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버스 (홍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티버스(Citybus)는 1979년 설립된 홍콩의 버스 회사로, 홍콩 섬, 구룡, 란타우 섬 등에서 노선을 운영한다. 1990년대 런던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영국 시장에 진출하기도 했다. 1999년 스테이지코치 그룹에 인수되었고, 2003년 뉴 월드 퍼스트 버스의 모회사에 매각되었다. 2023년에는 뉴 월드 퍼스트 버스와 합병하여 약 1,700대의 버스를 운행하며, 홍콩 국제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시티플라이어(Cityflyer)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버스 회사 - 롱윈 버스
롱윈 버스는 1997년 5월 22일 운행을 시작하여 홍콩 국제공항, 퉁충, 홍콩 디즈니랜드 등을 연결하는 42개 노선을 운영하는 홍콩의 버스 회사로, 냉방 저상 2층 버스와 냉방 1층 전기 버스를 포함한 총 25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홍콩의 버스 회사 - MTR 버스
MTR 버스는 홍콩 MTR이 운영하며 툰문구와 위안랑구 지역을 중심으로 둔마선, 경전철과 연계하여 환승 시스템을 제공하는 버스 노선으로, 한국의 광역버스 및 마을버스 시스템과 유사하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흥여객
서흥여객은 1979년 설립되어 경상남도 거창군과 합천군을 중심으로 시내/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거창읍과 합천읍을 기점으로 군내 주요 지역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한 회사이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청주교통
청주교통은 1979년 충북교통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청주시 시내버스 회사로, CNG 버스 도입, 마을순환버스 노선 인수 등을 거쳐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하며, 북부공영차고지 운영권 확보 후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시티버스 (홍콩)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회사 슬로건 | (정보 없음) |
모회사 | 브라보 트랜스포트 |
설립일 | 1979년 8월 5일 |
운행 시작일 | (정보 없음) |
폐업일 | (정보 없음) |
해체 여부 | (정보 없음) |
본사 위치 | 차이완 |
서비스 지역 | (정보 없음) |
서비스 유형 | 버스 서비스 |
제휴 | (정보 없음) |
노선 수 | 108 (2015년) |
정류장 수 | (정보 없음) |
목적지 | (정보 없음) |
허브 | (정보 없음) |
역 | (정보 없음) |
라운지 | (정보 없음) |
차고 | 차이완 샤오하완 청샤완 웡축항 튄문 둥충 |
차량 대수 | 981 (2015년) |
승객 수 | 647,500 (2014년 평균) |
연간 승객 수 | 236,349,000 (2014년) |
연료 유형 | (정보 없음) |
운영자 | (정보 없음) |
최고 경영자 | 애덤 레이시먼 |
회장 | 클리프 장 쿤 |
웹사이트 | 시티버스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노선 | 200개 노선 |
승객 수 | 약 110만 명 |
2. 역사
시티버스는 1979년 설립 이후 여러 차례의 인수 합병과 노선 확장을 거치며 성장했다. 설립 초기에는 소규모 셔틀 서비스로 시작했지만, 점차 홍콩섬의 주요 버스 운영사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중국 모터 버스와의 경쟁에서 승리하며 노선을 확장했고, 홍콩 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시티플라이어 사업에도 진출했다.
1990년대에는 런던에 캐피탈 시티버스를 설립하며 해외 진출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곧 퍼스트그룹에 매각되었다. 1999년에는 스테이지코치 그룹에 인수되었다가, 2003년 다시 뉴 월드 퍼스트 버스의 모회사에 인수되어 NWS 홀딩스의 자회사가 되었다.
