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역과 미야기현 쓰키노키역을 잇는 54.9km의 철도 노선이다. 1,067mm 궤간에 총 24개 역이 있으며, 후쿠시마역과 야노메 신호장 사이는 복선 구간이다.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도호쿠 본선과 후쿠시마역에서 쓰키노키역까지 중복 구간이 있으며, 일부 열차는 센다이역까지 직통 운행한다. 1968년 일본국유철도 마루모리선으로 개통하여 1986년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으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6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빅토리아선
    빅토리아선은 1960년대 런던의 교통 혼잡 완화 및 실업 해소를 위해 건설되어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개통되었으며, 월섬스토 센트럴에서 브릭스턴까지 런던 주요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고 대부분 역이 환승역으로 설계된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 시스템 기반의 런던 지하철 노선이다.
  • 미야기현의 철도 - 오후나토선
    오후나토선은 이와테현의 이치노세키시와 오후나토시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동일본 대지진 피해와 이용객 감소로 일부 구간이 폐선 및 BRT로 대체되어 현재는 이치노세키역에서 모리역 구간만 운행 중이다.
  • 미야기현의 철도 - 리쿠우토선
    리쿠우토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미야기현 고고타역과 야마가타현 신조역을 잇는 94.1km의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1917년 개통 이후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교통을 담당하며 27개 역을 운영하고 다양한 온천 지역과 관광지를 연결한다.
  • 후쿠시마현의 철도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 후쿠시마현의 철도 -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은 야마가타현 지역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도호쿠 신칸센 직결 운행 노선으로, 후쿠시마역에서 야마가타역을 거쳐 신조역까지 이어지며 '쓰바사'라는 이름으로 E3계 및 E8계 열차가 운행되고 있고, 현재 후쿠시마역 연결 방식 개선 및 신형 차량 도입 등의 개선 계획이 진행 중이다.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아부쿠마 급행 열차 (아부쿠마 역)
아부쿠마 역에 정차 중인 아부쿠마 급행 열차 (2006년 8월)
노선 종류간선 철도
노선 상태운행 중
소재지도호쿠 지방
기점후쿠시마 역
종점쓰키노키 역
역 수23개
개업1968년 4월 1일
소유주아부쿠마 급행
운영자아부쿠마 급행
노선 길이54.9km
궤간1,067mm
전철화 방식교류 20,000V (50Hz) 가공 가선
최고 속도95km/h
노선도
아부쿠마 급행선 노선도
아부쿠마 급행선 노선도
기술 정보
선로 수단선 (후쿠시마 역 - 야노메 신호장 구간은 복선)
최대 구배10‰
최소 곡선 반지름500m
명칭
일본어 명칭(Abukuma Kyūkō sen)
연혁
개업 (국철 마루모리 선)1968년 4월 1일
제3 섹터 전환1986년 7월 1일
전 구간 개통1988년 7월 1일

2. 노선 정보



제3섹터 전환 시 역의 유효장이 단축되어, 일부 역의 교환 설비 설치가 보류되었고, 포인트 형태의 부자연스러운 곡선이나 역 구내·주변의 빈터가 곳곳에 존재한다.

후쿠시마역쓰키노키역에서 도호쿠 본선과 접속되어, 일부 열차가 쓰키노키역에서 도호쿠 본선 센다이역까지 직통 운전을 하고 있지만,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과 달리 노선 내에서 Suica 등의 IC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아부쿠마역 - 쓰키노키역 구간에서는 센다이 마루고토 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3. 역사

아부쿠마 급행선은 과거 국철의 마루모리선을 연선 지자체가 설립한 회사가 이어받아 전 구간을 개통시킨 철도 노선이다. 건설 과정부터 운영 주체의 이관까지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

1981년 9월에는 노선 폐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1] 1986년 7월 1일, 노선 소유권은 제3섹터 아부쿠마 급행 운영사로 이전되었으며, 초기에는 JNR에서 사용하던 KiHa 22 디젤 열차를 사용했다.[1] 1988년 7월 1일, 쓰키노키와 후쿠시마 구간이 개통 및 전철화되었다.[1]

아부쿠마 급행선 개통 30주년 기념 축제


2021년 2월 14일, 2021년 후쿠시마 지진으로 인해 모든 운행이 중단되었다.[2]

'''주요 연혁'''

