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일여객 (경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일여객은 1970년 설립된 경기도 파주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1970년대부터 시외버스, 도시형버스 노선을 운영해왔으며, 2000년대 이후 신성교통, 신성여객 등의 노선을 인수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현재 도시형버스, 맞춤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경기도 공공버스에도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일여객 계열사 - 신일운수
    신일운수는 1997년 설립되어 파주시에서 버스 운송을 하는 업체로, 2021년 일부 노선을 파주교통에 이관하고 파주읍과 문산읍을 중심으로 017번, 021번, 059번 등의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신일여객 (경기)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명칭합자회사 신일여객
한자 표기合資會社 新一旅客
영문 표기Shinil Yeogaeck Co., Ltd.
종류합자회사
산업운수업
설립일1970년 5월 1일
대표김문종 (대표사원)
본사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화합로 336
종업원 수200명
차고지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화합로 336

2. 연혁


  • 1970년 5월 1일: 회사 설립[1]
  • 1977년 2월 23일: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홍문리에 지점 설치.[1]
  • 1992년 7월 15일: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마전리에 지점 설치.[1]
  • 1992년 11월 20일: 김만석, 김문종 공동대표사원 취임.[1]
  • 1993년: 뉴신일관광 계열분리.[1]
  • 1997년: 마을버스 회사인 신일운수 설립, 017번 운행 개시.[1]
  • 2002년 9월: 적성면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대성여객 30번 시외버스 22대 및 30-1번 8대 인수.[1]
  • 2002년: 도내리 ~ 봉일천 간 16-1번 도시형버스 신설 운행.[1]
  • 2003년 3월: 적성면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간 30번 시외완행버스 도시형버스로 형간 전환.[1]
  • 2004년: 16-1번 도시형버스 금촌의료원까지 단축 운행.[1]
  • 2004년 11월 5일: 13번, 15번 도시형버스 금촌 주공단지 경유 운행.[1]
  • 2005년: 두포리 ~ 문산읍 ~ 도내리 ~ 금촌의료원 간 16번 도시형버스 폐선.[1]
  • 2006년 3월: 법원읍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간 300번 도시형버스 신설.[1]
  • 2006년 5월 1일: 문산읍 ~ 두포리 간 11-1번 도시형버스 신설, 16-1번 도시형버스 마을버스 100-16번으로 형간 전환 후 신일운수에 양도, 문산읍까지 연장.[1]
  • 2006년 8월 21일: 13번, 15번 도시형버스 금촌 주공단지 일부 변경.[1]
  • 2007년 8월: 법원읍 ~ 파주읍 (주내) ~ 금촌 주공단지 간 301번 도시형버스 신설, 30-1번 금촌 주공단지 운행.[1]
  • 2008년 3월 3일: 법원읍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간 300번 도시형버스 303번으로 번호 변경, 금촌동 구간 경유.[1]
  • 2008년 8월 25일: 문산읍 ~ 선유리 간 111번 도시형버스 신설.[1]
  • 2008년 12월: 문산읍 ~ 선유리 간 111번 도시형버스 직천리까지 연장.[1]
  • 2010년 7월 1일: 문산읍 ~ 직천리 간 111번 도시형버스 22번으로, 법원읍 ~ 파주읍(주내) ~ 금촌 주공단지 간 301번 도시형버스 16번으로 번호 변경.[1]
  • 2010년 7월 5일: 법원읍 ~ 금촌동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간 303번 도시형버스 17번으로 번호 변경.[1]
  • 2011년 3월 9일: 문산여자고등학교 ~ 새아아파트 간 12-1번 통학 버스 23번으로 번호 변경.[1]
  • 2011년 5월 2일: 13번 노선 연장 및 번호 변경(10번, 법원읍~광탄~오산리~금촌~운정신도시~덕이지구~대화역), 16번 도시형버스 폐선.[1]
  • 2012년 3~5월: 14번 도시형버스 세경고등학교로 단축 및 노선 변경(통일공원 미경유, 문산역 종점).[1]
  • 2012년 11월 7일: 월롱역 ~ 금촌동 ~ 운정신도시 ~ 대화역 간 16번 도시형버스 신설.[1]
  • 2012년 11월 25일: 15번 도시형버스 금촌 구간 일부 변경(금촌역 경유, 장안미래아파트, 신성차고지, 앞골입구 미경유).[1]
  • 2013년 1월: 17번 도시형버스 월롱역으로 단축 운행.[1]
  • 2013년 3월 1일: 30-1번 도시형버스 폐선.[1]
  • 2013년 12월 31일: 김만석 공동대표사원 사망, 김운종 대표사원 단독 운영 체제.[1]
  • 2014년 1월 20일: 월롱역 ~ 대화역 간 10-1번 도시형버스 신설.[1]
  • 2014년 3월 8일: 신성여객 경영난으로 50번, 52번 등 임시 운행.[1]
  • 2014년 5월 1일: 신성여객 31번 인수 (11대).[1]
  • 2014년 7월 6일: 31번 노선 불광동 ~ 광탄으로 단축, 운행 횟수 증회.[1]
  • 2014년 10월 18일: 신성여객 92번 공배 운행 개시, 16번 폐선.[1]
  • 2015년 2월: 17번 도시형버스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까지 연장 운행.[1]
  • 2015년 8월 1일: 신성여객 92번 단독 운행, 14대 인수.[1]
  • 2015년 11월 1일: 신성여객 및 신성교통 9710번 인수 (15대).[1]
  • 2015년 12월 12일: 9710번 광역버스 봉일천 시내 경유.[1]
  • 2016년 1월 1일: 신성여객 37번, 93번, 95번 인수 (5대).[1]
  • 2017년 4월 4일: 교하동 ~ 강선마을(주엽역) 간 10-1번 도시형버스 신설.[1]
  • 2017년 10월 16일: 문산시외버스터미널 공사, 차량 기점 진흥공업사로 변경.[1]
  • 2018년 1월 1일: 22번 도시형버스 11번에 통합.[1]
  • 2020년 5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 서울운수와 공동 배차.[1]
  • 2020년 8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 인수, 9709A번 신설.[1]
  • 2021년 7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 9710번 경기도 공공버스 편입.[1]

