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비안 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비안 재단은 2008년에 설립되어 2010년까지 운영된 기업 연합체로, 심비안 운영 체제의 개발 및 발전을 목표로 했다. 노키아, 소니 에릭슨, 삼성전자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했으며, 플랫폼 개발 키트, 애플리케이션 지원, 컨퍼런스 개최 등의 활동을 했다. 2010년 경쟁 심화로 인해 재단은 해체되었으며, 2022년 법적으로 파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재단 - 모질라 재단
    모질라 재단은 넷스케이프 사업부 축소 후 모질라 프로젝트의 독립 운영을 위해 2003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파이어폭스 개발 지원, 개방형 웹 생태계 유지, 그리고 인터넷 자유 수호를 위한 활동을 전개한다.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재단 - 위키미디어 재단
    위키미디어 재단은 교육적 콘텐츠 제공을 목적으로 2003년 지미 웨일스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며, 위키백과 등 여러 위키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기부금으로 재정을 조달한다.
  • 임베디드 운영체제 - 블랙베리 10
    블랙베리 10은 2013년에 출시된 블랙베리 리미티드의 모바일 운영 체제로, 터치스크린 및 물리 키보드 스마트폰을 지원하며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 블랙베리 허브 등의 기능을 제공했으나 2022년에 공식 지원이 종료되었다.
  • 임베디드 운영체제 - QNX
    QNX는 고든 벨과 댄 도지가 개발한 마이크로커널 기반의 실시간 운영 체제로, 산업용 기계 제어 분야에서 신뢰성을 인정받아 현재는 블랙베리가 소유하며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자율 주행 시스템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활용되고, POSIX 표준 준수로 유닉스 계열 소프트웨어와 호환된다.
  • 모바일 운영체제 - 윈도우 모바일
    윈도우 모바일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Windows CE 기반의 모바일 운영 체제로, 데스크톱 Windows와 유사한 기능과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했으며, 2010년 윈도우 폰으로 대체되었다.
  • 모바일 운영체제 - BREW
    퀄컴이 개발한 BREW는 퀄컴 칩셋을 사용하는 피처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장치용 플랫폼이었으나,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사용이 줄어들고 개발자 페이지가 종료되었다.
심비안 재단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비안 재단 유한회사
로고
로고 크기250px
유형비영리 단체
설립2008년 6월 24일
설립자노키아
소니 에릭슨
NTT 도코모
모토로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보다폰
LG 전자
삼성 전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AT&T
위치런던, 영국
이전 회사심비안 주식회사
서비스 지역전 세계
제품심비안 플랫폼
산업오픈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홈페이지symbian.org
해체2011년 4월

2. 역사

심비안 재단은 2009년 노키아, 소니 에릭슨,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휴대 전화 제조사 및 통신사 다수가 참여하여 설립되었다.[1] 재단의 주된 목표는 심비안 OS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전환하고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플랫폼 개발 도구 제공, 개발자 지원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2010년에는 심비안 OS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그러나 iOS 및 안드로이드와의 경쟁 심화, 주요 회원사들의 이탈, 그리고 노키아의 전략 변화 등으로 인해 재단은 점차 운영 동력을 잃었다. 결국 2010년 말 운영 조직을 축소하고 라이선스 관리 기관으로 전환되었고,[8] 2011년 이후 실질적인 활동을 중단했다. 최종적으로 2022년 4월 법적으로 파산했다.[15]

2. 1. 운영 단계 (2009-2010)

심비안 재단은 노키아, 소니 에릭슨, NTT 도코모, 모토로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보다폰, LG전자, 삼성전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AT&T에 의해 설립되었다.[1] 그러나 전략 변화로 인해 LG모토로라는 재단 설립 직후 이사회를 떠났고, 이후 후지쯔[2]퀄컴 이노베이션 센터가 그 자리를 채웠다.[3]

재단은 운영 단계(2009년부터 2010년까지) 동안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제공했다.

  • 플랫폼 개발 키트 및 도구
  • 문서 및 예제 코드
  • 토론 포럼 및 메일링 리스트 운영
  • 애플리케이션 서명 서비스 (심비안 사인드)[4]
  • 애플리케이션 배포 지원 (심비안 호라이즌)[5]
  • 아이디어 수집 및 피드백 창구 (심비안 아이디어)[6]
  • 연례 컨퍼런스 개최 (심비안 엑스체인지 앤 엑스포지션, 약칭 "SEE")


노키아가 심비안의 모든 주식을 인수한 후, 심비안 OS의 대부분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기 위해 재단에 기여했다. 이와 함께 노키아가 개발한 S60, 소니 에릭슨 및 모토로라가 사용했던 UIQ, 도코모가 개발한 MOAP(S)의 일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소프트웨어 자산도 재단에 제공되었다. 이 자산들을 통합한 공통 플랫폼은 2010년 2월에 EPL 하에 완전한 오픈 소스로 전환되었다. 다만, 당시 공개된 소스 코드에는 노키아가 소유한 Symbian OS와 S60의 모든 코드가 포함된 것은 아니었으며, 일부 코드는 별도의 라이선스 계약이 필요했다.

