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쓰이 준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쓰이 준케이는 야마토 국의 전국 다이묘로, 쓰쓰이 씨의 가독을 이었다. 마쓰나가 히사히데와의 항쟁, 오다 노부나가와의 관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협력 등 복잡한 시대를 거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1584년 사망 후, 가문은 그의 사촌인 쓰쓰이 사다쓰구가 이었으나, 결국 가문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쓰이씨 - 쓰쓰이 사다쓰구
    쓰쓰이 사다쓰구는 1562년에 태어나 쓰쓰이 가문을 상속하고, 오다 노부나가의 딸과 결혼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활약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했으나, 1608년 개역된 후 오사카 전투에서 자해했다.
  • 1584년 사망 - 이반 4세
    이반 4세는 1547년부터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최초의 차르로, 초기 개혁과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리치니나 시행과 리보니아 전쟁 실패로 혼란과 쇠퇴를 초래했으며, 잔혹함과 권력욕으로 악명 높지만 중앙집권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한 복잡적인 인물이다.
  • 1584년 사망 - 빌럼 1세 판 오라녜
    빌럼 1세 판 오라녜는 16세기 네덜란드 독립을 이끈 지도자로서 오라녜 공작으로서 독립 전쟁을 이끌었으며, 정치적 수완과 군사적 전략으로 네덜란드 공화국 건립의 토대를 마련하고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여 네덜란드의 국부로 추앙받는다.
  • 야마토국 사람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불교 장려, 17조 헌법 제정, 수나라 외교 등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했으며, 여러 일화와 지폐 도안으로 유명하지만,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야마토국 사람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쓰쓰이 준케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쓰쓰이 준케이
본명쓰쓰이 준케이 (筒井 順慶)
출생1549년 3월 31일
사망1584년 9월 15일
출생지야마토국
사망지야마토국
이명곤노 쇼조즈 (権少僧都)
묘소http://www.yk-kankou.jp/spotDetail40.html 고야산 싯치인 (무량광원)
가명후지카쓰 (藤勝) → 후지마사 (藤政) → 요슌보 준케이 (陽舜房順慶, 호)
가문 정보
씨족쓰쓰이 씨
아버지쓰쓰이 준쇼
어머니오카타도노 (大方殿, 야마다 도안의 딸)
형제자매누나 (이도 요시히로의 부인), 여동생 (하시오 다카하루의 부인), 여동생 (쓰쓰이 준쿠니의 부인)
배우자다카히메 (구조 가문 여성,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양녀), 마쓰 (후세 하루유키의 딸), 오다 노부나가의 딸 혹은 여동생
자녀쓰쓰이 준세이
양자쓰쓰이 사다쓰구, 쓰쓰이 준사이, 쓰쓰이 조케이, 쓰쓰이 요시유키, 사다요리 (아케치 미쓰히데의 둘째 아들)
정치 경력
직위쓰쓰이 씨 당주
재임 시작1550년
재임 종료1584년
이전쓰쓰이 준쇼
이후쓰쓰이 사다쓰구
재임 시작1578년
재임 종료1584년
이전마쓰나가 단조 히사히데
이후도요토미 히데나가
군사 경력
소속오다 가문, 도요토미 가문
지휘고리야마성
참전 전투에치젠국 전투 (1575년), 시기산성 공방전 (1577년), 이타미성 공방전 (1579), 히지야마성 공방전 (1581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4년)
주군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

2. 생애

1550년(덴분 19년), 아버지 쓰쓰이 준쇼가 28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하자, 쓰쓰이 준케이는 2세의 나이로 가독을 상속받았다.[1] 숙부 쓰쓰이 준마사가 후견을 맡았다.[1]

1565년 (에이로쿠 8년),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기반이 흔들리던 준케이를 기습하여, 같은 해 11월 18일 준케이는 거성 쓰쓰이 성에서 쫓겨났다 (쓰쓰이 성 전투).[1] 준케이는 일족인 후세 사쿄진이 있는 후세 성으로 도주했다. 이후 준케이는 후세 씨 아래에서 힘을 키워, 이반한 다카다 씨의 거성인 다카다 성을 공격했다.