2. 1. 설립 초기 (1970년대 ~ 1990년대)

2. 2. 노선 확장 및 변화 (2000년대 ~ 현재)

2002년 9월, 신일여객적성면에서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간을 운행하던 대성여객(현 신성교통)의 30번 시외버스 22대와 30-1번 시외버스 8대를 인수하였다.[1] 2003년 3월에는 30번 시외완행버스를 도시형버스로 형간 전환하였다.[1]

2006년 3월, 법원읍에서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300번 도시형버스를 신설하였다.[1] 2008년 3월 3일에는 300번 버스 번호를 303번으로 변경하고 금촌동 구간을 경유하도록 노선을 조정하였다.[1] 2010년 7월 5일, 303번 버스는 다시 17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1]

2013년 1월, 법원읍~금촌~불광동을 운행하던 17번 도시형버스는 기점이 법원읍에서 월롱역으로 단축되었다.[1] 2015년 2월, 17번 버스는 다시 월롱역에서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까지 연장 운행되었다.[1]

2014년 3월 8일, 같은 파주시 관내 시내버스 회사인 신성여객의 경영난으로 인해 신성여객 소속 50번, 52번 등을 임시 운행하기 시작했다.[1] 2014년 5월 1일에는 신성여객 31번을 인수(11대)하였고,[1] 7월 6일에는 31번 노선을 불광동~법원읍에서 불광동~광탄으로 단축하고 운행 횟수를 1일 40회에서 48회로 늘렸다.[1] 2014년 10월 18일, 신성여객 92번 공동 배차를 시작하면서 16번이 폐선되었고,[1] 2015년 8월 1일에는 92번을 공동 배차에서 단독 운행으로 변경하고 14대를 인수하였다.[1]

2015년 11월 1일, 신성여객 및 신성교통의 9710번을 인수(15대)하였고,[1] 12월 12일에는 9710번 광역버스 노선이 봉일천 시내를 경유하도록 변경하였다.[1] 2016년 1월 1일에는 신성여객 37번, 93번, 95번을 인수(5대)하였다.[1]

2020년 5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을 서울운수와 공동 배차하기 시작하였고,[1] 8월 1일에는 9709번을 인수하고 9709A번을 신설하였다.[1] 2021년 7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과 9710번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었다.[1]

3. 운행 노선

신일여객(경기)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도시형버스, 맞춤형버스, 직행좌석버스로 구분된다.

3. 1. [[도시형버스]]


