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성지는 청송 심씨 가문의 인물로, 을미의병 당시 청송의진 의병대장이었다. 그는 돈녕부 도정을 지냈으며, 1896년 청송의진 창의장으로 추대되어 의병 활동을 주도했다. 심성지는 청송의진 해산 후 소류정에서 은거하다가 1904년에 사망했으며,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는 《소류집》과 《적원일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송군 출신 - 조대환
조대환은 강력 및 특수 분야 수사를 담당한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변호사 개업 후 삼성 비자금 의혹 특별검사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및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추천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 청송군 출신 - 조지호 (경찰공무원)
조지호는 대한민국 경찰청장을 역임한 경찰공무원으로, 경찰대학을 졸업하고, 1990년 경위로 임관하여 수사, 기획, 인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2024년 8월 10일 제24대 경찰청장으로 임명되었으나 비상계엄 가담 혐의로 직무정지되었다. - 한말 의병장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한말 의병장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조선 의병장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조선 의병장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심성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심성지 |
한자 표기 | 沈誠之 |
출생일 | 1831년 |
출생지 | 조선 청송도호부 |
사망일 | 1904년 |
사망지 | 대한제국 청송군 |
국적 | 조선 · 대한제국 |
직업 | 유학자 · 관료 · 의병장 · 저술가 |
종교 | 유교(성리학) |
학력 | |
수학 | 1848년 둔와(遯窩) 유양흠(柳養欽)의 문하에서 중용(中庸) 수학 |
서원 | 화양서원(華陽書院)에서 수학 |
경력 | |
관직 | 1888년 의금부 도사(義禁府 都事) |
관직 | 1894년 돈령부 도정(敦寧府 都正) |
소속 | 청송유림 향회(鄕會) |
소속 | 청송의진(靑松義陣) |
가족 | |
아버지 | 심하(沈鍜, 동지돈녕부사) |
어머니 | 남평 문씨 · 강릉 김씨 |
배우자 | 함안 조씨 |
형제자매 | 심승지(동생) |
형제자매 | 심명지(동생) |
자녀 | 2남 |
자녀 | 심능박(沈能珀) |
자녀 | 심능찬(沈能璨) |
친척 | 심태문(숙부) |
친척 | 심강지(사촌) |
친척 | 조성수(매부) |
친척 | 심의상(손자) |
친척 | 심수택(증손자) |
친척 | 심용택(증손자) |
친척 | 심상기(고손자) |
친척 | 심상희(고손자) |
친척 | 장옥순(고손자며느리) |
친척 | 심봉섭(5대손) |
친척 | 심인섭(5대손) |
친척 | 김현주(5대손며느리) |
훈장 | |
상훈 |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
2. 가계
wikitext
관계 | 이름 | 비고 |
---|---|---|
15대조 | 심원부(沈元符) | 고려 전리판서, 고려 5은(高麗五隱), 두문동 72현, 고려 충신 |
14대조 | 심천윤(沈天潤) | 심원부의 장남, 고려조 영동정(令同正), 심호택(松韶 沈琥澤)의 17대조[3] |
6대조 | 심흘(沈釳) | 성현도 찰방 |
5대조 | 심세훈(沈世勳) | 통정대부 |
고조부 | 심희대(沈希大) | 증 사복시정 |
증조부 | 심만운(沈萬運) | 증 좌승지 |
증조모 | 영양 남씨 | |
조부 | 심덕유(沈德洧) | 증 호조참판 |
