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훈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훈 조약은 1858년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러시아가 제2차 아편 전쟁 중 청나라의 혼란을 틈타 아무르강 북쪽 지역을 획득하고, 우수리강 동쪽 지역을 공동 관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아무르강 좌안과 우수리강 동쪽의 연해주를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상실했으며, 이는 19세기 청나라가 맺은 불평등 조약 중 하나로 평가된다. 조약 체결 과정에서 러시아는 무력 시위를 통해 청나라를 압박했고, 이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아이훈 조약의 내용을 확정했다. 아이훈 조약은 현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선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화권에서는 불평등 조약으로 인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5월 - 메르데 시그너스 학살
    1858년 5월 19일, 찰스 해밀턴이 이끄는 친노예주의자들이 캔자스주 트레이딩 포스트 근처에서 자유주 지지자 5명을 살해한 마레 데 시그네 학살은 "피 흘리는 캔자스" 시대의 폭력적인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현재 학살 현장은 기념 공원 및 국가 사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 1858년 중국 - 톈진 조약
    톈진 조약은 제2차 아편전쟁 후 1858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과 맺은 불평등 조약으로, 전쟁 배상, 외교관 주재, 외국인 여행 및 무역 자유, 기독교 포교 자유, 10개 항구 개방 등을 규정했으나 청의 반발로 즉시 시행되지 못하고 베이징 조약에서 재확인 및 추가 조항이 더해져 중국 근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58년 중국 - 제2차 아편 전쟁
    제2차 아편 전쟁은 1856년부터 1860년까지 영국과 프랑스가 아편 무역 합법화와 무역 확대를 목표로 청나라를 상대로 일으킨 전쟁으로, 애로호 사건을 빌미 삼아 톈진 조약을 체결하게 했고, 청나라는 서구 열강에 더 많은 이권을 양도하며 문화적 손실을 겪었다.
아이훈 조약
조약 정보
이름아이군 조약
원어 이름중국어 간체: 瑷珲条约
중국어 정체: 璦琿條約
병음Àihún tiáoyuē
러시아어Айгунский договор
러시아어 음역Aygunskiy dogovor
서명일1858년 5월 28일
서명 장소아이군, 만주, 중국
서명 당사자이샨
니콜라이 무라비요프
참여국중국
러시아
언어러시아어
만주어
몽골어
시각 자료
19세기 중국-러시아 국경 변화. 아이군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된 영토는 노란색으로 표시됨.
19세기 중국-러시아 국경 변화. 아이군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된 영토는 노란색으로 표시됨.
조약 내용
주요 내용아무르강 좌안을 러시아가 획득
우스리강 이동의 외만주 (현재의 연해주)는 양국의 공동 관리지가 됨.
청은 러시아에 아무르강의 항행권을 인정
결과러시아는 약 의 영토를 획득

2. 배경

러시아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1856년~1860년) 중인 것을 기회로 삼아, 청나라의 전권대사 이산을 협박하여 이 조약을 맺게 하였다.[1]

이 조약은 1689년의 네르친스크 조약을 뒤집은 것으로, 러시아 제국은 이 조약을 통해 청나라로부터 스타노보이산맥(외싱안링산맥)과 아무르강(헤이룽강) 사이의 넓은 지역을 빼앗아 시베리아에서 농사가 가능한 60만km2(한반도 면적의 약 3배)의 땅을 확보하고[10][11] 태평양으로 나아가는 부동항(블라디보스토크)을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예카테리나 2세 (1762–1796) 통치 이후 러시아 황제들은 러시아를 태평양의 해상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들은 캄차카 반도를 합병하고 1740년에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 해군 전초 기지를 건설했으며, 러시아령 아메리카아무르강 유역 근처에 해군 전초 기지를 건설하고, 러시아인들의 이주를 장려하며, 아무르 지역에서 강력한 군사력을 점차적으로 발전시켜 목표를 달성해 나갔다.

