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폰수 3세 (콩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폰수 3세는 콩고 왕국의 군주로, 알바루 1세의 서손이자 가르시아 2세의 이복 서제였다. 1672년 라파엘 1세에 의해 후계공으로 책립되었고, 이듬해 왕위를 선위받아 즉위했다. 라파엘 1세의 붕어 후 국장을 치렀으나, 1674년 5촌 종숙부 노브레가의 쿠데타로 폐위되어 냉궁에 유폐되었다. 그는 유폐된 지 4년 후인 1678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베르나르두 2세
- 1628년 출생 - 마르첼로 말피기
17세기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생물학자, 현미경학자인 마르첼로 말피기는 현미경을 이용한 혈액 순환 연구, 해부학적 구조 발견, 식물 연구, 배아 발생 연구를 통해 해부학, 생리학, 식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 1628년 출생 - 헨리 크롬웰
헨리 크롬웰은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군인으로 활동했고 아일랜드 통치에 참여한 정치가였으나 왕정 복고 후 은퇴했다. - 1678년 사망 - 야코프 요르단스
야코프 요르단스는 플랑드르 바로크 시대의 화가, 드로잉 작가, 태피스트리 및 판화 디자이너로서, 루벤스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묘사와 민중적 요소를 결합한 독자적인 화풍으로 종교화, 신화화,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로 활동했다. - 1678년 사망 - 오삼계
오삼계는 명나라 말 청나라 초의 무장으로, 명나라 멸망 후 청과 손잡고 이자성을 격파, 평서왕에 봉해졌으나 삼번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인물로, 배신과 야망의 상징이자 진원원과의 러브스토리로도 알려져 있다.
아폰수 3세 (콩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콩고 왕국의 제32대 마니콩고 |
원래 이름 | Afonso III |
왕조 | 콩고 왕실 |
왕가 | 콩고 왕가 |
재위 | |
재위 기간 | 1673년 5월 25일 ~ 1674년 9월 8일 |
전임자 | 라파엘 1세 |
후임자 | 마뉘엘 드 뷔지 아 노브레가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628년 |
출생지 | 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
사망일 | 1678년 9월 30일 (50세) |
사망지 | 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 |
배우자 | 왕비 1명 |
자녀 | 1남 1녀(모두 어린 시절 병사) |
친인척 | 알바루 1세(조부) 가르시아 2세(이복 서형) 노브레가(5촌 종숙부) |
2. 생애
알바루 1세의 서손이자 가르시아 2세 군주의 이복 서제였다. 1672년 처제부(妻弟夫, 손아랫동서)인 라파엘 1세 군주로부터 후계공(後繼公)으로 책립되었다. 1673년 라파엘 1세에게 보위를 선위받아 즉위하였으며, 1674년 8월 12일 라파엘 상왕(Rafael 上王)이 붕어하자 국장(國葬)을 치렀다.
1674년 9월 8일, 5촌 종숙부 노브레가가 일으킨 궁정 쿠데타로 보위에서 축출되었다. 노브레가는 알바루 3세의 서자로, 아폰수 3세에게는 5촌 종숙부였다. 아폰수 3세는 폐위 후 냉궁(冷宮)에 유폐되었고, 1678년 9월 30일 병으로 훙서하였다.
2. 1. 왕위 계승 이전
알바루 1세의 서손이다. 알바루 1세의 서차자이며 본부인 1명과 측실 6명을 거느렸던 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 1566~1651)의 서자인 그는 가르시아 2세 군주의 이복 서제였다.2. 2. 즉위와 폐위
알바루 1세의 서손이다. 가르시아 2세 군주의 이복 서제였던 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 1566~1651)의 서자였다.1672년 처남의 남편(손아랫동서)인 라파엘 1세 군주로부터 후계공으로 책립된 후, 1673년 라파엘 1세에게 보위를 선위받아 즉위하였다. 1674년 8월 12일 라파엘 상왕이 붕어하자 국장을 치렀다. 1674년 9월 8일, 5촌 종숙부 노브레가가 일으킨 궁정 쿠데타로 인하여 보위에서 축출되었다.
궁정 쿠데타를 주도하여 보위에 등극한 노브레가는 작은할아버지 알바루 3세 군주의 서자였으니, 폐주 아폰수 3세에게는 5촌 종숙부였다.
1674년 왕위에서 쫓겨나 냉궁에 유폐된 아폰수 폐주는 4년 후인 1678년 9월 30일 병으로 훙서하였다.
2. 3. 유폐와 죽음
1674년 군주 보위에서 쫓겨나 냉궁(冷宮)에 유폐된 아폰수 폐주(Afonso 廢主)는 4년 후 1678년 9월 30일 병으로 훙서하였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