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다이호 율령·요로 율령에 근거한 좌대신
(※표시는 사망과 동일)
비고 | 재관 시의 천황 | 이시가미노 마로 | 와도 원년 3월 13일 (708년4월 8일) | 레이키 3년 3월 3일※ (717년4월 18일) | 모노노베 대신 | 겐메이 |
겐쇼 |
나가야 왕 | 신키 원년 2월 4일 (724년3월 3일) | 신키 6년 2월 12일※ (729년3월 16일) | 사호 좌대신 | 쇼무 |
후지와라노 무치마로 | 덴표 9년 7월 25일※ (737년8월 25일) | | 쇼무 |
타치바나노 모로에 | 덴표 15년 5월 5일 (743년6월 1일) | 덴표 쇼호 8세 2월 2일 (756년3월 7일) | 사이인 대신 | 쇼무 |
고켄 |
후지와라노 나가테 | 덴표 진고 2년 10월 20일 (766년11월 26일) | 호키 2년 2월 22일※ (771년3월 12일) | 나가오카 대신 | 쇼토쿠 |
고닌 |
후지와라노 우오나 | 텐오 원년 6월 27일 (781년7월 22일) | 텐오 2년 6월 14일 (782년7월 28일) | 카와베 대신 | 칸무 |
칸무 |
후지와라노 타마로[7] | 엔랴쿠 2년 (783년) | 엔랴쿠 2년 3월 19일※ (783년4월 25일) | 미나부치 대신 | 칸무 |
후지와라노 후유츠구 | 덴초 2년 4월 5일 (825년4월 26일) | 덴초 3년 7월 24일※ (826년8월 30일) | 칸인 대신 | 준나 |
후지와라노 오구시 | 덴초 9년 11월 2일 (832년11월 27일) | 조와 10년 1월 18일 (843년2월 20일) | 야마모토 대신 | 닌묘 |
닌묘 |
미나모토노 마코토 | 조와 11년 7월 2일 (844년7월 20일) | 닌주 4년 6월 13일※ (854년7월 11일) | 히가시산조 좌대신 | 닌묘 |
몬토쿠 |
미나모토노 마코토 | 사이코 4년 2월 19일 (857년3월 18일) | 조간 10년 윤달 12월 28일※ (869년2월 13일) | 호쿠헤이 대신 | 세이와 |
세이와 |
미나모토노 토오루 | 조간 14년 8월 25일 (872년10월 1일) | 칸표 7년 8월 25일※ (895년9월 17일) | 카와라 좌대신 | 세이와 |
요제이 |
고코 |
우다 |
후지와라노 요세 | 칸표 8년 7월 16일 (896년8월 28일) | 칸표 8년 12월 28일 (897년2월 3일) | 치시 대신 | 우다 |
후지와라노 토키히라 | 쇼타이 2년 2월 14일 (899년3월 29일) | 엔기 9년 4월 4일※ (909년4월 26일) | 혼인 대신 | 다이고 |
후지와라노 타다히라 | 엔초 2년 1월 22일 (924년2월 29일) | 조헤이 6년 8월 19일 (936년9월 7일) | 코이치조 | 다이고 |
스자쿠 |
후지와라노 나카히라 | 조헤이 7년 1월 22일 (937년3월 6일) | 텐교 8년 9월 1일 (945년10월 9일) | 비파 대신 | 스자쿠 |
후지와라노 사네요리 | 텐랴쿠 원년 4월 26일 (947년5월 19일) | 고호 4년 12월 13일 (968년1월 15일) | 오노미야 | 무라카미 |
레이제이 |
미나모토노 타카아키라 | 고호 4년 12월 13일 (968년 1월 15일) | 안나 2년 3월 26일 (969년4월 15일) | 사이쿄 | 레이제이 |
후지와라노 모로타다 | 안나 2년 3월 26일 (969년 4월 15일) | 안나 2년 10월 15일※ (969년11월 27일) | 코이치조 | 레이제이 |
엔유 |
