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쏨뱅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쏨뱅이는 쏨뱅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몸길이는 약 20cm이며, 등지느러미에 12개의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1829년 조르주 퀴비에에 의해 학명이 명명되었으며, '대리석 무늬'를 뜻하는 종명처럼 몸에 얼룩덜룩한 무늬를 띤다. 쏨뱅이는 베트남, 중국, 일본, 한국, 필리핀 등 서태평양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갑각류와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고, 살이 단단하고 지방이 많아 식용으로도 널리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양식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태생어 - 범상어
    소형톱니모래상어는 전 세계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길고 둥근 주둥이와 큰 눈을 가진 심해성 상어로, 저서성 먹이를 섭취하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혼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다.
  • 난태생어 - 청상아리
    청상아리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상어 종으로, 두족류 등을 먹고 사람에게 위험하지만 공격 사례는 드물며, 어업 대상종으로 이용되지만 사육은 매우 어렵다.
  • 1829년 기재된 물고기 - 볼락
    볼락은 쏨뱅이목 양볼락과의 어류로 한국 남부와 일본 연안에 서식하며 몸 색깔이 다양하고 과거 단일 종으로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아카메바루, 시로메바루, 쿠로메바루 3종을 총칭하는 인위 분류군으로 식용 및 낚시 대상어로 이용된다.
  • 1829년 기재된 물고기 - 금눈돔
    금눈돔은 전 세계 아열대 및 온대 해역 심해에 서식하는 저층 회유성 어류의 한 종으로, 상업적으로 어획되지만 육량이 적어 금눈돔에 비해 시장 가치가 낮아 IUCN에 의해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
  • 양볼락과 - 쏠배감펭
    쏠배감펭은 가슴지느러미의 검은 반점을 특징으로 하며, 서태평양 등지에 분포하고, 지느러미 가시에 독이 있는 육식성 어종이다.
  • 양볼락과 - 미역치
    미역치는 몸길이 10~12cm의 납작한 물고기로, 등지느러미에 독샘이 있는 가시가 있으며, 얕은 암초나 조간대에서 서식하며 육식성으로 무척추동물 등을 먹고 관상어나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쏨뱅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쏨뱅이
쏨뱅이
학명Sebastiscus marmoratus
명명자퀴비에, 1829년
이명Sebastes marmoratus Cuvier, 1829
영어 이름False kelpfish, Marbled rockfish
일본어 이름카사고 (鮋・笠子・瘡魚)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상목극기류
농어목
아목양볼락아목
양볼락과 또는 쏨뱅이과
아과쏨뱅이아과
쏨뱅이속
쏨뱅이

2. 분류

쏨뱅이는 1829년 프랑스의 동물학자 조르주 퀴비에에 의해 ''Sebastes marmoratus''로 기술되었으며, 모식 산지는 주어지지 않았지만, 일본으로 추정된다.[2] 데이비드 스타 조던과 에드윈 채핀 스타크스는 쏨뱅이속을 설명하면서 ''S. marmoratus''를 모식종으로 지정했다.[3] 종명 ''marmoratus''는 "대리석 무늬"를 의미하며, 퀴비에는 등은 붉고 옆구리에는 갈색 또는 짙은색의 대리석 무늬가 있는 그림을 보고 이 종을 묘사했다. 살아있는 쏨뱅이는 황색에서 갈색 또는 붉은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얼룩덜룩한 무늬를 띤다.[4]

2. 1. 학명

''쏨뱅이''는 1829년 프랑스의 동물학자 조르주 퀴비에에 의해 처음으로 ''Sebastes marmoratus''로 기술되었으며, 모식 산지는 주어지지 않았지만, 일본으로 추정된다.[2] 데이비드 스타 조던과 에드윈 채핀 스타크스는 쏨뱅이속을 설명하면서 ''S. marmoratus''를 모식종으로 지정했다.[3] 종명 ''marmoratus''는 "대리석 무늬"를 의미하며, 퀴비에는 이 종을 등은 붉고 옆구리에는 갈색 또는 짙은색의 대리석 무늬가 있는 그림을 보고 묘사했다. 살아있는 표본은 황색에서 갈색 또는 붉은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얼룩덜룩한 무늬를 띤다.[4]

학명(라틴어) 중 속명인 ''Sebastiscus''는 그리스어 Σεβαστός|세바스토스grc ("존엄"의 뜻)에서 유래한 합성어로, 서양 인명 Sebastian(음역 예: 세바스찬, 세바스티안)과 동원어이다. 종명 ''marmoratus''는 대리석(마블) 라틴어 marmor|마르모르la (en:marble)에서 유래했다.

