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라브 여인의 작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브 여인의 작별"은 제정 러시아 시대에 만들어진 멜로디를 기원으로 하는 곡이다. 러일 전쟁 중 반전주의적 가사로 시작되었으나, 발칸 전쟁 이후 군악대장이 불가리아 군인 사기 진작을 위해 멜로디를 차용하여 작곡했다. 러시아와 소련 시대에 여러 가사로 불렸으며, 백군, 적군 등 다양한 세력에서 사용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의 주요 행사에서 연주되며, 탐보프 주의 주가로도 사용된다. 핀란드, 폴란드, 이스라엘 등에서도 가사가 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영화, 시 등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군가 - 항공행진곡
    항공행진곡은 러시아어로 작사되어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1990년대 한국 노동 운동, 2002년 한일 월드컵 응원가 등 다양한 형태로 불렸으나 스탈린 시대와의 연관성 및 군국주의 미화 논란을 겪기도 했다.
  • 러시아의 군가 -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는 러시아 내전 시기 붉은 군대의 용맹함을 찬양하고 혁명 확산을 염원하며 널리 불린 군가로,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라는 후렴구가 반복되는 특징을 가지며 소련 초기 큰 인기를 얻어 사회주의 운동과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1912년 노래 - 생일 축하합니다
    생일 축하합니다는 19세기 후반에 작곡된 "Good Morning to All"에서 유래되어 현재의 가사로 변화된 생일 축하 노래로, 저작권 분쟁을 겪었으나 현재는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 1912년 노래 - 알바니아의 국가
    알바니아의 국가는 "깃발의 찬가"로, 알바니아의 역사와 투쟁, 국민적 정체성을 상징하며 주요 행사에서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소련의 노래 - 카튜샤 (노래)
    1938년 발표된 러시아의 대표적인 노래 카튜샤는 강둑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는 여인의 마음과 조국을 지키는 군인과 여인의 사랑을 표현하며 널리 사랑받아, 여러 국가에서 번안되고 붉은 군대의 로켓포 애칭으로도 사용되었다.
  • 소련의 노래 - 항공행진곡
    항공행진곡은 러시아어로 작사되어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1990년대 한국 노동 운동, 2002년 한일 월드컵 응원가 등 다양한 형태로 불렸으나 스탈린 시대와의 연관성 및 군국주의 미화 논란을 겪기도 했다.
슬라브 여인의 작별
곡 정보
곡명슬라브 여인의 작별
원어 곡명(쁘로샤니예 슬라뱐키)
영어 곡명Farewell of Slavianka
작곡가바실리 아갑킨
작사가여러 작사가 (미상 포함), 바실리 아갑킨
작사 시기1912년
채택 시기1937년
지역 상징
지역탐보프 주
종류주가 (州歌)
기타 정보
관련 정보러시아의 노래 목록

2. 역사

제정 러시아 시대 러일 전쟁에 참전한 병사들 사이에서 만들어진 멜로디가 이 곡의 기원이다. 당시 가사는 반전주의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차르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1912년 발칸 전쟁 발발 후, 러시아에서는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한 불가리아에 대한 동정 여론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군악대장 바실리 아가프킨은 불가리아 군인과 민간인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이 곡을 작곡했다. 이 곡은 러시아인들의 심금을 울리며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군의 애창곡이 되었다.

러시아 내전 동안 백군적군 모두 이 곡의 가사를 바꾸어 불렀으며, 소련 시대에는 호전적인 가사가 등장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모스크바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이동하는 병사들이 붉은 광장에서 1941년 11월 7일에 열린 열병식에서도 연주되었다.[2]

소련 해체 이후에도 이 곡은 승리의 날을 비롯한 각종 군 행사에서 연주되고 있으며, 탐보프주에서는 주가로 지정되었다. 보리스 옐친 대통령 재임 당시에는 야블로코당이 이 곡을 국가로 채택하려 했으나 무산되기도 했다.[8]

