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묘사된 동료 관계이다. 《일리아스》에서 아킬레우스는 아가멤논과의 갈등으로 인해 전투에 불참하지만, 파트로클로스는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고 참전하여 헥토르에게 죽임을 당한다.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에 아킬레우스는 깊은 슬픔과 분노를 느껴 헥토르를 죽여 복수한다. 고대 시대에는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를 동성애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었으며, 플라톤은 이들을 신에게 인정받은 연인의 본보기로 묘사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이들의 관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며, 동성애적 관계, 플라토닉 우정, 전우애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킬레우스 - 캡틴 마블 (DC 코믹스)
캡틴 마블은 DC 코믹스에서 출판하는 만화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로, 고아 소년 빌리 뱃슨이 마법사 샤잠의 이름을 외쳐 초능력을 가진 성인 영웅으로 변신하는 설정을 가지며, 만화 황금기 동안 인기를 누렸으나 저작권 소송으로 중단 후 DC 코믹스에 의해 "샤잠!"으로 부활하여 현재 DC 유니버스의 주요 캐릭터이다. - 아킬레우스 -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은 다리 뒤쪽 아래에 위치하여 종아리 근육을 발꿈치뼈에 연결하는 인체에서 가장 두꺼운 힘줄로, 발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 파열, 퇴행성 변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포츠 활동 중 부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흔하다. - 그리스 신화의 성소수자 - 펠롭스
펠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탄탈로스의 아들이자 히포다메이아의 남편으로, 전차 경주에서 승리하여 피사의 왕이 되었으나 미르틸로스 살해로 저주를 받아 그의 가문은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했고, 올림피아에서 영웅으로 숭배받으며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어원이 되었다. - 그리스 신화의 성소수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 | |
---|---|
인물 관계 | |
인물 | 아킬레우스와 파트 로클로스 |
관련 작품 | 일리아스 |
배경 | |
문화권 | 고대 그리스 |
시대 | 미케네 시대 또는 암흑기 |
논쟁 | |
관계의 성격 | 동료, 친구, 연인 등 다양한 해석 존재함 |
호메로스 | '일리아스'에서 명확한 성적 관계 묘사 없음 |
후대 작가 | 동성애적 관계로 해석하는 경우 존재함 |
현대적 해석 | |
학계 |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 및 논의 진행 중임 |
대중 문화 | 현대 작품에서 동성애적 관계로 재해석되는 경향이 있음 |
2. 일리아스에서의 묘사
아킬레우스와 파트라클로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가까운 동지로 그려졌다. 아가멤논에게 무시당한 아킬레우스는 전투 참여를 거부했고, 아가멤논은 사절을 보내 마음을 돌리려 했지만 실패했다.
전투가 계속되던 중 네스토르는 부상병과 함께 그리스 동맹 기지로 돌아왔다.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를 보내 네스토르와 이야기하게 했다. 네스토르는 파트로클로스에게 아킬레우스가 더 고귀하지만, 파트로클로스가 형이므로 조언하고 이끌어 트로이 전쟁에 참여하도록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12]
이후의 내용은 "아킬레우스의 분노와 파트로클로스의 참전", "파트로클로스의 죽음과 아킬레우스의 복수"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유사-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파트로클로스는 메노이티오스와 폴리멜레의 아들이었다. 파트로클로스는 분노하여 한 소년을 죽인 후, 메노이티오스는 그를 펠레우스에게 맡겼는데, 펠레우스는 아킬레우스의 아버지였다. 따라서 파트로클로스는 아킬레우스에게 형제와 같은 존재로 여겨질 수 있다.[12]
2. 1. 아킬레우스의 분노와 파트로클로스의 참전
아가멤논에게 모욕을 당해 분노한 아킬레우스는 전투 참전을 거부했지만, 그리스군이 불리해지자 파트로클로스는 아킬레우스를 설득하여 그의 갑옷을 입고 미르미도네스 군대를 이끌게 했다. 파트로클로스는 트로이군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지만, 헥토르에게 죽임을 당했다.[38]안틸로코스를 통해 파트로클로스의 사망 소식을 들은 아킬레우스는 깊은 슬픔에 빠졌다. 그는 파트로클로스의 시신을 만지고 재를 뒤집어쓰며 단식하며 고뇌했다. 아킬레우스는 안드로마케가 사용했던 것과 매우 유사한 언어로 파트로클로스를 애도했고, 자신이 죽으면 유골을 파트로클로스의 유골과 섞어달라고 요청했다.[38]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으로 인한 분노는 아킬레우스를 다시 전장으로 이끌었다. 그는 파트로클로스의 복수를 위해 헥토르를 죽였고, 헥토르의 시체를 전차에 묶어 끌고 다녔다.[38]
