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소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소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강의 신이자, 여러 지역의 강을 지칭하는 이름이다. 시큐온의 아소포스 강은 케이르사와 포세이돈의 아들 아소포스가 발견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 강은 보이오티아 왕 아소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 아소포스는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이거나, 포세이돈과 페로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하며, 메토페와 결혼하여 여러 딸과 아들을 두었다는 설이 있다. 아소포스의 딸들은 제우스, 포세이돈, 아폴론, 헤르메스 등 신들에게 납치되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이 중 아이기나는 제우스에게 납치되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타모이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포타모이 - 아이세포스
    아이세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아들이자 아이세포스 강의 강의 신이며,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가 에우리알로스에게 살해당했다.
  • 포세이돈의 자식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포세이돈의 자식 - 알로아다이
    알로아다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 쌍둥이 형제로, 신들에게 대항하려다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하거나 서로를 죽였으며, 아레스를 붙잡아 가두기도 했고, 낙소스 섬에서 영웅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 그리스 신화의 왕 - 킬릭스
    킬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게노르의 아들이자 카드모스, 페닉스, 에우로파의 형제로, 소아시아 킬리키아 지역에 정착하여 그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에우로파 납치 사건과 킬리키아 형성에 관련된 인물이다.
  • 그리스 신화의 왕 - 케팔로스
    케팔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으로, 프로크리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와 에오스와의 인연, 암피트리온 원정 참여 등 다양한 신화적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문학과 오페라에서 재해석되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하는 상징으로도 해석된다.
아소포스
지리 정보
개요
유형
위치그리스
신화그리스 신화
신화 속 정보
아버지오케아노스
어머니테티스
배우자메토페
자녀이오드
테베
살라미스
아이기나
피로에스
코르키라
타나그라
테스피아
하르피나
이소스
에우보이아
니케아
안티오페
오이로페
플라타이아
오르니에스
칼리스토
클레오네
리라
시밀레
디케
이피클레스
강의 이름
그리스의 강아소포스 강 (뵈오티아)
아소포스 강 (펠로폰네소스)
기타 지역의 강아소포스 강 (라코니아)

2. 신화

아소포스는 그리스 신화 속 강의 신 또는 특정 지역의 왕으로 등장하며, 주로 보이오티아와 펠로폰네소스반도시키온(또는 플리우스) 지역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50][52] 이 두 지역의 아소포스는 신화 속에서 종종 혼동되기도 한다. 시키온의 아소포스 강은 케이르사(또는 켈루사)와 포세이돈의 아들인 아소포스가 발견하여 이름 붙였다는 설이 있으며[50][26],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 강은 그 지역 왕 아소포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52][28].

그의 혈통에 대해서는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이라는 설[5], 포세이돈과 페로(혹은 켈루사)의 아들이라는 설[6], 또는 제우스와 에우뤼노메의 아들이라는 설[5] 등 다양하게 전해진다.

아소포스 신화의 핵심은 그의 많은 딸들, 이른바 아소피데스(Ἀσωπίδες|Asopidesgrc)에 관한 이야기이다. 핀다로스 등에 따르면 아소포스에게는 여러 딸이 있었으며, 이들은 제우스, 포세이돈, 아폴론 등 여러 신들에게 납치되었다고 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딸은 아이기나로, 제우스에게 납치된 딸을 찾아 나선 아소포스가 코린토스의 왕 시시포스로부터 딸의 행방을 알아내고 제우스를 뒤쫓다가 그의 번개를 맞았다는 이야기가 유명하다.[53][54] 이 사건으로 아소포스 강에서는 석탄이 발견된다는 전설도 생겨났다.[54][30] 아이기나는 이후 제우스의 아들 아이아코스를 낳았다.[54][30]

아이기나 외에도 여러 딸들이 신화에 등장하며, 이들은 다양한 신화적 인물의 어머니가 되거나 그리스 여러 지역과 도시의 이름 유래가 되었다고 전해진다.[62]

2. 1. 여러 아소포스

시키온의 아소포스 강은 케이르사(또는 파우사니아스가 언급한 켈루사[6])와 포세이돈의 아들인 아소포스가 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50][26]. 일설에는 소아시아의 마이안드로스 강 물이 바다를 건너와 이 강으로 흘러나온다고 하며, 마르시아스의 피리가 마이안드로스를 거쳐 아소포스에 이르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1][27].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 강은 그 지역의 왕이었던 아소포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52][28].

