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오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오진법은 15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A부터 E까지의 문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기한다. 십오진법으로 표현된 수를 십오진수라고 부르며, 괄호와 아래첨자 15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십오진법은 3과 5의 배수를 쉽게 표현할 수 있으며, 파푸아뉴기니의 훌리어는 십오진법 수사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십오진법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십오진법 |
다른 이름 | 오진 삼기수법 펜타데시멀 (Pentadecimal) |
진법 | 위치 기수법 |
밑 | 15 |
기호 |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
용도 | |
사용 | 16진법 대신 사용될 수 있음 |
이유 | 15가 16보다 1과 더 가깝기 때문 |
예시 | |
십진법 214 | E4 (십오진법) |
계산 | (14 × 151) + (4 × 150) = 210 + 4 = 214 |
2. 기수법
십오진법은 15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이다. 15를 소인수분해하면 3×5가 되므로, 십오진법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들을 합리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삼진법과 공통점이다.
2. 1. 표기법
일반적으로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의 15개의 숫자를 사용하여 십오진수를 나타낸다. 십오진법으로 표현된 수는 괄호와 아래첨자 15를 사용하여 (11)₁₅와 같이 표기한다. 오른쪽 끝 또는 소수점이 1의 자릿수를 나타내며, 왼쪽으로 한 자릿수 이동할 때마다 15배, 오른쪽으로 한 자릿수 이동할 때마다 1/15가 된다.[1]마찬가지로, 십오진법에서 (50)₁₅는 75 (5×15¹)을, (100)₁₅는 225 (1×15²)을 의미한다.[1]
2. 2. 배수 판별법
15를 소인수분해하면 3×5가 된다. 따라서 십오진법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들을 합리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점은 삼진법과 공통점이다.십오진법에서 배수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끝자리가 0인 수는 15의 배수이다.
- 끝자리가 0, 3, 6, 9, C인 수는 3의 배수이다.
- 끝자리가 0, 5, A인 수는 5의 배수이다.
- 짝수, 6의 배수, 7의 배수, 2110의 배수는 자릿수 합으로 배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2. 3. 곱셈표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2 | 0 | 2 | 4 | 6 | 8 | A | C | E | 11 | 13 | 15 | 17 | 19 | 1B | 1D |
3 | 0 | 3 | 6 | 9 | C | 10 | 13 | 16 | 19 | 1C | 20 | 23 | 26 | 29 | 2C |
4 | 0 | 4 | 8 | C | 11 | 15 | 19 | 1D | 22 | 26 | 2A | 2E | 33 | 37 | 3B |
5 | 0 | 5 | A | 10 | 15 | 1A | 20 | 25 | 2A | 30 | 35 | 3A | 40 | 45 | 4A |
6 | 0 | 6 | C | 13 | 19 | 20 | 26 | 2C | 33 | 39 | 40 | 46 | 4C | 53 | 59 |
7 | 0 | 7 | E | 16 | 1D | 25 | 2C | 34 | 3B | 43 | 4A | 52 | 59 | 61 | 68 |
8 | 0 | 8 | 11 | 19 | 22 | 2A | 33 | 3B | 44 | 4C | 55 | 5D | 66 | 6E | 77 |
9 | 0 | 9 | 13 | 1C | 26 | 30 | 39 | 43 | 4C | 56 | 60 | 69 | 73 | 7C | 86 |
A | 0 | A | 15 | 20 | 2A | 35 | 40 | 4A | 55 | 60 | 6A | 75 | 80 | 8A | 95 |
B | 0 | B | 17 | 23 | 2E | 3A | 46 | 52 | 5D | 69 | 75 | 81 | 8C | 98 | A4 |
C | 0 | C | 19 | 26 | 33 | 40 | 4C | 59 | 66 | 73 | 80 | 8C | 99 | A6 | B3 |
D | 0 | D | 1B | 29 | 37 | 45 | 53 | 61 | 6E | 7C | 8A | 98 | A6 | B4 | C2 |
E | 0 | E | 1D | 2C | 3B | 4A | 59 | 68 | 77 | 86 | 95 | A4 | B3 | C2 | D1 |
십오진법 명수법은 15를 밑으로 하는 명수법이다. 자연어에서는 파푸아뉴기니의 훌리어가 십오진법 수사를 사용한다.[1][2]
3. 명수법
3. 1. 훌리어
파푸아뉴기니의 훌리어가 십오진법 수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1][2] 훌리어의 수사는 아래와 같다.
1 | mbira |
---|---|
2 | kira |
3 | tebira |
4 | maria |
5 | duria |
6 | waragaria |
7 | karia |
8 | halira |
9 | dira |
10 | pira |
11 | bearia |
12 | hombearia |
13 | haleria |
14 | deria |
15 | nguira |
16 | nguira-ni mbira |
18 | nguira-ni tebira |
25 | nguira-ni pira |
30 | ngui ki |
45 | ngui tebo |
150 | ngui pi |
225 | ngui ngui |
4. 가분성
15는 3 × 5로 소인수분해되므로, 십오진법은 3과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표기하기에 유리하다. 이 점은 삼진법과의 공통점이기도 하다.[1]
참조
[1]
논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2008-03-15
[2]
논문
Counting and Number in Huli
http://www.uog.ac.p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