날짜사건
1961년 5월 12일철도 건설 심의회에서 후쿠시마역 - 쓰키노키역 간(현재 당 노선의 전 구간)이 공사선으로 격상[37]
1964년 12월 1일쓰키노키역 - 마루모리역 간 노반 공사 착수[37]
1966년 9월 30일후쿠시마역 - 마루모리역 간 노반 공사 착수[37]
1968년 4월 1일일본국유철도(JNR) 마루모리선으로 쓰키노키역 - 마루모리역 (17.4km) 구간 개통. 요코하시역, 오카역, 가쿠다역, 마루모리역 신설[38]
1981년 9월 18일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폐지 승인[37]
1986년 7월 1일국철 마루모리선 쓰키노키역 - 마루모리역(17.4km) 구간 폐지, 아부쿠마 급행아부쿠마 급행선으로 전환 개업[6] 요코쿠라역, 미나미가쿠다역, 기타마루모리역 신설, 요코하시역을 히가시후나오카역으로 개칭
1988년 7월 1일후쿠시마역 - 마루모리역 (37.5km) 구간 연장 개통으로 전 노선 개통[37] 오로시마치역, 세노우에역, 무카이세노우에역, 다카코역, 가미호바라역, 호바라역, 오이즈미역, 니이다역, 신타역, 야나가와역, 야나가와 기보노모리 공원 앞 역, 토미노역, 카부토역, 아부쿠마역과 야노메 신호장 신설. 후쿠시마역(야노메 신호장) - 쓰키노키역 구간 전철화(교류 50Hz・20kV)로 전 노선 전철화 완료[37]
2000년 1월 4일일본 철도 건설 공단 국철 청산 사업 본부로부터 무상 대여되던 철도 시설을 무상 양도[37][40]
2000년 3월 11일후쿠시마 학원 앞 역 신설
2005년 12월 10일야나가와역 - 쓰키노키역 간 일부 열차에서 원맨 운전 확대
2006년 3월 18일야나가와역 - 쓰키노키역 간 대부분 열차 원맨 운전
2008년 10월 30일JR로부터 양도받은 차량 A417계가 토미노역 - 후쿠시마역 간 아침 한정 운용 개시, 2009년 3월 16일부터 평일 저녁에도 운용 확대
2011년 3월 11일동일본 대지진 발생으로 전 노선 운전 중단[37]
2011년 4월 6일야나가와역 - 호바라역 간 운전 재개 (임시 열차, 운임 무료)
2011년 4월 13일야나가와역 - 토미노역 간 운전 재개 (임시 열차, 운임 무료)
2011년 4월 18일세노우에역 - 호바라역 간, 가쿠다역 - 쓰키노키역 간 운전 재개
2011년 4월 28일후쿠시마역 - 세노우에역 간 운전 재개
2011년 5월 16일토미노역 - 가쿠다역 간 운전 재개로 전 노선 복구[37]
2016년 3월 26일A417계 정기 운용 이탈
2016년 5월 28일임시 열차로 A417계 최종 운행[41]
2017년 3월 4일JR선과의 통과 연락 운수 폐지
2019년 7월 1일AB900계 운용 개시[42][43]
2019년 10월 12일동일본 태풍 (태풍 19호)의 영향으로 전 노선 운휴
2019년 10월 15일후쿠시마역 - 야나가와역 간 운전 재개[45][47]
2019년 10월 21일마루모리 - 츠키노키 간 구제 버스 (무료) 운행 개시[48]
2019년 10월 23일야나가와역 - 토미노역 간 운전 재개[45][49]
2019년 12월 6일마루모리역 - 츠키노키역 간 운전 재개[45][50]
2020년 5월 18일AB900계에 의한 센다이역 직통 운용 개시[51]
2020년 6월 27일토미노역 - 마루모리역 간 회송 열차만 운행 재개[52]
2020년 7월 1일AB900계 운행 개시 기념 승차권・프리 승차권 한정 판매 개시[55]
2020년 10월 31일토미노역 - 마루모리역 간 운전 재개[56][57]
2021년 2월 14일13일 23시에 발생한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으로 인해 전 노선 종일 운휴[58] 15일 시발부터 정상 운전[59]
2022년 3월 17일전날 발생한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으로 인해 전 노선 불통[60]
2022년 4월 18일마루모리역 - 츠키노키역 간 운전 재개[61][62]
2022년 4월 25일야나가와역 - 마루모리역 간 운전 재개[61]
2022년 5월 23일호바라역 - 야나가와역 간 운전 재개[63][64]
2022년 6월 27일후쿠시마역 - 호바라역 간 운전 재개[65]


