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카가 요시즈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카가 요시즈미는 무로마치 막부의 11대 쇼군으로, 1481년에 태어나 1511년에 사망했다. 그는 호리고에 구보 아시카가 마사토모의 아들로, 덴류지 가겐인의 후계자로 출가했다가 메이오 정변으로 쇼군으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실권은 호소카와 마사모토 등에게 있었으며, 마사모토와의 갈등 끝에 쇼군직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쇼군 복위를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하고, 오미에서 사망했다. 그의 시대는 메이오, 분키, 에이쇼 연간으로, 많은 다이묘들이 그의 이름자에서 한 글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국 사람 - 호조 소운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중신으로 이세 종수이나 이세 신쿠로 등으로 불렸으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다툼에 개입하고 이즈, 사가미 등지를 정복하며 고호조씨의 기반을 마련한 센고쿠 시대 초기의 중요 인물이다.
  • 이즈국 사람 - 호조 마사코
    호조 마사코는 가마쿠라 막부 초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아내로서,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호조 씨의 권력을 확립하고 남편 사후 '아마 쇼군'으로 불리며 막부를 통치했으며, 조큐의 난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일본 역사상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여성이다.
  • 1511년 사망 - 마티아스 링만
    마티아스 링만은 16세기 초 독일의 인문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마르틴 발트제뮐러와 함께 신대륙을 '아메리카'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 《코스모그래피아 인트로덕티오》를 저술하고, 《갈리아 전기》 독일어 번역, 《지리학》 연구, 《그라마티카 피구라타》 제작 등 다양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 1511년 사망 - 니콜라스 데 오반도
    니콜라스 데 오반도는 이사벨 1세의 신임을 받아 히스파니올라 섬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식민지 개척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타이노족에 대한 잔혹한 학살과 강제 노동으로 원주민 인구 급감의 원인이 되었다.
  • 1481년 출생 - 회산군
    회산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며, 숙의 홍씨의 아들로 봉사 안방언의 딸과 혼인했으나 자녀는 없었고, 중종 재위 기간에 김안로의 간언을 물리쳤으며, 후사가 없어 계산군 이수계가 대를 잇고 시호는 정간이다.
  • 1481년 출생 - 성세창
    성세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사화에 연루되어 귀양 갔으며, 선조 때 신원되어 시호는 문장이다.
아시카가 요시즈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시카가 요시즈미
이름아시카가 요시즈미
일본어 표기足利 義澄
출생1481년 1월 15일
사망1511년 9월 6일
계명법주원전욱산도황(法住院殿旭山道晃)
다른 이름아와고쇼(阿波御所), 오미고쇼(近江御所), 오미쇼군(近江將軍), 쿄켄시도노(キヤウケンシ殿)
관직
역임종5위하
정5위하
좌마두(左馬頭)
정이대장군
종4위하
참의
좌근위중장
종3위
증 종1위 좌대신
증 태정대신
쇼군 재임 기간1495년 - 1508년
가문
씨족아시카가 씨 (호리코시 공방 가 → 아시카가 쇼군 가)
아버지아시카가 마사토모
어머니무샤코지 다카미쓰의 딸인 엔만인
양아버지아시카가 요시마사, 아시카가 요시히사
형제차차마루, 요시즈미, 윤동자, 오다 마사하루?
배우자정실: 히노 아코
계실: 부위의 딸 (시바 요시히로의 딸, 또는 롯카쿠 다카요리의 딸)
자녀요시하루, 요시쓰나, 즈이후(随風)
초기 이름
초기 이름기코(清晃), 요시토(義遐), 요시타카(義高)
기타 정보
무덤등지인(等持院) 영광전 안치

2. 생애

분메이 12년(1481년) 12월 15일, 호리고에 구보 아시카가 마사토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이복형 아시카가 자차마루가 호리고에 구보 후계자로 지명되어 있었기 때문에, 덴류지 가겐인의 후계자로 지명되었고, 출가하여 세이코라는 법명을 얻었다. 제9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히사아시카가 요시마사가 사망하여 쇼군직이 공석이 되자 후계자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히노 도미코의 지지를 받은 아시카가 요시미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키(후의 아시카가 요시타네)가 쇼군이 되었다.

메이오 정변(1493년)으로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 히노 도미코, 이세 사다무네는 제10대 쇼군 요시키를 추방하고 요시즈미를 쇼군으로 옹립하였다. 요시즈미는 요시마사의 양자가 되어 제11대 쇼군이 되었으나, 실권은 마사모토, 도미코, 사다무네에게 있었다.

