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곤어는 스페인 북동부의 피레네 산맥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이다. 아라곤어는 아라곤어 아카데미에서 제정된 표기법을 포함하여 여러 표기법을 가지고 있으며, 25~30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8세기 경 통속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바스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라곤 왕국의 확장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다. 15세기 이후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쇠퇴하였으나, 1978년 스페인의 민주주의 전환 이후 문학 작품과 연구가 이루어졌다. 현재 아라곤어는 아라곤 지역에서 모어로 사용되며, 교육 과정에서도 일부 지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곤어 - 아라곤어 아카데미아
아라곤어 아카데미아는 아라곤어의 표준화, 연구, 보존, 권리 보호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표준 아라곤어 개발, 사용자 권리 옹호, 구전 및 문헌 자료 조사, 방언 연구,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아라곤어의 지위 향상을 위해 활동하며, 이사, 회장, 사무총장, 정회원, 명예회원, 자문위원회로 구성되어 아라곤 자치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 - 아라곤주의 문화 - 세녜라
세녜라는 금색 바탕에 네 개의 붉은 줄무늬가 있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깃발 중 하나로, 아라곤 왕국과 바르셀로나 백작령의 역사와 관련이 깊으며, 현재 카탈루냐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깃발에 사용되고 카탈루냐 독립 운동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서부 로망스어군 - 이탈리아달마티아어군
이탈리아달마티아어군은 달마티아어, 이스트리아어를 포함하는 로망스어군 분류이며, 이탈리아 로망스어 방언들과 베네치아어, 유대 이탈리아어 또한 관련이 있다. - 서부 로망스어군 - 옥시타니아 로망스어군
옥시타니아 로망스어군은 서부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이베리아어군, 갈리아어군 등과 함께 서부 로망스어군을 구성한다.
아라곤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아라곤어 |
민족 | 아라곤인 |
사용 국가 | 스페인 |
사용 지역 | 아라곤; 북부 및 중부 우에스카와 북부 사라고사 |
사용자 수 | 활동 사용자: 10,000–12,000 (2017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방언 | 유대-아라곤어 |
소수 언어 | 스페인 |
조상 언어 | 고대 라틴어 |
문자 | 라틴 (아라곤어 알파벳) |
언어 기관 | Academia d'a Luenga Aragonesa |
ISO 639-1 | an |
ISO 639-2 | arg |
ISO 639-3 | arg |
GlottoCode | arag1245 |
GlottoCode 참조 | Aragonese |
Linguasphere | 51-AAA-d |
다른 이름 | fabla cheso patués |
언어 지도 및 상태 | |
![]() | |
기타 정보 | |
관련 지역 | La Jacetania Alto Gállego |
2. 명칭
아라곤어(l'aragonésan)는 이 언어의 가장 일반적이고 공식적인 명칭이며, 현지에서도 국제적으로도 이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학적 전통에서는 나바라-아라곤어(navarroaragonéses)라고도 불리지만, 이 용어는 주로 중세 언어를 가리킨다. 현대 문헌학에서는 각각 중세 나바라어, 중세 아라곤어로 구분하는 경우도 많다.
파브라 아라곤네사(fabla aragonesaan) 또는 단순히 파브라(fablaan)는 20세기 마지막 4반세기 동안 널리 사용된 명칭으로, 주로 서부 지역 방언에 사용되었다.
알토 아라곤어(altoaragonésan)라고도 불리지만, 이 명칭은 현재 널리 쓰이지 않는다[29][30].