3. 1. 일본국유철도 마루모리선 시대

1968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JNR)가 운영하는 丸森線이라는 이름으로 쓰키노키와 마루모리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1] 원래는 도호쿠 본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우회 노선으로 건설될 계획이었으나, 도호쿠 본선이 4중선으로 확장되면서 연장 공사는 중단되었다.[1]

메이지 시대 중반, 일본 철도는 도쿄시에서 아오모리현까지 철도 노선을 부설했다. 현재의 아부쿠마 급행선에 해당하는 경로는 후쿠시마현과 미야기현 사이의 철도 부설에서 검토되었던 경로 중 하나였지만, 최종적으로는 채택되지 않았다. 일본 철도는 오슈 가이도를 따라 현재의 도호쿠 본선 경로로 철도를 부설했다.[9][10][11][12]

이후 가쿠다 지방에서 철도 유치를 위해 노력하여, 1922년(다이쇼 11년) 철도 부설법에 관련 내용이 규정되었지만, 큰 진전은 없었다.[14][12] 태평양 전쟁 이후 다시 철도 유치 운동이 일어나, 지역에서 "이구 철도 관통 기성 동맹회"와 "아부쿠마강 철도 부설 동맹회"를 결성하여 국가에 탄원했다.[14] 이 무렵, 도호쿠 본선의 수송량 증가와 급경사 구간 문제로 인해 우회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53년에는 관련 내용이 예정선에 추가되었다.

1957년 경제 조사선, 1959년 건설선으로 지정된 후, 지역 자치단체들은 "마루모리선 부설 촉진 기성 동맹회"를 결성하여 철도 부설을 촉진했다.[15] 1961년, 철도 건설 심의회는 마루모리선 착공을 승인했다.[18] 마루모리선은 주요 간선에 해당하는 "C선"으로 지정되어[19], 1962년 5월 27일 마루모리선 기공식이 거행되었다.[20][21]

1964년부터 건설 공사가 본격화되어, 1968년 1월에 쓰키기역에서 마루모리역까지의 구간이 거의 완성되었다. 시험 운전을 거쳐,[22] 같은 해 4월 1일에 쓰키노키역에서 마루모리역까지 부분 개통했다.[23] 디젤 기관차가 견인하는 6량 편성의 객차로 운행되었으며, 첫 열차는 마루모리역에서 출발하여 센다이역으로 향했다.

개통 초기 마루모리선의 이용자 수는 예상보다 적었다. 도호쿠 본선 복선화 및 전철화, 조반선 전선 전철화로 인해 바이패스선 기능을 잃으면서 공사는 지체되었다.[24] 비전철화 종착역 노선으로 남겨진 마루모리선은 승객 수가 늘지 않았고, 적자 83선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1971년에는 영업 계수가 2404[25]가 되어 "일본 유수의 적자선"으로 알려지기도 했다.[26]

1980년 국철 재건법이 시행되자, 마루모리선은 1981년 제1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승인되었고, 건설선의 공사도 동결되었다. 연선의 자치체는 제3섹터 철도로의 전환을 선택하여, 마루모리선을 계승할 아부쿠마 급행 주식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후쿠시마 교통과의 협의가 난항을 겪었지만, 후쿠시마 교통이 아부쿠마 급행의 주식 51%를 보유하고, 사원 50명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참여하게 되었다.[28]

3. 2. 아부쿠마 급행선 전환

1968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JNR)는 丸森線이라는 이름으로 쓰키노키와 마루모리 구간을 개통했다.[1] 원래 도호쿠 본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우회 노선을 건설할 계획이었지만, 도호쿠 본선이 4중선으로 확장되면서 연장 공사는 중단되었다.[1]

1981년 9월, 이 노선은 폐쇄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

1986년 7월 1일, 노선 소유권이 제3섹터 아부쿠마 급행 운영사로 이전되었다. 초기에는 JNR에서 사용하던 KiHa 22 디젤 열차를 사용했다.[1] 1988년 7월 1일, 쓰키노와 후쿠시마 구간이 개통 및 전철화되었다.[1]