이후 여러 작곡가들이 다양한 언어로 이 음악에 가사를 붙였다. 핀란드 내전 동안 적위대는 이 곡을 노동자 계급 행진곡인 바파아 베냐로 개작했다.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는 로만 슐렌자크의 가사를 바탕으로 한 ''Rozszumiały się wierzby płaczące'' ("우는 버들이 웅웅거리기 시작했다")라는 "지하" 버전이 폴란드 저항 운동에서 인기를 얻었다.[7] 히브리어 버전은 1945년 하임 헤퍼가 팔마흐를 위해 썼으며, 이스라엘 방위군이 2002년 방어 방패 작전을 소집하는 데 사용되었다.[9]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시발역인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모스크바행 특급 열차러시아호가 출발할 때도 이 곡이 연주된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제정 러시아 시대, 러일 전쟁으로 국가의 부름을 받고 극동으로 끌려간 병사들 사이에서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멜로디가 이 곡의 기원이다. 가사는 "아, 우리가 왜 군인으로서 저 먼 극동 지역까지 끌려와야 하느냐"라는 내용으로, 상당히 반전주의적이었고, 따라서 차르 정부에서 군풍기 문란을 우려하여 금지시켰다고 한다.

1912년, 발칸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났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정식으로 독립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불가리아에 대한 동정 의식이 러시아에 확산되기 시작했는데, 이런 분위기 속에서 군악대장이었던 바실리 아가프킨은 불가리아의 군인들과 민간인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러일 전쟁 당시 금지곡이었던 곡들의 멜로디를 차용하여 이 곡을 작곡하게 된다. 원래 취지와는 다르게 러시아인들의 심금을 울렸기에, 러시아에서는 빠르게 인기를 얻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군에서는 애창곡이 되었다.[2]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이 곡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병사들이 집을 떠나면서 행진곡으로 사용되어 러시아와 주변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다.[2] 콜차크 제독이 이끌던 백군의 비공식 국가로도 사용되었다.

소련 시대에 "슬라브 여인의 작별"이 처음 출판된 것은 1929년이었으며, 공산주의 군대가 이 곡을 처음 연주한 것은 1918년으로 알려져 있다.[3] 특히 1941년 10월 혁명 열병식에서 붉은 광장에서 연주된 네 개의 행진곡 중 하나로 유명하다.[4]

2. 3. 소련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병사들이 집을 떠나면서 이 행진곡을 들으며 고향을 떠올렸고, 러시아와 주변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제2차 세계 대전모스크바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이동하는 병사들이 붉은 광장에서 1941년 11월 7일에 열린 열병식에서도 연주되었다.[2] 콜차크 제독백군은 이 행진곡을 비공식적인 국가로 사용하기도 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1957년 영화 ''학들이 날아가다''에서 사용되기 전까지 이 곡이 금지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아가프킨 자신이 지휘한 연주 기록을 포함하여 이 곡이 이전에도 여러 차례 연주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소련 시대 "슬라브 여인의 작별"이 처음 출판된 것은 1929년이며, 공산주의 군대가 이 곡을 처음 연주한 것은 1918년으로 알려져 있다.[3] 특히 1941년 10월 혁명 열병식에서 붉은 광장에서 연주된 네 개의 행진곡 중 하나로 연주된 것이 가장 유명하다.[4] 이 곡은 원래 1912년경 Zimmerman Production Association에서 출판되었다.[5] 이 행진곡은 붉은 군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공식 음악 모음집에 실렸으며,[6] 1940년대 초 이반 페트로프(1906–1975)가 지휘하는 군악대에 의해 녹음되기도 했지만, 당시에는 다른 가사가 사용되었다. 현재 불리는 다른 가사는 보통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부른다.

이후 여러 작곡가들이 다양한 언어로 이 음악에 가사를 붙였다. 핀란드 내전 동안 적위대는 이 곡을 노동자 계급 행진곡인 바파아 베냐로 개작했다.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는 로만 슐렌자크의 가사를 바탕으로 한 ''Rozszumiały się wierzby płaczące'' ("우는 버들이 웅웅거리기 시작했다")라는 "지하" 버전이 폴란드 저항 운동에서 인기를 얻었다.[7]

2. 4. 소련 붕괴 이후

소련 해체 이후에도 승리의 날을 비롯한 각종 군 행사에서 자주 연주되고 있으며, 이 곡이 작곡되었던 탐보프주에서는 주가(주의 노래)로 연주되고 있다. 보리스 옐친 대통령 재임 시절 미하일 글린카가 작곡했던 당시 국가는 가사도 없고 공식 국가로 지정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국민, 정치인, 군인들에게도 인기가 없었다. 자유주의 성향이 강한 야블로코(러시아어사과를 의미함.)에서 이 곡을 국가로 채택하려고 하였으나 무산되기도 하였다.[8] 이처럼 이 곡은 러시아에서 위상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자유주의 정당인 야블로코는 이 행진곡을 러시아 국가로 채택하기 위해 로비를 벌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시발역인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유럽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행 특급 열차러시아호가 출발할 때 연주되고 있다.

