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좌대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대신은 일본 율령제 시대의 태정관(太政官)에서 우대신과 함께 정무를 담당하던 고위 관직이다. 다이호 율령 이전에는 아베노 우치마로, 고세노 도쿠타, 소가노 아카에, 타지히노 시마 등이 좌대신을 역임했으며, 율령제 하에서는 이시가미노 마로, 나가야 왕, 후지와라노 무치마로, 다치바나노 모로에 등이 좌대신을 지냈다. 또한, 후지와라노 후사사키, 아시카가 요시카즈, 아시카가 요시테루 등 생전에 좌대신 직을 역임하지 못했으나 사후 추증된 인물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율령관제 - 중납언
    중납언은 일본 율령제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이전까지 태정관에서 봉칙, 선지, 奏上을 담당하고 대신과 정무를 논의하던 고위 관직으로, 시대 변화에 따라 임명 조건과 정원이 변동되었으며 일본 정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의 율령관제 - 대납언
    대납언은 일본 율령제 하 태정관의 주요 구성원으로, 칙어 전달 및 의견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시대에 따라 위상 변화를 겪다 메이지 시대에 폐지되었지만 율령 정치 유지에 기여했다.
좌대신
개요
직책 종류태정관의 직책
일본어 명칭左大臣 (さだいじん, Sadaijin)
별칭左府 (사후, Safu)
左丞相 (사조쇼, Sajōshō)
左相国 (사쇼고쿠, Sashōkoku)
太傅 (타이호, Taiho)
상세 정보
역할태정관의 대신 중 하나로, 태정대신, 우대신, 내대신과 함께 국정을 총괄함.
정원1명
임명천황의 칙명에 의해 임명됨.
해임천황의 칙명에 의해 해임됨.
주요 업무국정 자문 및 결정
천황 보좌
태정관의 행정 총괄
특징태정대신이 공석일 경우, 직무 대행
우대신보다 상위 직책
무관 가문 출신도 임명 가능
역사702년 다이호 율령 반포와 함께 설치
헤이안 시대 이후, 섭정이나 관백이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짐
무로마치 시대 이후, 유명무실해짐
관련 직책태정대신
우대신
내대신
대납언
중납언
소납언
같이 보기
관련 항목일본의 역사
율령제
공경
겐지 이야기 (무라사키 시키부의 소설)
히나마쓰리
즈이신

2. 다이호 율령 이전의 좌대신

다이호 율령이 제정되기 이전에는 씨족 중심의 정치 체제였으며, 유력한 호족들이 좌대신에 임명되었다. 초기 좌대신으로는 아베노 우치마로, 코세노 토쿠타, 소가노 아카에, 타지히노 시마 등이 있다.[7]

2. 1. 초기 좌대신

(표시는 사망과 동일)비고재관 시의 천황아베노 우치마로고교쿠 천황 4년 6월 14일
(645년7월 12일)다이카 5년 3월 17일
(649년5월 3일)오오토리 대신고토쿠코세노 토쿠타다이카 5년 4월 20일
(649년6월 5일)사이메이 천황 4년 1월 13일
(658년2월 20일)사이메이소가노 아카에덴지 천황 10년 1월 5일
(671년2월 19일)덴무 천황 원년 8월 25일
(672년9월 22일)쿠라 대신덴지, 고분타지히노 시마몬무 천황 4년 8월 26일
(700년10월 12일)다이호 원년 7월 21일
(701년8월 29일)몬무