  • ● 10번: 갈곡리 - 법원읍 - 광탄 - 오산리기도원 - 금촌역 - 금화초등학교 3단지 - 우체국 - 해솔마을 11단지 - 지산중학교 - 경기인력개발원 - 덕이동하이파크시티 - 대화역 - 현대백화점 (13번, 16번 통합)
  • ● 11번: 갈곡리 - 법원읍 - 선유리 - 십자약국 - 문산역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 11-1번: 문산차고지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두산위브A - 선유리 - 방미 - 용산골 - 두포리
  • ● 11-1-1번: 문산차고지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두산위브A - 선유리 - 방미 - 용산골 - 두포리 - 파평면사무소
  • ● 11-2번: 갈곡리 - 두산위브A - 선유리 - 문산역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문산수억고등학교 - 주내 - 부곡리 - 도내리 - 월롱역 - 파주여자고등학교 - 금촌역 - 금촌택지지구 - 흰돌아파트
  • ● 11-3번: 갈곡리 - 자운서원 - 두산위브A - 선유리 - 문산역
  • ● 12번: 갈곡리 - 법원읍 - 연풍리 - 세경고등학교 - 주내 - 문산수억고등학교 - 통일공원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 17번: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 LG디스플레이단지 - 월롱역 - 금촌역 - 파주시청 - 금촌택지지구 - 봉일천 - 내유동 - 벽제 - 삼송역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양광교회 (구 300번 → 303번 단축)
  • ● 19번: 갈곡리 - 오현리 - 법원읍 - 대능삼거리 - 삼방리 - 어둔리
  • ● 19-1번: 갈곡리 - 천현초교 - 법원읍 - 대능삼거리 - 삼방리 - 어둔리
  • ● 22-1번: 문산역 - 선유리 - 웅담삼거리 - 삼박골
  • ● 30번: 적성터미널 - 법원읍[2] - 파주읍 (주내) - 파주역 - 월롱역 - 봉일천 - 내유동 - 벽제 - 삼송역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양광교회
  • ● 31번: 신산3리 - 광탄삼거리 - 오산리 - 봉일천 - 내유동 - 관산동 - 삼송역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양광교회
  • ● 37번: 신산3리 - 광탄삼거리 - 광탄시장 - 마장교삼거리 - 화인하우스 - 기산리 (신성여객으로부터 받은 노선이다.)
  • ● 92번: 적성터미널 - 마지리(자장리 경유(안내팻말 부착시 경유) - 식현리 - 금파리 - 장파리 - 선유리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문산역 - 월롱역 - 파주여고 - 금촌역 - 파주시청 - 금촌택지지구 - 운정신도시 - 미래로 - 대화역 - 백병원 - 원마운트 - 강선마을(주엽역) (신성여객으로부터 받은 노선이다.)
  • ● 95번: 문산차고지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선유리 - 두포리 - 샘내 - 식현리 - 적성터미널 - 어유중학교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신성여객으로부터 받은 노선이다.)

3. 2. [[맞춤형버스]]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운행
대수
운행
횟수
배차
간격
비고
15비암2리광탄삼거리발랑리, 방축리, 신산리322회30~45분평일 생활형 노선
93진흥공업사진흥공업사운천리, JSA, 대성동,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2대05:50-93
운천리, 훈련장, 전초, 해마루촌, JSA,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06:50
09:00
15:00
19:00
20:30
93-2
운천리, 훈련장, 전초, JSA, 남북출입국,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07:3093-1
운천리, JSA, 남북출입국,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08:30
13:30
16:00
93-5
운천리, JSA,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10:30
19:30
22:00
93-3
운천리, 통일촌, 멸공관, JSA, 대성동, 운천리12:0093-4
운천리, JSA, 전초, 훈련장, 통일촌, 멸공관16:3093-6
운천리, 훈련장, 전초, 해마루촌, JSA, 남북출입국, 운천리17:1093-10
운천리, 통일촌, 멸공관, JSA, 대성동, 전초, 훈련장17:4093-7
진흥공업사서영대학교LG이노텍, LG화학10:00
10:40
11:20
14:00
14:40
15:20
93-8
평일
평화누리공원임진각93-9
주말·공휴일
303-1신산3리원흥역탄삼거리, 광탄시장, 마장리, 영장삼거리, 기산리 - 마장호수 흔들다리, 기산리, 보광사, 벽제묘지, 서울특별시립승화원 , 호반9단지5회


  • 313번 : 신산3리 - 광탄시장 - 마장3리 - 보광사 - 상곡마을 - 벽제역 - 신원마을 - 원흥역 5번 출구 - 원흥역 2번 출구 (현재 미개통)

3. 3. [[직행좌석버스]]

9709영어번: 맥금동 - 금촌역 - 파주시청 - 봉일천 - 내유동 - 관산동 - 삼송역 - 연신내역 - 녹번역 - 무악재역 - 광화문역 - 숭례문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서울운수와 2020년 5월 1일 공동배차를 시작했다가, 2020년 8월 1일 단독 운행으로 변경)[1]

9710영어번: 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월롱역 - PX마을 - 봉일천 - 내유동 - 관산동 - 지축차량기지입구, 삼송역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불광역 - 녹번역 - 광화문역 - 시청역 - 숭례문 - 경찰청 (구 922번, 9710번 서울광역버스, 신성여객으로부터 양도받은 노선, 봉일천 시내 경유)[2]

9710-1영어번: 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월롱역 - PX마을 - 봉일천 - 내유동 - 관산동 - 지축차량기지입구, 삼송역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불광역 - 녹번역 - 광화문역 - 시청역 - 숭례문 - 경찰청 (2층 버스 운행, 평일에만 운행, 봉일천 시내 경유)