3. 가사

"슬라브 여인의 작별"은 여러 시대와 이념에 따라 다양한 가사가 붙여져 불려온 노래이다.

1990년대 자유주의 정당인 야블로코는 이 행진곡을 러시아 국가로 채택하려는 로비를 벌였으나 실패했다.[8]

이후 여러 작곡가들이 다양한 언어로 이 음악에 가사를 썼다. 핀란드 내전 동안 적위대는 이 곡을 노동자 계급 행진곡인 바파아 베냐로 개작했다.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는 ''Rozszumiały się wierzby płaczące'' ("우는 버들이 웅웅거리기 시작했다")라는 제목으로 폴란드 저항 운동에서 인기를 얻었다.[7]

1945년에는 히브리어 버전이 팔마흐를 위해 씌어졌으며, 이 곡의 ("경계 사이") 버전에서 (우리는 여기에 방어벽이다)라는 구절은 2002년 이스라엘 방위군의 방어 방패 작전 ("방어벽 작전")에 사용되었다.[9]

3. 1. 1912년 원곡 가사

러시아어 가사독음한국어 번역


3. 2. 소련 시대 가사

"슬라브 여인의 작별"은 소련 시대에 여러 가지 가사가 붙여져 불렸다. 이 가사들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이념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다.

1967년에 A. 페도토프가 쓴 가사는 다음과 같다.[10][11]

러시아어 원문영-러시아 로마자 표기법한국어 번역



이 가사는 1941년 모스크바 전투와 1945년 베를린 전투를 언급하며, 소련 군인들의 용맹함과 애국심을 강조한다. 또한, "신성한 전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조국을 위한 희생을 정당화하고 있다.

1984년 블라디미르 라자레프가 쓴 또 다른 버전의 가사는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더 큰 인기를 얻었다.[12] 이 버전은 느린 템포와 인간적인 감성을 더하여, 전쟁의 비극과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러시아어 원문러시아어-영어 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3. 3. 백군 버전 가사 (1997년)

소련 해체 이후 안드레이 밍갈료프가 작사한 백군 버전의 행진곡이 만들어졌다.[13] 이 버전은 원곡의 주제를 계승하면서도 백군의 이념을 반영한 가사를 담고 있다.

}

Mnógo pésen my v sérdce slozhíli,|ru

Vospeváya rodnýe krayá|ru

Bezzavétno tebyá my lyubíli,|ru

Svyatorússkaya násha zemlyá.|ru

Vysokó ty glavú podnimála –|ru

Slóvno sólnce tvoy lik vossiyál.|ru

No ty zhértvoyu pódlosti stála –|ru

Tekh, kto prédal tebyá i prodál!|ru

I snóva v pokhód trubá nas zovyót.|ru

My vse vstánem v stroy|ru

I vse poydyóm v svyashchénnyy boy.|ru

|

|- style="vertical-align:top; white-space:nowrap;"