고대 작가들은 아소포스의 혈통에 대해 다르게 설명한다. 비블리오테카는 그를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이라고 하고[5], 아쿠실라오스는 포세이돈과 페로(혹은 켈루사)의 아들이라고 하며[6], 다른 설에서는 제우스와 에우뤼노메의 아들이라고도 한다[5].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아소포스를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로 보고, 플리우스에 정착하여 아르카디아의 라돈 강의 딸 메토페와 결혼했다고 전한다[7].

핀다로스에 의하면 아소포스에게는 여러 딸이 있었는데 대부분 신들에게 납치되었다고 한다.

이 딸들 중 가장 유명한 아이기나는 제우스에게 납치되었다. 아소포스는 딸을 찾아 코린토스까지 갔고, 시시포스에게 아크로코린트에 샘을 솟게 해주는 대가로 아이기나의 행방을 알아냈다[53][29]. 제우스를 뒤쫓던 아소포스는 제우스가 던진 번개에 맞아 강으로 돌아가게 되었으며, 이 때문에 아소포스 강 바닥에서는 석탄이 발견된다고 전해진다[54][30]. 아이기나는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아이아코스를 낳았다[54][30].

다른 딸들에 대한 이야기도 전해진다.

아소포스의 딸들 중 일부는 지역이나 도시의 이름 유래가 되었다.

그 외에도 시노페, 콤베[47], 타나그라, 에우아드네, 에우보이아, 페이레이네 등의 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48].

이처럼 아소포스는 강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해당 지역의 필멸자 왕으로 여겨지기도 하여 신화 속에서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와 플리아소스(시키온)의 아소포스가 그러하다. 딸들이 필멸자인 신들의 자손을 낳았다는 점에서, 딸들 자신이나 그들의 부모인 아소포스 또는 메토페 중 적어도 한쪽은 필멸자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파우사니아스는 시키온의 초대 왕 아라스 시대에 아소포스가 나타나 강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6].

2. 2. 아소포스의 딸들과 관련된 신화

아소포스에게는 여러 딸이 있었으며, 이 딸들이 여러 신들에게 납치되거나 관계를 맺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고대 시인 핀다로스는 아소포스에게 아홉 명의 딸이 있었는데 모두 신들에게 납치되었다고 기록했다. 예를 들어 아이기나, 테베, 플라타이아는 제우스에게, 코르키라와 살라미스는 포세이돈에게, 에우보이아, 시노페, 테스피아는 아폴론에게, 타나그라는 헤르메스에게 납치되었다고 한다.

아소포스의 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아이기나이다. 제우스는 아이기나를 몰래 데리고 갔는데, 아버지 아소포스는 딸을 찾아 코린토스까지 왔다. 그는 코린토스의 왕 시시포스에게 아크로코린토스 언덕에 샘이 솟게 해주는 대가로 딸을 데려간 이가 제우스라는 사실을 알아냈다.[53] 아소포스가 제우스를 뒤쫓자, 제우스는 번개를 던져 그를 원래 있던 강으로 돌려보냈다. 이때의 충격으로 아소포스 강 바닥에서는 석탄이 나오게 되었다는 전설이 생겨났으며, 아이기나는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아들 아이아코스를 낳았다고 한다.[54] 아이기나의 이야기는 종종 펠로폰네소스반도 플리우스 지방의 아소포스 강 신과 관련지어 전해진다.