후지와라노 아리히라 | 안나 3년 1월 27일 (970년3월 7일) | 테이로쿠 원년 10월 10일※ (970년11월 11일) | 아와타 | 엔유 |
미나모토노 겐메이 | 테이로쿠 2년 11월 2일 (971년11월 22일) | 조겐 2년 4월 21일 (977년5월 11일) | 미코사 | 엔유 |
후지와라노 요리타다 | 조겐 2년 4월 24일 (977년5월 14일) | 텐겐 원년 10월 2일 (978년11월 5일) | 산조 | 엔유 |
미나모토노 마사노부 | 텐겐 원년 10월 2일 (978년 11월 5일) | 쇼랴쿠 4년 7월 26일 (993년8월 16일) | 이치조, 타카츠카사 | 엔유 |
카산 |
이치조 |
미나모토노 시게노부 | 쇼랴쿠 5년 8월 28일 (994년10월 5일) | 초토쿠 원년 5월 8일※ (995년6월 8일) | 로쿠조 | 이치조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 초토쿠 2년 7월 20일 (996년8월 6일) | 초와 5년 12월 7일 (1017년1월 7일) | 호조지, 미도 | 이치조 |
산조 |
고이치조 |
후지와라노 아키미츠 | 초와 6년 3월 4일 (1017년4월 3일) | 지안 원년 5월 25일※ (1021년7월 7일) | 호리카와 | 고이치조 |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 지안 원년 7월 25일 (1021년9월 4일) | 고헤이 3년 7월 17일 (1061년8월 15일) | 우지 | 고이치조 |
고스자쿠 |
고레이제이 |
후지와라노 노리미치 | 고헤이 3년 7월 17일 (1061년 8월 15일) | 엔큐 원년 8월 13일 (1069년9월 1일) | 다이니조 | 고레이제이 |
고산조 |
후지와라노 모로자네 | 엔큐 원년 8월 22일 (1069년9월 10일) | 에이호 3년 1월 19일 (1083년2월 8일) | 쿄고쿠, 고우지 | 고산조 |
시라카와 |
미나모토노 토시후사 | 에이호 3년 1월 26일 (1083년2월 15일) | 호안 2년 2월 26일 (1121년3월 16일) | 호리카와 | 시라카와 |
호리카와 |
토바 |
후지와라노 타다미치 | 호안 3년 12월 17일 (1123년1월 16일) | 다이지 3년 12월 17일 (1129년1월 9일) | 호쇼지 | 토바 |
스토쿠 |
후지와라노 이에타다 | 텐쇼 원년 12월 22일 (1132년1월 12일) | 호엔 2년 5월 12일 (1136년6월 13일) | 카산인 | 스토쿠 |
미나모토노 아리히토 | 호엔 2년 12월 9일 (1137년1월 2일) | 큐안 3년 2월 3일 (1147년3월 6일) | 하나조노 | 스토쿠 |
코노에 |
후지와라노 요리나가 | 큐안 5년 7월 28일 (1149년9월 1일) | 호겐 원년 7월 14일※ (1156년8월 1일) | 우지 | 코노에 |
고시라카와 |
도쿠다이지 사네토시 | 호겐 원년 9월 13일 (1156년9월 29일) | 호겐 2년 5월 30일 (1157년7월 8일) | 도쿠다이지 | 고시라카와 |
후지와라노 이에토시 | 호겐 2년 8월 19일 (1157년9월 24일) | 에이랴쿠 원년 8월 11일 (1160년9월 12일) | 큐조 | 고시라카와 |
니조 |
코노에 모토자네 | 에이랴쿠 원년 8월 11일 (1160년 9월 12일) | 초칸 2년 윤달 10월 17일 (1164년12월 2일) | 로쿠조, 츄덴 코노에 가의 조상 | 니조 |
마츠도노 모토후사 | 초칸 2년 윤달 10월 23일 (1164년12월 8일) | 닌안 원년 11월 4일 (1166년11월 28일) | 나카야마, 보다이인 | 니조 |