조모 | 함창 김씨 | |
숙부 | 심태문(沈兌文) | 증 동지의금부사 |
숙모 | 영양 남씨 | |
사촌 | 심강지(沈岡之) | 가의대부 |
사촌부인 | 가평 이씨 | |
당질(양자) | 심능찬(沈能璨) | 심성지의 아들 |
당질며느리 | 의성 김씨 | |
아버지 | 심하(沈鍜) | 동지돈녕부사 |
어머니 | 남평 문씨, 강릉 김씨 | |
동생 | 심승지(沈昇之) | |
제수 | 함안 조씨, 광산 김씨 | |
동생 | 심명지(沈明之) | |
제수 | 경주 최씨 | |
여동생 | 함안인 조성수에게 출가 | |
본인 | 심성지(沈誠之) | 돈녕부 도정, 을미의병 청송의진 의병대장 |
부인 | 함안 조씨 | |
아들 | 심능박(沈能珀) | |
며느리 | 함안 조씨, 가평 이씨 | |
손자 | 심의상(沈宜商) | |
손자며느리 | 영양 남씨 | |
증손자 | 심수택(沈琇澤) | |
증손자며느리 | 전주 류씨 | |
고손자(양자) | 심상기(沈相基) | 심용택(沈鎔澤)의 아들 |
고손자며느리 | 함안 조씨 | |
5대손(양자) | 심봉섭(沈鳳燮) | 심상희(沈相熺)의 아들 |
5대손며느리 | 김해 김씨 김현주 | |
증손자 | 심용택(沈鎔澤) | |
증손자며느리 | 벽진 이씨 | |
고손자 | 심상기(沈相基) | 심수택(沈琇澤)에게 양자로 입적 |
고손자 | 심상희(沈相熺) | |
고손자며느리 | 아산 장씨 장옥순(蔣玉順) | 청송 소류정(靑松 小流亭) 소유자[1][2] |
5대손 | 심봉섭(沈鳳燮) | 심상기(沈相基)에 양자로 입적 |
5대손 | 심인섭(沈麟燮) | |
아들 | 심능찬(沈能璨) | 심강지(沈岡之)에 양자로 입적 |
2. 1. 가계 개요
관계 | 이름 | 비고 |
---|---|---|
15대조 | 심원부(沈元符) | 고려 전리판서, 고려 5은(高麗五隱), 두문동 72현, 고려 충신 |
14대조 | 심천윤(沈天潤) | 심원부의 장남, 고려조 영동정(令同正), 심호택(松韶 沈琥澤, 조선 고종 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만석꾼 · 송소고택의 제1대 장주 · 대한제국 내부주사)의 17대조 |
6대조 | 심흘(沈釳) | 성현도 찰방 |
5대조 | 심세훈(沈世勳) | 통정대부 |
고조부 | 심희대(沈希大) | 증 사복시정 |
증조부 | 심만운(沈萬運) | 증 좌승지 |
증조모 | 영양 남씨 | |
조부 | 심덕유(沈德洧) | 증 호조참판 |
조모 | 함창 김씨 | |
숙부 | 심태문(沈兌文) | 증 동지의금부사 |
숙모 | 영양 남씨 | |
사촌 | 심강지(沈岡之) | 가의대부 |
사촌부인 | 가평 이씨 | |
당질(양자) | 심능찬(沈能璨) | 심성지의 아들 |
당질며느리 | 의성 김씨 | |
아버지 | 심하(沈鍜) | 동지돈녕부사 |
어머니 | 남평 문씨, 강릉 김씨 | |
동생 | 심승지(沈昇之) | |
제수 | 함안 조씨, 광산 김씨 | |
동생 | 심명지(沈明之) | |
제수 | 경주 최씨 | |
여동생 | 함안인 조성수에게 출가 | |
본인 | 심성지(沈誠之) | 돈녕부 도정, 을미의병 청송의진 의병대장 |
부인 | 함안 조씨 | |
아들 | 심능박(沈能珀) | |
며느리 | 함안 조씨, 가평 이씨 | |
손자 | 심의상(沈宜商) | |
손자며느리 | 영양 남씨 | |
증손자 | 심수택(沈琇澤) | |
증손자며느리 | 전주 류씨 | |
고손자(양자) | 심상기(沈相基) | 심용택(沈鎔澤)의 아들 |
고손자며느리 | 함안 조씨 | |
5대손(양자) | 심봉섭(沈鳳燮) | 심상희(沈相熺)의 아들 |
5대손며느리 | 김해 김씨 김현주 | |
증손자 | 심용택(沈鎔澤) | |
증손자며느리 | 벽진 이씨 | |
고손자 | 심상기(沈相基) | 심수택(沈琇澤)에 양자로 입적 |
고손자 | 심상희(沈相熺) | |
고손자며느리 | 아산 장씨 장옥순(蔣玉順) | 청송 소류정(靑松 小流亭) 소유자[1][2] |
5대손 | 심봉섭(沈鳳燮) | 심상기(沈相基)에 양자로 입적 |
5대손 | 심인섭(沈麟燮) | |
아들 | 심능찬(沈能璨) | 심강지(沈岡之)에 양자로 입적 |
2. 2. 상세 가계도
관계 | 이름 | 비고 |
---|---|---|
