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차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차산성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와 경기도 구리시에 걸쳐 있는 산성이다. 286년에 중수되었으며,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다투던 전략적 요충지였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아단성으로 추정되며, 고구려 온달 장군과 평강공주의 전설이 전해진다. 산성은 해발 200m 지점에서 시작하여 한강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산중턱 이상을 둘러 쌓았으며, 1990년대 이후 발굴 조사를 통해 고구려와 신라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북한산성'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한 후 아차산성의 이름을 북한산성으로 바꿔 사용했다는 학설을 뒷받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광진구의 문화유산 - 낙천정 터
    낙천정 터는 송시열이 학문을 연구하던 '숭교정' 자리에 채세응이 이름 붙여 세워졌으나, 1991년 재건된 정자가 원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위치도 달라 서울특별시 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여 해제되었다.
  • 서울 광진구의 문화유산 - 아차산 일대 보루군
    아차산 일대 보루군은 중랑천을 따라 아차산과 용마산 일대에 분포하는 고구려 군사 시설로, 서울시 지원을 받아 발굴 조사 후 주요 보루에서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구리시는 일부 보루를 복원하여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 온달 - 아차산
    아차산은 서울 광진구와 중랑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온달 장군 전설이 깃든 곳으로, 아차산성과 생태공원 등 다양한 시설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한강과 가까워 등산과 휴식에 용이하고 과거에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 온달 - 영양왕
    영양왕은 590년부터 618년까지 고구려를 통치하며 수나라의 침략을 막아내고 살수대첩에서 승리했으며 백제와 신라를 공격하고 역사서 편찬을 장려하다가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의 성 - 북한산성
    북한산성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양 도성을 방어하는 요충지였으며, 백제 시대에 처음 축조된 후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숙종 때 대대적으로 개축되어 석성으로 완공되었고,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훼손되었으나 현재는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인 유적이다.
  • 서울특별시의 성 - 풍납토성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백제 초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최대 규모의 토성으로, 사적 제11호로 지정되어 백제 시대 유물과 삼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아차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아차산성
한자 표기阿且山城
로마자 표기Achasanseong
문화재 지정번호사적 제234호
지정일1973년 5월 25일
면적112,219m²
위치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번지
시대삼국시대
웹사이트문화재청
아차산성의 흔적
아차산성의 흔적
역사
관련 시대백제 한성 시대
특징고구려와의 전략적 요충지
관련 연구백제 한성기 관방 체계 연구 (吳康錫, 2007)

2. 역사

백제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신라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이곳에서 싸움을 벌였다. 백제의 수도 한성이 고구려군에 함락되었을 때 개로왕이 아단성 아래에서 피살되었으며, 이 산성을 삼국사기에 기록된 아단성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유력하다.[2]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 온달 장군과 평강공주의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며, 온달 장군은 신라군과 싸우다 이 성 아래에서 전사했다고 한다.[2]

조선 태조는 아단(阿旦)을 아차(阿且)로 고쳐 아차성이라 불렀다.[2]

2. 1. 삼국시대 이전

처음 쌓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며, 286년에 중수하였다. 백제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신라 간에 이곳에서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 벌어졌다. 백제의 수도 한성이 고구려군에 함락되었을 때 개로왕이 아단성 아래에서 피살되었으며, 이 산성을 삼국사기에 기록된 아단성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유력하다.[2]

2. 2. 삼국시대

처음 쌓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며, 286년에 고쳐 지었다. 백제웅진으로 도읍을 옮긴 후 고구려신라는 이곳에서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을 벌였다. 백제의 수도 한성이 고구려군에 함락되었을 때 개로왕이 아단성 아래에서 살해되었으며, 이 산성을 삼국사기에 기록된 아단성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유력하다.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로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로 용맹을 떨치던 고구려 온달 장군과 평강공주의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온달 장군은 죽령 이북의 잃어버린 땅을 찾기 위해 이 아단성 밑에서 신라군과 싸우다가 화살을 맞아 전사했다고 한다.[2]

2. 3. 조선시대

조선 태조는 아단(阿旦)을 아차(阿且)로 고쳐 아차성으로 불렀으며, 장한성(長漢城), 광장성(廣將城) 등으로도 불렀다.[2]

