전체 운영을 감독하는 새로운 아티스트 및 레퍼토리 매니저로 일하기 시작했다.[27] 켄튼 오케스트라는 1972년에 커노우가 모두 편곡한 40곡의 ''National Anthems of the World'' 더블 LP를 녹음했다.[28]
1970년대 초, 켄튼은 투어를 시작했고 (1972년 런던 공연 포함) 마지막 투어까지 노련한 베테랑 뮤지션들과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젊은 아티스트들을 팀으로 구성했으며, 행크 레비, 빌 홀먼, 밥 커노우 등의 새로운 편곡이 사용되었다.
4. 스탠 켄턴 오케스트라 연대기
스탠 켄턴은 1941년에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조직하여 첫 레코딩을 하였다. 초기에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1943년 말 캐피털 레코드와의 계약을 통해 인지도를 높였다. 그의 밴드는 "사운드 벽(The Wall of Sound)"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졌으며, "리듬의 명수(Artistry in Rhythm)"라고도 불렸다. 켄턴은 얼 하인즈의 영향을 받아 편곡자로서, 그리고 밴드 멤버들에게 창조적 자극을 주는 중요한 존재였다.
1940년대 중반, 아트 페퍼, 스탠 게츠, 애니타 오데이 등을 영입하며 밴드를 확대했다. 피트 루고로가 수석 편곡자가 되었고, 밥 쿠퍼와 비도 무소는 독특한 테너 스타일을 선보였다. 준 크리스티의 히트곡 「Tampico」, 「Across the Alley from the Alamo」 등은 밴드의 재정에 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영화 『로라 살인 사건』의 주제가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더욱 인기를 얻었다.
켄턴은 자신의 음악을 "프로그레시브 재즈"라 칭하며, 콘서트 오케스트라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기간 | 밴드 종류 |
---|---|
1941년 10월 1일 ~ 1947년 10월 1일 | 표준 빅 밴드 |
1947년 10월 1일 ~ 1951년 3월 15일 | 이노베이션 오케스트라 |
1951년 3월 15일 ~ 1959년 12월 31일 | 표준 빅 밴드 |
1960년 1월 1일 ~ 1963년 11월 29일 | 멜로포니엄 빅 밴드 |
1963년 11월 29일 ~ 1965년 11월 29일 | 특별 프로젝트 |
1965년 11월 29일 ~ 1979년 7월 31일 | 표준 빅 밴드 |
5. 유산
켄턴은 미국 음악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빅 밴드 재즈 편곡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음악은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시대에 따라 발전했다. 그는 스탠 켄턴 밴드 클리닉을 통해 재즈 교육을 장려하는 선구자였다. "켄턴 스타일"은 고등학교와 대학교 빅 밴드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가 설계한 재즈 클리닉 프레임워크는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된다.[30]
켄턴은 빅 밴드를 댄스홀에서 콘서트홀로 옮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제3의 흐름 운동의 핵심 연주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음악에 대한 관심은 다시 높아졌고, 비판적인 재발견과 음반 재발매가 증가했다. 그의 이름을 딴 동문 밴드가 트럼펫 연주자 마이크 백스의 지휘 아래 투어를 진행하고 있으며, 클래식 켄턴 편곡과 새로운 음악을 연주한다.[30]
켄턴은 자신의 악보 컬렉션을 노스 텍사스 대학교 음악 도서관에 기증했으며, 스탠 켄턴 재즈 리사이틀 홀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하지만 최근 성적 비위 행위에 대한 우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의 편곡은 현재 시에라 뮤직 출판사에서 출판되고 있다.[31]
6. 개인적인 삶
스탄 켄튼은 세 번 결혼했으며, 처음 두 번의 결혼에서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1935년 비올렛 로다 피터스와의 첫 결혼은 15년간 지속되었으며, 1941년 딸 레슬리를 낳았다. 레슬리 켄턴은 2010년 회고록에서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아버지에게 성적 학대를 당했다고 주장했지만,[33]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36][37][34][35] 그녀는 학대가 아버지가 술에 취했을 때 일어났으며, 20년 후 아버지로부터 사과를 받았다고 말했다.[44][36][37]
1955년, 켄튼은 23세 연하의 가수 앤 리처즈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1961년, 리처즈는 ''플레이보이'' 1961년 6월호에 누드 사진을 게재했다.[38] 켄튼은 이 사실을 ''다운 비트'' 매거진 편집장으로부터 잡지를 받고서야 알게 되었다.[40] 리처즈는 1960년에 켄튼과 함께 ''Two Much!'' 앨범을 녹음했지만, 1961년 8월에 이혼 소송을 제기했고,[41] 1962년에 이혼이 확정되었다. 켄튼은 두 자녀의 양육권을 가졌다.[42][1]
1967년, 켄튼은 KABC 프로덕션 어시스턴트였던 조 앤 힐과 세 번째 결혼을 했으나, 1969년에 별거하고 1970년에 이혼했다.[1] 말년에는 공보 비서이자 마지막 사업 관리자였던 오드리 코크 켄턴과 함께 살았지만, 결혼하지는 않았다.
