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착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대착오(時代錯誤, anachronism)는 어떤 대상이나 개념이 원래 속해야 할 시대와 다른 시대에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거나, 시대가 다른 것을 혼동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시대착오는 물건, 기술, 사상, 관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시대 역행, 시대 선행, 시대 혼합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시대착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무지나 의도적인 미적 선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예술 작품이나 문학 작품에서 의도적으로 사용되어 유머, 풍자, 또는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과거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 언어, 기술, 관습 등의 부자연스러운 사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착오의 식별 능력은 위조된 문서나 유물을 감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대학 - 0년
0년은 천문학에서 서력기원의 불연속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원후 1년 직전 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ISO 8601에서도 사용되며 다른 기년법에서 기점이 되는 해나 상징적 사건이 일어난 해를 지칭하기도 한다. - 연대학 - 크기 정도 (시간)
크기 정도 (시간)은 플랑크 시간처럼 매우 짧은 시간부터 우주의 나이까지 다양한 시간 척도를 나타내는 단위들을 설명하며, 일상생활, 과학 기술, 한국 전통 문화, 천문학,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의 시간 단위를 포괄하여 시간의 크기를 가늠하도록 돕는다. - 허구 - 주제
문학적 주제 표현 기법은 문학 작품에서 작가의 통찰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붉은 실' 개념, 주제를 강조하는 라이트워트슈틸, 주제를 강화하는 이야기 속의 이야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 허구 - 문체
문체는 언어, 글의 양식, 작가 및 작품의 표현, 시대나 집단의 특징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어휘, 문장 구조, 단락 구조 등의 요소로 구성되며, 작가의 목소리를 나타내는 문학적 요소이다. - 시간 - 오전
- 시간 - 과거
과거는 이전에 일어난 일, 개인의 경험, 특정 시점 등을 의미하며, 찰스 디킨스의 소설에 등장하고, 철학,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교훈을 담고 있는 주제이다.
시대착오 | |
---|---|
기본 정보 | |
![]() | |
정의 | 어떤 시대에 있어야 할 것이 다른 시대에 나타나는 것. 다시 말해서, 시대에 맞지 않는 것. |
어원 | 그리스어 ἀνά (aná, "반대로")와 χρόνος (chrónos, "시간")의 조합 |
설명 | 어떤 사물(예: 기술, 관습, 용어)이 실제 존재했던 시점과 다른 시대에 나타나는 오류. 의도적인 것일 수도 있고, 부주의나 무지로 인한 것일 수도 있음. 고대 유물이나 예술 작품의 해석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 중 하나. |
예시 | |
유형 | 고의적인 시대착오 비고의적인 시대착오 |
설명 | 문학, 연극, 영화 등에서 시대적 배경과 맞지 않는 사물이나 관습이 등장하는 경우. 역사적 사실과 다른 내용이 등장하는 경우.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 현재의 기술이나 관습이 등장하는 경우. |
관련 개념 | |
관련 용어 | 시대 구분 역사 왜곡 가짜 역사 오파츠 (Ooparts, Out-of-place artifacts) |
2. 유형
시대착오란 시대가 다른 것을 다른 시대의 것과 혼동하는 것, 또는 깨닫고 있어도 심리적으로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거나 이미 과거의 것이 된 방식 등에 고집하는 등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을 말한다.[31]
코토뱅크(コトバンク)에 실린 『사자성어를 아는 사전』에서는 호쿠토우 후(北杜夫)의 소설 『외로운 임금님』(1969년)에 나오는 "왕이라는 존재가, 애초에 시대착오인 거네. 전통이라기보다는 무지에서 비롯된 단순한 습속이, 권력다운 것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라는 문장을 시대착오의 예시로 제시하고 있다.[32] 영어권에서도 왕제는 시대착오라는 지적이 자주 나온다.[33]
영어 'anachronisme'는 일본어 '시대착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반대로 먼 과거를 분석할 때 현대의 것을 끌어들여 잘못 분석하는 것도 포함한다.[34] 역사학에서 "아나크로니즘"은 과거의 사회나 사건을 분석할 때,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잘못된 분석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대착오는 크게 시대 역행, 시대 선행, 시대 혼합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2. 1. 시대 역행 (Parachronism)
시대착오는 어떤 대상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야 할 시대보다 늦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2][1] 주로 특정 시대에 속하는 물건, 관용구, 기술, 철학적 사상, 음악 스타일, 재료, 관습 등이 이후 시대에 나타날 때 발생한다. 과거에는 흔했지만 지금은 희귀하거나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물건이나 아이디어도 시대착오에 해당할 수 있으며, 구식 기술, 유행이 지난 패션, 오래된 관용구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2. 2. 시대 선행 (Prochronism)
πρό|프로|grcχρόνος|크로노스|grc에서 유래한 '''시대 선행'''은 어떤 대상이나 아이디어가 그 상황이 발생할 때 아직 발명되지 않아, 당시에는 존재할 수 없었던 불가능한 시대착오를 의미한다.[3] 시대 선행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물건,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표현, 아직 공식화되지 않은 철학, 아직 진화하거나 품종 개량되지 않은 동물, 또는 아직 창조되지 않은 기술의 사용 등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2. 3. 시대 혼합 (Metachronism)
현대적인 환경에서 오래된 문화적 유물을 사용하는 것처럼, 시대를 거스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대인이 갓을 쓰고 붓글씨를 쓰는 모습은 시대착오적으로 보일 수 있다.시대착오란 시대가 다른 것을 다른 시대의 것과 혼동하는 것이다. 또는, 깨닫고 있어도 심리적으로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거나, 이미 과거의 것이 된 방식 등에 고집하는 등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다.