2013년에 채택된 아라곤 언어법에서는 Lengua aragonesa propia de las áreas pirenaica y prepirenaica|피레네 및 피레네 연안 지역의 고유 아라곤어es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의 방언을 나타내는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3. 역사
아라곤어는 8세기경 피레네산맥 지역의 통속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바스크어와 유사한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1][2] 초기 아라곤 왕국(아라곤 백작령, 소브라르베, 리바고르사 백작령으로 구성)이 성립되고 산지에서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레콩키스타를 통해 이슬람 세력(무어인)을 남쪽으로 밀어내고 아라곤어 사용 지역을 넓혔다.[1][2][3]
12세기에 카탈루냐와의 연합으로 아라곤 연합 왕국이 형성되었지만, 두 지역의 언어는 통합되지 않았다. 동쪽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서쪽에서는 아라곤어(나바르-아라곤어)가 계속 사용되었으며, 두 언어 사이에는 방언 연속체가 형성되었다.[2][3] 아라곤 왕국의 남쪽으로의 레콩키스타는 무르시아에서 끝났는데, 이 지역은 하이메 1세에 의해 아라곤 공주의 지참금으로 카스티야 왕국에 넘겨졌다.[2][3] 아라곤어의 가장 잘 알려진 지지자 중 한 명은 14세기 말 로도스에서 성 요한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였던 후안 페르난데스 데 에레디아이다. 그는 아라곤어로 많은 작품을 썼고, 그리스어 문헌을 아라곤어로 번역하기도 했다(이는 중세 유럽 최초의 사례 중 하나이다).[2]
그러나 카스티야어(오늘날의 스페인어)의 확산과 카스티야에 기반을 둔 트라스타마라 왕조의 등장은 아라곤어의 쇠퇴를 가져왔다. 특히 15세기에 카스티야 왕가 출신의 페르난도 1세(안테케라의 페르난도)가 아라곤 왕으로 즉위한 것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2][3]
16세기 이후 아라곤과 카스티야가 통합되고 아라곤의 자치권이 점차 약화되면서, 귀족 계급이 스페인어를 권력의 상징으로 여기게 되자 아라곤어는 점차 지방에서만 사용되는 구어로 밀려났다.[1][3] 18세기 초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아라곤이 속한 대동맹이 패배하자, 스페인의 펠리페 5세는 1707년 누에바 플란타 칙령을 통해 아라곤의 행정 및 교육에서 아라곤어 사용을 금지하고 스페인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강제했다.[2]
아라곤어에 대한 억압은 20세기 프랑코 독재 정권 하에서 극에 달했다. 당시 프랑코 정권의 언어 정책에 따라 스페인어 이외의 모든 언어 사용이 억압되었으며, 학교에서 아라곤어를 사용한 학생들은 체벌을 받는 등 가혹한 탄압을 겪었다.[1][3]
1978년 스페인의 민주주의 전환 이후 제정된 새로운 헌법은 언어의 자유를 보장했고, 이에 따라 아라곤어로 된 문학 작품 출판과 언어 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1][2][3] 2009년에는 아라곤 언어법(법률 10/2009)이 제정되어 아라곤어를 아라곤 지방의 "고유하고 역사적인 언어"로 인정하고 공공 행정에서의 사용을 포함한 일부 언어권을 보장했으나, 2013년 새로운 법률(법률 3/2013)에 의해 일부 내용이 후퇴하기도 했다.[4] 오랜 억압과 사회 변화 속에서 아라곤어는 여전히 소수의 사용자만이 남아있는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다.[3]
4. 특징
아라곤어는 카탈루냐어와 많은 역사적 특징을 공유한다. 일부 특징은 아스투르레오네스어 및 갈리시아-포르투갈어와도 공유되는 보수적인 것으로, 이는 스페인어가 주변 언어에 확산되지 않은 방식으로 혁신을 거친 것과 대비된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주변 로망스어들은 아라곤어에 영향을 미쳤다.[16] 카탈루냐어와 오크어는 오랫동안 아라곤어에 영향을 주었다. 15세기 이후로는 스페인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라곤 전역에서 제1언어로 채택되면서 아라곤어의 사용 지역은 피레네 산맥 주변의 북부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프랑스어 또한 아라곤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탈리아어 차용어는 다른 언어(예: 카탈루냐어)를 통해 유입되었고, 포르투갈어 단어는 스페인어를 통해 유입되었다. 게르만어 단어는 5세기 게르만 민족의 지역 정복과 함께 유입되었으며, 영어는 현대에 들어 다수의 새로운 단어를 아라곤어에 도입했다.
아라곤어는 피레네 산맥 남쪽에서 사용되며, 프랑스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갈로-로망스어와 공통점이 많다. 예를 들어, 복합 완료 시제를 구성하는 조동사는 프랑스어 등과 마찬가지로 '가지다'를 의미하는 aver와 '이다/있다'를 의미하는 estar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연결 동사는 estar만 사용하며, 이 점은 ser와 estar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카스티야어(스페인어)와 다르다. 그러나 정관사는 o, os, a, as로, 이베리아 반도 서부의 갈리시아어, 포르투갈어와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다.
5. 문법
아라곤어 문법은 오크어 및 카탈루냐어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14] 스페인어와도 유사하다.