마루모리선의 진가는 전선 개통 후에야 발휘될 수 있었기 때문에 아부쿠마 급행 측은 전선 개통 후 개업을 주장했다. 그러나 결국 국철 분할 민영화에 앞서 1986년 7월 1일에 마루모리선 선행 개업 구간을 그대로 아부쿠마 급행선으로 전환하고,[3] 아부쿠마 급행만의 도색으로 변경한 키하 22형 기동차 5량(148, 152, 159, 160, 162)을 국철로부터 빌려 영업을 개시했다. 또한, 선로 규격을 AB선(지방 개발선·지방 신선)으로 변경하여 중단했던 공사를 재개했다.

1988년 아부쿠마 급행선의 전 구간 개통 및 전철화가 완성되었고, 이에 맞춰 신형 차량인 8100계 전동차 9편성 18량이 제작되었다. 7월 1일 야나가와역에서 개통 축하식이 열렸고, 10시 41분에 쓰키기역행과 후쿠시마역행 열차가 동시에 출발했다. 7월 중 아부쿠마 급행선의 이용자 수는 하루 평균 9,261명으로, 사전 예상치를 20% 초과했다. 후쿠시마 교통은 아부쿠마 급행선과 관련된 버스 노선 6개 계통을 폐지, 3개 계통을 감편, 2개 계통을 단축, 1개 계통을 신설했다.[28]

3. 3. 주요 연혁


  • 1961년 5월 12일: 철도 건설 심의회에서 후쿠시마역 - 쓰키노키역 간(현재 당 노선의 전 구간)이 공사선으로 격상되었다.[37]
  • 1964년 12월 1일: 쓰키노키역 - 마루모리역 간 노반 공사에 착수했다.[37]
  • 1966년 9월 30일: 후쿠시마역 - 마루모리역 간 노반 공사에 착수했다.[37]
  • 1968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JNR)가 운영하는 마루모리선으로 쓰키노키역 - 마루모리역 (17.4km) 구간이 개통되었다. 요코하시역, 오카역, 가쿠다역, 마루모리역이 신설되었다.[38]
  • 1981년 9월 18일: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폐지 승인되었다.[37]
  • 1986년 7월 1일: 국철 마루모리선 쓰키노키역 - 마루모리역(17.4km) 구간이 폐지되고, '''아부쿠마 급행'''의 '''아부쿠마 급행선'''으로 전환 개업했다.[6] 요코쿠라역, 미나미가쿠다역, 기타마루모리역이 신설되었고, 요코하시역을 히가시후나오카역으로 개칭했다.
  • 1988년 7월 1일: 후쿠시마역 - 마루모리역 (37.5km)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37] 오로시마치역, 세노우에역, 무카이세노우에역, 다카코역, 가미호바라역, 호바라역, 오이즈미역, 니이다역, 신타역, 야나가와역, 야나가와 기보노모리 공원 앞 역, 토미노역, 카부토역, 아부쿠마역과 야노메 신호장이 신설되었다. 후쿠시마역(야노메 신호장) - 쓰키노키역 구간이 전철화(교류 50Hz・20kV)되어 전 노선 전철화가 완료되었다.[37]
  • 2000년
  • 1월 4일: 일본 철도 건설 공단 국철 청산 사업 본부로부터 무상 대여되던 철도 시설을 무상 양도받았다.[37][40]
  • 3월 11일: 후쿠시마 학원 앞 역을 신설했다.
  • 2005년 12월 10일: 야나가와역 - 쓰키노키역 간의 일부 열차에서 원맨 운전을 확대했다.
  • 2006년 3월 18일: 야나가와역 - 쓰키노키역 간의 대부분의 열차가 원맨 운전화되었다.
  • 2008년 10월 30일: JR로부터 양도받은 차량 A417계가 토미노역 - 후쿠시마역 간 아침 한정으로 운용 개시되었고, 2009년 3월 16일부터는 평일 저녁에도 운용이 확대되었다.
  • 2011년
  •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으로 전 노선 운전 중단되었다.[37]
  • 4월 6일: 야나가와역 - 호바라역 간 운전 재개 (임시 열차, 운임 무료).
  • 4월 13일: 야나가와역 - 토미노역 간 운전 재개 (임시 열차, 운임 무료).
  • 4월 18일: 세노우에역 - 호바라역 간, 가쿠다역 - 쓰키노키역 간 운전 재개.
  • 4월 28일: 후쿠시마역 - 세노우에역 간 운전 재개.
  • 5월 16일: 토미노역 - 가쿠다역 간 운전 재개로 전 노선 복구.[37]
  • 2016년
  • 3월 26일: A417계 정기 운용에서 이탈했다.
  • 5월 28일: 임시 열차로 A417계 최종 운행.[41]
  • 2017년 3월 4일: JR선과의 통과 연락 운수를 폐지했다.
  • 2019년
  • 7월 1일: AB900계 운용 개시.[42][43]
  • 10월 12일: 동일본 태풍 (태풍 19호)의 영향으로 전 노선 운휴.
  • 10월 15일: 후쿠시마역 - 야나가와역 간 운전 재개.[45][47]
  • 10월 21일: 마루모리 - 츠키노키 간 구제 버스 (무료) 운행 개시.[48]
  • 10월 23일: 야나가와역 - 토미노역 간 운전 재개.[45][49]
  • 12월 6일: 마루모리역 - 츠키노키역 간 운전 재개.[45][50]
  • 2020년
  • 5월 18일: AB900계에 의한 센다이역 직통 운용 개시.[51]
  • 6월 27일: 토미노역 - 마루모리역 간 회송 열차만 운행 재개.[52]
  • 7월 1일: AB900계 운행 개시 기념 승차권・프리 승차권 한정 판매 개시.[55]
  • 10월 31일: 토미노역 - 마루모리역 간 운전 재개.[56][57]
  • 2021년
  • 2월 14일: 13일 23시에 발생한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으로 인해 전 노선 종일 운휴.[58] 15일 시발부터 정상 운전.[59]
  • 2022년
  • 3월 17일: 전날 발생한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으로 인해 전 노선 불통.[60]
  • 4월 18일: 마루모리역 - 츠키노키역 간 운전 재개.[61][62]
  • 4월 25일: 야나가와역 - 마루모리역 간 운전 재개.[61]
  • 5월 23일: 호바라역 - 야나가와역 간 운전 재개.[63][64]
  • 6월 27일: 후쿠시마역 - 호바라역 간 운전 재개.[65]