| Встань за Веру, Русская земля!|일어나라, 믿음을 위해, 러시아의 어머니!ru

Ждут победы России святые.|성인들은 러시아의 승리를 기다리네.ru

Отзовись, православная рать!|응답하라, 정교도 군대여!ru

Где Илья твой и где твой Добрыня?|너의 일리야는 어디에 있고, 너의 도브리냐는 어디에 있는가?ru

Сыновей кличет Родина-мать.|어머니 조국은 아들들을 부르네.ru

Под хоругви мы встанем все смело|우리는 깃발 아래 함께 용감하게 설 것이고,ru

Крёстным ходом с молитвой пойдём,|기도하며 행렬로 갈 것이네,ru

За Российское правое дело|러시아의 정당한 대의를 위해ru

Кровь мы русскую честно прольём.|우리는 러시아의 피를 정직하게 흘릴 것이다.ru

| Vstan za Véru, Rússkaya Zemlyá!|ru

Zhdut pobédy Rossíi svyatýye.|ru

Otzovís, pravoslávnaya rat!|ru

Gde Iliá tvoy i gde tvoy Dobrýnya?|ru

Synovéy klíchet Ródina-mat.|ru

Pod khorúgvi my vstánem vse smélo|ru

Kryóstnym khódom s molítvoy poydyóm,|ru

Za Rossíyskoye právoye délo|ru

Krov my rússkuyu chéstno prolióm.|ru

|

|- style="vertical-align:top; white-space:nowrap;"

| Встань за Веру, Русская Земля!|일어나라, 믿음을 위해, 러시아의 땅이여!ru

Все мы – дети великой Державы,|우리 모두는 위대한 제국의 자녀들이고,ru

Все мы помним заветы отцов|우리 모두는 아버지들의 계명을 기억한다:ru

Ради Родины, Чести и Славы|조국, 명예, 영광을 위해,ru

Не жалей ни себя, ни врагов.|너 자신과 너의 적을 모두 불쌍히 여기지 말라.ru

Встань, Россия, из рабского плена,|일어나라, 러시아, 노예의 감옥에서,ru

Дух победы зовёт: в бой, пора!|승리의 정신이 부르네: 전투의 시간이다!ru

Подними боевые знамёна|너의 전투 깃발을 들어라ru

Ради Веры, Любви и Добра!|믿음, 사랑, 그리고 선을 위해.ru

| Vstan za Véru, Rússkaya Zemlyá!|ru

Vse my – déti velíkoy derzhávy,|ru

Vse my pómnim zavéty otcóv|ru

Rádi Ródiny, Chésti i Slávy|ru

Ne zhaléy ni sebyá, ni vragóv.|ru

Vstan, Rossíya, iz rábskogo pléna,|ru

Dukh pobédy zovyót: v boy, porá!|ru

Podnimí boyevýe znamyóna|ru

Rádi Véry, Lyubví i Dobrá!|ru

|

|}

3. 4. 탐보프 주가 (2002년)

2002년 5월 22일, A. 미트로파노프가 작사한 탐보프주의 주가로 "슬라브 여인의 작별"의 멜로디가 사용되었다.[14] 탐보프 주가는 지역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담고 있으며, 가사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어 원문[12]러시아어-영어 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Встань за Веру, Русская Земля!|일어나라, 믿음을 위해, 러시아의 땅이여!ru{{lang|ru|Vstan za Véru, Rússkaya Zemlyá!|}
러시아어 원문[14]러시아어 독음한국어 번역


4. 다양한 버전 및 사용 사례

이 곡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병사들이 집을 떠날 때 연주되어 러시아와 주변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모스크바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이동한 후 붉은 광장에서 1941년 11월 7일에 열린 열병식에서도 연주되었다.[2] 콜차크 제독백군은 이 행진곡을 비공식적인 국가로 사용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1957년 영화 ''학들이 날아가다''에서 사용되기 전에 금지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보다 앞서 이 곡이 연주된 여러 기록들이 있으며, 그 중 많은 수는 아가프킨 자신이 지휘했다. 소련 시대에 "슬라브 여인의 작별"이 처음 출판된 것은 1929년이었으며, 공산주의 군대가 이 곡을 처음 연주한 것은 1918년으로 알려져 있다.[3] 1941년 10월 혁명 열병식에서 붉은 광장에서 연주된 네 개의 행진곡 중 하나였다.[4] 이 곡은 1912년경 Zimmerman Production Association에서 출판되었다.[5] 붉은 군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공식 음악 모음집에 실렸으며,[6] 1940년대 초 이반 페트로프(1906–1975)가 지휘하는 군악대에 의해 녹음되었지만, 다른 가사가 사용되었다. 현재 다른 가사는 보통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부른다.

