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글라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글라과는 아이글라상과에 속하는 갑각류 과로, 아이글라속을 유일한 현존하는 속으로 포함하며 약 74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갯가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잡식성으로 식물성 물질을 선호하지만 곤충, 연체동물 등도 섭취한다. 아이글라과는 브라질을 중심으로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며, 멸종된 하우무리아이글라속과 프로타이글라속도 포함한다. 아이글라과는 약 7,500만 년 전 해양 환경에서 기원하여 올리고세 동안 남아메리카의 담수 환경으로 진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드와이트 대너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닷가재
바닷가재는 집게발을 가진 바닷가재과의 갑각류로, 단단한 외골격, 푸른색 피, 긴 수명, 다양한 해저 서식지, 잡식성 특징을 가지며 식용으로 활용되지만 종교적으로 금기시되기도 하고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54종이 알려져 있다. - 제임스 드와이트 대너가 명명한 분류군 - 가시발새우상과
가시발새우상과는 가시발새우과를 포함하는 갑각류 상과로, 현존하는 가시발새우과와 멸종된 키레노포베리다에과, 프로타스타키다에과, 스테노키리다에과를 포함한다. - 집게하목 - 클리바나리우스
클리바나리우스는 60종가량의 게과에 속하는 종이며, 일부 종은 과거에 이 속에 속했지만 현재는 다른 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집게하목 - 새우붙이상과
새우붙이상과는 갯벌, 산호초, 심해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6개의 다리, 긴 촉각, 몸 아래로 말린 배를 가진 갑각류 상과로, 뿔조개집게과, 무니돕시스과, 게붙이과, 새우붙이과 등을 포함한다.
아이글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명 | Aeglidae |
명명자 | Dana, 1852 |
상위 분류군 | 이형하목 집게하목 |
속 | Aegla Leach, 1820 "Haumuriaegla" Feldmann, 1984 "Protaegla" Feldmann et al., 1998 |
특징 | |
서식지 | 민물 |
분포 | 남아메리카 |
2. 형태
아이글리드는 갯가재와 유사하게 복부가 흉부 아래로 부분적으로 접혀 있다. 복부의 두드러진 성적 이형성은 수정된 알을 부속지에 싣는 행동과 관련이 있다.[3] 가장 큰 종의 갑각 길이는 6cm에 달하지만, 대부분은 훨씬 작다.[8]
아이글리드는 잡식성이며, 식물성 물질을 선호하지만 성체 곤충, 연체동물, 물고기, 파리 유충 등도 먹는다.[17] 구애 기간을 거친 후 짝짓기를 하며, 이는 다른 많은 십각류와는 달리 탈피와 일치하지 않는다.[6][18] 아이글리드의 알은 성체와 매우 유사한 유생으로 부화하며, 부모의 보살핌을 받으며 물속 바닥에서 산다.[7][19]
아이글라과(Aeglidae)는 아이글라상과(Aegloidea)의 유일한 과이다. 현존하는 속은 아이글라속(''Aegla'')이 유일하며, 약 74종이 알려져 있다.[12] 멸종된 속으로는 하우무리아이글라속(''Haumuriaegla'')과 프로타이글라속(''Protaegla'')이 있다.
내부 해부학은 ''Aegla cholchol''에 대해 설명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이형갑각류, 특히 갈라테오이데아에 속하는 갯가재와 유사하다. 형태학적 측면에서 더듬이 선낭의 방광 형태는 담수 생활 방식에 대한 적응으로 해석되는 꼬인 관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이형갑각류와 다릅니다.[5]
3. 생태
4. 분류
아이글라속(''Aegla'')은 과 내 유일한 현존하는 속으로, 브라질에서 42종이 발견되며, 모두 브라질의 남부 및 동남부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히우그란지두술주/Rio Grande do Sulpt에만 24종이 서식한다).[12] 이 외에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에서도 종이 발견된다.[8]
2008년까지 기재된 63종과 아종 중 2종은 호수에서, 4종은 동굴에서 발견되며, 나머지 57종은 주로 강에서 발견된다.[8] 3분의 1이 넘는 종이 위협받는 것으로 여겨지며,[8] 브라질에서만 26종이 공식적으로 위협받는 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8종의 심각한 위협 종이 포함된다.[9]
아이글라속은 크게 5개의 분기도로 나뉘며, 대략 분포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23][24]
그 외에 다음 종이 있다.
다음 두 종은 야생 절멸 상태로 간주된다.
† 하우무리아이글라속(''Haumuriaegla'') Feldmann, 1984
† 프로타이글라속(''Protaegla'') Feldmann ''et al.'', 1998
4. 1. 현존 분류군 (아이글라속)
아이글라속(''Aegla'')은 아이글라과의 유일한 현존 분류군이다.[12] 2013년 기준으로 약 74종이 알려져 있으며,[12] 브라질에 42종이 분포하고, 그 외에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에서도 발견된다.[8] 브라질에서는 히우그란지두술주에만 24종이 서식한다.[12]
2008년까지 기재된 63종과 아종(亞種) 중 2종은 호수에서, 4종은 동굴에서 발견되며, 나머지 57종은 주로 강에서 발견된다.[8] 3분의 1이 넘는 종이 위협받는 것으로 여겨지며,[8] 브라질에서만 26종이 공식적으로 위협받는 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8종의 심각한 위협 종이 포함된다.[9]
아이글라속은 크게 5개의 분기도로 나뉘며, 이는 대략적인 분포역과 일치한다.[22][23][24]
아이글라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10][11][12]
アイグラ属일본어의 종은 5개의 분기도로 나뉜다.
