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루히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루히메는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한국과 일본의 기록에 나타난다. 한국 측 기록에 따르면, 아카루히메는 신라의 늪에서 태어나 붉은 구슬을 낳았고, 일본으로 건너가 히메고소 신사의 신이 되었다. 일본 측 기록에서는 쓰누가아라시가 흰 돌을 아름다운 소녀로 만들었고, 소녀가 나니와로 가서 히메고소 신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아카루히메는 난생 신화의 일종으로, 동아시아 여러 지역의 건국 신화와 유사성을 가지며, 고대 한국과 일본 간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여성의 주체적인 삶을 보여주는 인물로 현대적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여신 - 길상천
- 일본의 여신 - 변재천
변재천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재물, 지혜, 음악 등을 관장하는 불교의 수호신으로, 힌두교의 사라스바티가 불교에 수용되어 일본에서 벤자이텐으로 숭배받으며 칠복신 중 하나로 금전운을 가져다주는 신이다. -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아카루히메 | |
---|---|
신화 정보 | |
신 이름 | 아가루히메노카미 (阿加流比売神) |
로마자 표기 | Akaruhime no Kami |
신격 | 여성 신 |
관련 장소 | 이즈시 |
모시는 곳 | 아카루히메 신사 |
신화 속 역할 | 아메노히보코의 아내, 나니와쓰에 정착 |
신화적 배경 | |
관련 신화 | 고사기, 하리마국 풍토기 |
신화 내용 | 아메노히보코가 신라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올 때 함께 옴 나니와쓰에 정착, 오사카 지역 발전 기여 |
다른 이름 | |
다른 이름 | 아카루히메 (明石姫) |
다른 이름 (한자) | 明石比売 |
신사 정보 | |
주요 신사 | 아카루히메 신사 (兵庫県伊勢市) |
신사 관련 설화 | 아메노히보코가 가져온 여덟 가지 보물 중 하나를 모심 풍요와 번영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숭배 |
2. 한국 측 기록
고사기(古事記)에는 신라 아구누마(阿具奴摩)라는 늪에서 어떤 여인이 낮잠을 자다 붉은 구슬을 낳았고, 이 구슬이 아름다운 여자아이로 변해 아메노히보코의 아내가 되었다가 남편의 거만에 친정으로 돌아가 나니와의 히메고소 신사에 모셔진 아카루히메노카미(阿加流比売神)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2. 1. 고사기(古事記)
옛날, 신라의 아구누마(阿具奴摩, 아구누마, 阿具沼)라는 늪에서 어떤 여인이 낮잠을 자고 있었는데, 그 여인의 음부에 햇빛이 무지개처럼 비쳤다. 그러자 여인은 곧 임신하여 붉은 구슬을 낳았다. 이 광경을 지켜보던 한 남자가 그 구슬을 달라고 간청하여 받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녔다. 어느 날, 이 남자가 소를 이용해 음식을 산으로 운반하던 중, 아메노히보코(天之日矛)를 만났다. 아메노히보코는 남자가 소를 죽여 먹으려 한다고 오해하여 그를 붙잡아 감옥에 가두려 하였다. 남자가 해명을 했지만 아메노히보코는 들어주지 않았고, 남자는 결국 항상 지니고 다니던 붉은 구슬을 바쳐 겨우 용서를 받았다. 아메노히보코가 그 구슬을 가지고 돌아와 침상에 두자, 구슬은 아름다운 여자아이로 변했다.아메노히보코는 이 여자아이를 정실 부인으로 삼았고, 여자아이는 매일 맛있는 음식을 아메노히보코에게 대접했다. 그러나 어느 날, 아메노히보코가 거만해져 아내를 심하게 꾸짖자, 아내는 친정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하며 작은 배를 타고 나니와의 항구로 도망쳐 왔다. 이 여자아이가 바로 나니와의 히메고소 신사에 모셔진 아카루히메노카미(阿加流比売神)라고 한다.
3. 일본 측 기록
일본 측 기록에는 도구가아라시토가 쫓아간 여자아이에 대한 이야기가 있으며, 이 여자아이는 아카루히메와 동일시된다.[1]
3. 1. 일본서기(日本書紀)
일본서기에는 도구가아라시토가 쫓아간 여자아이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데, 이 여자아이는 아카루히메와 동일시된다.[1]스이닌 천황기에 관련 기록이 있다.
