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무는 진나라에 대한 반란 당시 장군으로 활동하며 한나라 건국에 기여한 인물이다. 한신 휘하에서 제나라를 공격했고, 고제 6년에 극포후에 봉해졌다. 이후 흉노에 항복한 한왕 신을 토벌했으며, 여태후 사후에는 문제 옹립에 참여하여 대장군으로 활약했다. 문제 치세에 남월과 고조선 정벌을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제북왕 유흥거의 반란을 진압했다. 문제 사후 봉국이 제해졌으나, 선제 때 증손에 의해 가문이 다시 일어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3년 사망 - 주통 (전한)
    주통(전한)은 전한 고조를 섬겨 집모와 중위를 지냈으며, 여나라 승상에 임명되고 중읍후에 봉해졌고, 문제 후원년에 사망하여 시호를 정이라 하였다.
  • 기원전 163년 사망 - 효혜황후 (전한)
    효혜황후 장씨는 전한 혜제의 황후로, 여태후의 외손녀이자 혜제의 조카딸로서 정치적 이유로 어린 나이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를 얻지 못하고, 여태후 사후 폐위되어 생을 마감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전한의 공신 - 장량
    장량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초한쟁패기를 거쳐 전한 초기에 활약한 한나라 귀족 출신 인물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유후에 봉해진 뛰어난 지략가이자 책사이다.
  • 전한의 공신 - 소하
    소하는 전한 초기의 정치가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공을 세웠으며, 군수 보급, 내정 담당, 한신 천거, 승상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지는 데 헌신한 인물이다.
  • 전한의 귀족 - 장량
    장량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초한쟁패기를 거쳐 전한 초기에 활약한 한나라 귀족 출신 인물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유후에 봉해진 뛰어난 지략가이자 책사이다.
  • 전한의 귀족 - 소하
    소하는 전한 초기의 정치가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공을 세웠으며, 군수 보급, 내정 담당, 한신 천거, 승상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지는 데 헌신한 인물이다.
시무
기본 정보
중국 산시 성에서 치 현의 위치
중국 산시 성에서 치 현의 위치
이름시무 (柴武)
자양(子陽)
작위극후(棘侯)
시호무후(武侯)
생애
출생미상
사망기원전 196년
활동
시대전한
주요 활동진희 반란 평정
가계
아버지시역(柴역)
아들시기(柴奇)

2. 일대기

기원전 205년, 한나라에 합류한 시무는 한신제나라 공격에 참여하여 역하에 주둔한 제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해하 전투에서는 주발과 함께 고제의 후방을 지켰다. 이 공로로 기원전 201년 극포후(棘蒲侯)에 봉해졌다.[1][2][3]

기원전 196년, 흉노로 도망쳤던 한왕 신이 쳐들어오자, 시무는 한왕 신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전투 끝에 죽였다.[5]

기원전 180년, 여태후 사후 문제를 옹립하는 데 대장군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7] 문제에게 남월고조선 정벌을 건의했으나 거절당했다.[6]

기원전 177년, 제북왕 유흥거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대장군으로 임명되어 10만 군사를 이끌고 반란군을 제압했다.[7][8]

기원전 174년, 아들 시기(柴奇)가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9][10] 기원전 163년 사망 후 봉국이 폐지되었다가, 기원전 61년 증손 가(嘉)가 가문을 다시 일으켰다.[3]

2. 1. 초기 생애와 거병

시무는 진나라에 대한 반란이 일어나는 가운데 설(薛)에서 병졸 2,500명을 거느리고 거병했다.[1] 동아를 구원하고, 이후 패상에 이르러 고조 2년(기원전 205년)에 한나라의 지휘 아래 들어갔다. 한신의 제나라 공격에서 역하(力下)에 주둔한 제나라 군대를 쳐 흩어버려 공적을 세웠다.[2][3] 해하 전투에서는 주발과 함께 고제의 후방에 있었다.[4]

2. 2. 한나라 건국 공신

시무는 2500명을 거느리고 설(薛)에서 거병해 진나라와 맞서 싸웠고, 한왕 2년(기원전 205년)에 한나라에 들어갔다. 한신의 제나라 공격에서 역하에 주둔한 제나라 군대를 쳐 흩어버렸다. 해하 전투에서는 주발과 함께 고제의 후방에 있었다.[4] 이 공적으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극포후(棘蒲侯)에 봉해졌다.[1][2][3]

고제 11년(기원전 196년), 이전에 흉노에 항복해 한나라를 계속 괴롭혀 온 한왕 신이 참합(參合)으로 쳐들어오자 맞서 싸우러 나가 한왕 신에게 항복을 권고했다. 그러나 한왕 신이 받아들이지 않자, 싸워 참합을 도륙하고 한왕 신을 참수했다.[5]