아이기나 외에도 테베, 코르키라, 살라미스, 하르피나, 네메아, 시노페 등 많은 딸들이 신화에 등장한다. 이들은 포세이돈, 아폴론, 헤르메스, 아레스 등 다른 신들과 관계를 맺거나 여러 영웅 및 지역의 기원과 연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르피나는 아레스 신과의 사이에서 엘리스 지방 피사의 왕 오이노마오스를 낳았다고 전해진다.[61][9][10] 또한 딸들의 이름은 코르키라 섬, 클레오나이 시, 네메아, 보이오티아의 플라타이아 시, 테스피아이 시 등 여러 지역이나 도시의 이름 유래가 되기도 했다.[62]

이러한 딸들의 이야기는 그리스 본토 보이오티아 지방의 아소포스와 펠로폰네소스반도 플리우스 지방의 아소포스 신화가 서로 혼재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특정 딸이 어느 지역 아소포스의 딸인지에 대해서는 고대 문헌마다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19]

2. 2. 1. 아소포스의 딸들 (Asopides)

아소포스의 딸 중 한 명인 아이기나제우스에게 납치되는 모습. 아테네식 적색상 그림 피시스, 기원전 470–460년


아소포스의 딸들, 즉 아소피데스(Ἀσωπίδες|Asopidesgrc)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고대 문헌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소포스의 딸이 몇 명인지에 대해서도 기록마다 차이가 있는데, 핀다로스코리나는 9명[1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12명[14], 아폴로도로스는 20명[19]이라고 전한다. 이 딸들은 대부분 여러 신들에게 납치되거나 관계를 맺어 자녀를 낳았다고 전해진다.

핀다로스와 동시대 인물인 코린나는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에게 9명의 딸이 있었으며, 모두 신들에게 납치되었다고 기록했다.[13] 코린나에 따르면 아이기나, 테베, 플라타이아는 제우스에게, 코르키라, 살라미스, 에우보이아는 포세이돈에게, 시노페와 테스피아는 아폴론에게, 타나그라는 헤르메스에게 납치되었다. 타나그라의 경우, 헤르메스와 아레스가 서로 차지하려고 다투었다고도 한다. 아소포스는 예언자 아크라이펜으로부터 딸들이 신들의 뜻에 따라 납치되었음을 듣고 슬픔을 거두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아소포스 자신이 신이 아닐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핀다로스 역시 아이기나와 테베 자매가 제우스에게 납치되었다고 언급하며, 이들이 아소포스와 메토페의 가장 어린 딸들이라고 했다.[13] 아이기나는 오이노네 섬(후에 아이기나 섬)으로, 테베는 디르케 샘 근처로 끌려가 여왕이 되었다고 한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아소포스의 딸이 12명이라고 기록하며, 코린나의 목록과 일부 차이를 보인다.[14] 그는 플라타이아를 제외하고 칼키스, 피레네, 클레오네, 오르니아, 아소피스를 추가했다. 디오도로스는 포세이돈과 코르키라 사이의 아들 파이악스, 아폴론과 시노페 사이의 아들 시루스를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시노페에 대해서는 제우스, 아폴론, 할리스 강 신을 속이고 처녀로 남았다는 다른 전승도 있다.

아폴로도로스는 아소포스에게 딸이 20명 있었다고 주장했지만, 구체적인 목록을 제시하지는 않았다.[19]

아소포스의 딸들에 대한 주요 기록 비교
문헌딸의 수딸 목록 (일부)비고
핀다로스9명아이기나, 테베, 플라타이아, 코르키라, 살라미스, 에우보이아, 시노페, 테스피아, 타나그라모두 신들에게 납치됨.
코리나9명아이기나, 테베, 플라타이아 (제우스)
코르키라, 살라미스, 에우보이아 (포세이돈)
시노페, 테스피아 (아폴론)
타나그라 (헤르메스)
납치한 신 명시.
디오도로스 시켈로스12명코르키라, 살라미스, 아이기나, 에우보이아, 테스피아, 타나그라, 테베, 시노페, 칼키스, 피레네, 클레오네, 오르니아, 아소피스
(하르피나는 별도 언급)
코린나 목록과 차이 있음.
아폴로도로스20명목록 미제공