4. 운행

전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이다.

전선 개업 이후, 후쿠시마역 - 쓰키노키역 간 전선을 통틀어 운행하는 열차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동일본 태풍 피해 복구 후 도미노역 - 마루모리역 간 영업 운전을 재개한 2020년(레이와 2년) 10월 31일부터 임시 열차 운행 시각표에서는 전선 통과 운행 열차가 일단 소멸되었다.[66][67] 정상 운행으로 돌아온 2021년 3월 13일 개정 열차 운행 시각표에서는 재해나 수송 장애 발생 시 지연 및 운휴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후쿠시마역 - 야나가와역 간, 야나가와역 - 마루모리역 간, 마루모리역 - 쓰키노키역 간 3구간으로 차량 운용이 나뉘었다.[68] 그러나 2024년 3월 16일 열차 운행 시각표 개정부터 전선 통과 열차가 부활하여, 대략 태풍 피해 전의 열차 운행 시각표로 돌아갔다.[69]

후쿠시마역 발착 열차는 후쿠시마역 - 야나가와역도미노역 간 대략 2시간에 3편 정도 운행되고 있다.

야나가와역 - 쓰키노키역 간은 대략 1시간에 1편 정도 운행되며, 일부 열차는 이 구간을 통과 운행하지만, 대부분 마루모리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마루모리역 - 쓰키노키역 간 구간 열차(야나가와역 방면 연결 없음)도 별도로 설정되어 있다.

2021년(레이와 3년) 3월 열차 운행 시각표 개정에서는 마루모리역 - 쓰키노키역 간 시발・종착 열차가 도호쿠 본선 시발・종착 열차에 접속하도록 변경되어, 마루모리역쓰키노키역 행 시발 열차는 34분 앞당겨졌으며, 쓰키노키역마루모리역 행 종착 열차는 1시간 34분 늦춰졌다.[68] 특히 종착 열차는 쓰키노키역 0:30 착 열차와 접속하기 때문에, 쓰키노키역 0:34 발・마루모리역 0:56 착으로 매우 늦은 시간대가 되었다. 그러나 2023년(레이와 5년) 3월 열차 운행 시각표 개정으로 종착 열차만 42분 앞당겨져, 쓰키노키역 23:52 발・마루모리역 0:14 착이 되었다.[70] 2024년(레이와 6년) 3월 열차 운행 시각표 개정으로 해당 열차는 폐지되어, 종착 열차는 2021년(레이와 3년) 3월 열차 운행 시각표 개정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69]

