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통화 단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통화 단위(AMU)는 13개 통화로 구성된 바스켓이며, 아시아 지역의 통화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AMU는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중국, 일본, 대한민국의 통화로 구성된다. 유럽 통화 단위(ECU)와 비교되기도 하며, 아시아 채권 시장 발전 및 지역 내 금융 협력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받지만, 유럽과 비교하여 국가 간 경제 격차, 수렴 기준 충족의 어려움 등 과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 아시아의 통화 - 부탄 뉘땀
    부탄 뉘땀은 1974년부터 통용된 부탄의 통화로, 인도 루피와 1:1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며 부탄에서 법정 통화로 통용되고, 1뉘땀은 100 체트럼으로 나뉘며, 부탄 왕립 통화청에서 지폐와 주화를 발행한다.
  • 아시아의 통화 - 인도네시아 루피아
    인도네시아 루피아는 인도네시아의 통화이며, 1946년 처음 발행되어 여러 경제 위기를 겪으며 가치가 하락했고, 현재 지폐와 동전으로 유통되며 리디노미네이션과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개발이 논의되고 있다.
  • 국제 기구에 관한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국제 기구에 관한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아시아 통화 단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아시아 통화 단위
로마자 표기Asia Tonghwa Danwi
영어 명칭Asian Currency Unit, Asian Monetary Unit
일본어 명칭アジア通貨単位
개념 및 목적
정의아시아 지역의 가상 통화 단위
목표아시아 국가들의 통화 가치 변동을 평가하는 지표 제공
관련 기관국제통화연구소
연구 배경아시아 경제 위기 이후, 역내 금융 협력 강화 필요성 대두
구성 및 가치
구성 통화아시아 각국 통화의 가중 평균 (유로와 유사)
가치 평가 방법각국 통화 가치의 변동을 반영하여 결정
활용
목적역내 통화 가치 변동 분석
아시아 국가 간 경제 협력 촉진
금융 시장 안정화 기여
한계실제 통화로 사용되지 않음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추가 정보
참고유럽의 유럽 통화 단위와 유사한 개념
아시아 지역 경제 통합 및 금융 안정화 노력의 일환으로 논의

2. 구성 통화

아시아 통화 단위(AMU)는 ASEAN+3(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13개국 통화를 바스켓 방식으로 묶어 만든 계산상의 통화 단위이다.[3] 구성 통화는 아래 표와 같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개발 중인 아시아 통화 단위는 영어로 "Asian Currency Unit"이며, '''ACU'''(아큐)라고도 불린다. ACU는 각국의 경제 (GDP, 무역량 등) 비중에 기반하여 각 통화가 일정한 비율로 합성된 계산상의 공통 통화이다.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를 계기로, 2002년 아시아-유럽 정상회의에서 일본의 국제통화기금에 의해 제안되었다. 2006년 5월 ASEAN+3 재무장관 회의에서 ACU 연구가 결정되었으나, 2007년 3월부터 공표 예정이었던 발표는 보류되었다.

경제산업연구소(RIETI)에서는 AMU라는 아시아 통화 단위를 고안하여 공표하고 있다. 이는 ASEAN+3에서 각국의 경제 정책 운영 상황의 건전성을 상호 조사하는 서베일런스의 새로운 기준(괴리 지표)으로 제안된 것이다. AMU는 유럽 통화 단위(ECU)를 참고한 것이며, 장래적으로 ECU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아시아에서는 달러 약세에 따라 통화 가치가 상승하는 , 바트와 달러 페그제 때문에 가치가 하락하는 위안 등이 병존하며, 역내 통화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각국 통화와 바스켓 방식으로 산출된 ACU 또는 AMU와의 괴리 상황을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금리 인상·인하를 실시하여 통화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는 참가국 간 상호 감시를 통해 특정 국가의 통화 절하 경쟁을 막고, 역내 무역의 환리스크를 완화시켜 환율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미국 달러유로와 아시아 통화와의 변동 요인·변동 폭 연구에도 도움이 된다.

홍콩, 타이완의 가입도 검토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유럽 연합유로처럼 동아시아 공동체에서 사용하는 공통 통화의 기초가 될 것으로도 기대된다.

2. 1. 대상 통화

아시아 통화 단위(AMU)는 13종의 통화를 대상으로 한다.[5]


3. 역사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개발 중이던 것은 영어로 "Asian Currency Unit"이라고 쓰이는 것으로, 약칭 '''ACU'''(아큐)라고도 불린다. 또한, 경제산업연구소(RIETI)가 제안한 Asian Monetary Unit(AMU)이라는 것도 존재한다.

ACU는 각국의 경제(GDP, 무역량 등) 비중에 기반하여 각 통화가 일정한 비율로 합성된 계산상의 공통 통화이다. 1997년의 아시아 외환 위기가 발단이 되어, 2002년의 아시아-유럽 정상회의에서 일본의 국제통화기금에 의해 제안되었다. 2006년 5월 ASEAN+3 재무장관 회의에서 ACU 연구가 결정되었고, 2007년 3월부터 ADB에서 공표될 예정이었으나, 발표는 보류되었다.

경제산업연구소(RIETI)에서는 AMU라는 아시아 통화 단위를 고안하여 공표하고 있다. 이것은 ASEAN+3에서 행해지는 서베일런스(각국의 경제 정책 운영 상황의 건전성을 상호 조사하는 것)에서 새로운 기준(괴리 지표)으로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AMU는 원래 유럽 통화 단위(ECU)를 참고한 것이며, 장래적으로는 ECU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아시아에서는 달러 약세에 따라 통화 가치가 상승하는 엔, 바트와 달러 페그제 때문에 가치가 하락하는 위안 등이 병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역내에서 통화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각국 통화와 바스켓 방식으로 산출된 ACU 또는 AMU와의 괴리 상황을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금리 인상·인하를 실시하여 통화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참가국이 상호 감시함으로써 특정 국가의 통화 절하 경쟁을 막을 수 있고, 역내 무역의 환리스크를 완화시켜 환율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미국 달러유로와 아시아 통화와의 변동 요인·변동 폭 연구에도 도움이 된다.