3. 다이호 율령·요로 율령에 근거한 좌대신

표시는 사망과 동일)비고재관 시의 천황이시가미노 마로와도 원년 3월 13일
708년4월 8일레이키 3년 3월 3일
717년4월 18일)모노노베 대신겐메이겐쇼나가야 왕신키 원년 2월 4일
724년3월 3일)신키 6년 2월 12일
729년3월 16일)사호 좌대신쇼무후지와라노 무치마로덴표 9년 7월 25일
737년8월 25일) 쇼무타치바나노 모로에덴표 15년 5월 5일
743년6월 1일)덴표 쇼호 8세 2월 2일
756년3월 7일)사이인 대신쇼무고켄후지와라노 나가테덴표 진고 2년 10월 20일
766년11월 26일호키 2년 2월 22일
771년3월 12일)나가오카 대신쇼토쿠고닌후지와라노 우오나텐오 원년 6월 27일
781년7월 22일)텐오 2년 6월 14일
782년7월 28일)카와베 대신칸무칸무후지와라노 타마로[7]엔랴쿠 2년
783년)엔랴쿠 2년 3월 19일
(783년4월 25일)미나부치 대신칸무후지와라노 후유츠구덴초 2년 4월 5일
825년4월 26일)덴초 3년 7월 24일
826년8월 30일)칸인 대신준나후지와라노 오구시덴초 9년 11월 2일
832년11월 27일)조와 10년 1월 18일
843년2월 20일)야마모토 대신닌묘닌묘미나모토노 마코토조와 11년 7월 2일
844년7월 20일닌주 4년 6월 13일
854년7월 11일)히가시산조 좌대신닌묘몬토쿠미나모토노 마코토사이코 4년 2월 19일
857년3월 18일)조간 10년 윤달 12월 28일
869년2월 13일)호쿠헤이 대신세이와세이와미나모토노 토오루조간 14년 8월 25일
872년10월 1일)칸표 7년 8월 25일
895년9월 17일)카와라 좌대신세이와요제이고코우다후지와라노 요세칸표 8년 7월 16일
896년8월 28일)칸표 8년 12월 28일
897년2월 3일)치시 대신우다후지와라노 토키히라쇼타이 2년 2월 14일
899년3월 29일엔기 9년 4월 4일
909년4월 26일)혼인 대신다이고후지와라노 타다히라엔초 2년 1월 22일
924년2월 29일)조헤이 6년 8월 19일
936년9월 7일)코이치조다이고스자쿠후지와라노 나카히라조헤이 7년 1월 22일
937년3월 6일)텐교 8년 9월 1일
945년10월 9일)비파 대신스자쿠후지와라노 사네요리텐랴쿠 원년 4월 26일
947년5월 19일고호 4년 12월 13일
968년1월 15일)오노미야무라카미레이제이미나모토노 타카아키라고호 4년 12월 13일
(968년 1월 15일)안나 2년 3월 26일
969년4월 15일)사이쿄레이제이후지와라노 모로타다안나 2년 3월 26일
(969년 4월 15일)안나 2년 10월 15일
(969년11월 27일)코이치조레이제이엔유후지와라노 아리히라안나 3년 1월 27일
970년3월 7일)테이로쿠 원년 10월 10일
(970년11월 11일)아와타엔유미나모토노 겐메이테이로쿠 2년 11월 2일
971년11월 22일)조겐 2년 4월 21일
977년5월 11일)미코사엔유후지와라노 요리타다조겐 2년 4월 24일
(977년5월 14일)텐겐 원년 10월 2일
978년11월 5일)산조엔유미나모토노 마사노부텐겐 원년 10월 2일
(978년 11월 5일)쇼랴쿠 4년 7월 26일
993년8월 16일)이치조, 타카츠카사엔유카산이치조미나모토노 시게노부쇼랴쿠 5년 8월 28일
994년10월 5일)초토쿠 원년 5월 8일
995년6월 8일)로쿠조이치조후지와라노 미치나가초토쿠 2년 7월 20일
996년8월 6일)초와 5년 12월 7일
1017년1월 7일)호조지, 미도이치조산조고이치조후지와라노 아키미츠초와 6년 3월 4일
(1017년4월 3일지안 원년 5월 25일
1021년7월 7일)호리카와고이치조후지와라노 요리미치지안 원년 7월 25일
(1021년9월 4일고헤이 3년 7월 17일
1061년8월 15일)우지고이치조고스자쿠고레이제이후지와라노 노리미치고헤이 3년 7월 17일
(1061년 8월 15일)엔큐 원년 8월 13일
1069년9월 1일)다이니조고레이제이고산조후지와라노 모로자네엔큐 원년 8월 22일
