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래시 (잡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래시는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발행된 미국의 펑크 록 잡지이다. 로스앤젤레스 펑크 록 밴드들을 주로 다루었지만, 레게, 블루스, 로커빌리 등 다양한 음악 장르를 소개하기도 했다. 클로드 베시, 제프리 리 피어스, 게리 팬터 등이 주요 기고가로 참여했다. 1980년, 주요 제작진의 다른 활동 집중과 펑크 록의 쇠퇴로 인해 폐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펑크 록 - 스크리밍
    스크리밍은 여러 음악 장르에서 사용되는 보컬 기법으로, 특히 헤비 메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잘못된 방법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적절한 기술로 안전하게 구사 가능하다.
  • 1980년 폐간 - 영남일보
    1945년 창간된 영남일보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주요 발행 지역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으로, 언론 통폐합과 법정관리를 거쳐 복간 후 조간으로 발행되며 인간 존엄과 자유 옹호, 지역 발전을 사시로 한다.
  • 1980년 폐간 - 경남일보
    경남일보는 1909년 진주에서 창간된 한국 최초의 주식회사 형태 언론사이자 지방 신문으로,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언론통폐합 등을 거치며 민족의식 고취와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977년 창간 - 월간 코로코로 코믹
    《월간 코로코로 코믹》은 쇼가쿠칸에서 1977년 창간되어 『도라에몽』 연재를 시작으로 남자 초등학생을 주요 독자층으로 확보하며 성장한 일본의 소년 만화 잡지이다.
  • 1977년 창간 - 헤비 메탈 (잡지)
    헤비 메탈은 1977년 미국에서 창간된 만화 잡지로, SF, 판타지, 공포,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게재했으며, 영화,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으나 2022년 폐간되었다가 2024년 재출시될 예정이다.
슬래시 (잡지)
기본 정보
슬래시 매거진 창간호, 1977년 5월
개요
유형미국의 펑크 음악 팬진
창간1977년
해산1980년
본사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미국

2. 창간 배경 및 특징

슬래시는 더 스크리머스, 더 스컬스, 너버스 젠더, 백스, X와 같은 로스앤젤레스 지역 밴드들을 정기적으로 다루었지만, 활동 범위를 LA 지역으로만 한정하지는 않았다. 창간호 표지에는 영국 밴드 댐드의 보컬 데이브 배니언이 등장하기도 했다.

또한, 슬래시는 펑크 록 뿐만 아니라 레게, 블루스, 로커빌리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대한 기사와 리뷰를 게재하며 당시 펑크 음악 팬들에게는 다소 생소했던 음악들을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폭넓은 음악적 시각과 경험을 제공하고자 했다.

2. 1. 주요 기고자

작가로는 클로드 "킥보이 페이스" 베시, 크레이그 리, 리처드 멜처, 제프리 리 피어스, 크리스 D., 앨런 맥도넬, 플레전트 지먼 등이 참여했으며, 만화가 게리 팬터 역시 주요 기고자 중 한 명이었다.

사진 기고가로는 데이비드 아르노프, 수잔 카슨, 케리 콜로나, 에드 콜버, 다이앤 갬보아, 프랭크 가르가니, 제니 렌스, 멜라니 니스, 도나 산티시, 앤 수마, 스콧 린드그렌, 그리고 공동 편집자이기도 했던 필로미나 윈스턴리가 있었다.

3. 폐간

슬래시는 1980년에 폐간되었다. 잡지 제작에 참여했던 주요 인물들이 점차 다른 활동에 집중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발행인 밥 빅스(Bob Biggs)는 레이블 운영에 더 관여하게 되었고, 많은 작가들은 자신들의 음악 활동에 집중했다.[1][2] 또한 포스트펑크, 하드코어 펑크, 데스록과 같은 새로운 음악 운동이 부상하는 한편, Germs나 the Weirdos와 같은 초창기 로스앤젤레스 펑크 밴드들이 해체되면서 펑크 록이 쇠퇴하고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1][2] 이러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슬래시는 본질적으로 그 역할을 다한 것으로 평가받았다.[2]

4. 역대 호 목록

슬래시는 1977년 5월 창간되어 1980년 여름까지 총 3권 5호(1주년 기념 특별호 포함 시 총 30개 호)가 발행되었다. 창간호 표지는 댐드의 데이브 배니언이 장식했으며, 이후 섹스 피스톨즈, 블론디, X, 피터 토시, 수지 앤 더 밴시스, 토킹 헤즈 등 다양한 펑크 록, 레게, 뉴 웨이브 뮤지션들이 표지에 등장했다. 마지막 호는 하드코어 펑크를 주제로 다루었다.