아침 저녁 2왕복은 아부쿠마 급행 차량이 도호쿠 본선 쓰키노키역 - 센다이역 간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이 중 아침 센다이역 발 열차와 저녁 야나가와역 발 열차는 토요일・공휴일에 "홀리데이 미야기 오토기 거리호"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도호쿠 본선 후쿠시마역 - 고리야마역 간 상호 직통 운전을 했었으나(701계가 직통 운행), 2004년(헤이세이 16년) 3월 13일 열차 운행 시각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도호쿠 본선 직통 열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열차가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국철 시대에는 불과 5왕복밖에 운행되지 않았다.

5. 이용 현황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은 1986년 운행 시작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1995년에 여객 운임 수입과 총 수입에서 최고치를 기록했다.[1] 그러나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19년에는 여객 운임 수입과 총 수입이 198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1] 연도별 상세한 수입 실적은 하위 섹션인 '수입 실적'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5. 1. 수입 실적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수입 실적은 다음 표와 같다.[1]

연도별 수입 실적
연도여객 운임 수입 (천 엔/연도)운수 잡수입
(천 엔/연도)
총계
(천 엔/연도)
통근 정기권통학 정기권정기권 외수하물합계
1986년25,30018,77572,0961116,1729,025125,196
1987년36,75935,92999,2570171,94510,858182,803
1988년72,05786,738426,0320584,82724,661609,488
1989년105,236135,566473,8700714,67224,275738,947
1990년113,911168,578503,1390785,62826,914812,542
1991년125,900193,371532,3280851,59927,412879,011
1992년133,166211,596554,3140899,07643,525942,601
1993년145,873233,826574,8470954,54629,635984,181
1994년143,265233,441564,0710940,77728,560969,337
1995년144,509241,119572,2950957,92330,917988,840
1996년141,099242,599564,6960948,39432,661981,055
1997년147,135231,856551,0700930,06132,351962,412
1998년151,592226,981534,0950912,66831,323943,991
1999년140,851230,611520,1990891,66131,927923,588
2000년134,129233,543527,8350895,50731,545927,052
2001년134,117230,105509,4830873,70535,136908,841
2002년130,162222,074492,0870844,32332,310876,633
2003년129,204215,765472,0950817,06431,705848,769
2004년131,904202,724458,2270792,85520,132812,987
2005년131,388202,396456,0210789,80518,670808,475
2006년134,969196,445441,9710773,38520,766794,151
2007년131,058186,451432,1350749,64420,350769,994
2008년138,319186,462418,4330743,21420,237763,451
2009년137,997177,289394,7060709,99223,261733,253
2010년125,327165,173364,9880655,48822,811677,299
2011년
2012년139,293167,364380,1230686,78021,768708,548
2013년140,085169,403389,4830698,97122,444721,415
2014년146,277172,947372,3870691,61123,397715,008
2015년151,884169,102369,2720690,25822,956713,214
2016년152,532162,233357,2450672,01023,194695,204
2017년147,895161,602352,1700661,66721,754683,421
2018년146,266162,663347,8380656,76722,827679,594
2019년136,681134,861299,2480570,79018,181588,971
2020년



표에서 수입 단위는 천 엔이며, 회계 연도 기준 값이다. 최고값은 빨간색, 최고값을 기록한 회계 연도 이후의 최저값은 파란색, 최고값을 기록한 회계 연도 이전의 최저값은 녹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1992년 총계는 672,941 천 엔으로 오타가 있어 수정했다.