그레고리 나지에 따르면, 아킬레우스에게 파트로클로스는 "가장 많은 필리아가 있는 헤타이로이"였다.[38] 헤타이로이(ἑταῖρος|헤타이로스grc)는 동료나 동지를 의미하며, 호메로스는 지휘관 휘하의 군인들을 지칭했다.[38]
아킬레우스의 파트로클로스에 대한 애착은 그리스 문화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남성 유대의 형태이다. 다몬과 핀티아스, 오레스테스와 필라데스, 하르모디오스와 아리스토게이톤 등은 서로를 위해 위험과 죽음을 감수하는 사이였다.[39]
데이비드 M. 할페린은 호메로스가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를 연인으로 묘사하지 않았지만, 그러한 해석을 배제하지도 않았다고 언급했다.[40]
2. 2. 파트로클로스의 죽음과 아킬레우스의 복수
안틸로코스를 통해 파트로클로스가 헥토르에게 죽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아킬레우스는 깊은 슬픔에 빠졌다. 처음에는 굳게 마음을 다잡았던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의 시신을 만지고 재로 몸을 뒤덮고 단식하며 고뇌에 잠겼다. 아킬레우스는 이후 헥토르의 아내 안드로마케가 사용하는 언어와 매우 유사한 표현으로 파트로클로스를 애도하였고, 자신이 죽으면 유골을 파트로클로스의 유골과 섞어 달라고 요청했다.[38]파트로클로스의 죽음은 아킬레우스가 다시 전장에 나서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의 복수를 위해 헥토르를 죽이고, 헥토르의 시신을 전차에 묶어 끌고 다니는 등 격렬한 분노를 표출했다.[38]
3. 고대의 해석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에 아이스킬로스, 플라톤, 핀다로스, 아이스키네스는 아킬레우스와 파트라클로스의 관계를 동성애, 특히 소년애로 묘사했다.[41] 당시 그리스에서 소년애는 정치적, 지적, 때로는 성적인 관계였다.[42] 이상적인 관계는 나이가 많은 보호자(에라스테스)와 어린 연인(에로메노스)으로 구성되었으며, 나이 차이와 역할(능동적 또는 수동적)이 중요하게 여겨졌다.[43] 작가들은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 중 누가 더 나이가 많고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는지에 대해 고민했다.[44]
3. 1. 동성애적 관계로 해석
아이스킬로스, 플라톤, 아이스키네스 등은 아킬레우스와 파트라클로스의 관계를 동성애적인 관계로 묘사했다.[41] 특히, 아이스킬로스는 비극 미르미도네스에서 아킬레우스를 보호자(에라스테스) 역할로, 파트로클로스를 연인(에로메노스) 역할로 설정하여 둘의 관계를 명확히 했다.[45][46]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을 공개적으로 애도하며 그의 시신에게 말을 걸고, 파트로클로스가 죽도록 내버려 둔 것을 비난했다. 이 극의 남아있는 단편에서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의 "경건한 동행"인 허벅지에 대해 언급하며 파트로클로스가 "많은 키스에 감사하지 않았다"고 말한다.플라톤은 향연에서 아킬레우스를 파트로클로스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숭고한 연인으로 묘사했다.[49] 화자인 파이드로스는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로스보다 아름답고 젊었으며, 전투에서 더 고귀하고 숙련되었기 때문에 아킬레우스가 보호자라는 아이스킬로스의 주장은 잘못되었다고 반박했다. 대신 파이드로스는 아킬레우스가 연인인 파트로클로스를 숭배하여 그를 위해 복수하고자 기꺼이 죽음을 택했다고 주장했다.[49]
아이스키네스는 호메로스가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교육받은 사람이라면 그들의 사랑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 그는 "호메로스는 여러 곳에서 파트로클로스와 아킬레우스를 언급하면서도 그들의 사랑을 숨기고 우정에 대한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의 넘치는 애정이 교육받은 청중들에게는 명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고대 작가들은 아이스키네스의 생각을 따랐다.[7]
3. 2. 동성애적 관계가 아니라는 해석
크세노폰은 자신의 저서 향연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가 순수한 우정이라고 주장했다.[41][8][12] 소크라테스는 호메로스가 아킬레우스를 파트로클로스의 동료로 묘사했으며, 그의 죽음에 특별히 복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말했다.[13] 크세노폰은 오레스테스와 필라데스처럼 공동의 업적으로 유명한 전설적인 동료들의 예를 들었다.[49][18] 특히, 향연에서 주최자인 칼리아스와 젊은 판크라티온 우승자 아우톨리코스를 또 다른 예로 들었다.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는 호메로스가 둘을 연인으로 묘사하려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우리 둘만의"라는 구절은 후대에 추가된 것이라고 주장했다.[50][19]