다음 두 종은 야생 절멸 상태로 간주된다.4. 2. 멸종 분류군
''Haumuriaegla glaessneri''는 뉴질랜드의 체비엇/Cheviot, New Zealand영어 인근 하우무리안(Haumurian, 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되었다[25]. 처음 발견된 화석 종이며, 발견 당시 유일한 해양 종이었다.
''Protaegla miniscula''는 멕시코의 테페시 데 로드리게스/Tepexi de Rodríguez (municipality)영어 인근 Tlayúa Formation(알비절기, 백악기 전기)에서 발견되었다[26].
4. 2. 1. 하우무리아이글라속 (''Haumuriaegla'')
''Haumuriaegla glaessneri''는 뉴질랜드 체비엇 부근에서 발견된 후기 백악기 시대(하우리아 시대)의 화석으로만 알려진 종이다.[13] 발견 당시, ''Haumuriaegla''는 해당 과의 유일한 화석이자 유일한 해양 생물이었다.
4. 2. 2. 프로타이글라속 (''Protaegla'')
''프로타에글라 미니스쿨라''(Protaegla miniscula)는 멕시코 테페시데로드리게스 근처 틀라유아 지층의 알비안 시대 암석에서 발견되었다.[14]
5. 진화
아이글라과는 약 7,500만 년 전 해양 환경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며,[8] 이후 올리고세 동안 태평양 쪽에서 남아메리카로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8] 본과는 약 7,500만 년 전에 바다에서 진화했으며[20], 올리고세에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에서 담수 환경으로 진출한 것으로 여겨진다.[20]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Clibanarius fonticola'', new species (Anomura: Paguridea: Diogenidae), from a fresh-water pool on Espiritu Santo, Vanuatu"
[2]
논문
Endemic and enigmatic: the reproductive biology of ''Aegla'' (Crustacea: Anomura: Aeglidae) with observations on sperm structure
https://web.archive.[...]
2010-03-10
[3]
논문
Population biology of the freshwater anomuran ''Aegla longirostri'' (Aeglidae) from South Brazilian streams
[4]
논문
Natural diet of the freshwater anomuran ''Aegla longirostri'' (Crustacea, Anomura, Aeglidae)
[5]
논문
Revealing their innermost secrets: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the disparity of the organ systems in anomuran crabs (Crustacea: Decapoda: Anomura)
https://web.archive.[...]
2016-12-08
[6]
논문
Mating behavior of ''Aegla platensis'' (Crustacea, Anomura, Aegl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7]
서적
The Middle Paraná River: Limnology of a Subtropical Wetland
https://archive.org/[...]
Springer
[8]
논문
Global diversity of crabs (Aeglidae: Anomura: Decapoda) in freshwater
[9]
웹사이트
Portaria MMA nº 445, de 17 de dezembro de 2014
http://www.icmbio.go[...]
ICMBio
[10]
논문
Annotated checklist of anomuran decapod crustaceans of the world (exclusive of the Kiwaoidea and families Chirostylidae and Galatheidae of the Galatheoidea). Part III – Aegloidea
https://web.archive.[...]
2010-11-04
[11]
논문
Three new species of ''Aegla'' (Anomura) freshwater crabs from the upper Uruguay River hydrographic basin in Brazil
[12]
논문
New species and records of the genus ''Aegla'' Leach, 1820 (Crustacea, Anomura, Aeglidae) from the West-Central region of Rio Grande do Sul, Brazil
[13]
논문
"''Haumuriaegla glaessneri'' n. gen. and sp. (Decapoda; Anomura; Aeglidae) from Haumurian (Late Cretaceous) rocks near Cheviot, New Zealand"
[14]
논문
Early Cretaceous arthropods from the Tlayúa Formation at Tepexi de Rodríguez, Puebla, Mexico
[15]
논문
Endemic and enigmatic: the reproductive biology of ''Aegla'' (Crustacea: Anomura: Aeglidae) with observations on sperm structure
http://museumvictori[...]
[16]
논문
Population biology of the freshwater anomuran ''Aegla longirostri'' (Aeglidae) from South Brazilian streams
[17]
논문
Natural diet of the freshwater anomuran ''Aegla longirostri'' (Crustacea, Anomura, Aeglidae)
[18]
논문
Mating behavior of ''Aegla platensis'' (Crustacea, Anomura, Aegl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19]
서적
The Middle Paraná River: Limnology of a Subtropical Wetland
Springer
[20]
논문
Global diversity of crabs (Aeglidae: Anomura: Decapoda) in freshwater
[21]
논문
Estimating the population size of ''Aegla franca'' (Decapoda: Anomura: Aeglidae) by mark–recapture technique from an isolated section of Barro Preto stream, county of Claraval, state of Minas Gerais, southeastern Brazil
[22]
논문
Molecular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the southern South American freshwater “crabs” Aegla (Decapoda: Anomura: Aeglidae) using multiple heuristic tree search approaches
[23]
논문
Annotated checklist of anomuran decapod crustaceans of the world (exclusive of the Kiwaoidea and families Chirostylidae and Galatheidae of the Galatheoidea). Part III – Aegloidea
http://rmbr.nus.edu.[...]
[24]
논문
Three new species of ''Aegla'' (Anomura) freshwater crabs from the upper Uruguay River hydrographic basin in Brazil
[25]
논문
"''Haumuriaegla glaessneri'' n. gen. and sp. (Decapoda; Anomura; Aeglidae) from Haumurian (Late Cretaceous) rocks near Cheviot, New Zealand"
[26]
논문
Early Cretaceous arthropods from the Tlayúa Formation at Tepexi de Rodríguez, Puebla, Mexico
[27]
논문
"''Clibanarius fonticola'', new species (Anomura: Paguridea: Diogenidae), from a fresh-water pool on Espiritu Santo, Vanuat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