2. 2. 일본어 명칭

표준 일본어 명칭은 머리가 크고 을 쓴 것처럼 보이는 데에서 유래한 속칭 '''"갓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피부가 헐어 보이는 데에서 "피부병에 걸려 딱지(가사)가 생긴 물고기"라는 의미로 "'''창어'''"가 어원이라는 설도 있다[10]."갓자", "유", "창어"는 한자 표기로 모두 존재한다.

일본방언에는 큰 것을 "데카가시라", 간사이 지방의 "가시라", "가시", 산인 지방(돗토리시마네)의 "봇카", 시마네의 "봇코", 오카야마의 "아카메바루(적안장)", "아카친", 시코쿠 도쿠시마의 "가가네", 세토 내해 서부 연안 지방(히로시마에히메 등)의 "호고", 규슈미야자키의 "가가라", "호고", 그리고 나가사키구마모토가고시마의 "아라카부", "가라카부", "가부" 등이 있다.

2. 3. 기타 언어 명칭

영어 이름인 marbled rockfish는 "대리석 무늬의, 암초의 물고기"라는 뜻이다.

3. 형태

쏨뱅이는 몸길이가 20cm 정도이며, 쏘가리와 비슷하지만 등지느러미에 가시가 12개인 점으로 구별된다. 몸 빛깔은 서식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여, 연안의 것은 흑갈색이고 깊은 곳의 것은 붉은빛을 띤다. 몸 옆구리에는 다섯 줄의 불규칙한 흑갈색 가로띠가 있다. 양 턱은 거의 같은 길이나 아래턱이 약간 짧다. 머리의 가시는 길고 날카로우며 두 눈 사이는 깊이 패어져 있고 융기 연(緣)의 뒤끝은 머리가시에서 끝난다. 비늘은 작은 빗비늘이다.

3. 1. 상세 특징

쏨뱅이는 몸길이가 약 20cm이며, 쏘가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등지느러미에 가시가 12개인 점이 다르다. 몸 빛깔은 사는 곳에 따라 다양한데, 보통 연안에 사는 쏨뱅이는 흑갈색이고, 깊은 곳에 사는 쏨뱅이는 붉은 빛을 띤다. 몸 옆구리에는 5줄의 불규칙한 흑갈색 가로띠가 있다. 양 턱은 거의 같은 길이지만 아래턱이 약간 짧다. 머리의 가시는 길고 날카로우며, 두 눈 사이는 깊게 패여 있고 융기 연(緣)의 뒤끝은 머리가시에서 끝난다. 비늘은 작은 빗비늘이다.[5]

가슴지느러미 위쪽 뒷부분 가장자리는 거의 직선이며, 눈 아래 가시나 융기선이 없고 가슴지느러미 겨드랑이에는 피부 조각이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둥글다.[5] 등지느러미에는 12개의 가시와 10~13개의 부드러운 줄기가 있으며,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5개의 줄기가 있다. 전체적인 색상은 황갈색, 적색에서 흑색을 띠며 흰색에서 어두운 반점이 있다. 등에는 어두운 반점 또는 안장 모양의 무늬가 있고, 측선 아래에는 흰색 반점이 흩어져 있지만 측선 위쪽은 희미하다.[6] 쏨뱅이는 최대 36.2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최대 기록된 무게는 2.8kg이다.[1]

IGFA에 따르면, 1996년 니이지마에서 낚시로 잡힌 쏨뱅이가 최대 체중을 기록했다. 다만, 이 개체가 더 크게 자라는 우카리카사고와 혼동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11][12]