각 연도별 상세 발행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1977년

날짜표지 인물
111977년 5월데이브 배니언 (댐드)
121977년 6월존 데니 (위어도스)
131977년 8월조니 로튼 (섹스 피스톨즈)
141977년 9월케리 콜로나 (라이브 콜라주)
151977년 10월데비 해리 (블론디)
161977년 12월익신 서벤카 (X)



1977년 한 해 동안 총 6호가 발행되었다. 창간호(1권 1호) 표지는 영국 펑크 록 밴드 댐드의 보컬 데이브 배니언이 장식했다. 이후 섹스 피스톨즈조니 로튼, 블론디데비 해리, 로스앤젤레스 펑크 밴드 X의 익신 서벤카 등이 표지에 등장하며 당시 펑크 록 신의 주요 인물들을 조명했다.

4. 2. 1978년

wikitext

날짜표지비고
171978년 1월지역 신 음악가들
181978년 2월폴리 스타이렌 (X-Ray Spex)
191978년 4월바비 핀/다비 크래시
1101978년 5월앨리스 백 (Bags)
이전 호 표지의 콜라주1주년 기념 무료 호, 날짜 및 권/호 없음
1111978년 7월스패즈 어택
1121978년 8월The Screamers
211978년 9월피터 토시
221978년 11월수지 앤 더 밴시스 (Siouxsie & the Banshees)


4. 3. 1979년

wikitext

날짜표지 인물/내용표지 제공
231979년 1월(표지 인물 없음)그림: John Van Hamersveld
241979년 3월The Cramps사진: Melanie Nissen
251979년 5월Rasta그림: Rick Monzon
261979년 6월The Alleycats사진: Melanie Nissen
271979년 8월"Jimbo"그림: Gary Panter
281979년 9월데이비드 토마스 (Pere Ubu)사진: Melanie Nissen
291979년 10월수 티슈 (Suburban Lawns)그림: Mark Vallen
2101979년 11월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사진: Kerry Colonna
2111979년 12월제임스 챈스그림: Mike Fink


4. 4. 1980년

wikitext

날짜표지 인물표지 제공비고
311980년 1/2월리 빙(Fear)
321980년 3월윈스턴 로드니(Burning Spear)사진: Scott Lindgren
331980년 4월말콤 맥라렌과 조니 로튼그림: Bob Biggs
341980년 5월요한나 벤트사진: Scott Lindgren
351980년 여름하드코어 펑크그림: Mark Vallen마지막 호


5. 영향 및 평가

슬래시는 1970년대 후반 등장한 펑크 록이라는 새로운 문화 현상을 대중에게 알리고 기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잡지는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던 더 스크리머스, 더 스컬스, 너버스 젠더, 백스, X와 같은 밴드들을 꾸준히 소개했다. 그러나 활동 범위를 LA 지역에만 국한하지는 않았는데, 창간호 표지에 영국 밴드 댐드의 보컬 데이브 배니언을 등장시킨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단순히 펑크 록만을 다루지 않고 레게, 블루스, 로커빌리 등 다양한 음악 장르에 대한 기사와 리뷰를 실어, 당시 펑크 팬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었던 음악 세계를 폭넓게 소개했다. 이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언더그라운드 음악계의 다양성을 넓히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슬래시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작가, 만화가, 사진가들이 주요 기고자로 참여했다.

구분주요 기고자
작가클로드 "킥보이 페이스" 베시, 크레이그 리, 리처드 멜처, 제프리 리 피어스, 크리스 D., 앨런 맥도넬, 플레전트 지먼
만화가게리 팬터
사진가데이비드 아르노프, 수잔 카슨, 케리 콜로나, 에드 콜버, 다이앤 갬보아, 프랭크 가르가니, 제니 렌스, 멜라니 니스, 도나 산티시, 앤 수마, 스콧 린드그렌, 필로미나 윈스턴리 (공동 편집자)



1980년에 슬래시는 폐간되었다. 잡지 운영에 참여했던 주요 인물들이 각자의 다른 활동에 더 집중하게 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발행인 밥 빅스(Bob Biggs)는 슬래시 레코드 레이블 운영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기고가로 활동했던 많은 뮤지션들은 자신들의 밴드 활동에 집중했다. 또한, Germs나 the Weirdos와 같은 초창기 LA 펑크 밴드들이 해체하고, 포스트펑크, 하드코어 펑크, 데스록과 같은 새로운 하위 장르들이 부상하면서 기존 펑크 록이 점차 힘을 잃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도 폐간의 배경 중 하나였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슬래시는 그 역할을 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슬래시가 소개하고 기록한 펑크 록과 다양한 언더그라운드 음악은 이후 여러 지역의 음악 신(scene)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한국 펑크 록 신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 슬래시가 소개한 다양한 밴드와 음악 스타일은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unk Music and Culture in the UCLA Library https://guides.libra[...]
[2] 웹사이트 Complete Slash print run http://circulationze[...] Ryan Richardson 2024-05-16
[3] 웹사이트 Punk Music and Culture in the UCLA Library https://guides.lib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