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 맹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창 맹씨는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환공의 아들 경부의 후손으로, 맹자의 51세손 맹의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충렬왕 때 신창백에 봉해진 맹의의 후손들은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많은 인물을 배출했는데, 맹희도, 맹사성, 맹석흠 등이 대표적이다. 신창은 본관이며, 아산시에 속한 지명이다. 신창 맹씨는 관북파, 신창군파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아산 맹씨 행단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창 맹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문 이름 | 신창 맹씨 |
한자 표기 | 新昌 孟氏 |
관향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
국가 | 한국 |
영지 | 아산시 |
가조 | 맹자 |
저명한 인물 | 맹사성 맹형규 맹승렬 |
홈페이지 | 신창맹씨대종회 |
기원 | |
시조 | 맹의 |
창성 시조 | 맹자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맹상훈 맹희도 맹석흠 맹세형 맹주서 맹만시 맹만택 맹지대 맹정주 맹성현 맹달영 맹성규 맹정호 맹호경 맹현정 |
집성촌 | |
집성촌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경기도 성남시 황해도 신계군 함경남도 북청군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 22,028명 |
2. 기원
맹(孟)씨는 중국 평릉(平陵: 협서성 관중도)에 연원을 둔다. 춘추시대 제(齊)나라 15대 임금인 환공의 아들 경부(慶父)의 호가 맹손(孟孫)이라서 성을 맹(孟)으로 삼았다고 한다.
시조(1세조)는 맹자의 51세손인 맹의(孟儀)이다. 맹의는 고려 충렬왕 때 예부시랑을 거쳐 예부전서에 올랐고, 고려 충선왕 때 신창백(新昌伯)에 봉해졌다.
신창(新昌)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굴직현(屈直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기량현(祁梁縣)으로 고쳐 온정군(溫井郡)에 속하게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신창을 신창현(新昌縣)으로 개칭하였고,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온수현(溫水縣)과 합하여 온창(溫昌)이라 하였다가 신창현이 되었다. 1917년 아산군 신창면이 되었고, 1995년 아산시 신창면이다.
신창 맹씨는 2세손 맹복의 관북파, 7세손 맹석흠의 신창군파, 맹석경의 사직공파, 맹석준의 호군공파 등으로 분파되었다.
신창 맹씨의 원시조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명한 사상가인 맹자이다. 『신창맹씨세계(新昌孟氏世系)』에 의하면, 888년(신라 진성여왕) 맹자의 39세손 맹승훈(孟承訓)이 당나라 한림원 오경박사 자격으로 신라에 입국하였다고 한다.
3. 역사
맹의의 손자 맹희도(孟希道)는 공민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어사(翰林御史), 수문전 제학(修文殿提學), 한성윤(漢城尹)을 지냈고, 맹희도의 아들 맹사성(孟思誠)은 조선 세종 때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4. 본관
5. 분파
5. 1. 주요 분파
신창 맹씨는 2세손 맹복의 관북파(關北派), 7세손 맹석흠(孟碩欽)의 신창군파(新昌君派), 맹석경(孟碩卿)의 사직공파(司直公派), 맹석준(孟碩俊)의 호군공파(護軍公派) 등으로 분파되었다.
6. 인물
신창 맹씨 가문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여러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고려 시대에는 맹의, 맹희도, 맹사성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맹석흠, 맹세형, 맹주서, 맹만시, 맹만택, 맹지대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에는 맹은재(11대 국회의원), 맹형규(전 앵커, 3대 행정안전부 장관, 15~17대 국회의원), 맹정주(14대 조달청 차장, 민선4기 서울 강남구청장), 맹상훈(배우), 맹성규(3대 국토교통부 제2차관, 20대 국회의원), 맹정호(민선7기 충청남도 서산시장) 등이 있다.