홍콩, 타이완의 가입도 검토되고 있으며, 장래적으로는 유럽 연합유로처럼 동아시아 공동체에서 사용하는 공통 통화의 기초로서도 기대되고 있다(와타나베 외 2006).

4. 기대 효과 및 과제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개발 중인 아시아 통화 단위(ACU) 또는 경제산업연구소(RIETI)가 제안한 AMU(Asian Monetary Unit)가 도입되면, 역내 통화 마찰을 줄이고 환율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미국 달러유로 및 아시아 통화 간 변동 요인·변동 폭 연구에도 도움이 된다. ACU 또는 AMU는 각국 통화와 바스켓 방식으로 산출되며, 이와의 괴리 상황을 지표로 활용하여 금리 조정 등을 통해 통화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참가국 간 상호 감시를 통해 특정 국가의 통화 절하 경쟁을 방지하고, 역내 무역의 환리스크를 완화하여 환율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아시아 통화 단위는 유럽통화단위(ECU)와 비교되기도 하며, 아시아 통화 표시 채권 발행 및 아시아 채권 시장 활성화를 통해 지역 내 금융 협력을 가속화하고, 공통 통화 도입 논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이미 공통 통화 검토를 제기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럽경제공동체(EEC) 발족 이후 유로 도입까지 45년이 소요된 것처럼, 아시아의 공통 통화 도입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 유럽은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지만, 현재 아시아에서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국가는 일본을 포함하여 없다. 또한, 지역 내 국가 간 경제 격차가 커서 자국 통화와 통화 단위 간 연동 폭을 의무화하기도 어렵다.

하와이 마사히로는 "아시아 통화의 기치를 내걸면 아시아 지역 통합의 종착점이 명확해진다"라고 언급하며 아시아 공통 통화 논의의 심화를 예상했지만, 그 방향성과 실현 가능성은 아직 불확실하다.

'''아시아와 유럽의 공통 통화 도입 비교'''
사건아시아유럽
공동체 발족-EEC: 1957년 3월
EC: 1967년 7월
계산 단위 공표-EUA: 1975년 4월
통화 제도 발족-EMS: 1979년 3월
통화 단위 공표ACU: 2007년 3월ECU: 1979년 3월
중앙은행 발족-ECB: 1998년 6월
경제통화연합 완성-유로: 1999년 1월
공통 통화 유통-유로: 2002년 1월


5. 유럽 통화 단위(ECU)와의 비교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개발 중인 아시아 통화 단위(ACU)는 유럽유럽 통화 단위(ECU)와 비교되기도 한다. 경제산업연구소(RIETI)가 제안한 AMU(Asian Monetary Unit)는 유럽 통화 단위(ECU)를 참고한 것으로, 장래에 ECU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와 유럽의 공통 통화 도입 비교
사건아시아유럽
공동체 발족-EEC: 1957년 3월
EC: 1967년 7월
계산 단위 공표-EUA: 1975년 4월
통화 제도 발족-EMS: 1979년 3월
통화 단위 공표ACU: 2007년 3월ECU: 1979년 3월
중앙은행 발족-ECB: 1998년 6월
경제통화연합 완성-유로: 1999년 1월
공통 통화 유통-유로: 2002년 1월



ACU 또는 AMU가 설정되면 아시아 통화 표시 채권 발행으로 이어져 아시아 채권 시장과 함께 지역 내 금융 협력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는 아시아에서도 공통 통화 도입 논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중국인민은행과 중국세계경제연구소 등 각 부문의 간부들이 공통 통화 검토를 제기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유럽경제공동체(EEC) 발족(1957년) 이후 유로 도입(2002년)까지 45년이라는 긴 준비 및 협상 기간이 필요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유럽은 인플레이션율 등 여러 엄격한 조건을 부과했지만, 일본을 포함하여 현재 아시아에서 이러한 수렴 기준을 충족하는 국가는 없다. 또한 유럽에 비해 지역 내 국가 간 경제 격차가 크기 때문에, 당시 ECU처럼 자국 통화와 통화 단위 간 연동 폭을 의무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하와이 마사히로(도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아시아개발은행 총재 특별 고문·지역 경제 통합 실장, 전 재무성 차관)는 "아시아 통화의 기치를 내걸면 아시아 지역 통합의 종착점이 명확해진다"라고 언급했다. 앞으로 아시아 공통 통화 논의가 더욱 심화될 것은 분명하지만, 그 방향성과 실현 가능성은 아직 미지수이다.

참조

[1] 서적 Oxford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Asia https://www.oxfordha[...]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 웹사이트 The purpose to create a new data of Asian Monetary Unit with ASEAN 10 plus 3 (Japan, China and South Korea) plus 3 (Australia, New Zealand and India) - AMU-wide http://www.rieti.go.[...]
[3] 웹사이트 The purpose to create a new data of Asian Monetary Unit with ASEAN 10 plus 3 (Japan, China and South Korea) plus 3 (Australia, New Zealand and India) - AMU-wide http://www.rieti.go.[...]
[4] 서적 Oxford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Asia https://www.oxfordha[...]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5] 웹사이트 The purpose to create a new data of Asian Monetary Unit with ASEAN 10 plus 3 (Japan, China and South Korea) plus 3 (Australia, New Zealand and India) - AMU-wide http://www.rieti.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