3. 정치적 목적의 시대착오
정치적, 민족주의적 또는 혁명적 목적을 가진 예술 및 문학 작품에서 시대착오는 제도나 관습을 실제보다 오래된 것으로 묘사하거나, 과거와 현재의 구분을 의도적으로 흐리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9세기 루마니아 화가 콘스탄틴 레카는 16세기 루마니아 역사에서 두 지도자인 이온 보그단 보이보드와 라두 보이보드 사이의 평화 협정을 배경에 몰다비아 (파란색-빨간색)와 왈라키아 (노란색-파란색)의 국기를 사용하여 묘사하였다. 이 국기는 1830년대에만 생겨났는데, 시대착오는 그림이 만들어진 당시 몰다비아와 왈라키아가 루마니아 왕국으로 통일되는 데 정당성을 부여한다.[5] 러시아 화가 바실리 베레시차긴은 그의 그림 ''영국의 인도 반란 진압'' (Blowing from Guns in British India|영국의 인도 반란 진압영어)에서 반란군이 대포로 처형된 1857년 인도 반란의 여파를 묘사했다. 또 다른 반란이 인도에서 발발할 경우 영국군이 이 처형 방법을 다시 사용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기 위해 베레시차긴은 19세기 말 제복을 입은 영국 군인들이 처형을 수행하는 모습을 묘사했다.
4. 예술과 문학에서의 시대착오
시대착오는 특히 역사적 기반을 둔 상상력을 발휘한 작품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시대착오는 서로 다른 시대를 특징짓는 생활 방식과 사고방식의 차이를 모르거나, 예술 및 과학의 발전과 같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이는 뚜렷한 모순에서부터 거의 알아차리기 힘든 왜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의도하지 않은 실수일 수도, 의도적인 미적 선택일 수도 있다.[7]
라파엘[11]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뿐만 아니라, 이전 시대의 덜 유명한 화가와 극작가들의 작품에서도 시대착오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12] 캐롤 마이어스는 고대 텍스트의 시대착오를 통해 이야기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13] 반복되는 시대착오와 역사적 오류는 로마 군단병이 가죽 갑옷을 입었다는 믿음과 같이 대중문화의 일부로 굳어지기도 한다.[14]
-- | -- |
-- | -- |
시대착오란 시대가 다른 것을 다른 시대의 것과 혼동하는 것, 또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이미 과거의 것이 된 방식에 얽매이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사고방식을 고수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착오"란 인식과 사실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31] 코토뱅크(コトバンク)에 실린 『사자성어를 아는 사전』에서는 호쿠토우 후(北杜夫)의 "왕이라는 존재가, 애초에 시대착오인 거네. 전통이라기보다는 무지에서 비롯된 단순한 습속이, 권력다운 것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라는 문장을 예시로 들고 있다.[32]
영어의 'anachronisme'는 일본어의 '시대착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반대로 먼 과거를 분석할 때 현대의 것을 끌어들이는 실수를 가리키기도 한다.[34] 역사학에서 "아나크로니즘"은 과거의 사회나 사건을 분석할 때, 최근에 등장한 것을 당시 보편적인 것처럼 오해하여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므로, 과거 시대 분석에 있어 잘못된 방법이다.
현대극에서도 시대착오(아나크로)가 나타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근 사회 문제를 다루는 드라마에서 현대 사회에 대한 인식이 낡은 각본가가 이미 사라진 옛 사회 제도나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각본을 쓰는 경우가 있다. 한편, 텔레비전 픽션 작품에서는 시대착오를 시청자도 알아차릴 것이라고 예상하고 일부러 시대착오를 활용하여 재미를 추구하기도 한다.