1566년부터 1581년 덴쇼 이가의 난까지 준케이는 마쓰나가 히사히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이에서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하고 히데요시의 가신이 되었다. 준케이는 히데요시에게 신종의 증거로 양자(종제이자 조카) 사다쓰구를 인질로 내놓았고, 야마토 영토는 안도되었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히데요시 편에 서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싸웠고, 전투 후 야마토 지배는 히데요시에 의해 보장되었다. 덴쇼 12년(1584년) 무렵부터 위통을 호소하며 자리에 누웠지만,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출진하여 이세, 미노로 전전했다. 덴쇼 12년 8월 11일, 야마토로 귀환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36세로 병사했다. 쓰쓰이 가는 사다쓰구가 이었다.

준케이의 중신이었던 시마 사콘은 준케이 사후, 뒤를 이은 사다쓰구와 잘 맞지 않아 쓰쓰이 가문을 떠났지만, 후에 이시다 미쓰나리의 가신이 되어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가했다.

1585년 (덴쇼 13년) 윤8월 18일, 쓰쓰이 가문은 준케이가 죽은 후 히데요시에게 이가 우에노에 20만 석으로 영지를 옮기게 되었다. 도쿠가와 측의 우에스기 토벌에 동원되었지만, 우에노 성이 공격받아 루스반(留守番) 역의 쓰쓰이 겐반 마사토가 싸우지 않고 개성(開城)하여 달아났다는 보고로 되돌아갔다. 그 때문에 성은 되찾았지만, 세키가하라 전투에는 참전하지 못했고, 전투 후의 가증(加増)을 받지도 못했다.

그 후에도 사다지는 도요토미 히데요리에 새해 인사를 하러 참성하는 등, 가신들이 도쿠가와 파와 도요토미 파로 분열되어 다투게 되었다. 1606년 (게이초 11년) 12월 23일, 우에노 성이 화재로 재해를 입었고, 그 복구 문제로 양 파의 항쟁이 재연되었다.

1608년 (게이초 13년), 쓰쓰이 가문의 중신 나카보 히데스케가 이에야스에게 주군 사다지의 악정이나 사슴 사냥에서의 해태 등을 호소했기 때문에 개역이 되었고, 사다지와 적자 준테이는 무쓰 이와키 다이라 번에 맡겨져 유폐되었다. (쓰쓰이 소동) 그 후, 사다지는 1615년 (게이초 20년) 3월 5일에 할복하여 쓰쓰이 가문은 단절되었다. 기나이의 요충지에서 도요토미 가문에 대한 억제 역할을 하는 이가 우에노에, 도요토미와의 관계가 애매한 사다지를 두는 위험성과, 사다지 자체에 대한 불신이 있었다고 한다.[2]

2. 1. 출생과 가독 상속

야마토 국의 전국 다이묘 쓰쓰이 준케이는 쓰쓰이 준쇼의 아들로 태어났다. 쓰쓰이 씨는 고후쿠지 이치조인에 속하는 유력 종도가 무사화되면서, 아버지 준쇼 대에는 야마토 최대의 무사단이 되었고, 쓰쓰이 성을 거점으로 전국 다이묘화되었다. 어머니는 야마다 도안의 딸 오가타노이다.

1550년(덴분 19년), 아버지가 28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했기 때문에, 2세의 나이로 가독을 상속받았다. 숙부 쓰쓰이 준마사가 후견을 맡았다. 당시 야마토는 '야마토 사가'라고 불리는 쓰쓰이 씨, 오치 씨, 하시오 씨, 도이치 씨와 승병을 옹호한 고후쿠지의 세력이 강했고, 슈고직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였다. 1559년(에이로쿠 2년)부터 미요시 나가요시의 총신인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침공해, 1562년(에이로쿠 5년)에는 쓰쓰이 씨와 협력 관계에 있던 도이치 오카쓰가 히사히데에게 항복하는 등, 쓰쓰이 씨에게는 어려운 정세였다. 1564년(에이로쿠 7년)에는 숙부 준마사가 사망한다.