3. 구조

200m 높이의 산꼭대기에서 시작하여 동남쪽으로 한강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산중턱 이상의 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둘레는 1km가 넘는 성벽으로 구축되었다. 성벽은 삭토법으로 형태를 구축한 후 그 윗면을 따라 낮은 석벽을 쌓은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는 돌이 무너져 돌과 흙을 섞어 쌓은 외형을 하고 있다. 성벽의 높이는 평균 10m 정도이다.[3]

4. 발굴 조사

아차산성 발굴 조사는 1990년대와 2010년대 이후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1998년과 1999년에 걸쳐 진행된 1차 발굴에서는 구리시 지역의 아차산 보루성 유적이, 2차 발굴에서는 광진구 지역의 아차산성이 발굴되었다. 1차 발굴에서는 고구려 성벽, 건물터, 온돌 시설, 집수장과 함께 상당량의 철기와 토기가 발견되었다. 2차 발굴에서도 고구려 성벽, 건물터, 연못터, 철기, 토기가 확인되었다.[2]

2015년부터 광진구한국고고환경연구소는 공동 발굴조사를 통해 2016년 9월 7일 신라 배수구 시설, 고구려 토기 등 삼국시대 유물을 다량 발견했다. 특히, 고구려 연꽃무늬 기와 장식인 ‘연화문와당’은 홍련봉 1보루 출토 와당과 동일하다.[4]

아차산성 남벽 90m 외벽에서는 신라 건축 특징인 외벽 보축 시설과 출수구 3곳, 내벽에서는 입수구 2곳이 발견되었다. 감시 초소인 망대에서는 내·외성벽, 치성, 방대형 시설 등이 확인되었고, 장수들이 이곳에서 군사들을 지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부근에서는 신라 연화문와당 10여 점, 다양한 명문, ‘북한산성’ 글씨가 새겨진 기와 등도 출토되어, 신라가 한강 유역 점령 후 아차산성을 북한산성으로 불렀다는 학설이 사실로 확인됐다.[4]

4. 1. 1990년대 발굴

1998년과 1999년에 걸쳐 1차 발굴에서 구리시 지역의 아차산 보루성 유적이 발견되었고, 2차 발굴에서는 광진구 지역의 아차산성이 발굴되었다. 1차 발굴의 보루성에서는 고구려 성벽, 건물터, 온돌 시설과 집수장이 확인되었으며, 상당량의 철기와 토기가 수습되었다. 아차산성의 2차 발굴에서도 고구려 성벽과 건물터, 연못터가 확인되었고 철기와 토기가 수습되었다.[2]

2015년부터 광진구한국고고환경연구소와 함께 이 일대에서 공동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6년 9월 7일에는 신라의 배수구 시설과 고구려 토기 등 삼국시대 유물이 다량 발견됐다. 이 중 고구려의 연꽃무늬 기와 장식인 ‘연화문와당’은 아차산성 인근 고구려 유적지인 홍련봉 1보루에서 출토된 와당과 동일한 형태이다.[4]

아차산성 남벽 90m 외벽에선 신라 건축의 특징인 외벽 보축 시설과 출수구 3곳, 내벽에선 입수구 2곳이 발견됐으며, 감시 초소인 망대에서는 내·외성벽을 비롯한 치성(雉城)과 방대형 시설 등이 확인됐다. 장수들이 망대 정상부에서 군사들을 사열·지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 부근에선 여러 형태의 기와들도 함께 출토됐으며, 신라의 연화문와당 10여 점과 다양한 명문 자료 등이 확인됐다. 특히 ‘북한산성’이란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처음으로 발견되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한 이후 아차산성의 이름을 북한산성으로 바꿔 사용했다는 학설이 사실로 확인됐다.[4]

4. 2. 2010년대 이후 발굴

2015년부터 광진구한국고고환경연구소와 함께 아차산성 일대에 대한 공동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6년 9월 7일에는 신라의 배수구 시설과 고구려 토기 등 삼국시대 유물이 다량 발견되었다. 발굴된 고구려의 연꽃무늬 기와 장식인 ‘연화문와당’은 아차산성 인근 고구려 유적지인 홍련봉 1보루에서 출토된 와당과 동일한 형태다.[4]

