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라브족이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브족이여"는 여러 슬라브어로 표현되며, 1834년 슬로바키아의 시인 사모 토마시크가 슬로바키아어 가사로 작곡했다. 범슬라브주의를 고취하는 노래로 널리 퍼져 오스트리아 제국 지배 하의 슬라브 지역에서 민족주의 운동을 상징했고, 유고슬라비아에서는 국가로 사용되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도 사용되었으나, 2006년 분리 이후에는 어떤 국가에서도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슬라브주의 - 티토주의
    티토주의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끈 유고슬라비아의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으로, 노동자 자주 관리, 비동맹 외교, 연방제를 특징으로 하며 스탈린주의와 대립했다.
슬라브족이여 - [음악]에 관한 문서
정보
유고슬라비아의 국가가 될 시의 크로아티아어판 인쇄물
유고슬라비아의 국가가 될 시의 크로아티아어판 인쇄물
제목


영어 제목Hey, Slavs
다른 제목Hej, Slovenci
Hej, Słowianie
사용 국가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바키아 공화국
작사가사모 토마시크
작사 시기1834년
작곡가알려지지 않음
편곡가오스카르 다논
작곡 시기18세기 (편곡)
채택 시기1939년 (슬로바키아 공화국)
1945년 (유고슬라비아, 사실상)
1977년 (유고슬라비아, 법률상 잠정)
1988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상)
1992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폐지 시기1945년 (슬로바키아 공화국)
1992년 (유고슬라비아)
2006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 어원

'슬라브족이여'는 여러 슬라브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모두 사용하여 'Hej, Slaveni' 또는 'Hej, Sloveni', 'Хеј, Словени'로 표기한다. 마케도니아어로는 'Еј, Словени', 슬로베니아어로는 'Hej, Slovani'이다. 슬로바키아어 원제는 'Hej, Slováci'였다.

3. 슬로바키아어 원본

이 노래는 1834년 슬로바키아 루터교 목사이자 시인이자 역사학자인 사모 토마시크가 프라하를 방문했을 때 작곡하였다.[5] 그는 프라하 거리에서 체코어보다 독일어가 더 많이 들린다는 사실에 소름이 끼쳤다고 한다.[5]

이에 대한 그의 일기이다.

:"서슬라브 세계의 진주인 어머니 프라하가 독일 바다에서 사라진다면, 정신적 자양분을 위해 프라하를 바라보는 나의 사랑하는 조국 슬로바키아는 무엇을 기다리겠는가? 그런 생각에 짓눌리며, 나는 옛 폴란드 노래 Jeszcze Polska nie zginęła, kiedy my żyjemy(폴란드는 우리가 살아있는 한, 아직 죽지 않았으니)가 생각났다. 그 익숙한 선율은 내 마음을 저항적인 Hej, Slováci, ešte naša slovenská reč žije(슬로바크족이여, 우리 슬로바키아어가 아직 살아있다네)로 폭발하게 만들었다... 나는 방으로 달려가, 촛불을 켜고 일기에 연필로 세 구절을 적었다. 노래는 순식간에 마무리되었다." (사모 토마시크의 일기, 1834년 11월 2일 일요일)[5]

토마시크는 그의 노래를 ''동브로프스키의 마주레크'' 선율에 맞춰 연주하도록 지시했다."''폴란드는 아직 멸망하지 않았다''처럼 부르시오."[5]

1848년 프라하 슬라브 회의의 범슬라브기. 1918년부터 1941년까지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이 노래는 슬라브족 민족주의 정서를 고취하며 범슬라브주의 운동의 비공식 국가처럼 널리 불렸다.[5] 특히 오스트리아 제국 통치 하의 서슬라브 지역에서 널리 알려졌다. 슬로바키아에서는 혁명기에 슬로바키아인들의 비공식적인 민족 국가로 여겨졌으며, 나치 독일의 종속국인 슬로바키아 공화국 시절 여당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다.