(1069년9월 10일에이호 3년 1월 19일
1083년2월 8일)쿄고쿠, 고우지고산조시라카와미나모토노 토시후사에이호 3년 1월 26일
(1083년2월 15일)호안 2년 2월 26일
1121년3월 16일)호리카와시라카와호리카와토바후지와라노 타다미치호안 3년 12월 17일
1123년1월 16일다이지 3년 12월 17일
1129년1월 9일)호쇼지토바스토쿠후지와라노 이에타다텐쇼 원년 12월 22일
1132년1월 12일호엔 2년 5월 12일
1136년6월 13일)카산인스토쿠미나모토노 아리히토호엔 2년 12월 9일
1137년1월 2일)큐안 3년 2월 3일
1147년3월 6일)하나조노스토쿠코노에후지와라노 요리나가큐안 5년 7월 28일
1149년9월 1일호겐 원년 7월 14일
1156년8월 1일)우지코노에고시라카와도쿠다이지 사네토시호겐 원년 9월 13일
(1156년9월 29일)호겐 2년 5월 30일
1157년7월 8일)도쿠다이지고시라카와후지와라노 이에토시호겐 2년 8월 19일
(1157년9월 24일에이랴쿠 원년 8월 11일
1160년9월 12일)큐조고시라카와니조코노에 모토자네에이랴쿠 원년 8월 11일
(1160년 9월 12일)초칸 2년 윤달 10월 17일
1164년12월 2일)로쿠조, 츄덴
코노에 가의 조상니조마츠도노 모토후사초칸 2년 윤달 10월 23일
(1164년12월 8일)닌안 원년 11월 4일
1166년11월 28일)나카야마, 보다이인니조로쿠조후지와라노 츠네무네닌안 원년 11월 11일
(1166년12월 5일분지 5년 2월 13일
1189년3월 1일)나카노미카도, 오이노미카도
아와 대신로쿠조다카쿠라안토쿠고토바도쿠다이지 사네사다분지 5년 7월 10일
(1189년8월 23일)켄큐 원년 7월 17일
1190년8월 19일)고도쿠다이지고토바산조 사네후사켄큐 원년 7월 17일
(1190년 8월 19일)켄큐 7년 3월 23일
1196년4월 23일)산조고토바카잔인 카네마사켄큐 9년 11월 14일
1198년12월 13일쇼지 원년 6월 22일
1199년7월 16일)카잔인고토바츠치미카도큐조 요시츠네쇼지 원년 6월 22일
(1199년 7월 16일)겐큐 원년 11월 16일
1204년12월 8일)나카노미카도, 고쿄고쿠츠치미카도코노에 이에자네겐큐 원년 12월 14일
1205년1월 5일)켄에이 2년 1월 30일
1207년2월 28일)이노쿠마츠치미카도후지와라노 타카타다켄에이 2년 2월 10일
(1207년3월 10일)켄랴쿠 원년 9월 22일
1211년10월 30일)다이가쿠지츠치미카도준토쿠큐조 요스케켄랴쿠 원년 10월 4일
(1211년11월 10일겐포 6년 11월 11일
1218년11월 30일)하치조준토쿠큐조 미치이에겐포 6년 12월 2일
(1218년12월 21일조큐 3년 10월
1221년10월)코묘봉지, 히가시야마준토쿠츄쿄고호리카와코노에 이에토오조큐 3년 윤달 10월 10일
(1221년11월 25일조오 3년 8월 11일
1224년9월 25일)코노에고호리카와도쿠다이지 키미츠구겐닌 원년 12월 25일
1225년2월 4일)카로쿠 3년 1월 21일
1227년2월 8일)노노미야고호리카와큐조 요리히라카로쿠 3년 4월 9일
(1227년5월 25일)칸키 3년 4월 18일
1231년5월 21일)다이고고호리카와큐조 노리자네칸키 3년 4월 26일
(1231년5월 29일분랴쿠 2년 3월 4일
1235년3월 24일)토인고호리카와시조코노에 카네츠구카테이 원년 10월 2일
(1235년11월 13일)카테이 4년 6월 18일
1238년7월 30일)오카야시조니조 요시자네카테이 4년 7월 20일
(1238년8월 31일겐겐 2년 6월 1일
1244년7월 7일)후코겐인
니조 가의 조상시조고사가이치조 사네츠구겐겐 2년 6월 13일
(1244년7월 19일)겐겐 4년 12월 14일
1247년1월 22일)엔묘지
이치조 가의 조상고사가고후카쿠사타카츠카사 카네히라겐겐 4년 12월 24일
(1247년2월 1일)켄초 4년 11월 3일
1252년12월 5일)쇼넨인
타카츠카사 가의 조상고후카쿠사니조 미치요시켄초 4년 11월(알수 없음)(결측)고후카쿠사