4. 과거 운행 노선


  • 10-1번한국어: 월롱역 - 위전리 - 금촌역 - 금릉역 - 운정신도시 - 지산중학교 - 경기인력개발원 - 덕이동하이파크시티 - 대화역 - 강선마을 (2014년 ~ 2015년 11월 1일)
  • 10-1번한국어: 신성여객교하차고지 - 운정신도시 - 덕이동하이파크시티 - 대화역 - 백병원 - 원마운트 - 강선마을(주엽역)
  • 13번한국어: 법원읍 ~ 광탄 ~ 금촌의료원 도시형버스 (1990년대 ~ 2011년 5월 1일)
  • 16번한국어: 두포리 ~ 문산 ~ 금촌의료원 도시형버스 (1990년대 ~ 2005년, 폐선 이후 2006년 문산 ~ 두포리 운행하는 11-1번, 2002년 도내리 ~ 봉일천 운행하는 16-1번 노선 분리 신설운행.)
  • 16번한국어: 법원읍 ~ 파주읍 (주내) ~ 금촌의료원 / (구) 301번 도시형버스 (2007.8.29 ~ 2011.5.1)
  • 16번한국어: 월롱역 - 금촌역 - 파주시청 - 금촌택지지구 - 운정신도시 - 탄현역 - 덕이동로데오거리 - 대화역 - 현대백화점 (2012.11.7 ~ 2014.10.17) (이후 92번으로 통합하면서 공동배차 운행)
  • 16-1번한국어: 도내리 ~ 금촌의료원 도시형버스 (2002년 ~ 2006년 4월 30일, 이후 100-16번 마을버스로 형간전환, '신일운수'로 양도 및 문산읍까지 연장)
  • 22번한국어: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두산위브@ - 선유3리 - 문산동초등학교 - 선유중학교 - 선유리시장(구 111번)
  • 23번한국어: 세성아파트 - 문산북중학교,문산고등학교 - 문산홈플러스 - 문산역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자이안트부대 - 문산수억고등학교 (구. 12-1번)
  • 30-1번한국어: 적성 ~ 금촌주공단지 도시형버스 (2002년 9월 ~ 2013년 2월 28일)
  • 50번한국어: 신성여객 운행 중단 노선 대체 운행: 교하동 - 오도동 - 파주파비뇽아울렛 - 파주축협 - 서패리 - 삽다리 - 덕이동 - 이마트 탄현점 - 일산시장 - 일산복음병원 (구. 5번)
  • 52번한국어: 신성여객 운행 중단 노선 대체 운행: 교하동 - 오도동 - 교하지구 - 운정신도시 - 상지석동 - 성석동 - 일산 사리현동 - 벽제교 - 관산동 - 삼송역 - 구파발역
  • 131번한국어: 금촌동 ~ 광탄 도시형버스 (2003년 ~ 2004년)
  • 133번한국어: 검산동 ~ 보광사 도시형버스 (2003년 ~ 2004년)
  • 922번한국어: 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문산역 - 월롱역 - 금촌역 - 운정신도시 - 고양종합운동장 - 대화역 - 원마운트 - 주엽역 (92번 단축 노선, 2021.3.21 ~ 2022.6.30)
  • 9709A번한국어: 맥금동 - 금촌역 - 파주시청 - 봉일천 - 내유동 - 관산동 - 삼송역 - 연신내역 - 녹번역 - 무악재역 - 광화문역 - 숭례문 (2020년 ~ 2022년)
  • 7701번한국어: 금촌고속버스정류장 - 문산역 - 적성전통시장 - 감악산 (출렁다리입구) (2층버스 운행, 주말 운행) (2025년 1월 1일 폐선)

5. 보유 차량

차종비고
현대 쏠라티
현대 카운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현대 유니시티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황해자동차 E-SKY
범한자동차 E-STAR
하이거 하이퍼스
볼보 B8RLE


6. 사업장

新一旅客중국어의 본점은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사임당로 888에 있다.

7. 기타


  • 15번과 067번은 약 1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운행한다.
  • 11-2번 (도내리), 11-3번 (동문리)은 11번 차량으로 운행하나, 행선판을 확인해야 한다. 11-2번은 평일 아침 1회 운행하며, 021번 노선과 운행 경로가 같다.
  • 11-2번 (도내리)의 경로는 법원읍 - 문산읍 - 백석리 - 월롱면 - 금촌동 - 문산읍 - 파주읍(주내) - 연풍리 - 법원읍이다.
  • 12-1번은 문산수억고등학교에서 세아아파트 구간을 운행한다. (주말 운행, 아침 2회 및 22시경 막차 운행)
  • 93번 계통(통일촌, JSA, 해마루촌 방면)은 민통선(통일대교)을 통과하므로 임진강 이북 지역을 가려면 출입 허가를 받은 사람만 승차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