1565년(에이로쿠 8년) 8월, 미요시 산닌슈와 마쓰나가 히사미치의 군세가 정이대장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살해했지만 (에이로쿠의 변), 11월 16일,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산닌슈는 결렬된다.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급히, 뒤를 잃은 준케이의 기반이 흔들리는 틈을 타 기습을 가해, 같은 해 11월 18일, 준케이는 거성 쓰쓰이 성에서 쫓겨난다 (쓰쓰이 성 전투). 이때, 하시오 다카하루, 다카다 도지로는 휘하 세력이 준케이로부터 이탈했다. 거성을 잃은 준케이는 일족의 후세 사쿄진이 있는 후세 성으로 도주했다.

후에 준케이는 후세 씨 아래에서 힘을 키워, 이반한 다카다 씨의 거성인 다카다 성을 공격했다.

2. 2. 마쓰나가 히사히데와의 항쟁

1565년 (에이로쿠 8년), 마쓰나가 히사히데는 기반이 흔들리던 쓰쓰이 준케이를 기습하여, 같은 해 11월 18일 준케이는 거성 쓰쓰이 성에서 쫓겨났다 (쓰쓰이 성 전투).[1] 준케이는 일족인 후세 사쿄진이 있는 후세 성으로 도주했다.

1566년 (에이로쿠 9년), 준케이는 미요시 산닌슈와 결탁하여 쓰쓰이 성 탈환을 꾀했다. 구력 4월 11일부터 구력 4월 21일까지 전투가 벌어져 미노쇼 성을 항복시켰고, 준케이와 산닌슈는 쓰쓰이 성으로 접근했다. 구력 6월 8일, 준케이는 마침내 성을 탈환했다. 준케이가 쓰쓰이 성을 탈환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시노하라 나가후사의 진군으로 히사히데의 입지가 흔들려 쓰쓰이 성에 군사를 보낼 여유가 없었던 점이 작용했다.

1567년 (에이로쿠 10년), 준케이는 산닌슈, 시노하라 나가후사와 함께 대불전을 점거하고 다몬 산성의 히사히데와 대치했다. 10월 10일 히사히데 군이 도다이지에 쳐들어가 대불전이 불타는 가운데 전투가 벌어졌지만, 히사히데 측이 승리했다 (도다이지 대불전 전투).

1568년 (에이로쿠 11년), 오다 노부나가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상락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히사히데는 노부나가와 친교를 맺었으나, 준케이는 히사히데 타도에 전념하여 정보 수집이 늦어졌다.

1571년 (겐키 2년), 준케이는 요시아키와 접근하여 다쓰이치 성을 축성했고, 구력 7월 3일 완공된 이 성은 마쓰나가 공략의 거점이 되었다. 구력 8월 4일 다쓰이치 성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준케이는 마쓰나가 군을 격파하고 500명의 목을 베었다. 패전한 히사히데는 쓰쓰이 성을 포기했고, 준케이는 다시 쓰쓰이 성을 탈환했다.

2. 3. 오다 노부나가와의 관계

1565년, 쓰쓰이 준케이는 마쓰나가 히사히데에게 패하여 쓰쓰이 성을 빼앗겼으나, 곧 탈환하였다. 이후 아케치 미쓰히데의 주선으로 오다 노부나가에게 신종(臣従)하였다.[4] 히사히데 역시 노부나가에게 신종하였고, 미쓰히데 등의 중재로 준케이와 히사히데는 일시적으로 화해하였다.[4]

1572년부터 히사히데가 노부나가와 대립하면서, 준케이는 오다 측에서 히사히데와 충돌을 반복하게 되었다.[4] 1573년에는 다케다 신겐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을 격파하고,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드는 등 준케이에게 불리한 상황이 전개되었다.[4] 하지만 같은 해 신겐이 병사하고 요시아키가 추방되면서, 히사히데는 1573년 12월 26일 다몬 산성을 노부나가에게 넘겨주고 항복했다.[5]

1574년, 준케이는 노부나가의 딸(혹은 여동생)과 결혼하고,[4]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 참전하는 등 노부나가의 가신으로서 활약하였다.[4] 1576년에는 야마토 국(나라현) 지배를 맡게 되었고, 아케치 미쓰히데의 요리키(与力, 하위 무장)가 되었다.[4]

