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의 국가 원수이다. 1973년 무함마드 다우드 칸이 쿠데타로 왕정을 폐지하고 대통령이 된 것을 시작으로, 아프가니스탄은 공화국, 민주 공화국, 이슬람국, 이슬람 토후국 등 다양한 정치 체제를 거치며 대통령직의 위상과 역할이 변화해 왔다. 2004년 대통령 중심제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된 후,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었으며, 5년 임기에 3선은 금지되었다. 2021년 탈레반의 공세로 인해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해외로 도피하면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붕괴되었고, 현재는 암룰라 살레 제1부통령이 대통령 권한 대행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국가의 국가원수 - 아브드 엘 크림
    아브드 엘 크림은 1882년 모로코에서 태어나 스페인에 대항하여 리프 공화국을 건국하고 게릴라전을 이끌었으며, 프랑스와 스페인 연합군에 항복한 후 망명 생활을 하다가 1963년 사망했다.
  • 옛 국가의 국가원수 - 밀란 바비치
    밀란 바비치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의 지도자로서 세르비아계의 자치 및 독립을 주도하였으나, 전쟁 범죄 혐의로 ICTY에 기소되어 유죄를 인정하고 수감 중 자살한 인물이다.
  •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 모하마드 나지불라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아프가니스탄 민주인민당 서기장과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공포 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 화합 정책을 추진했으나 소련 붕괴와 무자헤딘의 저항으로 몰락하여 탈레반에 의해 처형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 아슈라프 가니
    아슈라프 가니는 아프가니스탄 태생의 정치인, 경제학자, 인류학자로, 세계은행 근무 후 아프가니스탄 재무장관을 거쳐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을 지냈으나 탈레반 공세로 축출되어 망명했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직위 개요
직위 명칭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소속 국가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사라진 직위)
원어 명칭د افغانستان ولسمشر (파슈토어)
원어 명칭 (다리어)رئیس جمهور افغانستان (다리어)
아프가니스탄의 국장 (2004-202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국장
아프가니스탄 대통령기
대통령기
직위 상태폐지됨
관저아르그
위치카불
임명 방식직접 선거
소속내각
임기5년, 1회 연임 가능
최초무함마드 다우드 칸
마지막아슈라프 가니
형성1973년 7월 17일 (최초)
2004년 12월 7일 (최근 형태)
폐지일2021년 8월 15일
전신아프가니스탄의 왕
후신최고 지도자
부통령부통령
웹사이트president.gov.af (비활성)
2021년 8월 15일 아카이브

2. 역사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직은 1973년 무함마드 다우드의 군사 쿠데타로 군주제가 폐지되고 공화정이 수립되면서 시작되었다.

1973년 무함마드 다우드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폐지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을 선포하면서 대통령직을 신설하였다. 이후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거쳐 2004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대통령제가 다시 도입되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후, 2004년에 새로운 헌법이 만들어지면서 대통령 중심제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세워졌다. 하미드 카르자이는 2001년 12월 22일부터 과도 정부 수반을 맡았고,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정식 대통령이 되었다.[3] 카르자이는 2009년 재선에 성공하여 2014년까지 재임하였다.

2014년 대선에서는 아슈라프 가니가 당선되어 2019년까지 재임하였고, 2019년 대선에서 다시 승리하여 2021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4] 그러나 2021년 8월,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해외로 도피하면서, 제1부통령이었던 암룰라 살레가 헌법에 따라 대통령직을 승계한다고 발표했다.[5]

2. 1.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년 ~ 1978년)

무함마드 다우드는 1973년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초기에는 무소속이었으나, 이후 국가혁명당을 창당하여 권위주의 통치를 하였다.[4] 그는 1973년 7월 17일부터 1978년 4월 27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4]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직위선출 방식정당
무함마드 다우드
سردار محمد داود خان|사르다르 무함마드 다우드 칸ps
1973년 7월 17일1978년 4월 27일대통령1973년 군사 쿠데타무소속
(~ 1976)
국가혁명당
(1976년 이후)


2. 2.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1978년 ~ 1992년)

1978년 사회주의 쿠데타로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이 집권하면서 대통령직은 혁명평의회 의장으로 대체되었다.[1] 혁명평의회 의장을 맡았던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정당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1978년 4월 30일 ~ 1979년 9월 16일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하피줄라 아민1979년 9월 16일 ~ 1979년 12월 27일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바브락 카르말1979년 12월 27일 ~ 1986년 11월 20일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모하마드 나지불라1987년 9월 30일 ~ 1987년 11월 30일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2. 3.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1992년 ~ 2001년)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دولتps

دولت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fa

1992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무자헤딘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 수립되었다. 시브가툴라 모자데디가 이슬람지하드평의회 의장으로서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그는 무자헤딘 연합(페샤와르 협정)에 의해 지명되었다.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직위선출 방식정당
시브가툴라 모자데디1992년 4월 28일1992년 6월 28일이슬람지하드평의회 의장무자헤딘 연합 지명아프가니스탄민족해방전선



이후 부르하누딘 라바니가 10인최고지도자평의회(무자헤딘 연합)의 지명을 받아 과도정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1996년 9월 27일 탈레반 세력에 의해 축출될 때까지 내전은 계속되었다.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직위선출 방식정당
부르하누딘 라바니1992년 6월 28일1996년 9월 27일과도정부 대통령10인최고지도자평의회 지명자미아티 이슬라미



1996년 9월 27일부터 2001년 11월 13일까지는 무하마드 오마르 탈레반 지도자가 최고 지도자였다.