15대조 | 심원부(沈元符) | 고려 전리판서, 고려 5은(高麗五隱), 두문동 72현, 고려 충신 |
14대조 | 심천윤(沈天潤) | 심원부의 장남, 고려조 영동정(令同正), 심호택(沈琥澤)의 17대조[3] |
6대조 | 심흘(沈釳) | 성현도 찰방 |
5대조 | 심세훈(沈世勳) | 통정대부 |
고조부 | 심희대(沈希大) | 증 사복시정 |
증조부 | 심만운(沈萬運) | 증 좌승지 |
증조모 | 영양 남씨 | |
조부 | 심덕유(沈德洧) | 증 호조참판 |
조모 | 함창 김씨 | |
숙부 | 심태문(沈兌文) | 증 동지의금부사 |
숙모 | 영양 남씨 | |
사촌 | 심강지(沈岡之) | 가의대부 |
사촌부인 | 가평 이씨 | |
당질(양자) | 심능찬(沈能璨) | 심성지(沈誠之)의 아들 |
당질며느리 | 의성 김씨 | |
아버지 | 심하(沈鍜) | 동지돈녕부사 |
어머니 | 남평 문씨 · 강릉 김씨 | |
동생 | 심승지(沈昇之) | |
제수 | 함안 조씨 · 광산 김씨 | |
동생 | 심명지(沈明之) | |
제수 | 경주 최씨 | |
여동생 | 함안인 조성수에게 출가 | |
본인 | 심성지(沈誠之) | 돈녕부 도정, 을미의병 청송의진 의병대장 |
부인 | 함안 조씨 | |
아들 | 심능박(沈能珀) | |
며느리 | 함안 조씨 · 가평 이씨 | |
손자 | 심의상(沈宜商) | |
손자며느리 | 영양 남씨 | |
증손자 | 심수택(沈琇澤) | |
증손자며느리 | 전주 류씨 | |
고손자(양자) | 심상기(沈相基) | 심용택(沈鎔澤)의 아들 |
고손자며느리 | 함안 조씨 | |
5대손(양자) | 심봉섭(沈鳳燮) | 심상희(沈相熺)의 아들 |
5대손며느리 | 김해 김씨 김현주 | |
증손자 | 심용택(沈鎔澤) | |
증손자며느리 | 벽진 이씨 | |
고손자 | 심상기(沈相基) | 심수택(沈琇澤)에게 양자로 입적 |
고손자 | 심상희(沈相熺) | |
고손자며느리 | 아산 장씨 장옥순(蔣玉順) | 청송 소류정(靑松 小流亭) 소유자[1][2] |
5대손 | 심봉섭(沈鳳燮) | 심상기(沈相基)에 양자로 입적 |
5대손 | 심인섭(沈麟燮) | |
아들 | 심능찬(沈能璨) | 심강지(沈岡之)에 양자로 입적 |
심성지(沈誠之)는 1896년 청송의진의 창의장으로 추대되어 의병진 결성, 진용 정비, 의병 활동 등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3. 생애
심성지는 청송의진 해산 후 고향에서 제자들에게 향음례, 백록동규, 남전향약 등을 가르치며 은거하다가 1904년 11월 12일 사망하였다.
3. 1. 유년 시절과 학문 수양
심성지(沈誠之)는 1831년 12월 18일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에서 아버지 심하(沈鍜)와 어머니 남평문씨(南平文氏)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사행(士行), 호는 소류(小流)이다.
1848년 둔와(遯窩) 유양흠(柳養欽)의 문하에서 중용을 배웠으며, 1854년에는 족숙(族屬)인 심용(沈鎔)과 함께 화양서원(華陽書院)을 방문하여 『송자전서(宋子全書)』와 『언행록(言行錄)』 등을 읽었다. 이를 통해 청송 지역에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학풍을 여는 데 기여하였다.
1888년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1894년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에 천거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3. 2. 관직 진출과 사퇴
심성지는 1888년 의금부도사, 1894년 돈령부도정에 천거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1896년 3월 16일 청송의진의 창의장으로 활동하였으며, 3월 12일 청송 유림 100여 명이 향회를 개최하여 심성지를 창의장으로 추대하자 3월 13일 이를 수락하였다.
청송의진 해산 후 심성지는 향리의 소류정에 머물며 제자들과 향음례를 행하고, 백록동규 및 남전향약 등을 강하며 은거하였다.