2. 3. 한왕 신 토벌

기원전 196년(고제 11년), 흉노에 항복해 한나라를 계속 괴롭혀 온 한왕 신이 참합(參合)으로 쳐들어오자 시무는 맞서 싸우러 나가 한왕 신에게 항복을 권고했다. 시무는 한왕 신에게 "폐하는 관대하시어, 제후가 반란이나 도망을 한다 해도 돌아오면 지위를 돌려주고 주살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대왕도 아는 바일 것입니다. 지금 왕은 져서 흉노로 도망갔지만, 큰 죄가 있는 것은 아니니, 급히 한나라로 돌아가야 합니다."라는 편지를 보냈다.[5] 그러나 한왕 신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시무와 교전했고, 시무는 참합을 도륙하고 한왕 신을 참수했다.[5]

2. 4. 여태후 사후

기원전 180년, 여후가 사망한 후, 주발, 유장, 진평 등이 여씨 세력을 제거하고 유항을 새 황제로 추대했다. 이때 시무는 여러 신하들과 함께 대장군으로서 문제를 맞이했다.[7] 문제 초기, 시무는 남월고조선을 공격할 것을 건의했으나, 문제는 큰 군사 행동을 원치 않아 이를 거부했다.[6]

2. 5. 남월과 고조선 정벌 제안

문제 즉위 초, 장군 시무는 남월조선을 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제는 큰 군대를 일으키는 것을 원치 않아 이를 거절했다.[6]

2. 6. 제북왕 유흥거의 반란 진압

기원전 177년(문제 전3년), 제북왕 유흥거가 반란을 일으키자, 문제는 시무를 대장군으로 삼아 유흥거를 토벌하게 했다.[7][8] 시무는 네 장군과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진압에 나섰고, 유흥거는 전투에 패해 사로잡혀 자결했다.[7][8]

2. 7. 말년과 죽음

기원전 180년, 여후가 사망한 후, 주발, 유장, 진평 등이 여씨 세력을 제거하고 유항을 새 황제로 추대했을 때, 시무는 여러 신하들과 함께 대장군으로서 문제를 맞이했다.[7] 문제 초기, 시무는 남월고조선을 공격할 것을 건의했으나, 문제는 큰 군사 행동을 원치 않아 이를 거부했다.[6]

기원전 177년(문제 전3년), 제북왕 유흥거가 반란을 일으키자, 문제는 시무를 대장군으로 임명하여 네 장군과 10만 군사를 이끌고 진압하게 했다. 유흥거는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로잡힌 후 자결했다.[7][8]

기원전 174년(문제 전6년), 시무의 아들 태자 시기(柴奇)[9]가 회남여왕 유장의 반란에 가담했다가 발각되어 처형당했다.[10] 시무는 다른 후사를 얻지 못한 채 기원전 163년(문제 후원년)에 사망했다. 시호는 강(剛)이었으며, 봉국은 폐지되었다.[2][3] 이후 선제 시기인 원강 4년(기원전 61년), 시무의 증손 가(嘉)가 조서를 받아 가문을 다시 일으켰다.[3]

참조

[1] 문서 《한서·지리지》에는 보이지 않는 지명이다. 전국시대 [[초 (춘추 전국)|초]]·[[조 (전국)|조]] 연합과 [[위 (전국)|위나라]]가 극포에서 싸운 적이 있는데, 이 극포는 지금의 [[웨이현 (한단시)|웨이현]] 남쪽에 있으며, 진나라의 행정구역으로는 [[한단군]]에 있다.
[2] 서적 사기 (역사서)
[3] 서적 한서
[4] 서적 전게서
[5] 서적 전게서
[6] 서적 전게서
[7] 서적 전게서
[8] 서적 전게서
[9] 문서 시기도 아버지처럼 진기(陳奇)라고도 한다.
[10] 서적 전게서
[11] 문서 《사기》에서는 21위, 《한서》에서는 22위라 한다.
[12] 문서 상제를 피휘해 융려라고도 한다.
[13] 문서 《사기》에는 순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14] 문서 《사기》에서는 '양하제애후'에 이름은 기록이 없고, 《한서》에서는 '양하제후 기석'으로 기록되어 있다.
[15] 문서 《사기》에서는 봉읍을 마(磨)라 했으나, 《사기색은》에서는 이를 오류라고 했다.
[16] 문서 《사기》에서는 116위, 《한서》에서는 126위라고 한다. 《사기》를 따를 경우, 척새와 순위가 중복된다.
[17] 문서 원래는 항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