주요 딸들과 관련 이야기


  • 아이기나: 아소포스의 딸 중 가장 유명하며, 제우스에게 납치되었다.[53] 아소포스는 딸을 찾아 코린토스까지 갔고, 왕 시시포스에게 아크로코린토스에 샘(피레네 샘)을 솟게 해주는 대가로 아이기나의 행방을 알아냈다.[15][29] 아소포스가 제우스를 뒤쫓자 제우스는 번개를 던져 그를 강으로 돌려보냈고, 이 때문에 아소포스 강 바닥에서 석탄이 발견된다는 전설이 생겼다.[54][30] 아이기나는 이후 제우스의 아들 아이아코스를 낳았다. 후대의 기록들은 주로 아이기나의 납치 이야기를 다루며, 이때 아소포스는 플리아소스의 아소포스로 명시되기도 한다.[19]
  • 이스메네: 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백안의 거인 아르고스의 아내가 되어 이아소스를 낳았고, 이아소스는 이오의 아버지가 되었다.[12][33]
  • 하르피나: 파우사니아스와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아레스와의 사이에서 엘리스피사오이노마오스를 낳았다.[9][10][39][40] 파우사니아스는 오이노마오스가 어머니의 이름을 따 하르피나 도시를 세웠다고 기록했다.[11]
  • 네메아: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네메아 지역의 이름이 그녀에게서 유래했다.[8][43] 아이스킬로스의 소실된 희곡 《네메아》에서는 아르케모로스의 어머니로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 살라미스: 퀴클레우스의 어머니가 되었다.[58][34][35]
  • 안티오페: 제토스와 암피온 형제의 어머니로, 일설에는 아소포스의 딸이라고도 한다.[59][36][37]
  • 테베: 제토스의 아내가 되었으며, 그녀의 아버지가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인지 시키온의 아소포스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60][38] 플리아시아인들은 자신들의 아소포스 강 신의 딸이라고 주장했다.[9]
  • 아소피스: 일설에 티탄 이아페토스의 아내가 되었다고 한다.[55][31] 오비디우스는 《변신 이야기》에서 아이기나를 '아소피스'라고 부르기도 했다.[17]
  • 로데: 일설에 태양신 헬리오스와의 사이에서 세 명의 헬리아데스파에톤을 낳았다고 한다.[56][32]
  • 프로노에: 일부 자료에서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포쿠스를 낳은 어머니로, 아소포스의 딸이라고 한다.[21]
  • 필리라: 페레키데스에 따르면, 페네우스 강 신과의 사이에서 휭세우스를 낳았다.[20]


이 외에도 코르키라(케르키라섬[38][41]), 클레오네(클레오나이 시[42]), 플라타이아(플라타이아[44]), 오에로에(오에로에 강[45]), 테스피아(테스피아이[46]) 등 여러 딸들이 각 지역이나 도시의 이름 유래와 관련되기도 한다. 그 밖에 콤베[47], 에우아드네, 페이레이네이 등의 이름도 전해진다.[48]

파우사니아스는 플리아시아인들이 올림피아에 봉헌한 조각상 군을 묘사했는데, 여기에는 아소포스와 그의 딸들인 네메아, 아이기나(제우스에게 붙잡힌 모습), 하르피나, 코르키라, 테베가 포함되어 있었다.[9] 이는 플리아시아인들이 이 딸들을 자신들의 지역 강 신인 아소포스와 연결했음을 보여준다.

신화 속에서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와 플리아소스의 아소포스는 자주 혼동된다. 두 지역 모두 아소포스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 강에 이름을 붙였다는 전승이 있기 때문이다. 딸들의 이야기가 두 지역의 아소포스 신화에 혼재되어 나타나며, 특히 아이기나, 테베 등 일부 딸들은 어느 지역 아소포스의 딸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19] 또한, 딸들이 신들과 관계하여 낳은 자식들이 대부분 필멸자였다는 점에서 딸들 자신이나 그들의 어머니(메토페로 자주 언급됨), 혹은 아버지 아소포스가 필멸자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2. 3. 아소포스의 아들들

아폴로도로스디오도로스는 모두 아소포스의 아들 두 명을 언급한다. 첫째 아들은 이스메노스이며, 둘째 아들은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펠라곤,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펠라스고스라고 한다. 펠라곤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알려진 바가 없다.