3. 1. 슬로바키아어 가사 및 번역

4. 범슬라브주의 운동

"슬라브족이여"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슬라브 지역에서 슬라브 민족주의와 범슬라브주의 정서를 고취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졌다. 많은 잡지와 달력에 인쇄되었고, 정치 집회에서도 불리면서 범슬라브 운동의 비공식적인 국가가 되었다.

범슬라브주의 체육 교육 운동 조직 '소콜(매)'의 공식 국가로 채택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역에서 지지가 증가했다. 1905년, 류블랴나에서 프란체 프레셰렌의 기념비 건립 시 군중이 이 노래를 부르며 축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같은 민족 정서를 공유하고 유혈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전선의 슬라브족 군인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징집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출신 소콜 회원들은 세르비아군이나 러시아군에 자진 항복하거나 탈영하기도 했다. 이 노래는 발칸반도와 러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에도 인기가 있었다.

5. 유고슬라비아

"슬라브족이여"는 일리리아 운동 당시 드라구틴 라코바츠가 "일리리아족이여"(Hej, Ilirihr)로 번역하면서 유고슬라비아에서 처음 등장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노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노래로 채택되었다.[7] 1941년 추축국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공산당이 이끄는 반 왕당파 파르티잔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가 대신 "슬라브족이여"를 선택했다. 이 노래는 AVNOJ에서 불리며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사실상의 국가가 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도 공식 국가는 채택되지 않았고, "슬라브족이여"가 비공식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1988년 11월 25일 헌법 개정으로 공식 국가로 지정되기 전까지, 1977년 법률에 의해 임시 국가로 지정되어 1943년부터 1992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21][8]

세르보크로아트어 (라틴 문자/키릴 문자)영어 번역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키릴 문자/음역)영어 번역
colspan="2"|



"헤이, 슬라브인들이여"를 음악 상자로 연주한 모습

5. 1. 유고슬라비아 가사 및 번역

6.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991년1992년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만 남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FRY)에서 "슬라브족이여"는 국가로 계속 사용되었다.[9]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슬라브족이여"를 세르비아의 국가로 채택하려 했으나, 세르비아 사회당 중앙위원회는 이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국가로 정한 후, "드리나의 행진"을 세르비아의 국가로 정하였다.[9]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으로 국명이 변경되며 새로운 국가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국가 상징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슬라브족이여"가 계속 국가로 사용되었다.[10] 이 기간 동안 많은 세르브인들은 이 노래에 반감을 가졌고, 스포츠 경기와 같이 이 노래가 연주될 때마다 야유하였다.[10][22]

국가로 몬테네그로의 민요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현재 몬테네그로 국가)와 과거 세르비아의 국가 "정의의 하느님"(현재 세르비아 국가)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몬테네그로 인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인민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9] 또한 과거 몬테네그로 국가이자 애국적인 노래 "오나모, 오나모!"도 제안되었지만, 이 역시 무산되었고 "슬라브족이여"가 국가로 남았다.

2006년, 몬테네그로세르비아가 국가연합을 해체하고 주권국으로 분할된 이후, "슬라브족이여"는 더 이상 어떤 주권국에서도 공식 국가로 사용되지 않는다.[11][12]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 국가를 대표하여 "슬라브족이여"를 사용하였다(대회 시작 며칠 전에 국가연합 해체).[10][23]

국가연합이 해체된 이후에도, "슬라브족이여"는 때때로 세르비아 팀이 참여하는 스포츠 경기에서 주최측에 실수로 의해 연주되곤 한다. 2013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전인 세르비아-포르투갈,[13] 2010년에 있었던 2009-10년 유로리그의 올림피아코스 BC - KK 파르티잔 경기,[14] 2015년 유럽 투어링카 컵 당시 프랑스 주최측은, 세르비아의 레이싱 드라이버 두샨 볼코비치가 폴 리카르 서킷에서 1위를 차지했을 때 "슬라브족이여"를 잘못 연주하였다.[15][26]