켄턴의 과도한 음주는 그의 인생 마지막 10년 동안 겪었던 신체적 어려움과 잦은 사고의 원인이 되었다.[43][44] 그의 아들 란스는 캘리포니아의 논란이 많은 시나논 뉴에이지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폭력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다.[45][46]
7. 골드 레코드 및 차트 기록
스탄 켄튼은 "땅콩 장수"와 "Intermission Riff"와 같은 곡으로도 인기를 얻었다.[49]
7. 1. 골드 레코드
- 1944년 ''Artistry in Rhythm'' (캐피털 레코드) 기악[6]
- 1945년 ''탬피코'' (캐피털 레코드) 준 크리스티와 밴드 보컬[6]
- 1945년 ''Shoo-Fly Pie and Apple Pan Dowdy'' (캐피털 레코드) 준 크리스티와 밴드 보컬[6]
연도 | 앨범 | 차트 최고 순위 | 연말 순위 |
---|---|---|---|
1946 | Artistry in Rhythm | 2 (1947년 1월 11일) | #15 (1947) |
7. 2. 차트 싱글 히트곡
1944년부터 1967년까지 스탄 켄튼은 빌보드 차트에서 수많은 히트곡을 냈다.[49]연도 | 제목 | 차트 최고 순위 | |||||||||||||||||||||||||||||||||||||||||||||||||||||||||||||||||||||||||||||||||||||||||||||||||||||||||||||||||||||||||||||||||||||||||||||||||||||||||||||||||||||||||||||||||||||||||||||||||||||||||||||||||||||||||||||||||||||||||||||||||||||||||||||||||||||||||||||||||||||||||||||||||||||||||||||||||||||||||||||||||||||||||||||||||||||||||||||||||||||||||||||||||||||||||||||||||||||||||||||||||||||||||||||||||||||||||||||||||||||||||||||||||||||||||||||||||||||||||||||||||||||||||||||||||||||||||||||||||||||||||||||||||||||||||||||||||||||||||||||||||||||||||||||||||||||||||||||||||||||||||||||||||||||||||||||||||||||||||||||||||||||||||||||||||||||||||||||||||||||||||||||||||||||||||||||||||||||||||||||||||||||||||||||||||||||||||||||||||||||||||||||||||||||||||||||||||||||||||||||||||||||||||||||||||||||||||||||||||||||||||||||||||||||||||||||||||||||||||||||||||||||||||||||||||||||||||||||||||||||||||||||||||||||||||||||||||||||||||||||||||||||||||||||
---|---|---|---|---|---|---|---|---|---|---|---|---|---|---|---|---|---|---|---|---|---|---|---|---|---|---|---|---|---|---|---|---|---|---|---|---|---|---|---|---|---|---|---|---|---|---|---|---|---|---|---|---|---|---|---|---|---|---|---|---|---|---|---|---|---|---|---|---|---|---|---|---|---|---|---|---|---|---|---|---|---|---|---|---|---|---|---|---|---|---|---|---|---|---|---|---|---|---|---|---|---|---|---|---|---|---|---|---|---|---|---|---|---|---|---|---|---|---|---|---|---|---|---|---|---|---|---|---|---|---|---|---|---|---|---|---|---|---|---|---|---|---|---|---|---|---|---|---|---|---|---|---|---|---|---|---|---|---|---|---|---|---|---|---|---|---|---|---|---|---|---|---|---|---|---|---|---|---|---|---|---|---|---|---|---|---|---|---|---|---|---|---|---|---|---|---|---|---|---|---|---|---|---|---|---|---|---|---|---|---|---|---|---|---|---|---|---|---|---|---|---|---|---|---|---|---|---|---|---|---|---|---|---|---|---|---|---|---|---|---|---|---|---|---|---|---|---|---|---|---|---|---|---|---|---|---|---|---|---|---|---|---|---|---|---|---|---|---|---|---|---|---|---|---|---|---|---|---|---|---|---|---|---|---|---|---|---|---|---|---|---|---|---|---|---|---|---|---|---|---|---|---|---|---|---|---|---|---|---|---|---|---|---|---|---|---|---|---|---|---|---|---|---|---|---|---|---|---|---|---|---|---|---|---|---|---|---|---|---|---|---|---|---|---|---|---|---|---|---|---|---|---|---|---|---|