3. 1. 율령제 하의 좌대신

다이호령요로 율령에 따르면, 좌대신은 태정관의 최고 책임자로서 행정, 사법, 입법 등 국정 전반을 총괄했다.[7] 좌대신을 역임한 주요 인물과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취임사임비고재관 시의 천황
이시가미노 마로708년 4월 8일717년 4월 18일모노노베 대신겐메이, 겐쇼
나가야 왕724년 3월 3일729년 3월 16일사호 좌대신쇼무
타치바나노 모로에743년 6월 1일756년 3월 7일사이인 대신쇼무, 고켄
후지와라노 나가테766년 11월 26일771년 3월 12일나가오카 대신쇼토쿠, 고닌
후지와라노 우오나781년 7월 22일782년 7월 28일카와베 대신칸무
후지와라노 후유츠구825년 4월 26일826년 8월 30일칸인 대신준나
후지와라노 오구시832년 11월 27일843년 2월 20일야마모토 대신닌묘
미나모토노 마코토844년 7월 20일854년 7월 11일히가시산조 좌대신닌묘, 몬토쿠
미나모토노 마코토857년 3월 18일869년 2월 13일호쿠헤이 대신세이와
미나모토노 토오루872년 10월 1일895년 9월 17일카와라 좌대신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후지와라노 요세896년 8월 28일897년 2월 3일치시 대신우다
후지와라노 토키히라899년 3월 29일909년 4월 26일혼인 대신다이고
후지와라노 타다히라924년 2월 29일936년 9월 7일코이치조다이고, 스자쿠
후지와라노 나카히라937년 3월 6일945년 10월 9일비파 대신스자쿠
후지와라노 사네요리947년 5월 19일968년 1월 15일오노미야무라카미, 레이제이
미나모토노 타카아키라968년 1월 15일969년 4월 15일사이쿄레이제이
후지와라노 모로타다969년 4월 15일969년 11월 27일코이치조레이제이, 엔유
후지와라노 아리히라970년 3월 7일970년 11월 11일아와타엔유
미나모토노 겐메이971년 11월 22일977년 5월 11일미코사엔유
후지와라노 요리타다977년 5월 14일978년 11월 5일산조엔유
미나모토노 마사노부978년 11월 5일993년 8월 16일이치조, 타카츠카사엔유, 카산, 이치조
미나모토노 시게노부994년 10월 5일995년 6월 8일로쿠조이치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996년 8월 6일1017년 1월 7일호조지, 미도이치조, 산조, 고이치조
후지와라노 아키미츠1017년 4월 3일1021년 7월 7일호리카와고이치조
후지와라노 요리미치1021년 9월 4일1061년 8월 15일우지고이치조, 고스자쿠, 고레이제이
후지와라노 노리미치1061년 8월 15일1069년 9월 1일다이니조고레이제이, 고산조
후지와라노 모로자네1069년 9월 10일1083년 2월 8일쿄고쿠, 고우지고산조, 시라카와
미나모토노 토시후사1083년 2월 15일1121년 3월 16일호리카와시라카와, 호리카와, 토바
후지와라노 타다미치1123년 1월 16일1129년 1월 9일호쇼지토바, 스토쿠
후지와라노 이에타다1132년 1월 12일1136년 6월 13일카산인스토쿠
미나모토노 아리히토1137년 1월 2일1147년 3월 6일하나조노스토쿠, 코노에
후지와라노 요리나가1149년 9월 1일1156년 8월 1일우지코노에, 고시라카와
도쿠다이지 사네토시1156년 9월 29일1157년 7월 8일도쿠다이지고시라카와
후지와라노 이에토시1157년 9월 24일1160년 9월 12일큐조고시라카와, 니조
코노에 모토자네1160년 9월 12일1164년 12월 2일로쿠조, 츄덴
코노에 가의 조상
니조
마츠도노 모토후사1164년 12월 8일1166년 11월 28일나카야마, 보다이인니조, 로쿠조
후지와라노 츠네무네1166년 12월 5일1189년 3월 1일나카노미카도, 오이노미카도
아와 대신
로쿠조, 다카쿠라, 안토쿠, 고토바
도쿠다이지 사네사다1189년 8월 23일1190년 8월 19일고도쿠다이지고토바
산조 사네후사1190년 8월 19일1196년 4월 23일산조고토바
카잔인 카네마사1198년 12월 13일1199년 7월 16일카잔인고토바, 츠치미카도
큐조 요시츠네1199년 7월 16일1204년 12월 8일나카노미카도, 고쿄고쿠츠치미카도
코노에 이에자네1205년 1월 5일1207년 2월 28일이노쿠마츠치미카도
후지와라노 타카타다1207년 3월 10일1211년 10월 30일다이가쿠지츠치미카도, 준토쿠
큐조 요스케1211년 11월 10일1218년 11월 30일하치조준토쿠
큐조 미치이에1218년 12월 21일1221년 10월코묘봉지, 히가시야마준토쿠, 츄쿄, 고호리카와
코노에 이에토오1221년 11월 25일1224년 9월 25일코노에고호리카와
도쿠다이지 키미츠구1225년 2월 4일1227년 2월 8일노노미야고호리카와
큐조 요리히라1227년 5월 25일1231년 5월 21일다이고고호리카와
큐조 노리자네1231년 5월 29일1235년 3월 24일토인고호리카와, 시조
코노에 카네츠구1235년 11월 13일1238년 7월 30일오카야시조
니조 요시자네1238년 8월 31일1244년 7월 7일후코겐인
니조 가의 조상
시조, 고사가
이치조 사네츠구1244년 7월 19일1247년 1월 22일엔묘지
이치조 가의 조상
고사가, 고후카쿠사
타카츠카사 카네히라1247년 2월 1일1252년 12월 5일쇼넨인
타카츠카사 가의 조상
고후카쿠사