6. 역 목록

후쿠시마 교통 이자카 선후쿠시마시오로시마치卸町5.65.6후쿠시마가쿠인마에福島学院前0.96.5세노우에瀬上1.07.5무카이세노우에向瀬上1.18.6타카코高子1.510.1다테시가미호바라上保原1.411.5호바라保原1.312.8오이즈미大泉1.113.9니다二井田1.515.4닛타新田1.617.0야나가와梁川1.318.3야나가와키보노모리코엔마에やながわ希望の森公園前1.720.0도미노富野2.122.1가부토兜3.125.2아부쿠마あぶくま4.229.4마루모리정마루모리丸森8.137.5기타마루모리北丸森1.739.2미나미카쿠다南角田2.441.6가쿠다시가쿠다角田1.743.3요코쿠라横倉1.945.2오카岡2.547.7히가시후나오카東船岡3.651.3시바타정쓰키노키槻木3.654.9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

참조

[1]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02-07
[2] 웹사이트 東北新幹線 運転見合わせ 全線での再開は10日前後かかる見込み https://www3.nhk.or.[...] 2021-02-14
[3] 웹사이트 阿武隈急行株式会社 https://3sec-tetsudo[...] 第三セクター鉄道等協議会 2024-12-03
[4] 웹사이트 阿武隈急行線の概要 https://www.city.fuk[...] 福島市 2024-12-03
[5] 뉴스 日本鉄道建設公団30年略史 交通新聞社 1993-03-23
[6]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86-09
[7] 서적 日本のローカル私鉄 2000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00
[8] PDF 会社案内 http://202.74.19.60/[...] 阿武隈急行株式会社
[9] 서적 阿武隈急行物語 本命ルート 仙台宝文堂
[10] 간행물 特定地方交通線の実態と問題を現地に見る 12 丸森線
[11] 문서 丸森町史
[12] 문서 柴田町史
[13] 문서 現在の相馬市の一部に当たる。当時は中村町 (福島県)|中村町であり、現在の相馬駅も中村駅という名称であった。
[14] 문서 丸森町史
[15] 문서 柴田町史
[16] 문서 白石市史
[17] 문서 丸森町史
[18] 문서 丸森町史
[19] 문서 丸森町史
[20] 문서 柴田町史
[21] 웹사이트 5月27日 1962(昭和37)年5月27日 福島と宮城両県結ぶ 国鉄丸森線 起工祝賀式「福島県 今日は何の日」 https://www.minpo.jp[...] 福島民報 2023-05-27
[22] 문서 丸森町史
[23] 문서 丸森町史
[24] 문서 丸森町史
[25] 문서 昭和46年度国鉄線区別収支係数、『鉄道ピクトリアル』アーカイブスセレクション「国鉄ローカル線1960-70」p.160による。
[26] 문서 こうした赤字は、国鉄側が日本鉄道建設公団に対し、年2億円という高額な線路使用料(ただし国鉄も日本鉄道建設公団も会計検査院の検査対象であり、会計検査院からの指摘はなかった)を支払わされていた点に留意する必要がある。濱光兵衛著『岩手の鉄道・昭和小史』72-73頁。
[27] 문서 梁川町史
[28] 문서 柴田町史
[29] 뉴스 小針氏尋問 速記録の主な内容 1993-03-12
[30] 웹사이트 阿武急復旧 鉄路以外も 宮城知事「住民の足確保前提」 https://www.kahoku.c[...] 河北新報 2019-11-26
[31] 웹사이트 阿武急、夏にも仮復旧 富野-丸森間の全線再開へ前進 https://www.kahoku.c[...] 河北新報 2020-04-04
[32] 뉴스 阿武隈急行、昼時間帯も再開 乗客「すごく便利」笑顔に 台風被害の丸森-槻木間 https://mainichi.jp/[...] 2020-06-28
[33] 웹사이트 「負担割合の合意ができていない」阿武隈急行補助金停止の宮城・柴田町 https://www.khb-tv.c[...] 東日本放送 2024-06-17
[34] 뉴스 福島―宮城間の阿武隈急行、宮城県側も鉄路維持で協議 https://www.nikkei.c[...] 2024-10-07
[35] 웹사이트 経営悪化の阿武隈急行 宮城県側の鉄路を維持で合意 宮城県と沿線3自治体 https://www.khb-tv.c[...] 東日本放送 2024-10-07
[36] 뉴스 阿武隈急行存続のため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を開始 宮城・丸森町 https://www.khb-tv.c[...] khb東日本放送 2024-10-16
[37]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www.abukyu.co[...]
[38] 간행물 『2010年度第一大学祭あおば ~東北の鉄道 1968~』 http://www.aoba-trfc[...] 東北大学鉄道研究会 2010-10
[39] 서적 JR気動車客車情報 8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89-08-01
[40] 뉴스 阿武隈急行・11年度決算予想/当期赤字6969万円/長期経営計画を承認 河北新報社 2000-01-27
[41] 웹사이트 【阿武隈急行】A417系ラストラン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6-05-30