6. 1. 고려
맹자의 51세손인 맹의를 시조(1세조)로 한다. 맹의는 고려 충렬왕 때 예부시랑을 거쳐 예부전서에 오르고, 고려 충선왕 때 신창백(新昌伯)에 봉해졌다.[1]맹의의 손자 맹희도(孟希道)는 공민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어사(翰林御史), 수문전 제학(修文殿提學), 한성윤(漢城尹)을 지냈고,[1] 맹희도의 아들 맹사성(孟思誠)은 조선 세종조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였다.[1]
- 맹희도(孟希道) : 1365년(고려 공민왕 14년) 문과에 급제하여 한성좌윤(漢城左尹), 수문전제학(修文殿提學) 등을 지내고, 우의정(右議政)에 증직되었다.[1]
- 맹사성(孟思誠, 1360년 ~ 1438년) : 맹희도의 아들. 1386년(고려 우왕 12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1427년(조선 세종 9년) 우의정을 거쳐 1432년 좌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1]
6. 2. 조선
맹자의 51세손인 맹의(孟儀)를 시조(1세조)로 한다. 맹의는 고려 충렬왕 때 예부시랑을 거쳐 예부전서에 오르고, 고려 충선왕 때 신창백(新昌伯)에 봉해졌다.맹의의 손자 맹희도(孟希道)가 공민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어사(翰林御史), 수문전 제학(修文殿提學), 한성윤(漢城尹)을 지냈고, 맹희도의 아들 맹사성(孟思誠)이 조선 세종조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이름 | 생몰년 | 주요 경력 | 비고 |
---|---|---|---|
맹희도(孟希道) | ? ~ ? | 1365년(공민왕 14년) 문과 급제, 한성좌윤(漢城左尹), 수문전제학(修文殿提學), 우의정(右議政) 증직 | |
맹사성(孟思誠) | 1360년 ~ 1438년 | 1386년(우왕 12년) 문과 급제, 1427년(세종 9년) 우의정, 1432년 좌의정, 시호 문정(文貞) | 맹희도 아들 |
맹석흠(孟碩欽) | 1429년 ~ ? | 충청도 병마절도사, 이시애의 난 평정, 적개공신(敵愾功臣), 종2품 가정대부(嘉靖大夫) 신창군(新昌君) | |
맹세형(孟世衡) | 1588년 ~ 1656년 | 1623년(인조 1) 정시 문과 을과 급제, 정3품 봉상시정(奉常寺正), 통정대부(通政大夫) | 맹희도 9세손 |
맹주서(孟胄瑞) | 1622년 ~ ? | 1654년(효종 5) 식년 문과 급제, 1670년 황해도관찰사, 1671년 우승지·병조참의·호조참의·충청도관찰사, 1678년(숙종 4) 가선대부, 특진관 | 맹세형 아들 |
맹만시(孟萬始) | 1636년 ~ ? | 1673년(현종14) 진사시(進士試) 합격, 군수, 서화가 | |
맹만택(孟萬澤) | 1660년 ~ 1710년 | 명선공주(明善公主)와 약혼, 1672년(현종 13) 공주 사망 후 신안위(新安尉) 봉해짐, 1698년 알성 문과 급제, 관찰사, 대사간 | 맹주서 아들 |
맹지대(孟至大) | 1730년 ~ ? | 1773년 증광문과 병과 급제, 정조조 병조참지(兵曹參知) |
6. 3. 현대
7. 과거 급제자
신창 맹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많은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종류 | 이름 |
---|---|
문과 | 맹희도, 맹사성, 맹사겸(孟思謙), 맹노술(孟魯述), 맹도식(孟道植), 맹만택(孟萬澤), 맹명순(孟明淳), 맹세형(孟世衡), 맹양대(孟養大), 맹양호(孟養浩), 맹유룡(孟儒龍), 맹종인(孟宗仁), 맹주서(孟胄瑞), 맹지대(孟至大), 맹후성(孟後聖), 맹흠규(孟欽圭) |
무과 | 맹귀생(孟貴生), 맹만휘(孟萬輝), 맹상하(孟尙夏), 맹수성(孟壽星), 맹수일(孟秀一), 맹시량(孟時亮), 맹시명(孟時鳴), 맹시흥(孟時興), 맹우정(孟友正), 맹운(孟云), 맹천뢰(孟天雷), 맹춘(孟春), 맹하채(孟夏彩), 맹흡(孟洽) |
사마 | 맹사겸(孟思謙) |
생원시 | 맹만시(孟萬始), 맹만택(孟萬澤), 맹봉순(孟鳳淳), 맹성순(孟性淳), 맹숙주(孟淑周), 맹이대(孟以大), 맹익성(孟益聖), 맹진학(孟鎭學), 맹휘(孟暉) |
진사시 | 맹관순(孟觀淳), 맹기재(孟璣在), 맹달호(孟達鎬), 맹도전(孟道傳), 맹만석(孟萬錫), 맹만택(孟萬澤), 맹석보(孟錫輔), 맹원식(孟元植), 맹임대(孟任大), 맹중원(孟重遠), 맹학술(孟鶴述), 맹현대(孟賢大), 맹후성(孟後聖), 맹흠규(孟欽圭) |
음양과 | 맹숭업(孟崇業), 맹윤상(孟胤商), 맹윤탕(孟胤湯) |
음관 | 맹노술(孟魯述), 맹도식(孟道植), 맹명순(孟明淳), 맹호술(孟浩述) |
7. 1. 고려
wikitext
7. 2. 조선
신창 맹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 고려 사마
- 맹사겸(孟思謙)
; 무과
- 맹귀생(孟貴生) 외 다수
; 음양과
- 맹숭업(孟崇業) 외 다수
7. 2. 1. 문과
신창 맹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
다음은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명단이다.