7. 대중문화 속 '슬라브족이여'

1984년, 유고슬라비아의 밴드 비옐로 두그메는 앨범에 이 곡을 녹음하였다.[27] 2006년에는 유고슬라비아와 슬로베니아의 밴드 라이바흐가 앨범 볼크에 영어와 슬로베니아어 가사가 있는 일렉트로닉 버전의 노래를 녹음하였다.[28] 이 노래는 2002년 슬로베니아 영화 헤드노이즈에도 등장하였다.[28]

8. 비판적 관점

참조

[1] 서적 Voices of Yugoslav Jewr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2-02-01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lovakia Scarecrow Press 2014
[3] 서적 Modern Pagan and Native Faith Movement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Routledge 2013
[4] 웹사이트 Mazurek Dąbrowskiego & Hej Slaveni https://www.youtube.[...] 2011-03-02
[5] 서적 Anthems and the Making of Nation States: Identity and Nationalism in the Balkans (International Library of Twentieth Century History) I.B. Tauris 2015
[6]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геральдика в России: Теория и практика http://www.dissercat[...]
[7] 인터뷰 Jugoslavija i istorija: "Hej Sloveni", pesma koja je bila više od himne https://www.bbc.com/[...] BBC News na srpskom 2021-04-27
[8] 간행물 Amandmani IX do XLVII na Ustav Socijalističke Federativne Republike Jugoslavije Službeni list SFRJ 1988
[9] 의회 회의록 041116IT https://www.icty.org[...] 2004-11-16
[10] 뉴스 Serbia-Montenegro a World Cup team without a country http://www.espn.com/[...] Associated Press 2006-06-15
[11]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serbia & montenegro - netherlands 2006 himna srbija i crna gora nizozemska 2006 https://www.youtube.[...] 2017-06-05
[12] 웹사이트 anthem serbia and montenegro world cup 2006 vs ivory coast https://www.youtube.[...] 2018-05-23
[13] 웹사이트 BRUKA NA EP: Orlići slušali Hej Sloveni umesto Bože pravde! http://www.kurir-inf[...]
[14] 웹사이트 'Grci namerno pustili himnu "Hej, Sloveni"?' http://www.pressonli[...]
[15] 웹사이트 USPEH BORKOVIĆA U SENCI SKANDALA: Srpskom automobilisti na podijumu pustili Hej Sloveni http://www.kurir.rs/[...] Kurir
[16] 웹사이트 Bijelo Dugme - Bijelo Dugme http://www.discogs.c[...]
[17] 음반
[18] 웹사이트 Zaporniki pojejo Hej Slovani https://www.youtube.[...] 2012-02-24
[19] 웹사이트 Serbia-Montenegro a World Cup team without a country https://www.espn.com[...] AP通信 2006-06-15
[20] 웹인용 Mazurek Dąbrowskiego & Hej Slaveni https://www.youtube.[...] 2011-03-02
[21] 간행물 Amandmani IX do XLVII na Ustav Socijalističke Federativne Republike Jugoslavije Službeni list SFRJ 1988
[22] 웹인용 Serbia-Montenegro a World Cup team without a country http://www.espn.com/[...] Associated Press 2006-06-15
[23] 웹인용 Serbia-Montenegro a World Cup team without a country http://www.espn.com/[...] Associated Press 2006-06-15
[24] 웹인용 BRUKA NA EP: Orlići slušali Hej Sloveni umesto Bože pravde! http://www.kurir-inf[...]
[25] 웹사이트 'Grci namerno pustili himnu „Hej, Sloveni"? http://www.pressonli[...]
[26] 웹인용 USPEH BORKOVIĆA U SENCI SKANDALA: Srpskom automobilisti na podijumu pustili Hej Sloveni http://www.kurir.rs/[...] Kurir
[27] 웹인용 Bijelo Dugme - Bijelo Dugme http://www.discogs.c[...]
[28] 웹인용 Zaporniki pojejo Hej Slovani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