4. 증좌대신 (贈左大臣)

사후에 좌대신으로 추증된 인물 목록이다.

이름추증생전 관위전거·비고
京極 贈左大臣|교고쿠 증좌대신일본어[11](연월일 불명)『신요와카슈』. 남조에 의한 추증
正親町 実躬|오기마치 사네미츠일본어가에이 3년 (1850년 4월 16일)곤다이나곤·정사위『토키나리 경기』[11]


변경 사항 및 검토:1. llang 템플릿 적용: 원문에 있던 `...일본어` 형태를 `...일본어` 형태로 수정했습니다.

2. 표(Table) 문법 준수: `

` 형태로 표가 올바르게 시작하고 닫히는지 확인했습니다.

3. 중복 제거: 하위 섹션에 이미 모든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표의 틀만 남기고, 하위 섹션에 없는 '교고쿠 증좌대신' 정보만 추가했습니다.

4. 오탈자 및 번역: 눈에 띄는 오탈자나 번역 오류는 없었습니다.

5. 기타: 평어체, 본문만 출력, 한국어 사용 등 다른 지시사항도 모두 준수했습니다.

4. 1. 추증 좌대신

이름추증생전 관위전거·비고
藤原 房前|후지와라노 후사사키일본어덴표 9년 (737년 11월 3일)산기·정삼위『쇼쿠니혼기』[11]
藤原 種継|후지와라노 타네츠구일본어엔랴쿠 4년 (785년 10월 31일)주나곤·정삼위
藤原 内麻呂|후지와라노 우치마로일본어고닌 3년 (812년 11월 13일)우대신·종이위『니혼코키』[11]
藤原 緒 নিন|후지와라노 소닌일본어고닌 9년 (819년 1월 18일)우대신·종이위『니혼키랴쿠』[11]
藤原 長良|후지와라노 나가라일본어조간 19년 (877년 2월 15일)곤츄나곤·종이위『니혼 산다이 지츠로쿠』[11]
菅原 道真|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일본어쇼랴쿠 4년 (993년 7월 18일)우대신·종이위『쇼유키』[11]
藤原 長実|후지와라노 나가자네일본어큐안 2년 (1146년 11월 9일)곤츄나곤·정삼위『다이기』[11]
平 時信|타이라노 토키노부일본어닌안 3년 (1168년 8월 4일)효부곤다이후·정오위하『헤이한키』[11]
藤原 信隆|후지와라노 노부타카일본어(연월일 불명)슈리노다이후·정삼위『모로모리키』[11]
藤原 範季|후지와라노 노스에일본어겐랴쿠 원년 (1211년 7월 8일)히산기·종이위『타마쿠시게』[11]
平 親範|타이라노 치카노리일본어(연월일 불명)산기·정삼위『손비분먀쿠』[11]
源 宗宗|미나모토노 무네무네일본어니지 3년 (1242년 8월 8일)산기·정사위하『햐쿠렌쇼』[11]
四条 隆資|시조 타카스케일본어쇼헤이 11년 (1356년)경곤다이나곤·종일위『신요와카슈』[11]남조에 의한 추증
足利 高氏|아시카가 타카우지일본어엔분 3년 (1358년 7월 9일)곤다이나곤·정사위구칸쇼[11]무로마치 막부 초대 쇼군
足利 義詮|아시카가 요시아키라일본어조지 6년 (1368년 1월 20일)곤다이나곤·정사위『구칸쇼』[11]。무로마치 막부 2대 쇼군
姉小路 兼綱|칸에코지 카네츠나일본어오에이 16년 (1409년 11월 21일)준대신·종일위『쇼케덴』[11]
足利 満詮|아시카가 미츠아키라일본어오에이 25년 (1418년 6월 18일)곤다이나곤·종이위『칸몬니키』[11]。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츠의 아들