도미코 사후, 요시즈미는 직접 정무를 보려 했으나 마사모토와 대립하였다. 분키 2년(1502년) 마사모토가 간레이직 사임을 밝히고 단바국으로 낙향하자 요시즈미는 만류했으나, 마사모토는 듣지 않았다. 같은 해 8월, 요시즈미는 교토 이와쿠라의 긴류지에 은거하였다. 마사모토와 사다무네가 복귀를 요청하자, 요시즈미는 다케다 모토노부의 소반슈 등용, 요시키의 이복동생 기추 처형을 요구하여 관철시켰다. 기추의 살해로 마사모토는 요시즈미의 대체 쇼군 후보를 잃고 요시즈미를 폐위할 수 없게 되어, 이후 요시즈미와 마사모토는 정치적 대립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다.

에이쇼 4년(1507년) 마사모토 암살 후 호소카와 가문 내분이 발생하자(에이쇼의 착란), 이듬해 4월 전임 쇼군 요시키를 옹립한 오우치 요시오키가 상락하자, 요시즈미는 롯카쿠 다카요리에게 의지하여 오미로 달아났다. 그해 7월, 요시즈미는 쇼군직에서 폐위되고 요시키가 요시타네로 개명, 쇼군으로 복위되었다.

이후 요시즈미는 호소카와 스미모토, 미요시 유키나가·미요시 나가히데 부자에게 교토 침공을 명했으나, 호소카와 다카쿠니와 오우치 요시오키 연합군에 패퇴하였다. 요시타네 암살도 실패하였다. 에이쇼 8년 8월 14일(1511년 9월 6일), 요시즈미는 후네오카야마 전투 직전 오미에서 병사하였다.

2. 1. 어린 시절

분메이 12년(1481년) 12월 15일, 호리고에 구보 아시카가 마사토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복형 아시카가 자차마루가 있었기 때문에 덴류지 가겐인(香厳院)의 후계자로 지명되어 출가, 세이코라는 법명을 얻었다.[12] 아시카가 요시히사가 사망하고 요시마사도 사망하면서 쇼군직이 공석이 되자 후계자 후보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엔토쿠 2년(1490년), 히노 도미코가 세이코에게 고카와 저택(小川殿)을 물려주려 하자, 아시카가 요시타네(이후 요시타네로 개명)의 부친 요시미가 이를 세이코를 쇼군으로 즉위시키려는 준비로 오해하고 고카와 저택을 파괴하였다.[12]

2. 2. 메이오 정변과 쇼군 취임

메이오 2년(1493년) 4월,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히노 도미코, 이세 사다무네 등은 메이오 정변을 일으켜 제10대 쇼군 요시키(요시타네)를 추방하고 세이코(清晃, 훗날의 요시즈미)를 쇼군으로 옹립하였다. 요시즈미는 숙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양자로서 제11대 쇼군으로 취임하였다.[12] 그러나 실권은 마사모토와 도미코, 사다무네가 쥐고 있었다.

아시카가 요시즈미 상 (古画類聚)


메이오 3년(1494년) 12월 27일, 쇼군 선하에 앞서 관례(元服) 의식이 거행되었는데, 이는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선례를 따랐다. 장소는 요시즈미가 거주하던 호소카와 마사모토의 저택이었고, 가관(加冠)은 마사모토, 이발(理髪)은 호소카와 나가쓰네(細川尚経), 타란(打乱)은 호소카와 마사카타(細川政賢), 신배(泔坏)는 호소카와 나가하루(細川尚春) 등 관례의 모든 역할을 호소카와 일문이 차지했다.[13] 마사모토는 의식에서 스스로 에보시(烏帽子)를 쓰는 것을 꺼려 당초 예정되었던 날짜에서 연기되기도 하고, 참석 예정자로부터 비난을 받는 등,[14] 마사모토의 독단적인 모습이 두드러졌다.[15]

도미코가 사망하고 요시즈미가 성장하면서, 스스로 정무를 보려 하자 마사모토와 대립하게 되었다. 분키 2년(1502년) 2월, 마사모토가 간레이직 사임 의사를 밝히고 단바국으로 낙향하자 요시즈미는 이를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그러자 같은 해 8월, 요시즈미는 교토 이와쿠라의 긴류지에 은거하였다.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이세 사다무네가 복귀를 탄원하자, 요시즈미는 측근 다케다 모토노부의 소반슈 등용과 교토에 머무르고 있던 요시키(요시타네)의 이복동생 기추(義忠)의 처형을 요구했고, 마사모토는 이를 인정했다.[17]

기추의 살해로 마사모토는 요시즈미를 대신할 쇼군 후보를 잃어 요시즈미를 폐위할 수 없게 되었다. 이후 당분간 요시즈미와 마사모토는 정치적으로 대립하면서도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다. 에이쇼 원년(1504년),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가신 셋쓰국 슈고다이 야쿠시지 모토카즈를 경질하려고 했을 때, 요시즈미가 마사모토에게 해임 중지를 명하기도 했다.[18]

2. 3. 호소카와 마사모토와의 갈등

메이오 2년(1493년),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히노 도미코, 이세 사다무네와 함께 메이오 정변을 일으켜 제10대 쇼군 요시키(요시타네)를 추방하고 요시즈미를 쇼군으로 옹립하였다.[12] 요시즈미는 숙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양자가 되어 제11대 쇼군이 되었으나, 실권은 마사모토와 도미코, 사다무네에게 있었다.