2001년 11월 13일, 부르하누딘 라바니는 북부동맹의 대표로서 다시 정권을 잡았으나, 2001년 12월 22일까지였다.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직위선출 방식정당
부르하누딘 라바니2001년 11월 13일2001년 12월 22일북부동맹 대표군사 쿠데타자미아티 이슬라미


2. 4.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 ~ 2001년)

1996년 탈레반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선포하면서, 사실상 대통령직은 유명무실해졌다. 무함마드 라바니가 형식적인 대통령직을 유지했으나, 실권은 탈레반 지도자 무하마드 오마르에게 있었다.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직위정당
무함마드 라바니
محمد رباني|무함마드 라바니ps
1996년 9월 27일2001년 4월 13일대통령


2. 5.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004년 ~ 2021년)

200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후, 2004년에 새로운 헌법이 만들어지면서 대통령 중심제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세워졌다. 이 헌법은 대통령에게 군사 및 입법에 관한 강력한 권한을 부여했고, 상대적으로 권한이 약한 양원제 국회인 아프가니스탄 국민의회를 구성했다. 국민의회는 국민의회 (Wolesi Jirga)와 원로원 (Meshrano Jirga)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최대 두 번까지 재임할 수 있었다.

하미드 카르자이가 2004년에 첫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3] 2014년에 그의 두 번째 임기가 끝난 후, 아슈라프 가니가 다음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

2021년 8월,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해외로 도피하면서, Amrullah Saleh|암룰라 살레영어 제1부통령이 헌법에 따라 대통령직을 승계한다고 발표했다.[5]

사진이름임기선거정당
취임일퇴임일
11
하미드 카르자이
حامد کرزی|하미드 카르자이ps
2004년 12월 7일2009년 11월 19일2004년 대선 - 55.4%
4,443,029표
무소속
22009년 11월 19일2014년 9월 29일2009년 대선 - 49.67%
2,283,907표
23
아슈라프 가니
اشرف غني|아슈라프 가니ps
2014년 9월 29일2019년 9월 29일2014년 대선 - 56.44%
4,485,888표
무소속
42019년 9월 29일2021년 8월 15일2019년 대선 - 50.64%
923,592표


3. 선출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3선은 금지된다.[3] 과반수를 득표한 후보가 없으면 상위 2명에 의해 결선 투표가 진행된다. 2004년 헌법은 대통령에게 군사 및 입법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했다.[4] 하미드 카르자이는 2004년에 첫 번째 5년 임기를 시작했으며, 그의 두 번째 임기가 2014년에 종료된 후 아슈라프 가니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3. 1. 선거권 및 피선거권

2004년 아프가니스탄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2]

  • 아프가니스탄 시민권을 가진 무슬림으로, 아프가니스탄인 부모에게서 태어나야 한다.
  •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
  • 후보 등록 시점에 만 40세 이상이어야 한다.
  • 반인도적 범죄나 형사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없어야 하며, 법원으로부터 시민권을 박탈당한 적이 없어야 한다.


대통령 선거에 투표할 수 있는 선거권은 만 18세 이상의 아프가니스탄 국민에게 주어진다. 임기는 5년이며, 3선은 금지된다.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상위 2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결선 투표가 진행된다.

4. 권한

2004년 헌법은 대통령에게 군사 및 입법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했으며, 비교적 약한 양원제인 아프가니스탄 국민의회를 구성했다. 이 의회는 국민의회(Wolesi Jirga)와 원로원(Meshrano Jirga)으로 구성되었다. 대통령은 최대 2번의 5년 임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3]

5. 역대 대통령 목록

아프가니스탄의 역대 대통령 목록은 다음과 같다.