이스메노스에 관해서는 디오도로스가 그가 보이오티아로 이주하여 강 근처에 정착했으며, 나중에 그 강의 이름이 그의 이름을 따서 이스메노스 강이 되었다고 전한다.

또 다른 아들인 힙세우스는 테베 공략 7장군 전쟁에 참전했다가 카파네우스에게 죽임을 당했다.[22]

3. 강

아소포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와 터키의 여러 강에 붙여졌다. 주요 강들은 다음과 같다.


  •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 강[1]
  • 코린티아의 아소포스 강 또는 플리아시안 아소포스[2][3]
  • 테살리아의 아소포스 강 또는 트라키안 아소포스[4]
  • 코르푸의 아소포스 강
  • 프리기아 아소포스

3. 1. 그리스의 강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 강은 키타이론 산에서 발원하여 플라타이아이 지역을 지나 에우리포스 해협으로 흘러든다.[1] 이 강의 이름은 보이오티아의 왕 아소포스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52]

시큐온의 아소포스 강은 케이르사와 포세이돈의 아들인 아소포스가 발견하여 그의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50] 일부 전승에 따르면, 이 강은 소아시아에 있는 마이안드로스 강의 물이 바다 밑을 통해 흘러나온 것이며, 마르시아스의 피리가 마이안드로스 강을 따라 흘러 이 아소포스 강에 이르렀다고도 한다.[51]

코린티아의 아소포스 강 또는 플리아시안 아소포스는 플리우스 지역에서 발원하여 시키온 지역을 거쳐 시키온 인근의 코린토스 만으로 흘러든다.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고대 플리우스와 시키온 사람들은 이 강의 근원이 실제로는 프리기아카리아를 흐르는 마이안드로스 강이며, 이 강물이 지하로 흘러 펠로폰네소스에서 아소포스 강으로 다시 나타난다고 믿었다.[2][3]

테살리아의 아소포스 강 또는 트라키안 아소포스는 테살리아 지방의 오이타 산에서 발원하여 테르모필레 근처의 말리아코스 만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이 강은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기록에도 언급되어 있다.[4]

코르푸에도 아소포스라는 이름의 강이 있다.

3. 2. 터키의 강

프리기아에 위치한 작은 강으로, 리쿠스 강과 합류하여 리쿠스 강 근처의 라오디게아로 흘러든다.

4. 계도

아소포스의 가계는 여러 고대 그리스 문헌에 걸쳐 다양하고 복잡하게 전해 내려온다. 그의 부모에 대해서는 티탄 신족인 오케아노스테티스의 아들이라는 설[5][7],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페로 또는 켈루사의 아들이라는 설[5][6] 등 여러 기록이 존재한다. 또한 보이오티아 지역의 아소포스와 펠로폰네소스반도의 아소포스(주로 플리우스 또는 시키온 지역과 연관됨)가 자주 혼동되어 나타나며[7], 그가 강의 신인지 필멸의 왕인지에 대해서도 명확하지 않다.[13]

아소포스에게는 많은 딸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문헌에 따라 그 수가 9명[13], 12명[14], 20명[12] 등으로 다르게 기록된다. 이 딸들은 제우스, 포세이돈, 아폴론 등 여러 신들과 관계를 맺어 그리스 신화 속 여러 지역, 도시, 강의 이름 유래가 되거나[62] 영웅들의 조상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많다. 대표적인 딸로는 아이기나[53][54], 테베[60], 코르키라[14], 살라미스[58] 등이 언급된다. 이러한 복잡하고 다양한 전승으로 인해 아소포스의 명확한 계보를 확정하기는 어렵다.