2020년에는 브라보 트랜스포트 컨소시엄에 인수되었으며, 2023년에는 뉴 월드 퍼스트 버스와의 합병을 통해 더욱 규모를 확장했다. 현재는 약 1,70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홍콩 섬을 중심으로 노선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홍콩 국제공항과 홍콩 섬 및 구룡 시가지를 잇는 공항 연락 버스인 城巴機場快線|시티플라이어중국어를 운행하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979년 ~ 1990년대 초)
시티버스(홍콩)는 1979년 8월 5일, 전 중국 모터 버스 교통 관리자였던 린든 리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볼보 B55 2층 버스 한 대로 홍콩 유나이티드 도크야드 (훙홈)에 셔틀 서비스를 제공했다.[3] 1981년에는 시티 원 샤틴과 구룡 통 MTR 역 사이의 주거용 버스 노선 운영을 시작하면서 혁신적인 "아침 식사 버스" 서비스를 제공했다.[3] 1982년에는 유나이티드 운송 그룹이 시티버스 지분의 49%를 인수했다.[4][5]1984년, 시티버스는 홍콩과 선전 사이의 국경 간 코치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노선에는 전 내셔널 트래블 웨스트 및 웨스트 요크셔 여객 운송 집행부 이스턴 코치 웍스 차체를 사용한 레이랜드 올림피안 버스가 투입되었다. 1985년에는 에어컨 올림피안 코치 5대를 도입했으며, 이후 에어컨 버스 차량을 지속적으로 확장했다.[5]
1980년대 후반, 시티버스는 추이 찐통의 CNT 그룹에 인수되었다. CNT 그룹은 주택 단지와 MTR 역을 연결하는 신형 올림피안 버스 100대를 투입하여 주거용 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5]
1990년 12월, 시티버스는 런던에 캐피탈 시티버스를 설립하여 북부 및 동부 런던 노선에는 노란색, 런던 중심부 노선에는 빨간색과 노란색 배색을 사용했다.[6][7] 이 회사는 1998년 7월 퍼스트그룹에 매각되어 퍼스트 캐피탈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9][10]
1991년, 홍콩 정부는 시티버스에 홍콩 섬의 첫 번째 프랜차이즈 노선인 12A (애드미럴티 태마 가에서 맥도넬 로드)를 부여했다. 이 노선은 원래 중국 모터 버스가 운영하다가 1980년대에 철수했던 노선이다.[5]
2. 2. 영국 진출 및 홍콩 노선 확장 (1990년대)
1990년 12월, 시티버스는 런던에 캐피탈 시티버스를 설립하여 북부 및 동부 런던 노선에는 노란색, 런던 중심부 노선에는 빨간색과 노란색 배색을 사용했다.[6][7] 이 회사는 1998년 7월 퍼스트그룹에 매각되어 퍼스트 캐피탈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9][10]1991년, 홍콩 정부는 시티버스에 홍콩 섬의 첫 번째 프랜차이즈 노선인 12A (애드미럴티 태마 가에서 맥도넬 로드)를 부여했는데, 이 노선은 원래 중국 모터 버스가 운영하다가 1980년대에 철수되었다.[5]
1993년 9월, 시티버스는 경쟁 입찰에서 승리하여 중국 모터 버스에서 26개의 프랜차이즈 노선을 인수했다. 이 노선들은 네트워크 26으로 브랜드화되었다. 이 노선을 운영하기 위해 싱가포르 버스 서비스에서 101대의 레이랜드 아틀란티안 버스를 구매했다. 1995년에는 입찰 없이 14개의 프랜차이즈 노선이 추가로 회사에 할당되었으며, 차량은 500대 이상으로 확장되었다. 이 기간 동안 시티버스는 홍콩 섬 시장 침투를 확대하여 거의 모든 중국 모터 버스 노선을 낮은 수익성으로 몰아넣었다.[3][5]
1996년, 칭마 대교가 개통되고 퉁충 신도시의 정착이 시작되면서, 시티버스는 퉁충과 새로운 홍콩 국제 공항을 운행하는 13개의 새로운 프랜차이즈 노선을 운영하는 또 다른 입찰에서 승리했다. 1998년에는 공항 시티플라이어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이는 시티버스의 일부이며, 도시로 가는 공항 급행 노선에만 사용된다. 시티플라이어 서비스는 A11, A12, A21 및 A22의 4개 노선으로 구성되었으며, 2006년에 A10이 추가되었다. 시티버스는 또한 다양한 심야 공항 노선 및 공항 셔틀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3]
1998년, 중국 모터 버스의 프랜차이즈가 만료된 후, 12개의 노선이 추가로 시티버스로 이전되었다. 시티버스의 차량은 1,100대까지 증가했다.[3] 중국 모터 버스의 나머지 노선은 새로운 운영사인 뉴 월드 퍼스트 버스로 이전되었다.