아라곤어의 정관사는 방언과 관련된 변화를 겪었으며, 고대 아라곤어의 정관사는 현재 스페인어의 정관사와 유사하다. 다음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다.
남성형 | 여성형 | |
---|---|---|
단수 | el | la |
복수 | els/es | las/les |
이 형태는 동부 및 일부 중부 방언에서 사용된다.
남성형 | 여성형 | |
---|---|---|
단수 | lo/ro/o | la/ra/a |
복수 | los/ros/os | las/ras/as |
이 형태는 서부 및 일부 중부 방언에서 사용된다.[15]
라틴어 제2변화 명사(o 어간)에 속했던 단어, 그리고 나중에 이에 합류한 단어들은 대개 남성 명사이다.
- filiu(m)la > filloan ('아들')
- sciurula + olu(m)la > esquiruelo, esquirolan ('다람쥐')
라틴어 제1변화 명사에 속했던 단어들은 대개 여성 명사이다.
- filia(m)la > fillaan ('딸')
몇몇 라틴어 중성 복수 명사는 단수 여성 명사로 제1변화에 합류했다.
- foliala > fuellaan ('잎')
"-or"로 끝나는 단어는 여성 명사이다.
- a honoran, a caloran, a coloran, 그리고 (중세 아라곤어에서) la amoran
과수 이름은 보통 "-era" (라틴어 "-aria"에서 파생된 접미사)로 끝나며, 대개 여성 명사이다.
- ''a perera'', ''a manzanera'', ''a nuquera'', a castanyeraan, a telleraan ''/'' o tileroan, ''a 올리브ra'', ''a ciresera'', ''l'almendrera''
강 이름의 성은 다양하다.
- "-a"로 끝나는 많은 이름은 여성 명사이다: a Cincaan''/''a Cingaan, a Cinquetaan, a Garonaan, L'Arbaan, a Nogueraan, a Isuelaan, La Uechaan, La Uervaan 등. 마지막 강은 16세기에는 río de la Uerbaan로 알려졌다.
- 제2변화 및 제3변화에서 온 많은 이름은 남성 명사이다: ''L'Ebro'', ''O Gállego'', O Flumenan, L'Alcanadrean.
아라곤어는 대부분의 다른 옥시타노-로망스어와 마찬가지로, 라틴어 indela와 ibila에서 파생된 분사 및 처소격 약형태소 대명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베로-로망스어와는 다르다: enan''/''nean와 bian''/''ian''/''iean가 그것이다.
이러한 대명사는 대부분의 주요 로망스어에서 나타난다 (카탈루냐어 enca와 hica, 오크어 neoc와 ioc, 프랑스어 en프랑스어와 y프랑스어, 이탈리아어 neit와 ciit''/''viit).
Enan''/''nean는 다음에 사용된다:
- 분사 목적어: No n'he visto como aquelloan ("나는 그런 것을 본 적이 없다", 직역하면 '그것 중 아무것도 나는 그렇게 본 적이 없다').
- 분사 주어: En fa tanto de malan ("그것은 너무 아프다", 직역하면 '(그것) 그것은 너무 많은 고통을 야기한다')
- 탈격, 움직임이 시작되는 장소: Se'n va ra memoriaan ("기억이 사라진다", 직역하면 '(마음에서) 기억이 사라진다')
Bian''/''hian''/''iean는 다음에 사용된다:
- 처소격, 어떤 일이 일어나는 장소: N'hi heba unoan ("그들 중 하나가 있었다", 직역하면 '(그들 중) 하나가 있었다')
- 향격, 움직임이 향하거나 끝나는 장소: Vés-bean ('거기로 가 (명령형)')
6. 지역 변종
아라곤어는 약 25~30개의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대부분 우에스카 주에 위치한다. 이는 피레네 산맥을 끼고 있어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던 배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가장 오래된 형태의 아라곤어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특히 동쪽 지역의 방언은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점차 스페인어가 주 언어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지역 방언 분류 중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프란초 나고레(Francho Nagore)의 분류로, 아라곤어를 4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눈다.[31][32]
- 서부 방언 (서부 아라곤어): 안소, 예초 계곡, Chasa, 베르둔, 차카 등지에서 사용된다.[6]
- 중부 방언 (중부 아라곤어): 판티코사, 비에스카스, 토르라, 브로토, 비엘사, 예브라 데 바사, 아인사-소브라르베 등지에서 사용된다.[6]
- 동부 방언 (동부 아라곤어): 베나스, 플란, 비사고리, 캄포, 페라루아, 그라우스, 에스타디야 등지에서 사용된다.[6]
- 남부 방언 (남부 아라곤어 또는 소몬타노어): 아궤로, 아이르베, 라살, 볼레아, 리에르타, 우에스카, 알무데바르, 노지토, 라바타, 알게즈라, 앙게스, 페르투사, 발바스트로, 나발 등지에서 사용된다.[6]
이러한 각 그룹은 다시 방언적 특징을 가진 여러 변종으로 나뉘며, 코마르카나 특정 지역에 따라 하위 방언으로 더 세분화된다.