쓰누가아라시는 자신의 소에게 짐을 싣고 시골로 갔는데, 소가 갑자기 사라졌다. 그는 소의 발자취를 따라 마을 안으로 들어갔다. 마을의 관리인은 "이 짐의 내용으로 보아, 이 소의 주인이 소를 먹으려 하는 것이 분명하다"고 말하며 소를 먹어 버렸다. 쓰누가아라시는 소의 대가로 그 마을에서 신으로 모시는 흰 돌을 받았다. 그는 돌을 가지고 돌아와 잠자리에 두자 돌은 아름다운 소녀로 변했다.
쓰누가아라시가 기뻐하며 소녀와 성관계를 가지려 했지만, 그가 잠시 눈을 뗀 사이에 소녀는 사라졌다. 쓰누가아라시의 아내에 따르면, 소녀는 동쪽으로 갔다고 한다. 소녀는 나니와에 이르러 히메고소 신사의 신이 되었고, 또한 도요쿠니의 구니사키군으로 가서 히메고소 신이 되어 두 곳에서 모셔지고 있다고 한다.
3. 2. 셋쓰국 풍토기(摂津国風土記)
오진 천황 시대에 신라에 있던 여신이 남편에게서 도망쳐 지쿠시 국의 "이와비노히메 섬"에 살고 있었다. 그러나 이곳에 있으면 곧 남편에게 발각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 섬을 떠나 나니와(難波)에 이르러, 전에 살았던 섬의 이름을 따서 "히메 섬"이라고 이름 붙였다.[1]4. 가계
- 배우자: 아메노히보코[7]
- 아들: 일성이사금[7]
- 증손: 청언(淸彦) (타지마 키요히코)[8]
5. 신화 해석 및 관련 유적
아카루히메의 출생담과 관련된 난생 신화는 동아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으며, 고구려의 동명성왕(주몽), 신라 혁거세 거서간, 가야 수로왕 등의 건국 신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 히가시코바시에 위치한 히메코소 신사는 『고대사기』에 언급된 "나니와의 히메고소 신사"로 비정되며, 현재는 오쿠니누시의 딸 시타테루히메가 주신으로 모셔져 있다.[1]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 히메지마정에는 『셋쓰국 풍토기』에 나오는 히메지마와 같은 이름의 히메지마 신사가 있는데, 스미요시 오카미와 함께 아카루히메노미코토(신사 전승에 따름)를 모시고 있다. 또한 오사카시 히라노구 히라노히가시의 구이마타 신사 경내 아카루히메노미코토 신사에도 아카루히메노카미가 모셔져 있다.
오이타현 히메지마의 히메고소 신사는 "도요쿠니노 히메고소 신사"를 가리키며, 『부젠국 풍토기』에는 신라의 신이 와서 강가에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
오카야마현 소자시 후쿠타니에 있는 히메샤 신사에서도 아카루히메(신사 전승에 따름)를 모시고 있다.
5. 1. 난생 신화
아카루히메의 출생담은 여성이 햇빛을 받아 알을 낳고, 거기에서 인간이 태어난다는 난생 신화의 일종이다.[1] 이와 유사한 설화는 동아시아에 많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부여족 고구려의 시조동명성왕(주몽), 신라의 시조 혁거세 거서간, 왜에서 건너온 신라 왕족 석씨의 전승, 가야 제국의 하나인 금관가야의 시조 수로왕의 출생담 등이 그러하다.참조
[1]
서적
新潮日本古典集成 古事記
[2]
뉴스
'[홍윤기의 역사기행 일본 속의 한류를 찾아서]日 신사의 바탕은 단군 섬긴 신라 ''곰의 신단''
http://news.naver.co[...]
[3]
웹인용
阿加流比売神(あかるひめのかみ)|れきち - せんせん
http://www.sen2.net/[...]
2014-02-05
[4]
웹인용
龍之口八幡宮
https://web.archive.[...]
2014-02-05
[5]
웹인용
古事記 中巻 応神天皇 天の日矛
https://web.archive.[...]
2014-02-05
[6]
웹사이트
阿加流比売神
http://www.genbu.net[...]
[7]
웹사이트
신라 박씨 왕조
http://www.surname.i[...]
[8]
네이버
네이버 청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