2. 3. 중국 본토 진출 및 매각 (1999년 ~ 2003년)
1998년, 중국 모터 버스의 프랜차이즈 만료 후 12개 노선이 시티버스로 이전되었다. 시티버스 차량은 1,100대로 증가했으며,[3] 중국 모터 버스의 나머지 노선은 뉴 월드 퍼스트 버스로 이전되었다.시티버스는 베이징에서 시티버스 (중국) 유한 회사를 통해 합작 사업으로 중국 본토로 확장했다. 이는 베이징 최초의 합작 버스 사업이자 수도에 에어컨 버스를 처음 도입한 사례였다.[3] 이 노선의 성공으로 베이징에 두 번째 도시 급행 코치 노선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2004년 6월 시티버스 (중국) 유한 회사의 지분이 시티버스에서 킹스맨 글로벌 유한 회사로 매각되면서 베이징 서비스는 곧 중단되었다. 시티버스는 톈진에서 658번 노선을 운영하기도 했으나, 시티버스 (중국) 유한 회사 지분 처분 후 다른 회사가 운영하고 있다.
1999년 7월, 시티버스는 스코틀랜드의 스테이지코치 그룹에 인수되었고,[3][11] 2001년에는 중국과 홍콩 간 국경 간 코치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2003년 6월, 스테이지코치 그룹은 시티버스를 뉴 월드 퍼스트 버스의 모회사인 차우 타이 푹 엔터프라이즈에 매각했다.[12][13] 이후 구조 조정을 거쳐 시티버스는 NWS 홀딩스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NWS 홀딩스는 뉴 월드 퍼스트 버스와 뉴 월드 퍼스트 페리의 모회사이기도 하다.[3]
2. 4. 합병 및 현재 (2003년 ~ 현재)
2003년 6월, 스테이지코치 그룹은 시티버스를 주요 경쟁 운영사인 뉴 월드 퍼스트 버스의 모회사인 차우 타이 푹 엔터프라이즈에 매각했다.[12][13] 일련의 구조 조정을 거쳐 시티버스는 NWS 홀딩스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NWS 홀딩스는 뉴 월드 퍼스트 버스 및 뉴 월드 퍼스트 페리의 모회사이기도 했다.[3]2020년 8월, 뉴 월드 퍼스트 버스와 함께 시티버스는 사모 펀드 회사 템플워터 브라보, 홍콩 상장 투자 지주 회사 한스 에너지, 영국 버스 운영사 아센달 그룹으로 구성된 브라보 트랜스포트 컨소시엄에 매각되었다.[14][15][16][17] 아센달 그룹의 창립자인 아담 레이시먼은 브라보 트랜스포트의 CEO가 되었다.[18]
2022년 7월, 브라보 트랜스포트는 뉴 월드 퍼스트 버스 브랜드의 중단을 발표했으며, NWFB 운영은 2023년 7월 1일 버스 프랜차이즈가 갱신될 때 시티버스와 통합되었다.[19] 약 1,70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홍콩섬을 중심으로 노선망을 확장하고 있다.
홍콩 국제공항과 홍콩섬 및 구룡 시가지을 잇는 공항 연락 버스인 城巴機場快線|시티플라이어(성파기창쾌선)중국어을 운행하고 있다.
2003년부터 신세계 제일 버스와 자매 회사 관계였지만, 2022년 7월 12일, 홍콩 행정회의는 2023년 7월에 동사와 시티버스를 합병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그 후, 2023년 6월 30일부로 신세계 제일 버스는 운행을 종료, 다음 날 7월 1일부터 양사의 합병으로 새로운 "시티버스"가 되었다.