7. 표기
2023년 이전까지 아라곤어에는 주로 세 가지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 우에스카 표기법 (grafía de Uescaan): 1987년 우에스카에서 열린 제1회 아라곤어 정상화 회의에서 Consello d'a Fabla Aragonesa (CFA)가 제정했으며, 아라곤어 부흥 운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음소와 문자를 비교적 일관되게 대응시키는 데 중점을 두지만, 어원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v'와 'b'로 나뉘어 쓰이던 소리를 'b'로 통일하고, 'ch', 'j', 'g'(e, i 앞) 소리를 모두 'ch'로 표기한다. 스페인어와 유사하게 'ñ' 문자를 사용하고 스페인어식 악센트 규칙을 따른다. 모든 아라곤어 지역 변종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다.[10]
- SLA 표기법 (grafia SLAan): Sociedat de Lingüistica Aragonesa (SLA)가 2004년에 제안한 표기법으로, 소수의 작가들이 사용한다. 우에스카 표기법이 스페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보고, 카탈루냐어, 옥시탄어, 중세 아라곤어 자료에 더 가까운 전통적이고 어원적인 형태를 지향한다. 중세 아라곤어처럼 'v'와 'b'를 구별하고, 'ch', 'j', 'g'(e, i 앞)도 구별하여 표기한다. 또한 'ñ' 대신 이중자 'ny'를 사용하며, 악센트 부호 사용도 카탈루냐어 및 옥시탄어의 모델을 따른다.[12]
- 아라곤어 아카데미아 표기법 (2010년 시안): 기존 표기법들의 차이와 통일의 필요성 속에서, 2006년 설립된 Academia de l'Aragonés가 2010년에 발표한 표기법 시안이다. 중세 표기법을 현대화하면서 어원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표준을 만들고자 했다. 역사적 사실, 아라곤어 정체성, 일관성, 기능성을 고려하여, 어원과 중세어 형식을 존중하면서도('v'/'b'의 어원적 구별, 'ny' 사용 등), 일부는 기능성('ch'의 일반적 사용)을 우선시했다. 또한, 복수형 등에서 나타나는 'tz' 표기처럼 어형 변화의 일관성 및 체계성도 중시했다.[11]
16세기 아라곤의 모리스코들은 아랍 문자로 로망스어를 표기한 알하미아도 문서를 남겼는데, 이는 아랍어 작문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들의 언어는 아라곤어와 카스티야어의 특징이 섞여 있으며, 아라곤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었던 아라곤어의 마지막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진다.[20]
2023년, ''Academia Aragonesa de la Lengua''(아라곤어 아카데미)는 새로운 표기법 표준을 발표했다.[13] 이 표준은 2010년 Academia de l'Aragonés 표기법 시안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kw/ 소리는 항상 'cu'로 표기하며(예: ''cuan, cuestión'', 일부 외래어 예외: ''quad, quadrívium, quark, quásar, quáter, quórum''), /ɲ/ 소리는 개인 선호에 따라 'ny' 또는 'ñ'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단어 끝의 'z'는 'tz'로 표기하지 않는다.
외래어에 주로 나타나는 변두리 음소 /x/(예: ''jabugo'')는 우에스카, Academia de l'Aragonés, Academia Aragonesa de la Lengua 표준 모두 'j'로 표기한다(SLA 표준에서는 언급되지 않음). Academia de l'Aragonés 및 Academia Aragonesa de la Lengua 표기법은 국제적으로 알려진 일부 외래어(예: ''jazz, jacuzzi'', 아라곤어에서는 보통 /tʃ/로 발음됨)에 'j' 문자를 허용하며, 외래어에서만 사용되는 'k'와 'w' 문자도 언급한다('w'는 /b/ 또는 /w/를 나타낼 수 있음).