4. 1.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 계통

그리스 신화에서 아소포스의 부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비블리오테카는 강신(江神) 아소포스를 오케아노스테티스의 아들이라고 전한다.[5]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역시 아소포스를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로 보고, 그가 플리우스에 정착했다고 기록했다.[7]

다른 설들도 있다. 아쿠실라오스에 따르면 아소포스는 페로(정확히 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음)와 포세이돈의 아들이며, 또 다른 설에서는 에우뤼노메와 제우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5] 파우사니아스는 시키온 땅의 초기 왕 아라스 시대에, 켈루사(페로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음)와 포세이돈의 아들인 아소포스가 아소포스 강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고 전한다.[6]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아소포스가 라돈의 딸 메토페와 결혼했다고 기록했는데, 여기서 라돈은 아르카디아의 라돈 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7]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와 플리아소스의 아소포스는 신화 속 인물로서 자주 혼동된다. 이들은 각 지역 강의 이름을 붙인 필멸의 왕들과도 혼동되기도 한다. 아소포스의 딸들이 신들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들이 대부분 필멸자였기 때문에, 딸들 자신도 필멸자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아소포스나 그의 아내 메토페, 혹은 둘 다 필멸자였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핀다로스에 의하면 아소포스에게는 아홉 명의 딸이 있었는데, 모두 신들에게 납치당했다고 한다. 아이기나, 테베, 플라타이아는 제우스에게, 코르퀴라와 살라미스는 포세이돈에게, 에우보이아, 시노페, 테스피아는 아폴론에게, 타나그라는 헤르메스에게 납치되었다. 특히 타나그라를 두고는 헤르메스와 아레스가 서로 차지하려고 다투었다고 전해진다.

아소포스의 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아이기나이다. 제우스가 아이기나를 납치하자, 아소포스는 딸을 찾아 코린토스까지 갔다. 그는 아크로코린토스에 샘이 솟게 해주는 대가로 시시포스에게 딸의 행방을 알아냈다.[53][29] 아소포스가 제우스를 뒤쫓자, 제우스는 번개를 던져 그를 강으로 돌려보냈다. 이 사건 때문에 아소포스 강에서는 석탄이 발견된다는 이야기가 생겨났으며, 아이기나는 제우스의 아들 아이아코스를 낳았다.[54][30]

다른 딸들에 관한 설들도 다양하다.

  • 아소피스는 일설에 이아페토스의 아내가 되었다고 한다.[55][31]
  • 로데는 헬리오스와의 사이에서 세 명의 헬리아데스파에톤을 낳았다는 설이 있다.[56][32]
  • 이스메네 (이스메이네이)는 백 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의 어머니라는 설[57][33], 혹은 아르고스 파노옵테스의 아내가 되어 이아소스를 낳았고, 이아소스는 다시 이오의 아버지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12]
  • 사라미스는 큐크레우스(퀴클레우스)의 어머니가 되었다.[58][34][35]
  • 안티오페는 제토스와 암피온의 어머니인데, 아소포스의 딸이라는 설도 있다.[59][36][37]
  • 테베는 제토스의 아내로, 보이오티아의 아소포스 혹은 시큐온의 아소포스의 딸이라고 전해진다.[60][38]
  • 하르핀나 (할피나)는 엘리스 지방 피사의 왕 오이노마오스의 어머니라는 설이 있다.[61][39][40] 다른 전승에 따르면, 아레스가 피사에서 하르핀나와 동침하여 오이노마오스를 낳았으며, 오이노마오스는 어머니의 이름을 따 하르핀나라는 도시를 세웠다고 한다.[9][10][11]
  • 네메아는 네메아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62][43], 아이스킬로스의 잃어버린 희곡 《네메아》에서는 아르케모로스의 어머니로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
  • 코르키라는 케르키라 섬의 유래가 되었다.[62][38][41]
  • 클레오네는 클레오나이 시의 유래가 되었다.[62][42]
  • 프라타이아는 보이오티아 지방의 프라타이아 시의 유래가 되었다.[62][44]
  • 오에로에는 오에로에 강의 유래가 되었다.[62][45]
  • 테스피아(테스페이아)는 테스피아이 시의 유래가 되었다.[62][46]


