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빈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빈 김씨는 조선 세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청주이며 아버지는 김원이다. 13세에 원경왕후에게 발탁되어 궁인이 되었고, 세종의 승은을 입어 계양군 등을 낳았다. 귀인에 봉해진 후 신빈으로 책봉되었으며, 소헌왕후의 신임을 얻어 영응대군의 유모를 맡기도 했다. 불교를 신봉하여 세종 사후 여승이 되었으며, 1464년에 59세로 사망하여 경기도 화성시에 묘역이 조성되었다.

2. 생애

신빈 김씨는 성품이 부드럽고 조심스러워 소헌왕후의 사랑을 받았으며, 소헌왕후는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기기도 했다.[2] 세종 사후에는 승려가 되었으며, 1450년(문종 즉위년) 사망한 막내아들 담양군을 위한 경문 인쇄 비용으로 쌀 500석을 하사받았다.[3] 1452년(단종 즉위년) 단종이 아들 의창군의 청원으로 머리를 기르도록 명했으나 거절하였다.[4]

1464년(세조 10년) 음력 9월 4일 59세로 사망하자, 세조는 쌀과 콩 등 모두 70석을 부의로 내렸다. 묘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에 있는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이다. 묘역에는 세조 11년(1465)에 세운 묘갈, 묘비, 장명등, 문인석 1쌍, 상석이 있으며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1994년 경기도의 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입궁

청주를 본관으로 하며, 아버지는 김원이고 어머니는 삭녕 고씨이다[1]. 원래 내자시의 여종이었으나, 1418년(세종 즉위년) 13세의 나이로 원경왕후에게 발탁되어 소헌왕후의 궁인이 되었다.[2] 훗날 세종의 승은을 입고 후궁이 되었으며, 1427년(세종 9년) 장남 계양군을 출산하였다. 그 후 정2품 소의를 거쳐 1439년(세종 21년) 종1품 귀인에 진봉되었다. 당시 세종이 도승지 김돈에게 "김씨의 출신이 천하지만 13세부터 궁중에 들어와 행실이 바르기에 빈이나 귀인으로 삼고자 하는데 어떠하냐"고 묻자 김돈이 신개 등과 의논해 귀인으로 승격시켰다.[2] 이후 정1품 '''신빈'''(愼嬪)에 책봉되었다.

그녀는 천성이 부드럽고 매사에 조심스러워 소헌왕후에게도 사랑을 받았으며, 소헌왕후는 그녀에게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기기도 하였다.[2]

2. 2. 후궁 시절

청주를 본관으로 하며, 아버지는 김원이고 어머니는 삭녕 고씨이다[1]. 원래 내자시의 여종이었으나, 1418년(세종 즉위년) 13세의 나이로 원경왕후에게 발탁되어 소헌왕후의 궁인이 되었다.[2] 훗날 세종의 승은을 입고 후궁이 되었고, 1427년(세종 9년) 장남 계양군을 출산하였다. 그 후 정2품 소의를 거쳐 1439년(세종 21년) 종1품 귀인에 진봉되었다. 당시 세종이 도승지 김돈에게 "김씨의 출신이 천하지만 13세부터 궁중에 들어와 행실이 바르기에 빈이나 귀인으로 삼고자 하는데 어떠하냐"고 묻자 김돈이 신개 등과 의논해 귀인으로 승격시켰다.[2] 이후 정1품 '''신빈'''(愼嬪)에 책봉되었다.

천성이 부드럽고 매사에 조심스러워 소헌왕후에게도 사랑을 받았으며, 소헌왕후는 그녀에게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기기도 하였다.[2] 평소에 불교를 신봉했었는데, 세종이 죽고나서는 아예 여승이 되어 살았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사망한 막내아들 담양군을 위한 경문 인쇄 비용으로 조정에서 쌀 500석을 하사받았으며,[3] 1452년(단종 즉위년)에는 단종이 그녀의 아들 의창군의 청원에 의해 그녀에게 머리를 기르도록 명령하였지만 이를 거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4]

2. 3. 불교 귀의와 말년

신빈 김씨는 평소 불교를 신봉하였는데, 세종이 죽은 후에는 승려가 되어 살았다. 1450년(문종 즉위년) 막내아들 담양군을 위한 경문 인쇄 비용으로 조정에서 쌀 500석을 하사받았다.[3] 1452년(단종 즉위년) 단종이 아들 의창군의 청원으로 신빈 김씨에게 머리를 기르도록 명하였지만, 신빈 김씨는 이를 거절하였다.[4]

1464년(세조 10년) 음력 9월 4일 59세를 일기로 죽었으며, 세조는 쌀, 콩 등 모두 70석을 부의로 내렸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김원(金元)
어머니삭녕 고씨
남편세종대왕제4대 국왕 (재위 1418년 ~ 1450년)
슬하 6남
장남계양군 증(桂陽君 璔)1427년 ~ 1464년 8월 16일
자부정선군부인 청주 한씨(旌善郡夫人 淸州 韓氏)1426년 4월 12일 ~ 1480년 7월 27일[5]
차남의창군 공(義昌君 玒)1428년 ~ 1460년 2월 27일
자부양원군부인 연안 김씨(梁源郡夫人 延安金氏)1429년 ~ 1482년
삼남밀성군 침(密城君 琛)1430년 ~ 1479년 1월 1일
자부풍덕군부인 여흥 민씨(豊德郡夫人 驪興閔氏)
사남익현군 연(翼峴君 璭)1431년 ~ 1463년 5월 4일
자부김제군부인 평양 조씨(金堤郡夫人 平壤趙氏)
오남영해군 당(寧海君 瑭)1435년 ~ 1477년
자부임천군부인 평산 신씨(林川郡夫人 平山 申氏)
육남담양군 거(潭陽君 璖)요절
자녀, 손주, 증손주, 양자 관계는 생략


4. 기타

드라마 〈대왕 세종〉(KBS 제작)에서 배우 이정현이 신빈 김씨 역을 연기하였다.

4. 1. 등장 작품

참조

[1] 논문 조선전기 후궁의 비구니 출가와 불교신행 2011
[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세종 84권, 세종21(1439) 1월 27일 2번째 기사
[3]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문종 1권, 문종 즉위년(1450) 3월 16일 2번째 기사
[4]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단종 3권, 단종 즉위년(1452) 9월 12일 1번째 기사
[5] 문서 한확의 차녀이자 인수대비의 언니
[6] 문서 담양군 거(潭陽君 璖, 신빈 김씨의 6남)에게 출계
[7] 문서 영원군 예(寧原君 澧)에게 출계
[8] 문서 괴산군 궤(槐山君 潰, 익현군의 장남)에게 출계
[9] 문서 춘성군 당(春城君 譡)에게 출계
[10] 문서 의안대군 방석(宜安大君 芳碩)에게 출계
[11] 문서 수춘군 현(壽春君 玹)에게 출계
[12] 문서 사산군(의창군의 장남)의 아들
[13] 문서 혼인 직전에 담양군이 죽어 혼인이 취소 되었음
[14] 문서 장남 계양군의 차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