3. 3. 청송의진 결성과 항일 투쟁
1896년 3월 12일 청송 유림 100여 명이 향회를 개최하고 이날 오후 객사에서 심성지를 창의장으로 추대하자, 심성지는 다음날 객사에서 이를 수락했다. 3월 15일 부장 조성박, 우익장 권성하, 좌익장 김상길을 내정하고, 참모와 서기 등을 선발했다.[4]
3월 16일 심성지는 대장기를 세우고, 3월 17일 축문과 창서사를 낭독하며 천신과 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3월 22일 김대락을 중군장, 남두희를 우익장, 서효원을 의영도지휘사로 임명하여 진용을 갖추었다.[4]
4월 6일 심성지는 청송의진의 효율성과 재정 절약을 위해 진영을 3영으로 합하고 참모 4인과 서기 6인으로 편성했다. 4월 29일 참모 신동호의 의견에 따라 예하 각 부대를 창의장 중심으로 편성하여 상영(상영 또는 내영)과 그 아래 각 영으로 편제하고, 상영은 대장을 중심으로 부장, 그 아래 중군과 좌·우익장, 각 영은 사병도총과 소모장이 지휘하도록 하였다.[4]
심성지는 군비와 군수품을 수집하여 재정을 확충하고, 4월 17일부터 각 면의 방비를 위해 외방장을 설치했다. 현서외방장에 김진구, 4월 20일 부서외방장에 심의철 등을 임명하고, 주변 지역 의병부대와 연결하기 위해 5월 9일 흥해출진소, 5월 22일 영덕출진소를 설치했다.[4]
5월 12일 의성의진과 이천의진이 관군의 공격을 받고 청송으로 들어오자, 다음날 청송의진은 진용을 합하여 의성연합의진을 결성했다. 5월 14일 심성지는 안덕면 근곡에 머물면서 중군장 김대락, 진무 정진도, 소모 심능장, 참모 오세로, 서기 윤도혁, 외방장 안병룡, 군사 이경식, 집사 윤경승 등이 거느린 포정 60명을 안덕면 감은리에 파견하여 관군과 접전토록 하였다(감은리전투). 이 전투에서 관군 7~8명을 죽이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4]
5월 24일 국왕 고종의 해산 칙유문을 받고, 심성지를 비롯한 청송의진 지휘부는 다음날 청송군 관내 8개 면으로 분진을 결정했다. 부장 조성박을 현내, 사병도총 남승철을 현동과 현남, 중군 김대락을 현북, 선봉장 홍병태를 현서, 우익장 서효신을 부동, 좌익장 권성하를 부내, 소모장 심능장을 부서 등의 외방장에 임명하여 의병진을 면군체제로 전환했다. 그 후 청송의진은 6월 15일 경주연합의진, 6월 28일 영덕연합의진 결성에 참여하여, 각각 6월 18일 경주성전투, 7월 13일과 14일 영덕전투를 벌이는 등 8월경까지 활동했다.[4]
7월 하순, 심성지가 이끄는 청송의진은 이천의진을 돕기 위해 출전 중 마평(청송군 부동면 상평리)의 화전등에서 관군의 기습을 받고 패전했다(화전등전투). 패전 후 관군의 추격을 받던 청송의진은 결국 각처를 전전하다 해산했다. 청송의진의 마지막 교전이었던 화전등전투가 벌어진 청송군 부동면 상평리에는 현재 항일의병기념공원과 기념관이 들어서 있다. 항일의병기념관에는 심성지가 쓴 ‘강병론’과 후손들이 그의 시와 글을 모아 1907년에 간행한 소류선생문집 등이 전시되어 있다.[4]
3. 4. 은거와 사망
심성지는 1896년 청송의진 해산 후 향리의 소류정(小流亭)에 머물며 제자들과 더불어 향음례(鄕飮禮)를 행하고, 백록동규(白鹿洞規) 및 남전향약(藍田鄕約) 등을 강(講)하며 은거하였다. 1904년 11월 12일 사망하였다.
4. 저서
5. 사후 평가 및 기념 사업
심성지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소류정 협문 앞에는 심성지를 기리는 사적비가 있고, 그 뒤로 심성지의 훈장증, 아들 심능찬의 표창장, 증손 심상기의 무공훈장증이 새겨진 세 개의 작은 비석이 나란히 서있다.[3] 청송군 부동면 상평리에는 심성지가 이끌던 청송의진의 마지막 격전지인 화전등전투를 기념하는 항일의병기념공원과 기념관이 있다. 항일의병기념관에는 심성지가 쓴 ‘강병론’과 1907년 후손들이 그의 시와 글을 모아 간행한 소류선생문집(小流先生文集) 등이 전시되어 있다.[4]
5. 1. 사후 평가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5. 2. 기념 사업
6. 묘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흥리 두리봉에 심성지 선생의 묘소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국가문화유산포탈 - 청송 소류정
http://www.heritage.[...]
[2]
문서
청송심씨대동보
[3]
뉴스
‘청송심씨(靑松沈氏)의 본향’…청송 파천면 덕천리의 경의재·요동재사·소류정·벽절정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4]
뉴스
청송의진 의병장 소류 심성지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5]
뉴스
청송의진 의병장 소류 심성지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