3. 운행 노선
시티버스는 2015년 기준으로 108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20]
현재 두 개의 면허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면허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면허 | 이름 | 현재 면허 시작일 | 현재 면허 만료일 | 비고 |
---|---|---|---|---|
면허 1 | 홍콩 섬 및 해저 | 2016년 6월 1일 | 2023년 6월 30일[21] | 원래 면허는 2026년 5월 31일에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신세계제일버스 면허 만료와 맞추기 위해 2023년 6월 30일로 변경되었다.[22] 2023년 7월 1일부터 새로운 10년 도시 및 신계 면허가 시티버스에 부여되어 만료되는 시티버스 및 NWFB 면허를 모두 대체할 예정이다.[19] |
면허 2 | 홍콩 국제공항 및 북 란타우섬 | 2013년 5월 1일 | 2023년 4월 30일[23] | 2023년 5월 1일부터 10년 더 면허가 갱신되었다.[19][21] |
3. 1. 노선 번호 체계
시티버스(Citybus)는 버스 노선이 운행되는 지역에 따라 고유한 번호 체계를 사용한다.번호 | 지역 | 비고 |
---|---|---|
1, 10-19 | 홍콩 섬 또는 미드 레벨스의 북쪽 해안선 | |
2, 20-29 | 홍콩 동구 (사우케이완 - 노스포인트) | |
3, 30-39 | 포크푸람 지역, 애버딘까지는 운행하지 않음 | |
4, 40-49 | 와푸 이스테이트 / 사이버포트 | |
5 | 코즈웨이 베이와 케네디 타운 사이 | |
6, 60-69 | 리펄스 베이, 스탠리 또는 춘홈콕 | |
7, 70-79 | 애버딘 또는 웡척항 | |
8, 80-89 | 차이완 / 샤우사이완 | |
9 | 섹오 | |
90-99 | 압레이차우 | |
2xx | 이전에는 프리미엄 버스 노선을 의미했으나, 현재는 260번 노선만 남아있음 | |
5xx | 이전에는 에어컨 버스 노선을 의미했으나, 현재는 511, 592, 595번 노선만 남아있음 | |
7xx | 홍콩 동구에서 센트럴 / 완차이까지 운행하는 급행 서비스 |
구룡반도의 노선 번호는 구룡 버스에서 사용하던 방식을 일부 수정하여 따른다.
번호 | 지역 | 비고 |
---|---|---|
1-29, 701-729 | 구룡반도 | |
30-49 | 관청구 및 취엔완구 | 현재 이 번호대만을 사용하는 노선은 운행하지 않음 |
50-69 | 튠문구 및 위안랑구 | 현재 튠문을 운행하는 노선만 있음 |
70-79 | 북구 | 현재 타이포구를 운행하는 노선은 없음 |
580-589 | 사틴구 | 현재 80-89번대 노선은 없음 |
790-799 | 사이쿵구 | 현재 90-99번대 노선은 없음 |
7xx | 뉴 월드 퍼스트 버스에서 운행하던 노선으로, 합병으로 인해 현재 시티버스가 운영 | |
5xx | 시티버스가 운영하는 노선 | 2024년 4월부터 운행 시작 예정 |
해저 터널을 경유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지역 | 비고 |
---|---|---|
100-199 | 해저 터널을 경유하는 해저 노선 | |
300-399 | 모든 해저 터널(307번 제외)을 이용하는 급행 피크 시간대 해저 노선 | |
600-699 | 동부 해저 터널을 경유하는 해저 노선 | |
900-999 | 서부 해저 터널을 경유하는 해저 노선 |
공항 관련 노선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지역 | 비고 |
---|---|---|
A10-A19 | 시티플라이어 노선 | 홍콩 국제공항과 홍콩섬 사이 운행 |
A20-A29 | 시티플라이어 노선 | 홍콩 국제공항과 구룡반도 / 퉉쿵오 사이 운행 |
E10-E19 | 외부 버스 노선 (퉁충 및 공항 물류 지역 경유) | 홍콩섬 방면 |
E20-E29 | 외부 버스 노선 (퉁충 및 공항 물류 지역 경유) | 구룡반도 / 퉉쿵오 방면 |
S50-S59 | 공항 셔틀 노선 | 퉁충과 첵랍콕섬의 여러 지역 사이 운행 |
노선 번호에 붙는 접두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접두사 | 의미 |
---|---|
A | 시티플라이어 노선 |
B | 국경 지역 노선 |
E | 퉁충과 공항 물류 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란타우 북부 외부 노선 |
M | 공항철도 연계 노선, 현재 운행 중단 |
N | 심야 노선 |
R | 특별 행사 노선 및 홍콩 디즈니랜드행 노선 (예: R8) |
W | 웨스트 구룡역의 광선강철도 종착역까지 운행하는 연계 노선, W1이 중단된 후 현재 운행 없음 |
X | 급행 노선 |
노선 번호에 붙는 접미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접미사 | 의미 |
---|---|
A-F | 독립 노선 (예: 2, 2A) 또는 주 노선의 지선 (예: 72 및 72A) |
H | 병원 노선 (예: 8H) |
M | MTR Corporation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 연계 노선 |
P | 피크 시간대 노선 |
R | 5R을 제외한 공휴일 및/또는 공공 행사 기간 동안 운행되는 노선, 5R은 종일 운행 |
S | 특별 노선, 일부 심야 노선 포함, 대규모 행사 또는 피크 시간대에 운행되는 노선 |
X | 급행 버스 노선 |
3. 2. 시티플라이어 (공항버스)
'''시티플라이어'''는 주로 공항 코치 서비스를 운영하는 시티버스의 자회사이다. 1998년 홍콩 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9년 5월 30일 기준으로 110대의 알렉산더 데니스 엔비로500 MMC와 3대의 알렉산더 데니스 엔비로500 차량을 독점적으로 사용한다. 시티버스는 현재 시티플라이어 전용 차량을 더 많이 소유하고 있지만, 해당 차량은 아직 운행을 시작하지 않았다. 이 차량에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이 장착된 수하물 선반, 블라인드, USB 충전 포트, 더 넓은 다리 공간의 더욱 편안한 패딩 시트를 포함하여 나머지 차량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점적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1]홍콩 국제공항과 홍콩섬 및 구룡 시가지를 잇는 공항 연락 버스인 城巴機場快線|시티플라이어중국어를 운행하고 있다.[2]