---|---|---|---|---|---|---|---|---|---|---|---|---|---|---|---|---|---|---|---|---|---|---|---|---|---|---|---|---|---|---|---|---|---|---|---|---|---|---|---|---|---|---|---|---|---|---|---|---|---|---|---|---|---|---|---|---|---|---|---|---|---|---|---|---|---|---|---|---|---|---|---|---|---|---|---|---|---|---|---|---|---|---|---|---|---|---|---|---|---|---|---|---|---|---|---|---|---|---|---|---|---|---|---|---|---|---|---|---|---|---|---|---|---|---|---|---|---|---|---|---|---|---|---|---|---|---|---|---|---|---|---|---|---|---|---|---|---|---|---|---|---|---|---|---|---|---|---|---|---|---|---|---|---|---|---|---|---|---|---|---|---|---|---|---|---|---|---|---|---|---|---|---|---|---|---|---|---|---|---|---|---|---|---|---|---|---|---|---|---|---|---|---|---|---|---|---|---|---|---|---|---|---|---|---|---|---|---|---|---|---|---|---|---|---|---|---|---|---|---|---|---|---|---|---|---|---|---|---|---|---|---|---|---|---|---|---|---|---|---|---|---|---|---|---|---|---|---|---|---|---|---|---|---|---|---|---|---|---|---|---|---|---|---|---|---|---|---|---|---|---|---|---|---|---|---|---|---|---|---|---|---|---|---|---|---|---|---|---|---|---|---|---|---|---|---|---|---|---|---|---|---|---|---|---|---|---|---|---|---|---|---|---|---|---|---|---|---|---|---|---|---|---|---|---|---|---|---|---|---|---|---|---|---|---|---|---|---|---|---|---|---|---|---|---|---|---|---|---|---|---|---|---|---|---|---|---|---|---|---|---|---|---|---|---|---|---|---|---|---|---|---|---|---|---|---|---|---|---|---|---|---|---|---|---|---|---|---|---|---|---|---|---|---|---|---|---|---|---|---|---|---|---|---|---|---|---|---|---|---|---|---|---|---|---|---|---|---|---|---|---|---|---|---|---|---|---|---|---|---|---|---|---|---|---|---|---|---|---|---|---|---|---|---|---|---|---|---|---|---|---|---|---|---|---|---|---|---|---|---|---|---|---|---|---|---|---|---|---|---|---|---|---|---|---|---|---|---|---|---|---|---|---|---|---|---|---|---|---|---|---|---|---|---|---|---|---|---|---|---|---|---|---|---|---|---|---|---|---|---|---|---|---|---|---|---|---|---|---|---|---|---|---|---|---|---|---|---|---|---|---|---|---|---|---|---|---|---|---|---|---|---|---|---|---|---|---|---|---|---|---|---|---|---|---|---|---|---|---|---|---|---|---|---|---|---|---|---|---|---|---|---|---|---|---|---|---|---|---|---|---|---|---|---|---|---|---|---|---|---|---|---|---|---|---|---|---|---|---|---|---|---|---|---|---|---|---|---|---|---|---|---|---|---|---|---|---|---|---|---|
미국 | 연말 순위 | 미국 R&B | 미국 컨트리 | 미국 성인 컨템포러리 | |||||||||||||||||||||||||||||||||||||||||||||||||||||||||||||||||||||||||||||||||||||||||||||||||||||||||||||||||||||||||||||||||||||||||||||||||||||||||||||||||||||||||||||||||||||||||||||||||||||||||||||||||||||||||||||||||||||||||||||||||||||||||||||||||||||||||||||||||||||||||||||||||||||||||||||||||||||||||||||||||||||||||||||||||||||||||||||||||||||||||||||||||||||||||||||||||||||||||||||||||||||||||||||||||||||||||||||||||||||||||||||||||||||||||||||||||||||||||||||||||||||||||||||||||||||||||||||||||||||||||||||||||||||||||||||||||||||||||||||||||||||||||||||||||||||||||||||||||||||||||||||||||||||||||||||||||||||||||||||||||||||||||||||||||||||||||||||||||||||||||||||||||||||||||||||||||||||||||||||||||||||||||||||||||||||||||||||||||||||||||||||||||||||||||||||||||||||||||||||||||||||||||||||||||||||||||||||||||||||||||||||||||||||||||||||||||||||||||||||||||||||||||||||||||||||||||||||||||||||||||||||||||||||||||||||||||||||||||||||||||||||||||||