사진이름임기직위정당
하미드 카르자이
حامد کرزی
2001년 12월 22일2002년 6월 19일과도 정부 수반무소속
2002년 6월 19일2004년 12월 7일과도 정부 수반
11하미드 카르자이
حامد کرزی
2004년 12월 7일2009년 11월 19일무소속
22009년 11월 19일2014년 9월 29일
23아슈라프 가니
اشرف غني
2014년 9월 29일2019년 9월 29일무소속
42019년 9월 29일2021년 8월 15일



style="text-align:right"|구분: (권위주의 정당), (사회주의 정당), (진보주의 정당), (이슬람 정당)
사진이름임기직위선출 방식정당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무함마드 다우드
سردار محمد داود خان
1973년 7월 17일1978년 4월 27일대통령1973년 군사 쿠데타무소속 (~ 1976)
국가혁명당 (1976년 이후)
압둘 카디르
عبدالقادر
1978년 4월 27일1978년 4월 30일군사혁명평의회 의장
(공군 부사령관, 중장)
1978년 군사 쿠데타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نور محمد ترکۍ
1978년 4월 30일1979년 9월 16일
(사임)
혁명평의회 의장군사혁명평의회 지명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쿠데타 (1979년 9월)로 하피줄라 아민 내각 수상이 최고 지도자 (1979년 9월 14일 ~ 9월 16일)
하피줄라 아민
حفيظ الله امين
1979년 9월 16일1979년 12월 27일혁명평의회 의장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지명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바브락 카르말
ببرک کارمل
1979년 12월 27일1986년 11월 20일
(사임)
혁명평의회 의장1979년 12월 군사 쿠데타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하지 무함마드 참카니
حاجی‌محمد چمکنی
1986년 11월 20일1986년 11월 24일혁명평의회 의장 서리무소속
1986년 11월 24일1987년 9월 30일혁명평의회 의장
모하마드 나지불라
محمد نجيب الله
1987년 9월 30일1987년 11월 30일혁명평의회 의장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모하마드 나지불라
محمد نجيب الله
1987년 11월 30일1992년 4월 16일대통령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1990)
아프가니스탄 와탄당 (1990년 이후)
쿠데타로 아흐마드 샤 마수드 자미아티 이슬라미 사령관이 최고 지도자 (1992년 4월 16일 ~ 4월 28일)
압둘 라힘 하테프
Abdul Rahim Hatef
1992년 4월 16일1992년 4월 28일임시 대통령아프가니스탄 와탄당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시브가툴라 모자데디
صبغت الله مجددي
1992년 4월 28일1992년 6월 28일이슬람지하드평의회 의장무자헤딘 연합 지명
(페샤와르 협정)
아프가니스탄민족해방전선
부르하누딘 라바니
برهان الدين رباني
1992년 6월 28일1996년 9월 27일과도정부 대통령10인최고지도자평의회 (무자헤딘 연합) 지명
(페샤와르 협정)
자미아티 이슬라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이마라트
무하마드 오마르 탈레반 지도자가 최고 지도자 (1996년 9월 27일 ~ 2001년 11월 13일)
무함마드 라바니
محمد عمر
1996년 9월 27일2001년 4월 13일대통령군사 쿠데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부르하누딘 라바니
برهان الدين رباني
2001년 11월 13일2001년 12월 22일북부동맹 대표군사 쿠데타자미아티 이슬라미



5. 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004년 ~ 2021년)

2004년 헌법은 대통령에게 군사 및 입법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했으며, 비교적 약한 양원제인 아프가니스탄 국민의회를 구성했다. 이 의회는 국민의회 (Wolesi Jirga)와 원로원 (Meshrano Jirga)으로 구성되었다. 대통령은 최대 2번의 5년 임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3]

하미드 카르자이는 2004년에 첫 번째 5년 임기를 시작했다.[3] 그의 두 번째 임기가 2014년에 종료된 후, 아슈라프 가니가 다음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

2021년 8월 17일, 암룰라 살레는 헌법 규정에 따라 현재 공석 상태인 대통령에 취임한다고 발표했다.[5]

대통령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하미드 카르자이
حامد کرزی|하미드 카르자이ps
--무소속12004년 12월 7일
- 2009년 11월
rowspan="2" |
22009년 11월
- 2014년 9월 29일
2아슈라프 가니
اشرف غنی|아슈라프 가니ps
--무소속32014년 9월 29일
- 2020년 3월 9일
rowspan="2" |
42020년 3월 9일
- 2021년 8월 15일
임기 만료 전에 도망
-(부재)2021년 8월 15일
- 2021년 8월 17일
-암룰라 살레
امرالله صالح|아므룰라 살레prs
Basej-e Milli|국민운동영어2021년 8월 17일
- (현직)
임시 대통령(제1부통령)


6. 같이 보기


  • 아프가니스탄의 국가 원수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Afghanistan's lower house approves President Karzai's salary and expenses amount https://wadsam.com/a[...] 2013-06-01
[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Islamic Republic of Afghanistan https://president.go[...] Government of Afghanistan 2013-02-05
[3] 뉴스 Election of Karzai Is Declared Official https://www.nytimes.[...] 2004-11-04
[4] 뉴스 Ashraf Ghani sworn in as new Afghan president https://www.bbc.com/[...] 2014-09-29
[5] 뉴스 アフガン暫定大統領を宣言 ガニ氏逃亡でサレー第1副大統領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8-18
[6] 뉴스 ガニ大統領国外へ脱出 タリバン、戦闘員に首都入り指示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