아차산성 남벽 90m 외벽에서는 신라 건축의 특징인 외벽 보축 시설과 출수구(3곳), 내벽에서는 입수구(2곳)가 발견되었으며, 감시 초소인 망대지에서는 내외성벽을 비롯한 치성과 방대형 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장수들이 이곳 망대지 정상부에서 군사들을 사열·지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 부근에서는 여러 형태의 기와들도 함께 출토되었으며, 신라의 연화문와당 10여 점과 다양한 명문 자료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북한산성’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사상 처음으로 발견되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한 이후 아차산성의 이름을 북한산성으로 바꿔 사용했다는 학설이 사실로 확인됐다.[4]

5. 유물

1998년1999년에 실시된 1, 2차 발굴에서 고구려 성벽, 건물터, 온돌자리, 집수장, 연못터 등이 확인되었고, 상당량의 철기와 토기가 수습되었다.[2]

2015년부터 광진구한국고고환경연구소와 함께 아차산성 일대에 대한 공동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6년 9월 7일 조사에서는 고구려 토기, 연꽃무늬 기와 장식인 ‘연화문와당’과 함께 신라의 배수구 시설 등 삼국시대 유물이 다량 발견되었다.[4] 아차산성 남벽 90m 외벽에서는 신라 건축의 특징인 외벽 보축 시설과 출수구 3곳, 내벽에서는 입수구 2곳이 발견되었으며, 감시 초소인 망대지에서는 내외성벽을 비롯한 치성과 방대형 시설 등이 확인됐다. 이곳 부근에서는 여러 형태의 기와들과 함께 신라의 연화문와당 10여 점, ‘북한산성’이란 글씨가 새겨진 기와 등 다양한 명문 자료 등이 확인됐다.[4]

5. 1. 고구려 유물

1998년1999년에 구리시 지역의 아차산 보루성 유적과 광진구 지역의 아차산성에 대한 1, 2차 발굴이 실시되었다. 1차 발굴에서는 고구려 성벽, 건물터, 온돌자리, 집수장이 확인되었고, 상당량의 철기와 토기가 수습되었다. 2차 발굴에서도 고구려 성벽, 건물터, 연못터가 확인되었고 철기와 토기가 수습되었다.[2]

2015년부터 광진구한국고고환경연구소와 함께 아차산성 일대에 대한 공동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6년 9월 7일에는 신라의 배수구 시설과 함께 고구려 토기 등 삼국시대 유물이 다량 발견되었다. 특히, 발굴된 고구려의 연꽃무늬 기와 장식인 ‘연화문와당’은 아차산성 인근 고구려 유적지인 홍련봉 1보루에서 출토된 와당과 동일한 형태이다.[4]

5. 2. 신라 유물

광진구한국고고환경연구소와 함께 실시한 공동 발굴조사(2016년 9월 7일)에서 신라의 배수구 시설이 발견되었다.[4] 아차산성 남벽 90m 외벽에서는 신라 건축의 특징인 외벽 보축 시설과 출수구 3곳, 내벽에서는 입수구 2곳이 발견되었다.[4] 감시 초소인 망대지에서는 내외성벽을 비롯한 치성과 방대형 시설 등이 확인되었는데, 장수들이 이곳 망대지 정상부에서 군사들을 사열·지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이곳 부근에서는 여러 형태의 기와들과 함께 신라의 연화문와당 10여 점, 다양한 명문 자료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북한산성’이란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사상 처음으로 발견되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한 이후 아차산성의 이름을 북한산성으로 바꿔 사용했다는 학설이 사실로 확인됐다.[4]

참조

[1] 논문 百濟 漢城期 關防體系 檢討 https://www.dbpia.co[...] 2007
[2] 문서 아차산 안내판 2009-08-08
[3] 문서 광진구청 아차산 안내판 2009-08-08
[4] 뉴스 아차산성서 고구려 유물 ‘연화문와당’ 발견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6-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