8. 현대 아라곤어
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 정권 하에서 아라곤어는 극심한 탄압을 받았다. 당시 스페인어가 아닌 모든 언어의 교육과 학습이 금지되었으며, 학교에서 아라곤어를 사용하는 학생은 처벌을 받기도 했다. 이는 16세기부터 귀족들이 권력의 상징으로 스페인어를 선호하면서 시작된 아라곤어의 쇠퇴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1978년 스페인의 민주주의 전환 이후 제정된 새 헌법은 모든 언어의 학습과 문학 작품 발행 등을 보장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아라곤어로 된 문학 작품 출판과 언어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오늘날 아라곤어는 주로 아라곤 지방 북부 피레네 산맥의 산악 지역, 특히 소몬타노(Somontano), 하세타니아(Jacetania), 소브라르베(Sobrarbe), 리바고르사(Ribagorza)와 같은 ''코마르카''에서 원주민들의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아라곤어가 사용되는 주요 도시와 마을로는 우에스카, 그라우, 몬손, 바르바스트로, 비엘사, 치스텐, 폰스, 에초, 에스타디야, 베나스케, 캄포, 사비냐니고, 하카, 플란, 안소, 아이에르베, 브로토, 엘 그라도 등이 있다.
또한 사라고사, 우에스카, 에헤아 데 로스 카바예로스, 테루엘과 같은 도시에서는 제2언어로 아라곤어를 배우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 조사(2011년)에 따르면 약 25,500명의 화자가 있으며[1], 이 중 실제 활동 사용자는 10,000명에서 12,000명(2017년 추정)[2] 정도로 추산된다. 제2언어 학습자를 포함하면 사용자 수는 더 늘어난다.
아라곤어에는 약 25~30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대부분 우에스카 주에 분포한다. 이는 산악 지형으로 인한 지역 사회의 오랜 고립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방언들은 고대 아라곤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언어학적 자료가 된다. 특히 동쪽 지역의 방언은 카탈루냐어 및 스페인어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이들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점차 스페인어가 주된 언어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카탈루냐어와의 경계 지역에서 사용되는 리바고르사 방언은 카탈루냐어와 공통점을 보이기도 한다.
2009년 제정된 아라곤 언어법(법률 10/2009)은 아라곤어를 아라곤의 "원어, 원래 언어 및 역사적 언어"로 공식 인정하고 공공 행정에서의 사용을 포함한 여러 언어권을 보장했다. 그러나 2013년 새로운 법률(법률 3/2013)이 통과되면서 2009년 법의 일부 조항이 폐지되어 언어권 보장에 후퇴가 있었다는 비판도 있다. 아라곤 언어법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9. 현대 교육에서의 아라곤어
1997년 제정된 아라곤어 법에 따라 아라곤어 및 카탈루냐어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로 교육받을 권리를 갖게 되었다.[23] 이 법에 근거하여 1997-1998학년도부터 학교에서 아라곤어 수업이 시작되었는데,[23] 처음에는 4개 학교에서 정규 과목이 아닌 선택 과목으로, 평가 대상이 아닌 자율 학습 형태로 가르쳐졌다.[24] 법적으로는 학교에서 아라곤어를 주요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지만, 2013-2014학년도까지 초등 및 중등 교육 과정에서 이를 실제로 선택한 학교는 없었다.[24] 현재 아라곤어가 교육 언어로 사용되는 유일한 경우는 아라곤어학 대학 과정뿐이며, 이마저도 선택 과목이고 여름 학기에 일부 강의만 아라곤어로 진행된다.[24]
유치원 교육에서는 아라곤어 교육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주당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수업이 제공된다.[24] 2014-2015학년도에는 유치원에서 아라곤어 수업을 듣는 학생이 262명이었다.[24]
초등 교육 과정에서는 아라곤어 교육 과정이 완전히 개발되어 있다.[24] 그러나 2014-2015학년도 기준으로 아라곤 전체 지역에서 유치원 및 초등 교육을 합쳐 아라곤어 교사는 단 7명뿐이었고, 이들 중 정규직은 없었다. 당시 아라곤어 수업을 받는 초등학생 수는 320명이었다.[24]