[42] 뉴스 新型車両』始動!AB900系 阿武隈急行、開業以来初導入 http://www.minyu-net[...] 福島民友新聞社 2019-07-02
[43] 뉴스 阿武急の新車両お目見え 「AB900系」梁川駅で出発式 https://www.minpo.jp[...] 福島民報社 2019-07-02
[44] 웹사이트 令和元年台風第19号による被害状況等について(第8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0-14
[45] 웹사이트 令和元年台風第19号等による被害状況等について(第51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2-12
[46] 웹사이트 台風19号の影響による被害状況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 2019-10-14
[47] 뉴스 阿武隈急行、一部運転再開 福島県、全線復旧は見通せ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9-10-15
[48] 웹사이트 阿武隈急行線お客様救済バスの運行について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 2019-10-18
[49] 뉴스 阿武隈急行の梁川-富野間 23日運行再開 https://www.kahoku.c[...] 河北新報社 2019-10-22
[50] 뉴스 阿武隈急行の丸森-槻木間が再開、汽笛一声 復興行き https://www.kahoku.c[...] 河北新報社 2019-12-06
[51] 웹사이트 AB900系車両運用による仙台直通運転について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株式会社 2020-05-15
[52] 뉴스 阿武急・富野(伊達)-丸森(宮城) 再開に向けて回送運転開始 台風19号被災 https://www.minpo.jp[...] 2020-06-28
[53] 웹사이트 丸森駅 - 槻木駅間の臨時ダイヤ改正(増便)のお知らせについて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株式会社 2020-06-24
[54] 뉴스 阿武急・丸森-槻木、昼時間帯の運行再開 台風19号被災前の9割に回復 https://www.kahoku.c[...] 2020-06-28
[55] 간행물 AB900系運行開始記念乗車券 発売!! AB900系運行開始記念フリー乗車券 発売!! https://www.pref.fuk[...] 福島県
[56] 뉴스 阿武隈急行31日全線再開 富野-丸森、1年ぶり本復旧 https://www.kahoku.c[...] 2020-10-08
[57] 뉴스 阿武急、待望の全線再開 台風19号被災から1年ぶり https://www.kahoku.c[...] 2020-10-31
[58] 뉴스 阿武隈急行、地震で道床流出など被害 - 丸森駅ホーム・駅舎も損傷 https://news.mynavi.[...] 2021-03-14
[59] 뉴스 東北新幹線「再開に10日」 在来線は全て復旧 https://kahoku.news/[...] 2021-03-16
[60] 뉴스 宮城・福島震度6強から1週間、復旧の見通し立たず 阿武隈急行 https://www.sankei.c[...] 2022-03-23
[61] 뉴스 阿武隈急行、丸森-槻木18日運転再開 梁川-丸森は25日 https://kahoku.news/[...] 2022-04-14
[62] 뉴스 阿武隈急行あす再開 丸森―槻木間、28日まで朝夕のみのダイヤ https://kahoku.news/[...] 2022-04-17
[63] 뉴스 「阿武隈急行」6月下旬にも全線再開 保原-梁川間は5月23日 https://www.minyu-ne[...] 2022-05-18
[64] 뉴스 阿武隈急行 保原-梁川、23日再開 残る福島-保原は来月下旬 https://kahoku.news/[...] 河北新報社 2022-05-18
[65] 뉴스 阿武隈急行が全線再開 震度6強から3カ月 https://kahoku.news/[...] 河北新報社 2022-06-27
[66] 웹사이트 阿武隈急行線臨時時刻表 下り 令和2年10月31日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 2020-10-31
[67] 웹사이트 阿武隈急行線臨時時刻表 上り 令和2年10月31日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 2020-10-31
[68] 웹사이트 2021年3月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 2021-01-28
[69] 웹사이트 20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株式会社 2024-01-31
[70] 웹사이트 時刻改正のお知らせ http://www.abukyu.co[...] 阿武隈急行 2023-03-03
[71] PDF 阿武隈急行線地域公共交通網形成計画 2019年7月 https://www.pref.fuk[...] 2019-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