2. 2. 심비안 재단 해체 (2010-2012)

"자금 지원 이사회 구성원의 초점 변화"에 따라 심비안 재단은 2010년 11월, 운영 책임이나 직원이 없는 "소프트웨어 및 기타 지적 재산권을 라이선스하는 법적 실체"로 전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 이러한 결정은 세계 경제 및 시장 상황의 변화, 특히 iOS 및 안드로이드와 같은 다른 운영 체제와의 치열해진 경쟁이 주된 배경이 되었다. 이 발표와 함께, 노키아는 심비안 플랫폼의 운영 관리를 인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키아는 이미 코드의 주요 기여자였으며, 심비안 Ltd.를 인수한 이후 플랫폼 개발을 위해 자체 코드 저장소를 유지 관리하며 정기적으로 개발 내용을 공개 저장소에 공개해왔다.[9] 2010년 12월 17일, 모든 심비안 재단의 공개 웹사이트, 위키, 코드 저장소가 문을 닫았고,[10] 노키아가 새로운 심비안 사이트를 열었다.[11]

그러나 같은 해 삼성과 소니 에릭슨은 구글의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채택하며 재단을 떠났다. 이로 인해 일본의 NTT 도코모만이 노키아의 유일한 주요 파트너로 남게 되었다. 이후 2011년 2월, 노키아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하고 자사의 주력 스마트폰 플랫폼을 Windows Phone OS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12] 이 결정에 따라 심비안의 개발은 사실상 중단되었고, 관련 업무는 액센츄어에 외주 처리되었다.[13] 노키아는 2012년 말에 이 외주 서비스마저 종료했다.[14]

2011년 4월, 앞서 발표된 전환 작업이 완료되면서 심비안 재단은 상표 소유권 및 라이선스 관리 역할만 수행하는 조직으로 축소되었고, 비상임 이사만 남게 되었다.

결국 심비안 재단은 2022년 4월 15일에 법적으로 파산했으며,[15] 이후 재단의 자산이나 권리를 승계한 조직이 어디인지는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3. 구성원

심비안 재단은 회원으로 참여할 기업을 초청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200개 이상의 기업을 회원으로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7] 2010년 3월 기준으로 이사회 구성원, 일반 회원, 제휴 회원 및 재단 활동에 지지를 표명한 기업들의 상세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16]

3. 1. 이사회 구성원 (2010년 3월 기준)

3. 2. 일반 회원 (2010년 3월 기준)

심비안 재단은 다양한 분야에서 200개 이상의 기업을 회원으로 유치했다.[7] 주요 참여 분야와 회원사는 다음과 같다.
주요 참여 분야 예시
회원사 목록 (알파벳 순)[7]

기업명기업명기업명기업명
액센츄어아크로디아아크소프트어도비 시스템즈
어드밴스드 솔루션즈알텐아파드미앱리엑스
아처마인드 테크놀로지아리센트ARM아테로스 커뮤니케이션즈
아틀리에아바시아베이징 다친시다이 인포 테크베이징 신 아이니 테크놀로지
베이징 치후 테크놀로지BL스트림보잉고 와이어리스보어스 인터내셔널 홀딩
브라이센브로드컴카프리코드세스카 그룹
차이나 모바일중화전신CIeNET 테크놀로지스코드 팩토리
코마르치컴팔 커뮤니케이션즈코어크리얼랩
크립티크웨어 커뮤니케이션즈덱스트라 테크놀로지스디지아디지털 아리아
디스크리티스 테크놀로지스드림스프링이클립스 재단일렉트로비트
e리더ESET유로센터엑시터
에프 시큐어플랜더프랑스 텔레콤프링
후지소프트후지쯔퓨처리시기제케 & 드브리엔
그레이스 시스템 테크. 랩스한동에이치아이아이콘모바일
아이・에스・비이키보이매지네이션 테크놀로지스이머전
인쿠소인포콤 연구소이노바 IT이노패스 소프트웨어
인모트인트린직 소프트웨어 인터내셔널인비고익소노스
자모 솔루션즈교토 소프트웨어 리서치라센 & 투브로 인포테크로직 와이어리스
관리공학연구소마벨 테크놀로지 그룹모비카모바일맨
모비몬스터MStar 반도체무라타 제작소나슈 테크놀로지스
네오소프트넷큐 테크놀로지나이스 비즈니스 솔루션즈노키아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즈옴론 소프트웨어오픈 커널 랩스펜테라 파트너스
프로타콘 솔루션즈프사이테크닉스프시록PT. 솔루시 미디어 셀룰라
레이븐소프트레이븐윙레드벤드 소프트웨어레브 시스템즈
삿시스사스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스시퀀스 포인트 소프트웨어상하이 츠밍 소프트웨어
샤프선전 롱인 디지털 테크놀로지시페라 시스템즈사일런트 브릿지
심소스스카이소프트뱅크 모바일소프트웨어 이미징
솔레이시스스폰선베이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서프키친SVOX스와이프시만텍
탄라 솔루션즈테크브릿지텔레카텔레콤 이탈리아 (텔레콤 이탈리아 모빌레)
텐센트칭화 대학 소프트웨어 학원티에토트라이 하드
UMU오스트리아 응용과학 대학교버추얼 로직스비전 오브젝트
비자보다폰보이서브보피움
WDS글로벌위커뮤WIT 소프트웨어제니언트
ZTE


