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포놉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포놉스과는 무족영원목에 속하는 양서류 과이다. 이 과에는 브라질티플루스속, 루에트케노티플루스속, 미크로카이실리아속, 미모시포놉스속, 시포놉스속을 포함한 여러 속이 있다. 2012년 기준, 시포놉스과는 무족영원목 내에서 다른 과들과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의 양서류 - 남아메리카뿔개구리속
    남아메리카뿔개구리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매복 포식 생활을 하고,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일부 종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남아메리카의 양서류 - 케우토만티스속
    케우토만티스속은 프리스티만티나아과에 속하는 개구리 속으로, 좁은 머리와 녹색을 띠며 손가락과 발가락에 패인 발가락 디스크를 가지며, 4종의 개구리를 포함한다.
시포놉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시포놉스과 (Siphonopidae)
Siphonops annulatus
학명Siphonopidae
명명자Bonaparte, 1850
하위 분류
하위 속Brasilotyphlus
Luetkenotyphlus
Microcaecilia
Mimosiphonops
Siphonops

2. 하위 속


  • ''브라질티플루스속''(Brasilotyphlus)
  • * ''브라질티플루스 브라질리엔시스''(Brasilotyphlus braziliensis)
  • * ''브라질티플루스 듀비움''(Brasilotyphlus dubium)
  • * ''브라질티플루스 과라타누스''(Brasilotyphlus guarantanus)
  • ''루에트케노티플루스속''(Luetkenotyphlus)
  • * ''루에트케노티플루스 브라질리엔시스''(Luetkenotyphlus brasiliensis)
  • * ''루에트케노티플루스 프레디''(Luetkenotyphlus fredi)
  • * ''루에트케노티플루스 인술라누스''(Luetkenotyphlus insulanus)
  • ''미크로카이실리아속''(Microcaecilia)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알비셉스''(Microcaecilia albiceps)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부탄탄''(Microcaecilia butantan)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데르마토파가''(Microcaecilia dermatophaga)[2]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그란디스''(Microcaecilia grandis)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이워크라메''(Microcaecilia iwokramae)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이욥''(Microcaecilia iyob)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마르발리웨이키''(Microcaecilia marvaleewakeae)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니세포리''(Microcaecilia nicefori)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프라이세이''(Microcaecilia pricei)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라베이''(Microcaecilia rabei)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로차이''(Microcaecilia rochai)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사바지''(Microcaecilia savagei)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수페르누메라리아''(Microcaecilia supernumeraria)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테일로리''(Microcaecilia taylori)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트롬베타스''(Microcaecilia trombetas)
  • *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유니컬러''(Microcaecilia unicolor)
  • ''미모시포놉스속''(Mimosiphonops)
  • * ''미모시포놉스 라인하르티''(Mimosiphonops reinhardti)
  • * ''미모시포놉스 버미큘라투스''(Mimosiphonops vermiculatus)
  • ''시포놉스속''(Siphonops)
  • * ''시포놉스 아눌라투스''(Siphonops annulatus)
  • * ''시포놉스 하르디''(Siphonops hardyi)
  • * ''시포놉스 루코데루스''(Siphonops leucoderus)
  • * ''시포놉스 파울렌시스''(Siphonops paulensis)
  • ''Parvicaecilia''

과거에는 ''Caecilita''가 미크로카이킬라속(Microcaecilia)으로 분류되었었다.[3]

2. 1. 브라질티플루스속 (''Brasilotyphlus'')

시포놉스과에 속하는 ''브라질티플루스속''(Brasilotyphlus)은 브라질티플루스 브라질리엔시스(Brasilotyphlus braziliensis), 브라질티플루스 듀비움(Brasilotyphlus dubium), 브라질티플루스 과라타누스(Brasilotyphlus guarantanus)를 포함한다.[3]

2. 2. 루에트케노티플루스속 (''Luetkenotyphlus'')

시포놉스과에 속하는 ''루에트케노티플루스속''(''Luetkenotyphlus'')은 다음 종을 포함한다.[3]

  • ''루에트케노티플루스 브라질리엔시스''(''Luetkenotyphlus brasiliensis'')
  • ''루에트케노티플루스 프레디''(''Luetkenotyphlus fredi'')
  • ''루에트케노티플루스 인술라누스''(''Luetkenotyphlus insulanus'')

2. 3. 미크로카이킬리아속 (''Microcaecilia'')

마이크로카이실리아속(''Microcaecilia'')은 시포놉스과에 속하는 무족영원목 양서류의 속이다.[3]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알비셉스(Microcaecilia albiceps),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부탄탄(Microcaecilia butantan),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데르마토파가(Microcaecilia dermatophaga),[2] 마이크로카이실리아 그란디스(Microcaecilia grandis),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이워크라메(Microcaecilia iwokramae),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이욥(Microcaecilia iyob),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마르발리웨이키(Microcaecilia marvaleewakeae),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니세포리(Microcaecilia nicefori), 마이크로카이실리아 프라이세이(Microcaecilia pricei),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라베이(Microcaecilia rabei), 마이크로카이실리아 로차이(Microcaecilia rochai),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사바지(Microcaecilia savagei),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수페르누메라리아(Microcaecilia supernumeraria), 마이크로카이실리아 테일로리(Microcaecilia taylori), 마이크로카이실리아 트롬베타스(Microcaecilia trombetas), 마이크로카이실리아 유니컬러(Microcaecilia unicolor) 등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카이실리타속(''Caecilita'')으로 분류하기도 했다.[3]

2. 4. 미모시포놉스속 (''Mimosiphonops'')

미모시포놉스속(''Mimosiphonops'')에는 ''미모시포놉스 라인하르티''(''Mimosiphonops reinhardti'')와 ''미모시포놉스 버미큘라투스''(''Mimosiphonops vermiculatus'') 2종이 속한다.

2. 5. 시포놉스속 (''Siphonops'')

시포놉스속(''Siphonops'')은 시포놉스과의 한 속이다.

  • ''시포놉스 아눌라투스(Siphonops annulatus)
  • ''시포놉스 하르디(Siphonops hardyi)
  • ''시포놉스 루코데루스(Siphonops leucoderus)
  • ''시포놉스 파울렌시스(Siphonops paulensis)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2년 현재, 무족영원목의 계통 분류이다.[4]

양서류무족영원목, 도롱뇽목, 개구리목으로 나뉜다. 무족영원목은 다시 리나트레마과, 이크티오피스과, 스콜레코모르푸스과, 키킬라과, 헤르펠레과, 무족영원과, 티플로넥테스과, 인도티플루스과, 데르모피스과, 시포놉스과로 나뉜다.

3. 1. 양서류 내 계통

다음은 2012년 현재, 무족영원목의 계통 분류이다.[4]

양서류무족영원목, 도롱뇽목, 개구리목으로 나뉜다. 무족영원목은 다시 리나트레마과, 이크티오피스과, 스콜레코모르푸스과, 키킬라과, 헤르펠레과, 무족영원과, 티플로넥테스과, 인도티플루스과, 데르모피스과, 시포놉스과로 나뉜다.

3. 2. 무족영원목 내 계통

다음은 2012년 무족영원목의 계통 분류이다.[4]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2] 논문 A New Species of Skin-Feeding Caecilian and the First Report of Reproductive Mode in ''Microcaecilia'' (Amphibia: Gymnophiona: Siphonopidae)
[3] 간행물 Caecilita Wake & Donnelly, 2010 (Amphibia: Gymnophiona) is not lungless: implications for taxonomy and for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lunglessness.
[4]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