로쿠조 |
후지와라노 츠네무네 | 닌안 원년 11월 11일 (1166년12월 5일) | 분지 5년 2월 13일 (1189년3월 1일) | 나카노미카도, 오이노미카도 아와 대신 | 로쿠조 |
다카쿠라 |
안토쿠 |
고토바 |
도쿠다이지 사네사다 | 분지 5년 7월 10일 (1189년8월 23일) | 켄큐 원년 7월 17일 (1190년8월 19일) | 고도쿠다이지 | 고토바 |
산조 사네후사 | 켄큐 원년 7월 17일 (1190년 8월 19일) | 켄큐 7년 3월 23일 (1196년4월 23일) | 산조 | 고토바 |
카잔인 카네마사 | 켄큐 9년 11월 14일 (1198년12월 13일) | 쇼지 원년 6월 22일 (1199년7월 16일) | 카잔인 | 고토바 |
츠치미카도 |
큐조 요시츠네 | 쇼지 원년 6월 22일 (1199년 7월 16일) | 겐큐 원년 11월 16일 (1204년12월 8일) | 나카노미카도, 고쿄고쿠 | 츠치미카도 |
코노에 이에자네 | 겐큐 원년 12월 14일 (1205년1월 5일) | 켄에이 2년 1월 30일 (1207년2월 28일) | 이노쿠마 | 츠치미카도 |
후지와라노 타카타다 | 켄에이 2년 2월 10일 (1207년3월 10일) | 켄랴쿠 원년 9월 22일 (1211년10월 30일) | 다이가쿠지 | 츠치미카도 |
준토쿠 |
큐조 요스케 | 켄랴쿠 원년 10월 4일 (1211년11월 10일) | 겐포 6년 11월 11일※ (1218년11월 30일) | 하치조 | 준토쿠 |
큐조 미치이에 | 겐포 6년 12월 2일 (1218년12월 21일) | 조큐 3년 10월 (1221년10월) | 코묘봉지, 히가시야마 | 준토쿠 |
츄쿄 |
고호리카와 |
코노에 이에토오 | 조큐 3년 윤달 10월 10일 (1221년11월 25일) | 조오 3년 8월 11일※ (1224년9월 25일) | 코노에 | 고호리카와 |
도쿠다이지 키미츠구 | 겐닌 원년 12월 25일 (1225년2월 4일) | 카로쿠 3년 1월 21일 (1227년2월 8일) | 노노미야 | 고호리카와 |
큐조 요리히라 | 카로쿠 3년 4월 9일 (1227년5월 25일) | 칸키 3년 4월 18일 (1231년5월 21일) | 다이고 | 고호리카와 |
큐조 노리자네 | 칸키 3년 4월 26일 (1231년5월 29일) | 분랴쿠 2년 3월 4일 (1235년3월 24일) | 토인 | 고호리카와 |
시조 |
코노에 카네츠구 | 카테이 원년 10월 2일 (1235년11월 13일) | 카테이 4년 6월 18일 (1238년7월 30일) | 오카야 | 시조 |
니조 요시자네 | 카테이 4년 7월 20일 (1238년8월 31일) | 겐겐 2년 6월 1일 (1244년7월 7일) | 후코겐인 니조 가의 조상 | 시조 |
고사가 |
이치조 사네츠구 | 겐겐 2년 6월 13일 (1244년7월 19일) | 겐겐 4년 12월 14일 (1247년1월 22일) | 엔묘지 이치조 가의 조상 | 고사가 |
고후카쿠사 |
타카츠카사 카네히라 | 겐겐 4년 12월 24일 (1247년2월 1일) | 켄초 4년 11월 3일 (1252년12월 5일) | 쇼넨인 타카츠카사 가의 조상 | 고후카쿠사 |
니조 미치요시 | 켄초 4년 11월 | (알수 없음) | (결측) | 고후카쿠사 |
3. 1. 율령제 하의 좌대신
다이호령과 요로 율령에 따르면, 좌대신은 태정관의 최고 책임자로서 행정, 사법, 입법 등 국정 전반을 총괄했다.[7] 좌대신을 역임한 주요 인물과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