체색은 보통 붉은색에서 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모양의 옅은색 반점이 있지만, 서식 환경이나 개체에 따라 달라진다. 근연종인 볼락에 비해 몸의 단면이 둥글고 측편은 약하며, 눈이 작고, 입이 크다. 얕은 곳에 사는 쏨뱅이는 바위나 해조류 색깔과 비슷한 갈색을 띠는 반면, 깊은 곳에 사는 쏨뱅이는 선명한 붉은색을 띤다. 붉은 빛은 바다 깊은 곳까지 닿지 않기 때문에, 붉은색을 띤 쏨뱅이는 적이나 먹이에게 발견되기 어렵다. 이는 심해 적응의 한 형태로, 실제로 심해 생물 중에는 새빨간 체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쏨뱅이는 외부 형태가 흡사한 근연종인 우카리카사고 ''S. tertius''와 혼동될 수 있지만, 체표의 흰 점 가장자리 유무 등에서 차이가 나는 별개의 종이다.[13]

4. 생태

쏨뱅이는 몸길이가 20cm 정도이며, 등지느러미 가시가 12개로 쏘가리와 구별된다. 몸 빛깔은 서식 장소에 따라 다양하여 연안의 것은 흑갈색이고, 깊은 곳의 것은 붉은빛을 띤다. 몸 옆구리에는 다섯 줄의 불규칙한 흑갈색 가로띠가 있다. 양 턱은 거의 같은 길이나 아래턱이 약간 짧다. 머리의 가시는 길고 날카로우며 두 눈 사이는 깊이 패어져 있고 융기 연(緣)의 뒤끝은 머리가시에서 끝난다. 비늘은 작은 빗비늘이며 연안성어로 12~4월에 새끼를 낳는다.[1]

쏨뱅이는 주로 갑각류와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살며,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및 골반 지느러미의 가시에 독을 가지고 있다.[1] 난태생으로, 암컷은 살아있는 유생을 낳는다.[1]

4. 1. 분포

쏨뱅이는 베트남에서 중국, 일본, 한국을 거쳐 필리핀에 이르는 서태평양에서 발견되며,[1] 홋카이도 남부까지 북상하기도 한다.[1] 쏨뱅이의 서식 범위를 벗어난 기록도 있는데, 호주에서 두 번, 노르웨이 앞바다의 북대서양에서 한 번 기록되었다. 이 기록들은 선박의 평형수(ballast water)에 의해 이 지역으로 옮겨진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1][7] 쏨뱅이는 저서어로, 석호와 해안 암초의 해초 지대에서 해안 근처의 암반 기질에서 발견된다.[8]

4. 2. 서식 환경

쏨뱅이는 쏘가리와 비슷하지만 등지느러미 가시가 12개라는 점이 다르다. 몸 빛깔은 사는 곳에 따라 다양한데, 보통 연안에 사는 것은 흑갈색이고 깊은 곳에 사는 것은 붉은 빛을 띤다. 몸 옆구리에는 5개의 불규칙한 흑갈색 가로띠가 있다. 양 턱은 거의 같은 길이지만 아래턱이 약간 짧다. 머리 가시는 길고 날카로우며 두 눈 사이는 깊이 패여 있고 융기 연(緣)의 뒤끝은 머리가시에서 끝난다. 비늘은 작은 빗비늘이다.[1]

쏨뱅이는 저서어로, 석호와 해안 암초의 해초 지대, 해안 근처의 암반 기질에서 발견된다.[8] 해안 근처에서 수심 200m 정도까지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메벌처럼 헤엄쳐 다니지 않고 해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낮에는 물그늘에 숨고,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헤엄쳐 다닌다.

4. 3. 먹이

쏨뱅이는 육식성으로, 주로 갑각류와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1] 갯지렁이, 갑각류, 작은 물고기 등을 큰 입으로 재빨리 포식한다.[1]

4. 4. 번식

쏨뱅이는 난태생으로, 체내 수정을 하며 알이 아닌 치어를 낳는다. 가을에 교미한 암컷은 1~3개월 후에 수만 마리의 치어를 낳는다.[1] 어미 뱃속의 치어는 사람처럼 모체와 탯줄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난황의 영양분으로 자란다. 참고로, 같은 쏨뱅이과의 볼락도 태생이지만, 곰치 등은 난생이다.

이즈 반도 주변의 쏨뱅이를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산출 시기는 11~3월이며, 1회 산출 치어 수는 1천~94천 마리로 평균 26,000마리, 산출 횟수는 2회, 산출 간격은 13~22일이다.[14]

5. 인간과의 관계

쏨뱅이는 일본에서 상업적으로 양식되고 있다.[1]

5. 1. 낚시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로 친숙하며, 구멍 낚시 채비로 밑걸림에 주의하면 방파제나 암반에서도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다. 특히 밤에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에 덤벼들기 때문에, 낚시 미끼로 살아있는 줄새우, 갯지렁이, 오징어 토막, 작은 물고기 등이 사용된다.