日野西 資国|히노니시 스케쿠니일본어(연월일 불명)준대신·정삼위『오시코지도 문서』[11]
足利 義勝|아시카가 요시카츠일본어카키츠 3년 (1443년 8월 18일)사츄조·종사위하『칸몬니키』[11]。무로마치 막부 7대 쇼군
庭田 経有|니와타 츠네아리일본어분안 원년 (1444년 5월 23일)우쇼쇼·종사위하『마스나가 경기』[11]
日野 重光|히노 시게미츠일본어분안 2년 (1445년 4월 16일)다이나곤·종일위『공경보임』[11]
万里小路 嗣房|마리기노코지 노부후사일본어쿄토쿠 2년 (1453년 11월 20일)다이나곤·종일위『칸푸키』[11]
足利 義和|아시카가 요시카즈일본어코쇼 3년 (1457년 3월 22일)산기·종사위하『무네카타 경기』[11]。무로마치 막부 5대 쇼군
足利 義澄|아시카가 요시즈미일본어에이쇼 18년 (1521년 9월 12일)산기·종삼위『스케사다 경기』[11]。무로마치 막부 11대 쇼군
甘露寺 経終|간슈지 교슈일본어다이에이 8년 (1528년 7월 20일)준대신·종일위『지츠타카 공기』[11]
足利 義晴|아시카가 요시하루일본어덴분 19년 (1550년 5월 23일)곤다이나곤·종삼위『고토기츠구 경기』[11]。무로마치 막부 12대 쇼군
日野 内光|히노 우치미츠일본어에이로쿠 2년 (1559년 3월 19일)곤다이나곤·정삼위『즈이코인기』[11]
足利 義輝|아시카가 요시테루일본어에이로쿠 8년 (1565년 7월 4일)산기·종사위하『고토기츠구 경기』[11]。무로마치 막부 13대 쇼군
甘露寺 晴資|간슈지 하루스케일본어게이초 4년 (1600년 1월 28일)곤다이나곤·종일위『조쿠시고쇼』[11]
園 基音|소노 모토토일본어쇼호 2년 (1645년 2월 9일)산기·종삼위『쇼케덴』[11]
園 基任|소노 모토히토일본어칸분 7년 (1667년 8월 24일)곤다이나곤·정사위『시게후사 스쿠네키』[11]
櫛笥 隆致|쿠시게 타카유키일본어칸분 7년 (1667년 9월 16일)사권츄조·종사위상『쇼케덴』[11]
正親町 実躬|오기마치 사네미츠일본어가에이 3년 (1850년 4월 16일)곤다이나곤·정사위『토키나리 경기』[11]


참조

[1] 서적 Kenkyusha's New Japanese-English Dictionary Kenkyusha Limited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1993
[3] 웹사이트 左大臣 https://web.archive.[...]
[4] 서적 Shin-meikai-kokugo-jiten Sanseido Co., Ltd. 1974
[5] 웹사이트 藤原道長はなぜ躍進?】摂関政治をわかりやすく説明する方法 https://www.juku.st/[...] Tomonokai 2015-07-19
[6] 웹사이트 NHK大河ドラマ「麒麟がくる」に登場 古い権威を無視し、あえて将軍にならなかった織田信長のリーダー論 https://www.itmedia.[...] IT Media 2020-01-18
[7] 문서 続日本紀
[8] 문서 公卿補任
[9] 문서 諸家伝
[10] 논문 足守木下家文書に残る三通の位記の再検討 2013-03
[11] 문서 新葉和歌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