이 외에도 시노페, 콤베[47], 타나그라, 에우아드네, 에우보이아, 페이레이네이 등의 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48]

4. 2. 포세이돈과 페로(또는 켈루사)의 아들 계통

아쿠실라오스에 따르면 아소포스는 포세이돈과 페로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라고 한다. 다만 여기서 언급된 페로는 누구인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5]

파우사니아스는 다른 기록을 남겼는데, 시키온 땅의 초기 왕이었던 아라스의 시대에 포세이돈과 켈루사 사이에서 아소포스가 태어났다고 전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이 켈루사가 아쿠실라오스가 언급한 페로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파우사니아스는 이 아소포스가 아소포스강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강의 이름을 지었다고 기록했다.[6]

4. 3. 아소포스 가계도 (표)

아소포스의 가계는 고대 문헌마다 다르게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보이오티아 지역의 아소포스와 펠로폰네소스반도 플리우스(또는 시키온) 지역의 아소포스가 혼동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각 지역 강의 이름을 따온 필멸의 왕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여러 문헌에서 나타나는 아소포스의 부모, 아내, 딸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아소포스 가계에 대한 고대 문헌 기록 비교
문헌/작가부모아내딸 수주요 딸 및 정보
비블리오테카[5]오케아노스테티스 / 포세이돈과 페로 / 제우스와 에우뤼노메명시 없음명시 없음 (이스메네 언급[12])이스메네: 아르고스 파노옵테스 아내, 이아소스 어머니[12][33][57]
파우사니아스포세이돈과 켈루사 (시키온의 아소포스)[6][50]명시 없음명시 없음 (네메아[8], 하르피나[9], 코르키라, 아이기나, 테베[19] 언급)네메아[8][43], 하르피나: 아레스와의 사이에서 오이노마오스 낳음[9][10][39][40][61], 코르키라[19][38][41], 아이기나[19], 테베[19][38][60]
디오도로스 시켈로스[7]오케아노스테티스메토페 (라돈의 딸)12명코르키라, 살라미스, 아이기나, 에우보이아, 시노페, 테스피아, 테베, 칼키스, 피레네, 클레오네, 오르니아, 아소피스, 하르피나[10] (코르키라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파이악스 낳음, 시노페는 아폴론과의 사이에서 시루스 낳음[14]). 클레오네는 클레오나이 시의 유래[42][62].
핀다로스[13]명시 없음메토페 (스팀팔리아 출신)9명 (아이기나, 테베 언급)아이기나(제우스에게 납치), 테베(제우스에게 납치)
코리나명시 없음 (필멸자 가능성 시사)명시 없음9명아이기나(제우스), 테베(제우스), 플라타이아(제우스)[44][62], 코르키라(포세이돈), 살라미스(포세이돈), 에우보이아(포세이돈)[48], 시노페(아폴론)[62], 테스피아(아폴론)[46][62], 타나그라(헤르메스)[62]
아폴로도로스명시 없음명시 없음20명목록 없음
기타 문헌---아소피스 (이아페토스 아내 설)[31][55], 로데 (헬리오스 아내, 파에톤 어머니 설)[32][56], 살라미스 (큐크레우스 어머니 설)[34][35][58], 안티오페 (제토스, 암피온 어머니 설)[36][37][59], 오에로에 (오에로에 강 유래)[45][62], 콤베[47], 에우아드네[48], 페이레이네이[62], 필리라 (페네우스와의 사이에서 휭세우스 낳음)[20], 프로노에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포쿠스 낳음)[21]