3. 3. 제휴 회원


  • 셀 텔레콤 Cell Telecom영어
  • NAVTEQ
  • 웨이파인더 시스템즈 Wayfinder Systems영어

3. 4. 지지 표명 기업

참여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지지를 표명한 기업은 다음과 같다.

4. 한국 기업의 참여와 영향

심비안 재단은 iOS 및 안드로이드와 같은 다른 운영 체제와의 경쟁 심화 등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2010년 11월 운영 책임을 갖지 않는 라이선스 법인으로 전환되었다.[8]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삼성은 소니 에릭슨과 함께 구글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선호하며 재단을 떠났다.[12] 이는 노키아 외에 일본의 NTT 도코모만이 주요 파트너로 남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12] 결과적으로 삼성을 비롯한 주요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으로 집중하는 흐름이 가속화되었다. 이후 노키아마저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Windows Phone으로 주력 플랫폼을 전환하면서,[12] 심비안 플랫폼의 개발은 사실상 중단되었다.[13]

참조

[1] 간행물 Mobile leaders to unify the Symbian software platform and set the future of mobile free http://press.nokia.c[...] Nokia 2008-06-24
[2] Webarchive Symbian Foundation Welcomes Fujitsu as New Board Member : Fujitsu Global http://www.fujitsu.c[...] 2010-01-27
[3] 뉴스 Qualcomm Innovation Center Joins the Symbian Foundation - SAN DIEGO and LONDON, Oct. 29 /PRNewswire-FirstCall/ http://www.prnewswir[...] 2013-12-08
[4] 웹사이트 Symbian Signed http://developer.sym[...] 2009-08-04
[5] 웹사이트 Symbian Horizon http://horizon.symbi[...]
[6] 웹사이트 Symbian Ideas http://ideas.symbian[...]
[7] 웹사이트 http://www.symbian.o[...] 2010-06-16
[8] 웹사이트 Symbian Foundation http://licensing.sym[...] 2013-12-08
[9] 뉴스 Guest Post: Symbian OS – One Of The Most Successful Failures In Tech History | TechCrunch https://techcrunch.c[...] 2010-11-08
[10] Webarchive http://blog.symbian.[...] 2010-12-23
[11] Webarchive http://symbian.nokia[...] 2010-12-21
[12] 뉴스 Nokia's new strategy and structure, Symbian to be a "franchise platform", MeeGo still in long term plans http://www.allaboutm[...] All About MeeGo 2013-09-06
[13] 뉴스 Nokia passes off Symbian and 2,300 employees to Accenture https://www.engadget[...] Engadget.com 2013-12-08
[14] 웹사이트 Symbian Blog | Symbian at Nokia http://symbian.nokia[...] 2010-12-21
[15] Webarchive https://s3.eu-west-2[...] 2023-05-01
[16] 웹사이트 Symbian Foundation Member Directory http://www.symbian.o[...]
[17] 웹인용 Symbian Signed http://developer.sym[...] 2009-08-04
[18] 웹인용 Symbian Horizon http://horizon.symbi[...]
[19] 웹인용 Symbian Ideas http://ideas.symbian[...]
[20] 웹인용 Mobile leaders to unify the Symbian software platform and set the future of mobile free http://press.nokia.c[...] 노키아 2008-06-24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ujitsu.c[...] 2010-12-21
[2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rnewswir[...] 2012-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