도미코가 사망한 후, 성장한 요시즈미는 직접 정무를 보려고 하면서 마사모토와 대립하였다. 분키 2년(1502년) 2월, 마사모토가 간레이직 사임 의사를 밝히고 단바국으로 낙향하자 요시즈미는 이를 만류하였으나 마사모토는 듣지 않았다. 같은 해 8월, 요시즈미는 교토 이와쿠라의 긴류지에 은거하였다.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이세 사다무네가 복귀를 요청하자, 요시즈미는 측근 다케다 모토노부를 소반슈로 등용하고, 교토에 머무르던 요시타네의 이복동생 기추를 처형할 것을 요구하여 이를 관철시켰다.

기추의 살해로 마사모토는 요시즈미를 대신할 쇼군 후보를 잃어 요시즈미를 폐위할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요시즈미와 마사모토는 정치적으로 대립하면서도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다. 에이쇼 원년(1504년),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가신 셋쓰국 슈고다이 야쿠시지 모토카즈를 경질하려고 하자, 요시즈미가 마사모토에게 해임 중지를 명하기도 했다.

2. 4. 에이쇼의 착란과 몰락

에이쇼 4년(1507년),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암살되고 호소카와 가문(細川氏) 본가의 가독을 둘러싼 내분이 발생하였다(에이쇼의 착란). 이듬해 4월, 전임 쇼군 요시타네를 옹립한 오우치 요시오키가 군을 이끌고 상락하자, 요시즈미는 롯카쿠 다카요리(六角高頼)를 의지하여 오미로 달아났다.[1] 그해 7월, 요시즈미는 쇼군 직에서 폐위되고, 요시타네가 쇼군으로 복위되었다.[1]

그 후, 요시즈미는 세력을 되찾고자 호소카와 스미모토(細川澄元)와 미요시 유키나가(三好之長)·미요시 나가히데(三好長秀) 부자에게 교토로 침공을 명하였으나, 호소카와 다카쿠니(細川高国)와 오우치 요시오키의 연합군에 패퇴하였다.[1] 또한, 요시타네의 암살도 꾀하였으나 이도 실패하였다.[1] 에이쇼 7년(1510년)에는 요시타네의 명을 받은 다카쿠니·요시오키가 요시즈미가 머물고 있는 오미로 침공해오자, 요시즈미는 오미 고쿠진을 규합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 나아가 요시즈미는 분고의 오우치 지카하루(大友親治)와 하리마의 아카마쓰 요시무라(赤松義村) 등에게 원조를 요청하는 밀서를 보내는 등 쇼군직 복위를 위하여 분투하였다.[1]

그러나, 에이쇼 8년 8월 14일(1511년 9월 6일), 요시즈미는 요시타네·다카쿠니·요시오키와의 결전(후네오카야마 전투(船岡山の戦い)) 직전에 오미에서 병사하였다.[1] 향년 32세.[1]

3. 연표


  • 메이오 2년(1493년) 4월 28일: 종오위하에 서임. 원복하고 '''요시히로(義遐)'''로 개명.[13]
  • 같은 해 6월 19일: '''요시타카(義高)'''로 개명.
  • 메이오 3년(1494년) 11월 24일: 정오위하에 서임. 좌마두에 임명.
  • 같은 해 12월 27일: 정이대장군에 임명.[13]
  • 분키 2년(1502년) 7월 12일: 종사위하에 서임. 참의에 임명. 좌근위중장 겸임.
  • 같은 해 7월 21일: '''요시즈미(義澄)'''로 개명.
  • 분키 3년(1503년) 1월 14일: 종삼위에 서임.
  • 에이쇼 5년(1508년) 4월 16일: 정이대장군, 참의, 좌근위중장에서 해임.
  • 에이쇼 8년(1511년) 8월 14일: 사망.
  • 에이쇼 18년(1521년) 8월 12일: 종일위·좌대신 추증.
  • 덴분 2년(1533년) 9월 12일: 태정대신 추증.