"타임 슬립"물은 대부분 시대착오를 즐기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예를 들어, 반무라의 SF 소설 『전국 자위대』(1971년 발표)는 전국 시대에 1970년대 당시의 자위대가 타임 슬립한다는 설정을 통해 작가와 독자 모두에게 즐거움을 선사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최근 작품으로는 에스토엠의 만화 『좋아요! 겐지군』(2015년 연재)이 헤이안 시대 귀족이 현대에 나타난다는 설정을 통해 의도적인 시대착오를 일으켜 독자들에게 인기를 얻었고, NHK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4. 1. 의도적 시대착오
월터 스콧은 역사 문학에서 시대착오를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했다. 그는 "어떤 종류의 흥미를 유발하려면, 가정한 주제가 우리가 사는 시대의 언어뿐만 아니라 방식에도 번역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8]과거를 배경으로 하는 코미디 소설은 유머를 위해 시대착오를 사용할 수 있다. 희극적인 시대착오는 정치적 또는 사회적 관습과 유사점을 도출하는 등, 역사적 사회와 현대 사회 모두에 대한 진지한 요점을 제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6]
시대극에서는 현대의 문물을 잘못 등장시키는 시대착오(아나크로) 행위가 나타나기도 한다.

4. 2. 비의도적 시대착오
예술과 과학의 진보, 생활 방식의 변화 등에 대한 무지로 인해 시대착오가 발생할 수 있다. 19세기 초부터 시대착오적인 역사적 현실에서 벗어난 것이 일반 대중에게 충격을 주기도 했다.[7][9][10]

5. 미래 시대착오
미래 시대착오는 SF 작품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작가들이 미래의 모든 정치, 사회, 기술적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서 작품 속 설정이 현실과 맞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17] 이는 레트로퓨처리즘과도 연관된다.
5. 1. 예시
SF 작가들은 신중한 연구를 거치더라도 모든 정치, 사회 및 기술적 변화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품이 시대착오에 빠질 위험이 있다.[17]예를 들어, 21세기 중반 이후를 배경으로 하는 많은 책, 텔레비전 쇼, 라디오 방송 및 영화에서는 소련,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레닌그라드로, 동서 진영 간의 지속적인 갈등과 분단된 독일과 분단된 베를린을 언급한다. 스타 트렉은 미래 시대착오를 겪었으며, 이러한 오류를 설정 변경하는 대신 2009년 영화에서는 이전 프랜차이즈와의 일관성을 위해 이를 유지했다.[18]
세계 무역 센터와 같은 건물이나 자연 지형이 사라지면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으며,[19] 일부 작품은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세계 무역 센터를 삭제하도록 수정되었다.
미래 기술이 이야기가 설정된 시점에는 구식이 될 기술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에서는 행성 간 우주 여행과 계산자를 사용한 계산이 공존한다.[20]
시대극에서의 시대착오(아나크로)는 시대극 극중에 현대의 문물을 잘못 등장시키는 행위이다. 현대극에서의 시대착오(아나크로)는, 예를 들어 근래의 사회 문제를 그리는 드라마에서 현대 사회에 대한 인식이 낡은 각본가가 담당하여, 그 각본가가 이미 소멸된 옛 사회 제도나 인간 관계 등을 바탕으로 사회 제도나 인간 관계의 묘사를 각본 중에 해버리는 것, 그리고 그것이 그대로 드라마화되거나 방송되는 것이 있다.
텔레비전의 픽션 작품에서는, 시대착오를 시청자도 알아차릴 것이라고 알고 일부러 시대착오(아나크로)를 해보고, 그 "우스움"(재미)을 즐겁게 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타임 슬립물에서는, 그 대부분이 아나크로를 즐기는 것이 작품의 기본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무라 료의 SF 소설 전국 자위대(1971년)에서는 전국 시대에 1970년 당시의 자위대가 타임 슬립을 한다는 설정을 통해, 2015년부터 게재된 에스토엠의 만화 좋아요! 겐지군에서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이 현대에 나타난다는 설정을 통해 시대착오를 유발하여 독자에게 즐거움을 주고 드라마화되기도 하였다.
6. 언어적 시대착오
언어적 시대착오는 소설과 영화에서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흔하게 나타난다.