3. 3. 기타 해석
핀다로스는 청소년 복서 하게시다무스와 트레이너 일라스를 파트로클로스와 아킬레우스에 비유했으며, 제우스의 연인 가니메데와도 비교하며 학생과 트레이너의 관계가 아킬레우스를 묘사한 이후에는 낭만적이었을 것이라고 썼다.[47]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헤파이스티온과의 관계를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에 비유했다. 알렉산드로스와 헤파이스티온이 아시아 원정을 위해 트로이를 통과했을 때, 알렉산드로스는 군대 앞에서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무덤에 경의를 표했는데, 이는 그들 관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선언으로 받아들여졌다.[51][52]4. 고대 이후 및 현대의 해석
고전주의 시대 작가들은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를 당시 관점으로 해석했다. 고전 시대에는 아킬레우스를 이성애자로, 파트로클로스와는 모범적인 플라톤적 우정을 맺은 것으로 묘사했다. 중세 기독교 작가들은 의도적으로 둘 사이의 동성애적 뉘앙스를 제거하려 했다.[53]
데이비드 할페린은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를 일리아드와 거의 동시대에 만들어진 다윗과 요나단, 길가메시와 엔키두 이야기에 비교하며, 현대 독자들이 강렬한 동성 남성 전사 간 우정을 동성애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지만, 더 큰 주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4]
4. 1. 셰익스피어의 해석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트로일러스와 크리세이드에서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는 그리스인들의 관점에서 연인으로 묘사되고 있다.[55][25]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로스와 함께 천막에서 시간을 보내기로 결정한 것은 오디세우스(극 중에서는 율리시스라고 불림)를 비롯해 많은 그리스인들이 트로이에 대한 불안을 만든 주요 원인이 되었다.[56][26]4. 2. 현대의 다양한 해석
2004년 영화 트로이에서는 파트로클로스를 아킬레우스의 어린 친척으로 묘사하여 둘 사이의 낭만적이거나 성적인 관계를 배제했다.[57] 매들린 밀러의 소설 아킬레우스의 노래에서는 파트로클로스의 관점에서 아킬레우스와의 사랑과 성적 관계를 묘사했다.[58][59] 조나단 셰이는 저서 베트남의 아킬레우스에서 일리아스를 통해 베트남 참전 용사들의 정신적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를 통해 전우애와 상실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4. 3. 학계의 논쟁
데이비드 M. 할페린은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의 관계를 다윗과 요나단, 길가메시와 엔키두의 관계와 비교하며, 이들의 관계를 동성애적 관계로만 해석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4] 그는 제도적인 관계 외의 관계는 부모/자식, 남편/아내와 같은 다른 제도화된 사랑 관계의 언어를 사용하여 묘사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이는 《일리아스》 19권에서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로스를 슬퍼하는 장면(315–337행)에서 브리세이스가 이전에 사용했던 방식(287–300행)과 유사한 뉘앙스를 설명해준다.[41]윌리엄 암스트롱 퍼시 3세는 베르나르 세르장과 같은 학자들이 호메로스 시대에 소년애와 다른 형태의 동성애가 존재했다고 주장한다는 점을 언급했다.[32]
로빈 레인 폭스는 《일리아스》 본문에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가 연인이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했다.[1]
빅터 데이비스 핸슨과 존 히스는 이 두 사람을 동성애자로 식별하는 현대 저자들이 호메로스의 텍스트를 자의적으로 해석한다고 비판했다.[33]
참조
[1]
서적
The Tribal Imagination: Civilization and the Savage Min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Alexander the Great : the story of an ancient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Achilles in Love: Intertextual Studie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4]
문서
Against Timarchus
https://www.perseus.[...]