4. 차량
2020년 기준으로, 시티버스는 총 1,013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950대는 2층 버스이고 63대는 1층 버스이다. 대부분의 버스는 알렉산더 데니스와 볼보 버스 등 영국 또는 유럽 제조사에서 제작되었지만, 1층 버스는 대부분 영맨과 BYD 오토 등 중국 본토 제조사에서 주문되었다.[24]
전 차량은 냉방 차량이며, 2층 버스를 중심으로 볼보 (구 레이랜드), MAN, 스카니아, 알렉산더 데니스 등 유럽산 차량을 도입하고 있다.
5. 차량 기지
참조
[1]
웹사이트
城巴/新巴 - 新創建集團成員 - 企業社會責任
http://www.nwstbus.c[...]
[2]
웹사이트
Average Daily Public Transport Passenger Journeys by Public Transport Operator
http://www.td.gov.hk[...]
Transport Department
2015
[3]
웹사이트
Citybus
https://www.bravobus[...]
[4]
뉴스
Hong Kong to buy British
http://archive.comme[...]
Commercial Motor
1985-09-28
[5]
간행물
"Hong Kong Buses Part 2: Citybus Limited"
Fleetline (periodical)
1997-05
[6]
뉴스
From Hong Kong by bus
http://archive.comme[...]
Commercial Motor
1991-01-10
[7]
문서
The History of Ensignbus
http://media.wix.com[...]
Ensignbus
[8]
뉴스
FirstGroup finds London bus firm is just the ticket
http://www.heraldsco[...]
The Herald (Glasgow)
1998-07-09
[9]
문서
Tendered Bus Services
https://publications[...]
Select Committee on Environment, Transport & Regional Affairs
1999-03
[10]
문서
Annual Report Year Ended 31 March 1999
http://www.firstgrou[...]
FirstGroup
[11]
뉴스
Stagecoach enters Hong Kong
http://news.bbc.co.u[...]
BBC News
1999-01-18
[12]
뉴스
Stagecoach sells HK bus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6-09
[13]
뉴스
Stagecoach takes the £176m road away from Hong Kong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3-06-10
[14]
뉴스
Private equity fund Templewater buys Citybus and New World First Bus in HK$3.2b deal
https://web.archive.[...]
The Standard (Hong Kong)
2020-08-21
[15]
간행물
Hong Kong sale saves jobs
Buses (magazine)
2020-10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sortium acquires First Bus and Citybus
https://www.ascendal[...]
NWS Holdings & Templeman
2020-08-21
[17]
웹사이트
Disposal of the entire issued shared capital of NWS Transport Services Limited
https://www.nws.com.[...]
NWS Holdings
2020-08
[18]
웹사이트
Parent company of Citybus and New World First Bus mulls merging option
https://www.marketin[...]
Marketing Interactive
2021-07-30
[19]
웹사이트
Bravo Transport Announces the Merger of Citybus and NWFB Franchises into the Newly Created Citybus (Franchise for Urban and New Territories Network)
https://www.bravobus[...]
Bravo Transport
2022-07-12
[20]
웹사이트
2015 Annual Transport Digest
http://www.td.gov.hk[...]
Transport Department
2015
[21]
웹사이트
3 new bus franchises granted
https://www.news.gov[...]
news.gov.hk
2022-07-12
[22]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bravobus[...]
[23]
문서
Grant of new franchises to three bus companies
http://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12-04-24
[24]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 - Citybus Limited {{!}} Annual Transport Digest 2020
https://www.td.gov.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