1944 | 'Do Nothin Till You Hear from Me'' (레드 도리스 노래) | 20 | 8 | ||||||||||||||||||||||||||||||||||||||||||||||||||||||||||||||||||||||||||||||||||||||||||||||||||||||||||||||||||||||||||||||||||||||||||||||||||||||||||||||||||||||||||||||||||||||||||||||||||||||||||||||||||||||||||||||||||||||||||||||||||||||||||||||||||||||||||||||||||||||||||||||||||||||||||||||||||||||||||||||||||||||||||||||||||||||||||||||||||||||||||||||||||||||||||||||||||||||||||||||||||||||||||||||||||||||||||||||||||||||||||||||||||||||||||||||||||||||||||||||||||||||||||||||||||||||||||||||||||||||||||||||||||||||||||||||||||||||||||||||||||||||||||||||||||||||||||||||||||||||||||||||||||||||||||||||||||||||||||||||||||||||||||||||||||||||||||||||||||||||||||||||||||||||||||||||||||||||||||||||||||||||||||||||||||||||||||||||||||||||||||||||||||||||||||||||||||||||||||||||||||||||||||||||||||||||||||||||||||||||||||||||||||||||||||||||||||||||||||||||||||||||||||||||||||||||||||||||||||||||||||||||||||||||||||||||||||||||||||||||||||||||||||||
1944 | Eager Beaver | 14 | |||||||||||||||||||||||||||||||||||||||||||||||||||||||||||||||||||||||||||||||||||||||||||||||||||||||||||||||||||||||||||||||||||||||||||||||||||||||||||||||||||||||||||||||||||||||||||||||||||||||||||||||||||||||||||||||||||||||||||||||||||||||||||||||||||||||||||||||||||||||||||||||||||||||||||||||||||||||||||||||||||||||||||||||||||||||||||||||||||||||||||||||||||||||||||||||||||||||||||||||||||||||||||||||||||||||||||||||||||||||||||||||||||||||||||||||||||||||||||||||||||||||||||||||||||||||||||||||||||||||||||||||||||||||||||||||||||||||||||||||||||||||||||||||||||||||||||||||||||||||||||||||||||||||||||||||||||||||||||||||||||||||||||||||||||||||||||||||||||||||||||||||||||||||||||||||||||||||||||||||||||||||||||||||||||||||||||||||||||||||||||||||||||||||||||||||||||||||||||||||||||||||||||||||||||||||||||||||||||||||||||||||||||||||||||||||||||||||||||||||||||||||||||||||||||||||||||||||||||||||||||||||||||||||||||||||||||||||||||||||||||||||||||||
1944 | And Her Tears Flowed Like Wine (아니타 오데이 노래) | 4 | 27 | ||||||||||||||||||||||||||||||||||||||||||||||||||||||||||||||||||||||||||||||||||||||||||||||||||||||||||||||||||||||||||||||||||||||||||||||||||||||||||||||||||||||||||||||||||||||||||||||||||||||||||||||||||||||||||||||||||||||||||||||||||||||||||||||||||||||||||||||||||||||||||||||||||||||||||||||||||||||||||||||||||||||||||||||||||||||||||||||||||||||||||||||||||||||||||||||||||||||||||||||||||||||||||||||||||||||||||||||||||||||||||||||||||||||||||||||||||||||||||||||||||||||||||||||||||||||||||||||||||||||||||||||||||||||||||||||||||||||||||||||||||||||||||||||||||||||||||||||||||||||||||||||||||||||||||||||||||||||||||||||||||||||||||||||||||||||||||||||||||||||||||||||||||||||||||||||||||||||||||||||||||||||||||||||||||||||||||||||||||||||||||||||||||||||||||||||||||||||||||||||||||||||||||||||||||||||||||||||||||||||||||||||||||||||||||||||||||||||||||||||||||||||||||||||||||||||||||||||||||||||||||||||||||||||||||||||||||||||||||||||||||||||||||||