이후 여러 작곡가들이 다양한 언어로 이 음악에 가사를 썼다.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는 ''Rozszumiały się wierzby płaczące'' ("우는 버들이 웅웅거리기 시작했다")라는 "지하" 버전이 폴란드 저항 운동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로만 슐렌자크의 가사를 바탕으로 했다.[7]

1990년대 자유주의 정당인 야블로코는 이 행진곡을 러시아 국가로 채택하기 위해 로비를 벌였으나 실패했다.[8]

4. 1. 핀란드 적위대 버전 (Vapaa Venäjä)

이 노래의 또 다른 버전은 핀란드 적위대가 그들의 행진곡으로 작곡한 'Vapaa Venäjä'이다.[1]

4. 2. 이온 데겐의 시 (My Comrade in Death Throes)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차 에이스였던 이온 데겐은 1944년 12월에 "내 임종의 동지"라는 시를 썼다.[15][16] 이 시에도 노래의 멜로디가 사용되었다.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울지 마라, 신음하지 마라, 넌 어리지 않다.

:넌 다친 게 아니라, 그저 죽었을 뿐이다.

:기념으로 네 발렌키를 벗어 갈게,

:우리는 아직 공격을 해야 한다.

4. 3. 하임 헤퍼의 히브리어 버전

1945년 가수 겸 작곡가 하임 헤퍼가 팔마흐를 위해 히브리어 버전을 썼다. 헤퍼는 이 곡의 בין גבולות|베인 그불로트he ("경계 사이") 버전에서 אָנוּ פֹּה חוֹמַת מָגֵן|아누 포 호마트 마겐he (우리는 여기에 방어벽이다)라는 구절을 만들었으며, 이는 이스라엘 방위군2002년 방어 방패 작전(문자 그대로 "방어벽 작전")을 소집하는 데 사용되었다.[9]

4. 4. 영화 및 기타 매체에서의 사용

이 멜로디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병사들이 집을 떠날 때 연주되어 러시아와 주변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병사들이 모스크바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이동한 후 붉은 광장에서 1941년 11월 7일에 열린 열병식에서도 연주되었다.[2] 이 행진곡은 콜차크 제독백군의 비공식적인 국가로도 사용되었다.

"슬라브 여인의 작별"은 영화 ''학들이 날아가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관한 영화 ''찰리 윌슨의 전쟁'', 러시아 영화 ''72 미터''와 ''산의 포로''에 사용되었다. 기악 버전은 1974년 소련 영화 ''낯선 사람들 틈에서'' 및 1990년 우크라이나 영화 ''라스파드''의 프리피야트 대피 장면에 사용되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시발역인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모스크바행 특급 열차러시아호가 출발할 때도 연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Василий Агапкин и его марш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http://moskvam.ru/pu[...]
[2] 서적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Советский композитор" 1987
[3] 웹사이트 Агапкин 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1884 - 1964) Композитор, дирижер ( 7/12 ) https://nlr.ru/e-cas[...]
[4] 웹사이트 ЗДРАВСТВУЙ,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http://musicplanet.r[...]
[5] 웹사이트 Василий Агапкин и его марш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Публикации. Литературный журнал Москва. http://moskvam.ru/pu[...] 2018-01-09
[6] 간행물 Official ceremonial repertoire for orchestras of the Red Army Voenizdat 1945
[7] 웹사이트 Rozszumiały się wierzby płaczące – Śpiewajmy Polskę! https://spiewajmypol[...] 2023-06-25
[8] 웹사이트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http://www.stanford.[...] 2018-01-09
[9] 웹사이트 http://www.zemer.co.[...]
[10] 웹사이트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 Этот марш не смолкал на перонах текст песни, слова https://web.archive.[...] 2021-07-16
[11] 웹사이트 SovMusic.ru -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http://www.sovmusic.[...]
[12] 웹사이트 Russia and The Other: A Cultural Approach https://web.stanford[...] Stanford University
[13] 웹사이트 Прощание славянки / Slavic Woman's Farewell - Patriotic Version Russia and The Other: A Cultural Approach https://web.stanford[...] Stanford University
[14] 웹사이트 Текст гимна Тамбовской области https://www.tambov.g[...]
[15] 웹사이트 Ты не ранен, ты просто убит https://www.novayaga[...] 2018-01-09
[16] 웹사이트 У ПОБЕДЫ ЛИЦО НАСТРАДАВШЕЕСЯ https://web.archive.[...] 2018-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