중등 교육에서는 아라곤어 교육을 위한 공식적으로 승인된 프로그램이나 교재가 없다. 비공식 교재로 Pos ixo... Materials ta aprender aragonésan (베니테스, 2007)와 Aragonés ta Secundariaan (캄포스, 2014) 두 권이 있지만, 많은 강사들이 자체적으로 학습 자료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25] 또한, 시험 과목으로 아라곤어 수업을 개설할 수 있는 학교 대부분이 이를 선택하지 않고 있다.[25] 2007년부터 여러 과목의 수업 언어로 아라곤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실제 교육 과정이나 시험 과목을 아라곤어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아직 없다. 2014-2015학년도 기준으로 중등 과정에서 아라곤어를 배우는 학생은 14명에 불과했다.[26]
대학 교육의 경우, 현재 아라곤어를 공식적인 학사 또는 대학원 전공으로 선택할 수 없으며, 교육 언어로도 사용되지 않는다.[26] 사라고사 대학교에서 교직 관련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는 있지만, 아라곤어 전문 과정은 개설되어 있지 않다.[26] 따라서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에서 아라곤어를 가르치려는 교사는 원어민 수준의 능력을 갖추거나 다른 방식으로 숙달해야 한다. 공인된 표준 능력 시험이 없기 때문에, 교사가 되려는 사람은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임시 시험을 통과하여 능력을 증명해야 한다.[26]
다만, 1994-1995학년도부터 사라고사 대학교 우에스카 캠퍼스에서는 초등 교육 학사 과정의 선택 과목으로 아라곤어가 개설되어 있다.[26] 또한 이 캠퍼스에서는 37 ECTS 학점의 아라곤어 문헌학 ''디플로마 데 에스페시알리사시온'' (기존 대학 학위 소지자를 대상으로 하는 30~59 ECTS 학점 과정) 과정을 제공한다.[27]
2017년 기준으로 아라곤 전체에는 1,068명의 아라곤어 학습 학생과 12명의 아라곤어 강사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
10. 문헌
아라곤어 문학
아라곤어는 12세기와 13세기에 이르러서야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Liber Regum》(《왕들의 책》)[17], Razón feita d'amoran(사랑의 이유), Libre dels tres reys d'orientan(동방 세 왕의 책), Vida de Santa María Egipcíacaan(성녀 마리아 이집티아카의 생애)와 같은 문헌들이 등장했다.[17][18] 14세기 말에는 내용과 형식 면에서 차이가 있는 《모레아 연대기》의 아라곤어 번역본, 즉 Libro de los fechos et conquistas del principado de la Moreaan(모레아 공국의 사건과 정복의 책)도 나타났다.
1500년 이후, 스페인어가 아라곤 지역의 주요 문화 언어로 자리 잡으면서 많은 아라곤인들이 스페인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17세기에는 아르헨솔라 형제가 스페인어를 가르치기 위해 카스티야로 이주하기도 했다.[19] 이로 인해 아라곤어는 점차 일상적인 민중 언어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해졌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17세기에는 아라곤어로 된 대중 문학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1650년 우에스카에서 열린 문학 경연 대회에서는 마티아스 프라다스(Matías Pradas), 이사벨 데 로다스(Isabel de Rodas), 그리고 필명 "필레노, 몬타녜스(Fileno, Montañés)"를 사용한 작가가 아라곤어로 쓴 시를 출품하기도 했다.[21]
19세기와 20세기에는 다양한 지역 방언을 바탕으로 한 아라곤 문학이 다시 활기를 띠었다. 1844년에는 브라우리오 포즈(Braulio Foz)가 알무데바르(남부) 방언으로 쓴 소설 Vida de Pedro Saputoan가 출판되었다.[22] 20세기에 들어서는 여러 작가들이 각 지역 방언으로 작품 활동을 펼쳤다. 에초(서부) 아라곤어로는 도밍고 미랄(Domingo Miral)이 풍속 소설 형식의 희극을 썼고, 베레문도 멘데스 코아라사(Veremundo Méndez Coarasa)는 시를 남겼다. 그라우스(동부) 방언으로는 클레토 토로델라스(Cleto Torrodellas)가 시를, 토논 데 발도메라(Tonón de Baldomera)가 대중적인 글을 썼다. 소몬타노(남부) 방언으로는 아르날 카베로(Arnal Cavero)가 풍속 소설을 썼으며, 후아나 코스쿠엘라(Juana Coscujuela)는 소설 A Lueca, historia d'una moceta d'o Semontanoan를 발표했다.
참조
[1]
뉴스
El aragonés: la lengua romance que ya solo hablan el 1% de los aragoneses
https://www.abc.es/e[...]