이름 | 비고 |
---|---|
맹노술(孟魯述) | |
맹도식(孟道植) | |
맹만택(孟萬澤) | |
맹명순(孟明淳) | |
맹세형(孟世衡) | |
맹양대(孟養大) | |
맹양호(孟養浩) | |
맹유룡(孟儒龍) | |
맹종인(孟宗仁) | |
맹주서(孟胄瑞) | |
맹지대(孟至大) | |
맹후성(孟後聖) | |
맹흠규(孟欽圭) |
7. 2. 2. 무과
이름 | 비고 |
---|---|
맹귀생 | |
맹만휘 | |
맹상하 | |
맹수성 | |
맹수일 | |
맹시량 | |
맹시명 | |
맹시흥 | |
맹우정 | |
맹운 | |
맹천뢰 | |
맹춘 | |
맹하채 | |
맹흡 |
7. 2. 3. 생원시
이름 | 비고 |
---|---|
맹만시 | |
맹만택 | |
맹봉순 | |
맹성순 | |
맹숙주 | |
맹이대 | |
맹익성 | |
맹진학 | |
맹휘 |
7. 2. 4. 진사시
인물 | 비고 |
---|---|
맹관순 | |
맹기재 | |
맹달호 | |
맹도전 | |
맹만석 | |
맹만택 | |
맹석보 | |
맹원식 | |
맹임대 | |
맹중원 | |
맹학술 | |
맹현대 | |
맹후성 | |
맹흠규 |
7. 2. 5. 음양과
이름 | 급제년도 |
---|---|
맹숭업(孟崇業) | ? |
맹윤상(孟胤商) | ? |
맹윤탕(孟胤湯) | ? |
7. 2. 6. 음관
관직명 | 이름 |
---|---|
음관 | 맹노술(孟魯述) |
음관 | 맹도식(孟道植) |
음관 | 맹명순(孟明淳) |
음관 | 맹호술(孟浩述) |
8. 집성촌
9. 문화재
아산 맹씨 행단: 대한민국 사적 제109호로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있다. 고택은 ㄷ자형 맞배집으로 건축면적 93m2이며, 지붕 위의 공포(栱包)는 단익공(單翼工)에 주심첨차(柱心檐遮)가 조선 초기 양식을 띠고 있다. 가묘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맹사성의 조부와 부친, 그리고 맹사성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정자도 있다. 고려 말기 무신 최영이 지은 집으로 그의 손주사위인 맹사성의 부친 맹희도가 물려받은 후 수백 년간 대를 이어 살아오며 보존되었다. 경내에는 맹사성·황희·허형 등 3정승이 심었다는 행단이라는 은행나무가 있다. 또 옥피리·옥비녀·옥벼루·표주박·인장 등의 맹씨 가문 가보도 전해지고 있다.[1]
10. 항렬자
13세 | 14세 | 15세 |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
世(세) | 瑞(서) | 萬(만) | 淑(숙) | 大(대) | 遠(원) | 欽(흠) 鎭(진) | 淳(순) | 述(술) 植(식) | 燮(섭) | 在(재) 敎(교) | 鎬(호) | 一(일) 永(영) | 柱(주) 秀(수) | 烈(열) 煥(환) | 奎(규) |
11. 인구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신창 맹씨는 19,971명[3], 온양 맹씨는 1,483명으로 총 21,454명이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는 신창 맹씨 18,147명, 온양 맹씨는 2,034명으로 총 20,181명이었다. 1985년에는 신창 맹씨 16,465명, 온양 맹씨 827명으로 총 17,292명이었다.
연도 | 신창 맹씨 | 온양 맹씨 | 합계 |
---|---|---|---|
1985년 | 16,465명 | 827명 | 17,292명 |
2000년 | 18,147명 | 2,034명 | 20,181명 |
2015년 | 19,971명[3] | 1,483명 | 21,454명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신창맹씨 新昌孟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4]
웹사이트
맹씨(孟氏) 본관(本貫) 신창(新昌)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