텔레비전 픽션 작품에서는 시청자도 알아챌 것이라고 예상하고 일부러 시대착오를 연출하여 그 "우스움"(재미)을 즐기게 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타임 슬립"물에서는 대부분 시대착오를 즐기는 것이 작품의 기본이 된다. 예를 들어 반무라의 SF 소설 『전국 자위대』(1971년 작품)에서는 전국 시대에 1970년대 당시 자위대가 타임 슬립을 한다는 가정을 통해 작가와 독자가 함께 즐기는 작품으로,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최근 작품으로는 에스토엠의 만화 『좋아요! 겐지군』(2015년 연재)이 있는데, 헤이안 시대 귀족이 현대에 나타난다는 설정으로 등장인물 "겐지군"의 대사와 행동을 의도적으로 시대착오적으로 만들어 독자들에게 인기를 얻었고, NHK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6. 1. 의도적 언어 시대착오
언어 시대착오는 소설과 영화에서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꽤 흔하게 나타난다.[21] 의도적인 시대착오는 과거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서 관객에게 더 쉽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언어와 발음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현대인(심지어 많은 학자들조차)은 15세기 영어로 대화하는 영화를 이해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관객들은 등장인물이 현대화된 언어로 말하는 것을 믿음의 유예로 기꺼이 받아들이며, 현대적인 속어와 표현이 이러한 영화에서 자주 사용된다.[22]7. 무의식적 시대착오
무의식적 시대착오는 역사 기록자가 완전히 객관적이고 정확한 역사적 유물이나 예술 작품의 기록 또는 표현을 의도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역사 기록자의 관점이 그들 시대의 가정과 관행에 의해 조건 지어지기 때문이며, 일종의 문화적 편견 형태이다. 한 예로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잉글랜드 골동품 수집가들이 기록한 다양한 중세 묘상과 스테인드 글라스 속 인물에 역사적으로 부정확한 수염을 부여한 것을 들 수 있다. 수염이 유행하고 널리 퍼졌던 시대에 활동했던 골동품 수집가들은 수염이 드물었던 시대로 그 유행을 무의식적으로 투영한 것으로 보인다.[23]
8. 학계에서의 시대착오
역사 저술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시대착오는 한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관심사와 가정을 다른 시대의 사건과 행동을 해석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류는 현대주의라고 불리기도 한다. 아서 마윅은 "과거 사회가 우리 사회와 매우 다르다는 사실과 ... 그것을 아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전문 역사가에게 필수적인 기술이며, "시대착오는 (다른 분야의 전문가 등)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역사를 시도할 때 여전히 가장 명백한 결점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25]
영어의 'anachronisme'는 한국어의 "시대착오"와 주된 의미는 같지만, 먼 과거의 것을 분석할 때 현대의 것을 끌어들이는 실수도 포함한다.[34] 역사학에서 "아나크로니즘"은, 먼 옛날의 사회나 사건을 분석할 때, 근년에 등장한 것을 당시 보편적인 것처럼 오해하여 그것을 토대로 분석하거나 논하는 분석법을 말한다. 이는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 시대 분석에서 잘못된 것이다.
8. 1. 현대주의 (Presentism)
역사 저술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시대착오는 한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또는 문화적 관심사와 가정을 다른 시대의 사건과 행동을 해석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용하는 것이다. 현재의 관점을 시대착오적으로 적용하여 역사적 과거에 대해 논평하는 것을 때때로 현대주의라고 한다. 경험주의 역사가들은 19세기에 레오폴트 폰 랑케가 확립한 전통에 따라 이 작업을 진행하며, 이를 큰 오류이자 피해야 할 함정으로 간주한다.[24] 아서 마윅은 "과거 사회가 우리 사회와 매우 다르다는 사실과 ... 그것을 아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전문 역사가에게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기술이며, "시대착오는 (다른 분야의 전문가 등)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역사를 시도할 때 여전히 가장 명백한 결점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25]9. 위조 판별
시대착오를 식별하는 능력은 문서나 유물이 특정 시대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기를 밝혀내는 데 중요한 법의학적 도구가 될 수 있다. 앤서니 그래프턴은 포르피리오스, 아이작 카소본(1559–1614), 리하르트 라이첸슈타인(1861–1931)의 연구를 예로 들어, 이들이 "헤르메스 코르푸스"와 같은 문학 위조 및 표절을 폭로하는 데 시대착오 인식을 활용했음을 보여준다.[26]
시대착오 감지는 외교문서학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외교문서학은 마우리스토회 학자 장 마비용(1632–1707)과 그의 후계자 르네-프로스페르 타생(1697–1777) 및 샤를-프랑수아 투스탱(1700–1754)이 개발한 문서 형식과 언어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의미한다.