1577년, 히사히데가 다시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들자, 준케이는 시기가 산 전투에서 선봉을 맡아 히사히데를 물리쳤다.[1] 1578년에는 야마토 평정을 완료하고 고리야마 성을 건설하기 시작했다.[6] 1580년에는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검지를 실시하고, 히사히데를 따르던 가신들을 처단했다.[6]

1581년 덴쇼 이가의 난에서는 오다 노부오의 지휘 하에 참전했으나, 이가 닌자들의 야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6]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준케이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중립적인 태도를 취했다.[1] 이후 하시바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하고, 기요스 회의에 참석했다.[6]

2. 3. 1. 주요 전투

마쓰나가 히사히데1565년 쓰쓰이 준케이를 물리치고 쓰쓰이 성을 점령했으나, 1566년 준케이는 쓰쓰이 성을 탈환했다.[1] 1575년 에치젠국 잇코잇키 공격에 참전, 하라다 나오마사가 이끄는 야마토국 병력의 부대에 참여했다.[4] 1577년 오다 노부타다의 병력에 아케치 미쓰히데, 호소카와 후지타카와 함께 합류하여 시기가 산 전투에서 히사히데를 물리쳤다.[1]

1579년 아라키 무라시게를 상대로 이타미 공성전 (1579)에 참여했고,[1] 1581년 히지야마 공성전에서 덴쇼 이가 전쟁에 참여했다.[1] 1582년 야마자키 전투 동안 준케이는 중립을 지켰으며,[1] 1584년 고마키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싸웠다.[6]

1566년 준케이는 미요시 산닌슈와 결탁하여 4월 11일부터 4월 21일에 걸쳐 전투를 벌여 미노쇼 성을 항복시키고 쓰쓰이 성을 탈환했다.[4] 1567년 도다이지 대불전 전투에서 히사히데와 대치하여 승리했다.[5]

1571년 다쓰이치 성을 축성하고, 8월 4일 마쓰나가 히사히데·히사미치 부자, 미요시 요시쓰구 등의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쓰쓰이 성을 다시 탈환했다.[4] 1573년 12월 26일 다몬 산성이 함락되었다.[5]

1577년 사이카 잇키의 반란을 진압했고,[1] 1581년 덴쇼 이가의 난에서 히지 산 성 전투에 참전했다.[6]

2. 4.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관계

1575년, 에치젠국 잇코잇키 공격에 참여했으며, 하라다 나오마사가 이끄는 야마토국 병력의 부대에 참여했다. 1577년에는 오다 노부타다의 병력에 아케치 미쓰히데, 호소카와 후지타카와 함께 합류하여 시기가 산 전투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를 물리쳤다.[1] 1578년에는 야마토의 ''다이묘'' 지위로 임명되었으며,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있는 고리야마 성 건설을 허락받았다. 아라키 무라시게를 상대로 한 이타미 공성전 (1579)과 이가 잇키의 병력을 상대로 한 1581년의 히지야마 공성전에서 덴쇼 이가 전쟁에 참여했다.[1]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하고, 히데요시에게 신종의 증거로 양자(종제이자 조카) 사다쓰구를 인질로 내놓았다. 미쓰히데 사후에는 히데요시의 가신이 되었고, 야마토의 영토는 안도되었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히데요시 편에 서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싸웠고, 전투 후 그의 야마토 지배는 히데요시에 의해 보장되었다. 덴쇼 12년(1584년) 무렵부터 위통을 호소하며 자리에 누웠지만,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출진하여 이세, 미노로 전전했다. 덴쇼 12년 8월 11일, 야마토로 귀환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36세로 병사했다. 쓰쓰이 가는 사다쓰구가 이었다.

2. 4. 1. 야마자키 전투와 호라가 고개

1582년, 야마자키 전투에서 쓰쓰이 준케이는 어느 쪽 편도 들지 않고 "호라가 토게"에서 전투 결과를 기다리며 중립을 지켰다. 이는 우유부단함을 뜻하는 "호라가 토게에 앉다"라는 표현의 기원이 되었다.[1]

같은 해(덴쇼 10년) 6월 2일, 아케치 미쓰히데오다 노부나가를 살해한 혼노지의 변이 일어났다. 준케이는 지묘지 요리쿠니 등 일족과 중신들을 소집하여 대책 회의를 열었다. 미쓰히데는 준케이에게 중개자이자 친척, 친구였기에 자신의 편이 되도록 권유했다.