1944 | How Many Hearts Have You Broken (진 하워드 노래) | 9 | |||||||||||||||||||||||||||||||||||||||||||||||||||||||||||||||||||||||||||||||||||||||||||||||||||||||||||||||||||||||||||||||||||||||||||||||||||||||||||||||||||||||||||||||||||||||||||||||||||||||||||||||||||||||||||||||||||||||||||||||||||||||||||||||||||||||||||||||||||||||||||||||||||||||||||||||||||||||||||||||||||||||||||||||||||||||||||||||||||||||||||||||||||||||||||||||||||||||||||||||||||||||||||||||||||||||||||||||||||||||||||||||||||||||||||||||||||||||||||||||||||||||||||||||||||||||||||||||||||||||||||||||||||||||||||||||||||||||||||||||||||||||||||||||||||||||||||||||||||||||||||||||||||||||||||||||||||||||||||||||||||||||||||||||||||||||||||||||||||||||||||||||||||||||||||||||||||||||||||||||||||||||||||||||||||||||||||||||||||||||||||||||||||||||||||||||||||||||||||||||||||||||||||||||||||||||||||||||||||||||||||||||||||||||||||||||||||||||||||||||||||||||||||||||||||||||||||||||||||||||||||||||||||||||||||||||||||||||||||||||||||||||||||||
1945 | Tampico (준 크리스티 노래) | 2 | 46 | ||||||||||||||||||||||||||||||||||||||||||||||||||||||||||||||||||||||||||||||||||||||||||||||||||||||||||||||||||||||||||||||||||||||||||||||||||||||||||||||||||||||||||||||||||||||||||||||||||||||||||||||||||||||||||||||||||||||||||||||||||||||||||||||||||||||||||||||||||||||||||||||||||||||||||||||||||||||||||||||||||||||||||||||||||||||||||||||||||||||||||||||||||||||||||||||||||||||||||||||||||||||||||||||||||||||||||||||||||||||||||||||||||||||||||||||||||||||||||||||||||||||||||||||||||||||||||||||||||||||||||||||||||||||||||||||||||||||||||||||||||||||||||||||||||||||||||||||||||||||||||||||||||||||||||||||||||||||||||||||||||||||||||||||||||||||||||||||||||||||||||||||||||||||||||||||||||||||||||||||||||||||||||||||||||||||||||||||||||||||||||||||||||||||||||||||||||||||||||||||||||||||||||||||||||||||||||||||||||||||||||||||||||||||||||||||||||||||||||||||||||||||||||||||||||||||||||||||||||||||||||||||||||||||||||||||||||||||||||||||||||||||||||||
1945 | 'Its Been a Long, Long Time'' (준 크리스티 노래) | 6 | |||||||||||||||||||||||||||||||||||||||||||||||||||||||||||||||||||||||||||||||||||||||||||||||||||||||||||||||||||||||||||||||||||||||||||||||||||||||||||||||||||||||||||||||||||||||||||||||||||||||||||||||||||||||||||||||||||||||||||||||||||||||||||||||||||||||||||||||||||||||||||||||||||||||||||||||||||||||||||||||||||||||||||||||||||||||||||||||||||||||||||||||||||||||||||||||||||||||||||||||||||||||||||||||||||||||||||||||||||||||||||||||||||||||||||||||||||||||||||||||||||||||||||||||||||||||||