ABC
2020-01-14
[2]
서적
L'aragonés y lo catalán en l'actualidat. Analisi d'o Censo de Población y Viviendas de 2011
https://zaguan.uniza[...]
""
2017
[3]
웹사이트
Languages Act of Aragon
http://www.boa.arago[...]
Official Bulletin of Aragon
2019-07-21
[4]
문서
Ley 10/2009, de 22 de diciembre, de uso, protección y promoción de las lenguas propias de Aragón.
https://www.boe.es/b[...]
BOE núm. 30, de 4 de febrero de 2010, páginas 9875 a 9887
[5]
문서
Ley 3/2013, de 9 de mayo, de uso, protección y promoción de las lenguas y modalidades lingüísticas propias de Aragón.
https://www.boe.es/b[...]
BOE núm. 138, de 10 de junio de 2013, páginas 43654 a 43662
[6]
문서
Aragonese
[7]
서적
Gramatica basica de l'Aragonés (Texto Provisional)
Edicions Dichitals de l'Academia de l'Aragonés
[8]
서적
Fonética y fonología del aragonés: una asignatura pendiente
[9]
서적
Standard Basque : a progressive grammar
MIT Press
2008
[10]
서적
Normas graficas de l'aragonés: Emologatas en o I Congreso ta ra Normalización de l'aragonés
http://www.charrando[...]
Publicazions d’o Consello d’a Fabla Aragonesa
2008-10-14
[11]
간행물
Propuesta ortografica de l'Academia de l'Aragonés
http://www.academiad[...]
2010
[12]
문서
Some orthographic details related to local dialects are not listed.
[13]
문서
Academia Aragonesa de la Lengua - Instituto de l'Aragonés Ortografía de l'aragonés
https://academiaarag[...]
[14]
논문
Elementos de lingüística contrastiva en aragonés: estudio de algunas afinidades con gascón, catalán y otros romances
Universitat de Barcelona
2016
[15]
서적
Gramática de la Lengua Aragonesa
Mira Editores
[16]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3
[17]
서적
I Curso sobre lengua y literatura en Aragón (Edad Media)
https://books.google[...]
Institución Fernando el Católico
1991
[18]
서적
La Vida de Santa María Egipiciaqu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Exeter
1977
[19]
간행물
Cinco oscenses: Samblancat, Alaiz, Acín, Maurín y Sender, en la punta de lanza de la prerrevolución española
http://revistas.iea.[...]
1993
[20]
간행물
El aragonés de la literatura aljamiado-morisca
https://ifc.dpz.es/r[...]
2002–2004
[21]
서적
Letras de cobre. Un breve recorrido por la literatura en lengua aragonesa.
https://dialnet.unir[...]
Euskaltzaindia
2011
[22]
서적
A Companion to the Spanish Picaresque Novel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22
[23]
간행물
A Study on Language Attitudes Towards Regional and Foreign Languages by School Children in Aragon, Spain
2008
[24]
서적
The Aragonese Language in Education in Spain
https://www.mercator[...]
Mercator
2017
[25]
문서
Torres-Oliva, M., Petreñas, C., Huguet, Á., & Lapresta, C. (2019). The legal rights of Aragonese-speaking schoolchildren: The current state of Aragonese language teaching in Aragon (Spain). Language Problems & Language Planning, 43(3), 262–285. https://doi.org/10.1075/lplp.00045.tor
[26]
문서
van Dongera, R., Krol-Hage, R. (Ed.), Sterk, R. (Ed.), Terlaak Poot, M. (Ed.), Martínez Cortés, J. P., & Paricio Martín, J. (2016). Aragonese: The Aragonese language in education in Spain. (Regional dossiers series). Mercator European Research Centre on Multilingualism and Language Learning.
[27]
웹사이트
Diploma de Especialización en Filología Aragonesa
https://magister.uni[...]
[28]
웹사이트
Aragonese
http://www.ethnologu[...]
国際SIL
2014-01-19
[29]
웹사이트
Altoaragonés
http://www.enciclope[...]
Gran Enciclopedia Aragonesa
[30]
웹사이트
Aragoné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31]
서적
El aragonés hoy. Informe sobre la situación actual de la lengua aragonesa
IberCaja/Publicazions d'o Consello d'a Fabla Aragonesa
2012-08-27
[32]
서적
Gramática de la Lengua Aragonesa
Mira Editores
2012-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