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츠코포크롭스카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바츠코포크롭스카야선은 숄콥스카야 역에서 퍄트니츠코예 쇼세 역을 잇는 모스크바 지하철 노선이다. 1938년 초기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동부 및 서부 구간이 확장되었다. 총 22개의 역과 45.1km의 길이를 가지며, 소콜니체스카야 선,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필룝스카야 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81-740/741형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메이지 철로
메이지 철도는 일본 메이지 시대에 건설된 철도 노선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1872년 도쿄 철도 개통을 시작으로 관동 철도, 일본 철도 등 다양한 노선이 건설되어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193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은 1938년 개통된 모스크바 지하철 2호선으로, 현재 호브리노 역에서 알마 아틴스카야 역까지 24개 역을 연결하며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지속적인 재건축 및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노선이다. - 모스크바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모스크바 모노레일
모스크바 모노레일은 러시아 모스크바의 교통 체증 해결을 위해 건설되어 2008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모스크바 지하철 등과 환승이 가능하나 예산 낭비 등의 비판을 받았다. - 모스크바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은 20세기 초 건설된 화물 운송 철도 노선이었으나 2016년 여객 운송을 재개하며 모스크바 지하철과 통합 운영되어 31개 역으로 모스크바 시내를 연결하는 교통 시스템이다.
아르바츠코포크롭스카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아르바츠코포크롭스카야선 |
로마자 표기 | Arbatsko-Pokrovskaya liniya |
종류 | 도시 철도 |
국가 | 러시아 |
상태 | 운행 중 |
기점 | 숄콥스카야 |
종점 | 퍄트니츠코예 쇼세 |
역 수 | 22개 역 |
이용자 수 | 954,549명 |
개통일 | 1938년 5월 13일 |
소유자 | 모스크바 지하철 |
운영자 | 모스크바 지하철 |
영업 거리 | 45.1 km |
궤간 | 1,520 mm |
궤도 | 제3궤조 |
노선도 | |
![]() |
2. 노선 개요
아르바츠코포크롭스카야선은 숄콥스카야 역에서 출발해 퍄트니츠코예 쇼세 역을 연결한다.
3. 역사
3. 1. 초기 구간 개통 (1938년)
3. 2. 동부 구간 확장 (1944년 - 1963년)
3. 3. 서부 구간 확장 (1953년 - 2012년)
3. 4. 역명 변경
파르티잔스카야 역은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이즈마일롭스키 파르크 쿨투리 이 아티하 이메니 스탈리나', 1946년부터 1963년까지 '이즈마일롭스카야', 1963년부터 2005년까지 '이즈마일롭스키 파르크'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즈마일롭스카야 역은 1961년부터 1963년까지 '이즈마일롭스키 파르크'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세묘놉스카야 역은 1944년부터 1961년까지 '스탈린스카야'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4. 구간
wikitable
구간 | 개통일 | 길이 |
---|---|---|
키옙스카야 – 소콜니체스카야 선 방면 알렉산드롭스키 사트 | 1938년 5월 13일 | 4km |
알렉산드롭스키 사트 – 쿠르스카야 | 1938년 5월 13일 | 4km |
쿠르스카야 – 파르티잔스카야 | 1944년 1월 18일 | 7.1km |
옐렉트로자보츠카야 | 1944년 3월 15일 | |
플로샤디 레볼류치 – 키옙스카야 | 1953년 4월 5일 | 3.9 - 4km |
파르티잔스카야 – 페르보마이스카야 (옛 노선) | 1954년 9월 24일 | 1.5km |
파르티잔스카야 – 페르보마이스카야 (새 노선) | 1961년 10월 21일 | 1.5km - 3.8km |
페르보마이스카야 – 숄콥스카야 | 1963년 7월 22일 | 1.6km |
키옙스카야 – 파르크 포베디 | 2003년 5월 6일 | 3.2km |
파르크 포베디 – 쿤쳅스카야 | 2008년 1월 7일 | 4.9km |
쿤쳅스카야 – 필룝스카야 선 방면 크릴라츠코예 | 2008년 1월 7일 | 4.3km |
크릴라츠코예 – 스트로기노 | 2008년 1월 7일 | 6.6km |
슬라뱐스키 불바르 | 2008년 9월 7일 | |
스트로기노 – 미티노 | 2009년 12월 26일 | 6.6km |
미티노 – 퍄트니츠코예 쇼세 | 2012년 12월 28일 | 1.5km |
총합 | 22역 | 45.1 km |
5. 역 목록
6. 환승역
wikitable
노선 | 환승역 | |
---|---|---|
소콜니체스카야 선 | 아르바츠카야 | |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 플로샤디 레볼류치 | |
필룝스카야 선 | 아르바츠카야, 키옙스카야, 쿤쳅스카야 | |
콜체바야 선 | 쿠르스카야, 키옙스카야 | |
칼리닌스코 솔른쳅스카야 선 | 파르크 포베디 | |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선 | 아르바츠카야 | |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선 | 쿠르스카야 |
6. 1. 환승 정보
노선 | 환승역 | |
---|---|---|
소콜니체스카야 선 | 아르바츠카야 | |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 플로샤디 레볼류치 | |
필룝스카야 선 | 아르바츠카야, 키옙스카야, 쿤쳅스카야 | |
콜체바야 선 | 쿠르스카야, 키옙스카야 | |
칼리닌스코 솔른쳅스카야 선 | 파르크 포베디 | |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선 | 아르바츠카야 | |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선 | 쿠르스카야 |
7. 차량
7. 1. 차량 종류
아르바츠코포크롭스카야선에서 운행된 차량은 다음과 같다.차량 | 사용 기간 |
---|---|
아(А), 아엠(Ам) | 1938년 ~ 1975년 2월 4일 |
베(Б), 베엠(Бм) | 1938년 ~ 1975년 2월 4일 |
게(Г) | 1941년 ~ 1950년, 1954년 ~ 1958년,1970년 ~ 1975년 2월 4일(아엠(Ам), 베엠(Бм)형과 함께 쓰임.) |
데(Д) | 1973년 ~ 1995년 6월 2일 |
예(Е) | 1988년 ~ 2008년 2월 28일 |
예엠-508(Ем-508),예엠-509(Ем-509),예제(Еж), 예제1(Еж1) | 1988년 ~ 2010년 |
81-740.1/741.1 | 2006년 ~ |
81-740.4/741.4 | 2009년 9월 ~ |
7. 2. 차량 수 변화
아르바츠코 포크롭스카야 선은 1938년 개통 당시부터 1947년까지 4량 열차로 운행되었다. 1947년부터는 6량 열차가 도입되어 1970년까지 운행되었다. 1970년부터 2010년까지는 7량 열차가 주력으로 운행되었다. 2006년부터는 루시치 형 5량 열차가 도입되어 운행되고 있다.8. 미래 확장 계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