||||||||||||||||||||||||||||||||||||||||||||||||||||||||||||||||||||||||||||||||||||||||||||||||||||||||||||||||||||||||||||||||||||||||||||||||||||||||||||||||||||||||||||||||||||||||||||||||||||||||||||||||||||||||||||||||||||||||||||||||||||||||||||||||||||||||||||||||||||||||||||||||||||||||||||||||||||||||||||||||||||||||||||||||||||||||||||||||||||||||||||||||||||||||||||||||||||||||||||||||||||||||||||||||||||||||||||||||||||||||||||||||||||||||||||||||||||
1946 | Artistry Jumps | 13 | |||||||||||||||||||||||||||||||||||||||||||||||||||||||||||||||||||||||||||||||||||||||||||||||||||||||||||||||||||||||||||||||||||||||||||||||||||||||||||||||||||||||||||||||||||||||||||||||||||||||||||||||||||||||||||||||||||||||||||||||||||||||||||||||||||||||||||||||||||||||||||||||||||||||||||||||||||||||||||||||||||||||||||||||||||||||||||||||||||||||||||||||||||||||||||||||||||||||||||||||||||||||||||||||||||||||||||||||||||||||||||||||||||||||||||||||||||||||||||||||||||||||||||||||||||||||||||||||||||||||||||||||||||||||||||||||||||||||||||||||||||||||||||||||||||||||||||||||||||||||||||||||||||||||||||||||||||||||||||||||||||||||||||||||||||||||||||||||||||||||||||||||||||||||||||||||||||||||||||||||||||||||||||||||||||||||||||||||||||||||||||||||||||||||||||||||||||||||||||||||||||||||||||||||||||||||||||||||||||||||||||||||||||||||||||||||||||||||||||||||||||||||||||||||||||||||||||||||||||||||||||||||||||||||||||||||||||||||||||||||||||||||||||||
1946 | '7. 3. 차트 앨범 히트곡
8. 수상 및 영예
스탄 켄튼은 여러 음악 단체와 기관에서 다양한 상과 영예를 받았다. 1968년 네덜란드에서 에디슨상을 수상했고,[1] 1967년 대학 음악 축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빌라노바 대학교(1968년), 드루리 대학교(1974년), 레드랜즈 대학교(1978년)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80년에는 국제 재즈 교육 협회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8. 1. 주요 출판물 수상 및 영예
8. 2. 국제 음악상Edison Award|에디슨 상영어 (1968)[1]
8. 3. 기타 수상 및 영예
9. 주목할 만한 밴드 인원
10. 음반 목록 및 영화/텔레비전 출연
스탄 켄튼의 음반 목록과 영화 및 텔레비전 출연 목록은 다음과 같다.
'''컴필레이션 앨범'''
'''영화 또는 텔레비전 출연'''
10. 1. 스튜디오 앨범
10. 2. 라이브 앨범
10. 3. 컴필레이션 앨범
10. 4. 영화 또는 텔레비전 출연
11. 작품
스탄 켄튼의 작품에는 V-디스크 No. 285B로 발매된 "Artistry in Rhythm", "Opus in Pastels", "Artistry Jumps", "Reed Rapture", "Eager Beaver", "Fantasy", V-디스크 No. 573B로 발매된 "Southern Scandal", 1948년에 켄튼의 음성 소개와 함께 V-디스크 No. 854B로 발매된 "Monotony", "Harlem Folk Dance", "Painted Rhythm", "Concerto to End All Concertos", "Easy Go", "Concerto for Doghouse", "Shelly Manne", "Balboa Bash", "Flamenco", "Sunset Tower" 등이 있다.[58]
등이 있다. 12. 켄턴과 드럼 코어
스탄 켄튼 악단의 많은 편곡은 드럼 코어에서 인기를 얻었는데, 이는 역동적인 대비와 까다로운 금관 연주가 활동의 경쟁적인 특성과 특히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59]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1988년 매디슨 스카우츠(Madison Scouts)의 우승 공연인 ''말라게냐(Malaguena)''와, 1986년 선코스트 사운드(Suncoast Sound)의 ''시간 속의 모험(Adventures in Time)''을 기반으로 한 레퍼토리, 그리고 블루 데블스 드럼 앤 버글 군단(Blue Devils Drum and Bugle Corps)의 1992년 ''쿠반 파이어(Cuban Fire)'' 모음곡이다. 13. 사망참조
[1]
뉴스
When You Consider Your Condition . . .
https://www.robertch[...]
2019-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