1850년부터 1864년까지 중국이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크게 관여하고 있었고, 극동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가 수만 명의 군대를 몽골만주 국경에 주둔시켜 과거 정착을 통해 아무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사실상 지배권을 합법화할 준비를 했다. 중국이 제2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할 것이 확실해지자 무라비요프는 기회를 포착하여 중국에 제2 전선에서의 전쟁을 위협했다.[1] 청나라는 러시아와 협상에 들어갈 것에 동의했다.[4]

1851년에 일어난 태평천국의 난1856년부터 1860년까지 이어진 애로 전쟁 등, 아편 전쟁 (1840년~1842년) 이후 청나라 내부의 혼란을 틈타, 러시아 제국의 동시베리아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는 정박 중인 러시아 군함에서 총포를 난사하며 조약에 서명하지 않으면 무력으로 흑룡강 좌안의 만주인을 몰아내겠다고 협박하여 청나라 전권대신 奕山|이산중국어에게 조약을 승인받았다.

오른쪽의 옅은 적색이 외만주, 외만주의 북쪽이 네르친스크 조약에 의한 청·러시아의 국경, 외만주의 남쪽이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에 의한 청·러시아의 국경

3. 체결 과정

1851년에 일어난 태평천국의 난1856년부터 1860년에 걸친 애로 전쟁 등,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 내부 혼란을 틈타 러시아 제국의 동시베리아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는 정박 중인 러시아 군함에서 총포를 난사하며 조인하지 않으면 무력으로 흑룡강 좌안의 만주인을 몰아내겠다고 협박하였다. 이러한 위협을 통해 청나라 전권대신 이산에게 조약을 승인받았다.[8]

무라비요프와 이산은 해당 지역의 군사 지휘관이었으며, 1858년 5월 28일 아이훈에서 조약을 체결했다. 청나라는 처음에는 조약 비준을 거부하고 조약의 무효를 주장했지만, 1860년 중-러 베이징 조약을 통해 아이훈 조약을 통해 러시아가 얻은 영토를 확정하고, 프리모르예와 우수리 지역을 러시아에 양도했다.

4. 주요 내용

5. 결과 및 영향

러시아 제국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1856년~1860년) 중인 틈을 타 청나라 전권대사 이산을 협박하여 이 조약을 맺게 하였다.

이 조약으로 1689년의 네르친스크 조약이 뒤집혔고, 러시아는 스타노보이산맥(외싱안링산맥)과 아무르강(헤이룽강) 사이의 넓은 지역을 확보하여 시베리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농사가 가능한 600000km2(한반도 면적의 약 3배)의 땅을 얻고,[10][11] 태평양으로 향하는 부동항(블라디보스토크) 확보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청나라강동육십사둔을 제외한 아무르강 이북 지역을 러시아에 내주었다. 청은 조약 승인 후 곧 부인하였으나, 1860년 베이징 조약에서 아이훈 조약 내용을 재확인하고 우수리강 동쪽 연해주마저 러시아에 넘겨주면서 동해 접근이 막혔다.

아이훈 조약으로 러시아와 청 사이에는 아무르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이 설정되었다. (강 동쪽 64개 촌락의 중국인과 만주족 주민은 만주 정부 관할 하에 남았다.)

현재 러시아와 중국 극동부 국경선은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확정된 것이 기본이나, 이후 하천 유로 변화로 중소 국경 분쟁 등 양국 대립의 원인이 되었다. 2004년에야 국경 전체 획정이 완료되었다.

2024년 9월, 중화민국(대만) 라이칭더 총통은 중국의 대만 영유권 주장이 영토 보전을 위한 것이라면, 19세기 중국 왕조가 러시아에 넘겨준 영토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 조약을 언급했다.[7]

5. 1. 청나라의 영토 상실

러시아 제국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1856년 - 1860년) 중인 것을 기회로 삼아 청나라의 전권대사 이산을 협박하여 아이훈 조약을 맺게 하였다. 이 조약은 1689년의 네르친스크 조약을 뒤집은 것으로, 러시아는 이 조약을 통해 청나라로부터 스타노보이산맥(외싱안링산맥)과 아무르강(헤이룽강, 黑龍江) 사이의 넓은 지역을 빼앗았다. 이로써 러시아는 시베리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농사가 가능한 600000km2(한반도 면적의 약 3배)의 땅을 확보하고,[10][11] 태평양으로 향하는 부동항(블라디보스토크)을 확보할 발판을 마련하였다.