아소포스의 딸들이 신들에게 납치되어 여러 지역이나 도시, 강의 이름 유래가 되거나 영웅들의 조상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많다. 그러나 딸들 자신이나 아버지 아소포스가 필멸자였는지, 아니면 강의 신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문헌마다 다르게 나타나거나 명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시인 코리나는 아소포스가 신들의 장인이라고 언급하며 필멸자일 가능성을 암시하기도 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딸인 아이기나제우스에게 납치되었는데, 아소포스가 딸을 찾아 코린토스의 왕 시시포스에게 행방을 묻고 그 대가로 아크로코린토스에 샘을 솟게 해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9][53]. 이후 아이기나를 쫓아간 아소포스는 제우스가 던진 번개에 맞아 부상을 입고 강으로 돌아갔으며, 이 때문에 아소포스 강은 물살이 느려지고 강바닥에서 석탄이 발견된다고도 한다[30][54].

참조

[1] 웹사이트 Places: 540672 (Asopos (river)) https://pleiades.sto[...] Pleiades 2020-08-28
[2] 웹사이트 Places: 570131 (Asopos (river)) https://pleiades.sto[...] Pleiades 2020-08-28
[3] 문서 2.5.3 https://www.perseus.[...]
[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Abacaenum-Hytanis https://archive.org/[...] Walton and Maberly 1856
[5] 문서 3.12.6 https://www.perseus.[...]
[6] 문서 2.12.4 https://www.perseus.[...]
[7] 문서 4.72.1 https://penelope.uch[...]
[8] 문서 2.15.3 https://www.perseus.[...]
[9] 문서 5.22.6 https://www.perseus.[...]
[10] 문서 4.73.1-2 https://penelope.uch[...]
[11] 문서 6.21.8 https://www.perseus.[...]
[12] 문서 2.1.3 https://www.perseus.[...]
[13] 기타 Nemean Odes 8.6–12, Isthmian Odes 8.17–23, Paian 6.134–40
[14] 문서 4.72.1 https://penelope.uch[...]
[15] 문서 2.5.1 https://www.perseus.[...]
[16] 문서 2.15.1 https://www.perseus.[...]
[17] 기타 Metamorphoses 6.113 & 7.615
[18] 문서 3.12.6 https://www.perseus.[...]
[19] 문서 2.5.2 https://www.perseus.[...]
[20] 기타 Pythian Ode 9.27a
[21] 기타 Iliad 2.517
[22] 기타 Thebaid 7.310 ff & 723 ff
[23] 문서 3巻12・6
[24] 문서 断片18(アポロドーロス、3巻12・6 による引用)
[25] 문서 4巻72・1
[26] 문서 2巻12・4
[27] 문서 2巻5・3、7・9
[28] 문서 9巻1・2
[29] 문서 2巻5・1
[30] 문서 3巻12・6
[31] 기타 仕事と日 48行への古註
[32] 기타 オデュッセイアー 17巻208行への古註
[33] 문서 ケルコープス(アポロドーロス2巻1・3 による引用)
[34] 문서 3巻12・7
[35] 문서 1巻35・2
[36] 서적 ロドスのアポローニオス
[37] 서적 パウサニアス
[38] 서적 パウサニアス
[39] 서적 パウサニアス
[40] 서적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
[41] 서적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
[42] 서적 パウサニアス
[43] 서적 パウサニアス
[44] 서적 パウサニアス
[45] 서적 パウサニアス
[46] 서적 パウサニアス
[47] 서적 高津春繁『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48] 서적 高津春繁『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49] 서적 아포로드로스
[50] 서적 파우사니아스
[51] 서적 파우사니아스
[52] 서적 파우사니아스
[53] 서적 파우사니아스
[54] 서적 아포로드로스
[55] 서적 헤시오도스 「일과 날」고주
[56] 서적 「오딧세이」고주
[57] 서적 케르코프스(아포로드로스 인용)
[58] 서적 아포로드로스
[59] 서적 아폴로니오스 로디오스
[60] 서적 파우사니아스
[61] 서적 파우사니아스
[62] 서적 파우사니아스
[63] 서적 파우사니아스
[64] 서적 파우사니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