[5]
서적
The Best of the Achaeans
http://www.press.jh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서적
Encyclopedia of Homosexuality
U.S.
[7]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Achilles and Patroclus in Love
[9]
간행물
Examining Greek Pederastic Relationships
http://www.inquiries[...]
2010
[10]
서적
Sexuality in Greek and Roman Society and Literature: A Sourcebook
https://archive.org/[...]
Routledge
[11]
서적
Pederasty and Pedagogy in Archaic Gree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
서적
Heroes Masked and Mythic: Echoes of Ancient Archetypes in Comic Book Character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1
[13]
문서
Symposium, 8.31
https://www.perseus.[...]
[14]
서적
Achilles in Greek Trage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문서
Myrmidons
[16]
간행물
Pindar's Tenth Olympian and athlete-trainer pederasty
[17]
서적
Reconsiderations about Greek Homosexualities
Binghamton
[18]
서적
Greek Homosexuality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19]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Deep Classics: Rethinking Classical Recep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5-05
[21]
서적
Masculine Plural: Queer Classics, Sex, and Educ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04
[22]
문서
Age of Alexander, Life of Alexander
Penguin Classics edition
[23]
문서
The Campaigns of Alexander
Penguin Classics edition
[24]
문서
Achilles: Paradigms of the War Hero from Homer to the Middle Ages
Berkeley
[25]
간행물
The Oxford Shakespeare: Troilus and Cressida
Oxford University Press
1609
[26]
간행물
The Oxford Shakespeare: Troilus and Cressida
Oxford University Press
1609
[27]
서적
Of Muscles and Men: Essays on the Sword and Sandal Film
McFarland
2011
[28]
뉴스
The Song of Achilles by Madeline Miller – review
https://www.theguard[...]
2011-09-29
[29]
간행물
From Muse to Material: The Defiance of Homeric Identity Through Creative Adaptation
https://journals.lib[...]
2022-03-21
[30]
간행물
How to do the history of male homosexuality
http://www-bcf.usc.e[...]
2016-12-09
[31]
서적
Pederasty and Pedagogy in Archaic Gree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6
[32]
간행물
Reconsiderations About Greek Homosexualities
[33]
서적
Who Killed Homer?: The Demise of Classical Education and the Recovery of Greek Wisdom
https://books.google[...]
Encounter Books
2001
[34]
서적
The Tribal Imagination: Civilization and the Savage Min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Alexander the Great : the story of an ancient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서적
Achilles in Love: Intertextual Studie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37]
문서
Against Timarchus
https://www.perseus.[...]
[38]
서적
The Best of the Achaeans
http://www.press.jh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9]
문서
Encyclopedia of Homosexuality
U.S.
[40]
문서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1]
저널
Achilles and Patroclus in Love
[42]
저널
Examining Greek Pederastic Relationships
http://www.inquiries[...]
2010
[43]
서적
Sexuality in Greek and Roman Society and Literature: A Sourcebook
https://archive.org/[...]
Routledge
[44]
서적
Pederasty and Pedagogy in Archaic Gree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5]
서적
Achilles in Greek Trage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문서
Myrmidons
[47]
저널
Pindar's Tenth Olympian and athlete-trainer pederasty
[48]
문서
Reconsiderations about Greek Homosexualities
Binghamton
[49]
서적
Greek Homosexuality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50]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51]
문서
Age of Alexander, Life of Alexander
Penguin Classics edition
[52]
문서
The Campaigns of Alexander
Penguin Classics edition
[53]
문서
Achilles: Paradigms of the War Hero from Homer to the Middle Ages
Berkeley
[54]
저널
How to do the history of male homosexuality
http://www-bcf.usc.e[...]
2016-12-09
[55]
인용
The Oxford Shakespeare: Troilus and Cressida
Oxford University Press
1609
[56]
인용
The Oxford Shakespeare: Troilus and Cressida
Oxford University Press
1609
[57]
서적
Of Muscles and Men: Essays on the Sword and Sandal Film
McFarland
2011
[58]
뉴스
The Song of Achilles by Madeline Miller – review
https://www.theguard[...]
2011-09-29
[59]
저널
From Muse to Material: The Defiance of Homeric Identity Through Creative Adaptation
https://journals.lib[...]
2021-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