준케이는 다쓰이치 부근까지 군사를 보냈지만 적극적으로 움직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극적이나마 오미에 군사를 보내 미쓰히데에게 협력했다. 6월 10일, 준케이는 맹세서를 작성하여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날, 미쓰히데의 가신 후지타 덴고로가 고리야마 성을 방문하여 준케이에게 미쓰히데를 도울 것을 권유했지만, 준케이는 이를 거절했다.

미쓰히데는 가와치를 제압하기 위해 도가게 고개에 진을 치고 준케이의 동태를 살폈지만, 준케이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준케이가 도가게 고개에 진을 쳤다는 것은 নির্ভরযোগ্য한 사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결국 미쓰히데는 6월 13일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배하여 도망병 사냥꾼에게 살해당했다. 미쓰히데는 모반을 일으키면서 긴키 지역의 오다 가문 다이묘들이 자신의 편이 되어주기를 기대했지만, 준케이 등이 협력하지 않은 것은 큰 타격이었다.

6월 14일, 준케이는 야마토를 출발하여 교토 다이고로 가서 하시바 히데요시를 만났다. 이때 히데요시는 준케이가 늦게 도착한 것을 질책했다.

3. 죽음

筒井 順慶|쓰쓰이 준케이일본어는 1584년 9월 15일 병으로 사망했다.[1]

준케이 사후 쓰쓰이 가문은 준케이의 사촌이자 양자인 쓰쓰이 사다쓰구가 이었다.[1] 이후 쓰쓰이 가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복형제인 도요토미 히데나가에게 야마토의 통치권을 빼앗겼다.[1] 사다쓰구는 히데요시의 명에 따라 이가 국으로 이주했다.[1]

4. 인물 및 평가

준케이는 다도, 요곡, 가도 등 문화 방면에 뛰어난 교양인이었으며, 승려였던 자신의 배경으로 불교에 대한 깊은 신앙심을 가지고 야마토의 사찰들을 보호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노부나가 정권 하에서는 철포 주조를 위해 을 몰수하거나, 고후쿠지 승려의 처벌을 명령하는 등, 반드시 사찰 보호만 한 것은 아니었다.[1]

준케이의 중신이었던 시마 사콘은 준케이 사후, 뒤를 이은 사다쓰구와 사이가 좋지 않아 쓰쓰이 가문을 떠났다. 이후 사콘은 이시다 미쓰나리의 가신이 되어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가했다.[1]

5. 가신


  • 시마 기요오키
  • 마쓰쿠라 시게노부
  • 모리 요시유키
  • 후쿠즈미 요시히로
  • 지묘지 노리쿠니
  • 야마다 노리키요
  • 후세 사쿄노진
  • 도이치 후지마사

6. 쓰쓰이 준케이를 주제로 한 작품


  • 쓰쓰이 야스타카의 소설 『쓰쓰이 준케이』는 현대적 시점에서 쓴 역사 미스터리풍의 엉뚱한 SF 소설로, 역사 소설은 아니다. 소설 마지막에는 준케이 자신이 현대에 나타나 노부나가를 야만인, 미쓰히데를 무교양이라고 깎아내린다. 작가 쓰쓰이 야스타카는 이 소설을 직접 만화화하기도 했다. 소설 속에서 쓰쓰이 야스타카는 쓰쓰이 가문의 방계 후손으로 설정되어 주인공으로 등장하지만, 이 설정은 허구이며 실제로는 쓰쓰이 가문의 후손이 아니다.
  • 가제노 마치오의 소설 『쓰쓰이 준케이』 (PHP 문고)

7.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0 2000
[2] 웹사이트 History of Yamatokoriyama, City of Yamatokoriyama http://www.city.yama[...] 2007-03-28
[3] 웹사이트 Tsutsui Junkei in History of Yamatokoriyama http://www.city.yama[...] 2007-03-28
[4] 서적 『増補筒井家記』乾、『大日本史料』10編6冊717頁
[5] 서적 『信長公記』6巻
[6] 문서 多聞院日記同月9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