4. 가족 관계


  • 아버지: 아시카가 마사토모
  • 어머니: 무샤노코지 다카미쓰(武者小路隆光)의 딸
  • 양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마사
  • 양어머니: 히노 도미코
  • 부인: 히노 아키코(日野阿貴子)
  • 측실: 시바 요시히로(斯波義寛)의 딸 또는 롯카쿠 다카요리의 딸로 추정됨
  • 자녀:

\** 아시카가 요시하루 - 히노 아키코 소생

\** 아시카가 요시쓰나 - 시바 씨(斯波氏) 또는 롯카쿠 씨(六角氏)의 딸 소생

5. 요시즈미에게서 이름자(偏諱, 헨키)를 받은 인물

偏諱, 헨키일본어일본에서 귀족이나 무사 가문의 주군이 자신의 이름 중 한 글자를 가신에게 내려주는 것을 말한다. 아시카가 요시즈미에게서 헨키를 받은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호소카와 스미모토(細川澄元)
  • 호소카와 스미유키(細川澄之)
  • 호소카와 스미카타(細川澄賢)
  • 야마나 스미유키(山名澄之)

5. 1. 요시타카(義高) 시대

아시카가 다카모토(足利高基)

야나다 다카스케(簗田高助)

오야마 다카토모(小山高朝)

호소카와 다카쿠니(細川高国)

롯카쿠 다카요리(六角高頼)

교고쿠 다카키요(京極高清)

하타케야마 다카마사(畠山高政)

니키 다카나가(仁木高長)

오다치 다카노부(大館高信)

호소카와 다카히사(細川高久)

난부 다카노부(南部高信)

오사키 다카카네(大崎高兼)

5. 2. 요시즈미(義澄) 시대


  • 호소카와 스미모토(細川'''澄'''元)
  • 호소카와 스미유키(細川'''澄'''之)
  • 호소카와 스미카타(細川'''澄'''賢)
  • 야마나 스미유키(山名'''澄'''之)

6. 평가 및 기타

확실한 초상화는 전하지 않는다.[9] 다만 목상으로는 도지인상, 반나지상 등이 알려져 있다.

묘소는 불명확하지만, 야마나시현 후에후키시 아시카와정 우구스쿠에는 요시즈미의 묘라고 전해지는 오륜탑이 있다. 법호는 법주원전욱산도황(法住院殿旭山道晃)이다.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가모정 묘쿠다니에는 손자라고 여겨지는 아시카가 부마루(足利豊後守右門大夫源三位房丸, 아버지는 "요시즈미의 적남 아시카가 부고슈(豊後守) 요시노리(義範)"로 여겨지며, 부마루는 둘째 아들이라고 한다)가 떠돌다가 정착했다는 전승이 남아 있으며, 그 영령은 "부마루 대명신(房丸大明神)"으로서 받들어졌다. 현지에는 오늘날도 "부마루 신사(房丸神社)"가 있다. 또한, 묘쿠다니에서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동쪽에 있는 가모정 기타야마에 자리 잡은 류타 신사(竜田神社)는 부마루가 소장했던 보검이라고 여겨지는 명도 "류타마루(竜田丸)"를 신체로 삼고, 에도 시대 초기 간분 2년(1662년)에 건립되었다고 사전에 남아 있다.

요시즈미가 쇼군으로 있던 시대의 중요한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사건
1494년호소카와 마사모토가 요시즈미를 쇼군으로 임명하다.
1495년호조 소운이 오다와라를 함락시키다.
1500년고카시와바라가 즉위하다.



요시즈미가 쇼군이었던 시기는 다음과 같은 일본 연호(元号, ''nengō'')로 더 구체적으로 구분된다.[9]


  • 메이오(明応, ''Meiō'') (1492년–1501년)
  • 분키(文亀, ''Bunki'') (1501년–1504년)
  • 에이쇼(永正, ''Eishō'') (1504년–1521년)


요시즈미의 생애는 조선 전기의 정치적 혼란과 왕위 다툼, 특히 단종과 세조의 관계와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 이러한 비교는 한국 독자들이 요시즈미의 생애를 더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834
[2] 서적 Lessons from History: The Tokushi Yoron 1982
[3] 문서
[4] 서적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5] 문서
[6] 서적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7] 서적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8] 문서
[9] 서적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0] 서적 国史大辞典 https://dl.ndl.go.jp[...] 吉川弘文館 1925-02-25
[11]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 三省堂 2009
[12] 서적 足利将軍家の政治秩序と寺院 吉川弘文館 2022
[13] 문서 和長卿記 1492-12-27
[14] 문서 後法興院政家記/和長卿記 1492-12-21/1492-12-20
[15] 서적 在京大名細川京兆家の政治史的研究 思文閣出版 2014
[16] 서적 室町幕府の外様衆と奉公衆 同成社 2018
[17] 문서 後法興院記 1538-08-06
[18] 문서 後法興院記/実隆公記 1507-03-19/1507-03-21
[19] 서적 大内義興 戎光祥出版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