제러미 벤담은 19세기 초에 시대착오를 통해 문서의 허위성을 감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문서 작성 날짜 이후에 사용된 단어 사용을 위조 징후로 보았다.[27] 살아있는 언어는 항상 변화하므로, 단어, 의미, 구문 구성, 철자법 등의 변화는 문서 연대를 추정하고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9. 1. 예시
- 1440년 로렌조 발라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이 콘스탄티노폴리스라는 도시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 명칭은 330년이 되어서야 붙여졌기 때문에 해당 문서가 위조되었음을 폭로했다.[26] 이는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315년 또는 317년에 기증을 했다고 주장하는 것과 모순된다.
- 몰몬경에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 아메리카가 아닌 19세기에 쓰여졌다고 판단할 수 있는 여러 시대착오적 요소들이 발견된다.[28]
- 벤자민 프랭클린의 것으로 알려진 "프랭클린 예언"은 19세기와 20세기의 반유대주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위조로 판명되었다.[28]
- 1712년에 행해졌다고 알려진 윌리엄 린치 연설은 버지니아 식민지에서 노예를 통제하는 방법을 담고 있는데, "프로그램", "재급유"와 같은 시대착오적 용어를 사용하여 20세기에 위조된 것으로 간주된다.[29]
참조
[1]
논문
Chronisms: on the past and future of the relation of times
https://www.tandfonl[...]
2019-10-02
[2]
웹사이트
parachronism {{!}} Etymology of parachronism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09-12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PROCHRONISM
https://www.merriam-[...]
2024-09-12
[4]
웹사이트
Metachronism
https://www.merriam-[...]
2024-01-26
[5]
간행물
Art in December: M. Verestchagin on his Critics – Art and Politics
https://archive.org/[...]
Cassell
1878-1904
[6]
문서
Succulenta 2017
https://commons.wiki[...]
[7]
웹사이트
For Infidelity: Reconsidering Aesthetic Anachronism
http://www.popmatter[...]
2013-09-18
[8]
서적
Ivanhoe; a Romance
https://books.google[...]
[9]
문서
Grafton 1990, p. 67.
[10]
서적
The Discarded Image: an introduction to medieval and Renaissance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Raphael Santi: His Life and His Works
https://archive.org/[...]
Smith, Elder & Co.
[12]
서적
Shakespeare and the Uses of Antiquity: An Introductory Ess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뉴스
Archaeology Find: Camels In 'Bible' Are Literary Anachronisms
https://www.npr.org/[...]
NPR
2014-02-14
[14]
웹사이트
Time meddlers: anachronisms in print and on film
http://www.radiotime[...]
2011-03-31
[15]
문서
Saint Dominic presiding over an Auto-da-fe
http://www.museodelp[...]
[16]
웹사이트
Hollywood, History, and the Art of the Big Anachronism
http://www.popmatter[...]
2013-09-26
[17]
서적
The Guide to Writing Fantasy and Science Fiction
https://books.google[...]
Adams Media
[18]
웹사이트
Living the Star Trek life
http://www.cnet.com/[...]
2009-05-08
[19]
뉴스
'Empire': Gangster Tale Sleeps With the Fishes
https://www.washingt[...]
2002-12-06
[20]
웹사이트
Sliding Through Science History, Part 2
https://irp.nih.gov/[...]
2016-06-09
[21]
뉴스
Historical Vocab: When We Get It Wrong, Does It Matter?
https://www.npr.org/[...]
2013-02-26
[22]
뉴스
The Way We Live Now: 3-26-00: On Language; Anachronism
https://www.nytimes.[...]
2000-03-26
[23]
논문
Beards: true and false
[24]
서적
Empiricism and History
Palgrave Macmillan
[25]
서적
The New Nature of History: knowledge, evidence, language
Palgrave
[26]
문서
Grafton 1990, pp. 75–98.
[27]
서적
A Treatise on Judicial Evidence
https://archive.org/[...]
Baldwin, Cradock and Joy
[28]
웹사이트
Anti-Semitic Myth: The Franklin "Prophecy"
http://www.adl.org/s[...]
Adl.org
[29]
웹사이트
Is Willie Lynch's Letter Real?
http://www.ferris.ed[...]
[30]
문서
アナクロニズム
[31]
문서
四字熟語を知る辞典
[32]
문서
四字熟語を知る辞典
[33]
뉴스
Monarchy is an Anachronism
https://www.patriotl[...]
The Patriot Ledger, Joseph Giglio
2020-01-25
[34]
문서
'新和英大辞典 第五版'
研究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