아이훈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8][9]

이 조약으로 청나라강동육십사둔을 제외한 아무르강 이북 지역을 전부 러시아에 내주었다. 청나라 정부는 이 조약을 승인했다가 얼마 뒤 부인하였으나, 2년 뒤인 1860년에 체결된 베이징 조약에서 아이훈 조약의 내용을 재확인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수리강 동쪽인 연해주마저 러시아 영토로 내주면서 동해가 막히게 되었다.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청나라가 열강과 맺을 수밖에 없었던 불평등 조약 중 하나로, 1920년대 중국 민족주의가 부상한 이후 이 조약은 불평등 조약으로 비난받아 왔다.[6]

5. 2. 러시아의 동진(東進) 정책 강화

러시아청나라1856년부터 1860년까지 제2차 아편 전쟁을 치르는 틈을 타서 청나라 전권대사 이산을 협박하여 이 조약을 맺게 하였다.[1]

1851년에 일어난 태평천국의 난1856년부터 1860년에 걸친 애로 전쟁 등, 아편 전쟁 (1840년 - 1842년) 이후의 청나라 내부 혼란을 틈타 러시아 제국의 동시베리아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는 정박 중인 러시아 군함에서 총포를 난사하며 조약에 서명하지 않으면 무력으로 흑룡강(아무르강) 좌안의 만주족을 몰아내겠다고 협박했고, 청나라 전권대신 奕山|이산|en|Yishan (official)중국어에게 승인받았다.

예카테리나 2세 (1762–1796) 치세 이후 러시아 황제들은 러시아를 태평양의 해상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들은 캄차카 반도를 합병하고 1740년에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 해군 전초 기지를 건설했으며, 러시아령 아메리카아무르강 유역 근처에 해군 전초 기지를 건설하고, 러시아인들의 이주를 장려하고, 아무르 지역에서 강력한 군사적 존재감을 서서히 발전시키면서 점차적으로 목표를 달성했다.

1850년부터 1864년까지 중국이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크게 관여하고 있었고, 극동 총독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가 수만 명의 군대를 몽골만주 국경에 주둔시켜 과거 정착을 통해 아무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사실상 지배권을 합법화할 준비를 했다. 중국이 제2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할 것이 확실해지자 무라비요프는 기회를 포착하여 중국에 제2 전선에서의 전쟁을 위협했다.[1] 청나라는 러시아와 협상에 들어갈 것에 동의했다.[4]

5. 3. 한국에 미친 영향

아이훈 조약으로 청나라강동육십사둔을 제외한 아무르강 이북 지역을 전부 러시아에 내주었다. 청나라는 이 조약을 승인했다가 얼마 뒤 부인하였으나, 2년 뒤인 1860년 베이징 조약에서 아이훈 조약 내용을 재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우수리강 동쪽 연해주마저 러시아에 내주면서 동해가 막혔다.

5. 4. 중화권의 인식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청나라가 열강과 맺을 수밖에 없었던 불평등 조약 중 하나로 인식된다.[6] 특히 1920년대 중국 민족주의가 부상한 이후 이러한 인식이 강해졌다.

2024년 9월, 중화민국(대만)의 라이칭더 총통은 중국의 대만 영유권 주장이 영토 보전을 위한 것이라면, 19세기 마지막 중국 왕조가 러시아에 넘겨준 영토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 조약을 언급했다.[7]

6. 현대의 국경선

현재의 러시아 연방과 중국 극동부의 국경선은 이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확정된 것이 기본이 되었지만, 그 후 하천의 유로 변화로 인해 중소 국경 분쟁 등 양국의 대립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2004년에 비로소 국경 전체의 획정이 완료되었다.

참조

[1] 뉴스 Russia and China end 300 year old border dispute http://news.bbc.co.u[...] BBC News 1997-11-10
[2] 서적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s, power, and prima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Taylor & Francis
[4] 서적 China and international law: the boundary dispu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 뉴스 The Sino-Soviet Border Talks http://www.osaarchiv[...]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1969-06-26
[6] 웹사이트 Treaty of Aigun https://www.britanni[...] 2021-05-12
[7] 뉴스 If China wants Taiwan it should also take back land from Russia, president says https://www.reuters.[...] 2024-09-02
[8] 웹사이트 1858. Айгунский договор между Россией и Китаем о границах и взаимной торговле http://www.oldchita.[...] 2022-05-28
[9] Kotobank 愛琿条約 2022-05-28
[10] 서적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s, power, and primacy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China and international law: the boundary disputes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