메벌이나 쥐노래미와 함께 근어의 대표 격이다. 배낚시 대상어로도 인기가 있으며, 도쿄만사가미만에서는 고등어 토막을 미끼로 한 胴突き(도즈키) 채비로 손쉽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소프트 루어를 사용한 루어 낚시의 좋은 대상어가 되어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락피쉬 게임"이라고 칭해지며 인기를 얻고 있다. 루어 중에서는 미노우나 소프트 루어가 좋다고 여겨진다.

쏨뱅이는 유영성이 낮고 이동이 활발하지 않은 물고기이다. 이 때문에, 어떤 구역에서 일단 잡히면 다른 곳에서의 유입에 의한 개체 수 회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남획" 상태가 되기 쉽다. 이것은 낚시꾼이 집중되는 도시 근교에서 특히 현저하며, 같은 경향을 가진 물고기인 검은쏨뱅이, 무라소이 등과 함께, 각 어협, 공익 법인, 지방 자치 단체 등에 의한 종묘 양식 및 방류가 이루어지고 있다.[1]

5. 2. 식용

쏨뱅이 및 그 근연어는 겉모습은 징그럽지만, 살이 단단한 흰 살에 지방이 올라 매우 맛있어, 일식과 양식 모두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일식에서는 냄비 요리, 맑은 국, 된장국과 같은 국물 요리나 조림, 소금구이를 선호하며, 작은 크기라면 튀김으로도 많이 먹는다. 또한, 머리가 커서 수율은 나쁘지만 생선회나 초밥으로도 만들어진다. 양식에서는 부야베스나 아쿠아파차 등에 사용된다.

쏨뱅이속의 일종, ''Scorpaena scrofa''. 쏨뱅이가 아닌 근연의 다른 속이지만, 괴수의 가라몬과 통하는 얼굴을 하고 있다.

5. 3. 양식

쏨뱅이는 일본의 상업적인 양식 시설에서 양식된다.[1]

5. 4. 문화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용감한 모습이 무가에서 선호되어, 단오에 장식되는 상서로운 물고기 중 하나였다.

  • '''가라몬'''


: 특수 촬영 TV 프로그램 『울트라 Q』에 등장하는 괴수 가라몬의 얼굴 디자인은 정면에서 본 쏨뱅이의 얼굴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얼굴 폭과 다름없는 크기를 가진 두툼한 “입술”과 입꼬리가 처진 모습이 특징적인 입 등, 양자의 인상은 매우 흡사하다.

6. 보존

주어진 원본 소스에 보존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FishBase
[2] Cof genus 2021-12-24
[3] Cof family 2021-12-24
[4] 웹사이트 Order Perciformes (Part 8): Suborder Scorpaenoidei: Families Sebastidae, Setarchidae and Neosebast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12-24
[5] 간행물 Length-weight and length-length relationships for 10 species of scorpionfishes (Scorpaenidae) on the south coast of Korea: LWRs and LLRs for 10 species of scorpionfishes https://onlinelibrar[...] 2023-11-26
[6] 웹사이트 "''Sebastiscus marmoratus''" https://fishesofaust[...] Museums Victoria 2021-12-26
[7] 간행물 Pacific false kelpfish, Sebastiscus marmoratus (Cuvier, 1829) (Scorpaeniformes, Sebastidae) found in Norwegian waters
[8] 웹사이트 False Kelpfish https://www.whatstha[...] Whats That Fish 2021-12-26
[9] FishBase family
[10] 서적 栄川省造 『新釈魚名考』
[11] 웹사이트 Sebastiscus marmoratus http://www.fishbase.[...] FishBase 2011
[12] 웹사이트 All tackle records for Kasago http://www.igfa.org/[...] International Game Fish Association
[13] 서적 日本産魚類検索 全種の同定 第二版 東海大学出版会
[14] 웹사이트 「静岡県清水港に棲息するカサゴSebastiscusmarmoratusの生態的特性と遺伝的特性」 http://www2.scc.u-to[...] 「海―自然と文化」東海大学紀要海洋学部第3巻第2号21-38頁(2005) 2020-01-30
[15] FishBase 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