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벨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이 벨리(본명: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부가예프)는 러시아의 소설가, 시인, 평론가로, 러시아 상징주의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모스크바의 지식인 집안에서 태어나, 수학, 철학, 문학 등 다방면에 걸쳐 박식한 면모를 보였으며,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알렉산드르 블로크 등과 교류했다. 초기에는 상징주의 영향을 받았으나, 후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심취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페테르부르크》, 《은빛 비둘기》, 시집 《쪽빛 황금》 등이 있으며, 상징주의 철학과 문학 이론에 대한 평론도 다수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자 - 베라 자술리치
베라 자술리치는 19세기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작가로, 나로드니키 운동에 참여하여 정치범 저격 사건으로 유명해졌으며, 이후 마르크스주의자로 전향하여 노동 해방단 결성 및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멘셰비키 지도자로 활동했다. -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자 - 일리야 포노마료프
일리야 포노마료프는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국가 두마 의원을 역임하고 푸틴 반대 활동으로 망명 생활을 하며, 크림반도 합병 반대와 우크라이나 침공 후 우크라이나군 합류, 그리고 다리야 두기나 암살 사건 연루 등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 상징주의 시인 - 샤를 보들레르
샤를 보들레르는 1821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시인, 평론가, 번역가로, 시집 『악의 꽃』을 통해 퇴폐적인 시대를 상징했으며, 상징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19세기 낭만주의 시에 영향을 미쳤다. - 상징주의 시인 - 폴 베를렌
폴 베를렌은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인으로, 격정적이고 방탕한 삶과 아르튀르 랭보와의 관계로 유명하며, 독특한 시적 기법과 음악적인 시어로 상징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준 '저주받은 시인'이다. - 인지학자 - 솔 벨로
솔 벨로는 캐나다 출신의 미국 소설가로, 현대 사회와 인간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미국 문학에 기여했으며, 유대인의 삶을 주요 주제로 다루며 노벨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인지학자 - 루돌프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철학자 루돌프 슈타이너는 괴테 연구로 이름을 알린 후 인지학을 창시하여 발도르프 교육, 생물역동 농업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나, 유사과학적 요소와 인종 관련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안드레이 벨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부가예프 |
로마자 표기 | Borís Nikolayevich Bugayev |
직업 | 소설가, 시인, 평론가, 극작가 |
활동 기간 | 1900년 - 1934년 |
문학 사조 | 러시아 상징주의, 모더니즘 |
주요 작품 | 은비둘기 (1910년) 페테르부르크 (1913년/1922년) |
개인 정보 | |
출생 |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
사망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
모교 | 모스크바 황립 대학교 (1903년) |
기타 | |
![]() |
2. 생애
안드레이 벨리(본명: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부가예프)는 모스크바의 저명한 지식인 집안에서 태어났다.[6] 아버지 니콜라이 부가예프는 저명한 수학자[6]이자 모스크바 수학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어머니 알렉산드라 드미트리예브나는 유명한 사교계 미인이자 피아니스트였다.[6] 어린 시절 벨리는 모스크바의 역사적인 지역인 아르바트에서 자랐으며,[7] 수학, 생물학, 화학, 음악, 철학, 문학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가진 박식가였다. 1891년부터 1899년까지 솔로비요프와 브류소프 등이 졸업한 폴리바노프 김나지움에서 공부하며, 도스토옙스키, 입센, 니체에게 영향을 받았다. 또한 불교와 오컬티즘에도 관심을 가졌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대학을 다녔으며,[8] 상징주의 운동과 러시아 신칸트주의 학파에 모두 참여했다. 김나지움 시절에는 솔로비요프의 저작을 출판했던 동생 미하일과 친교가 있었으며, 대학교에서는 '데카당'에 접근했다. 1904년에는 파벨 아스트로프 저택에서 '아르고 호의 용사들' 모임을 가졌고, 1906년에는 이 모임에서 '자유의 양심'이라는 제목의 철학과 문학 저작집 2권을 출판했다.
1903년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서신 왕래를 시작하여 이듬해에 서로 알게 되었고,[6] 벨리는 블로크와 그의 아내 류보피 멘델레예바와 친분을 맺었다. 벨리는 류보피와 사랑에 빠져 블로크와 갈등을 겪기도 하였으나, 류보피는 결국 남편과 헤어지지 않았다. 실의에 빠진 벨리는 외국으로 떠났으며, 2년 이상을 국외에서 보내며 블로크와 류보피에게 바치는 시집 2권을 냈다.
젊은 시절 벨리는 철학자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가족, 특히 그의 동생 미하일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미하일 솔로비요프는 벨리에게 '안드레이 벨리'라는 필명을 지어주었다.
안드레이 벨리는 모스크바 대학교 물리-수학학부에서 수학하며 다윈을 비롯한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을 접했고, 종교 철학가인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와 교류하며 그의 가족들과 친분을 쌓았다. '안드레이 벨리'라는 필명은 블라디미르의 동생 미하일 솔로비요프가 지어준 것이다. 벨리는 초기에는 솔로비요프의 철학과 니체, 쇼펜하우어의 사상, 리케르트의 신칸트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 이론을 주창하는 등 복잡한 사상적 변화를 겪었다.
1904년 첫 시집 《쪽빛 황금》을 출간하며 작가로서 활동을 시작한 벨리는, 네크라소프를 기념하는 시집 《재》(1908), 《유골 항아리》(1909) 등을 발표했다. 소설로는 《심포니야》 4부작(《영웅》(1903), 《드라마》(1902), 《귀환》(1904), 《눈보라의 잔》(1908))과 《은빛 비둘기》(1909), 《코틱 레타예프》(1922) 등을 창작했다. 1911년 집필을 시작하여 1916년 출판한 《페테르부르크》는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표도르 솔로구프, 알렉세이 레미조프와 함께 러시아 산문의 개혁에 기여하였으며, 그의 영향은 예브게니 자먀틴, 보리스 필냑, 이삭 바벨,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등 초기 소비에트 작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16]
모스크바 출신으로, 모스크바 수학회 회장이었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니콜라이 부가예프 교수를 아버지로 두었다. 26세까지 아르바트 거리에서 살았으며, 유년기와 청년기를 보낸 집은 현재 "벨리의 집 박물관"이 되었다. 1891년부터 1899년까지 솔로비요프와 브류소프 등이 졸업한 폴리바노프 김나지움에서 수학하며, 문학, 불교, 오컬티즘에 친숙해졌다. 도스토옙스키, 입센, 니체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김나지움 시대에는 솔로비요프의 저작을 출판했던 동생 미하일과, 대학교에서는 '데카당'과 교류했다. 1904년 파벨 아스트로프 저택에서 「아르고 호의 용사들」 모임이 결성되었고, 1906년에는 '자유의 양심'이라는 제목의 철학 및 문학 저작집 2권이 출판되었다. 1903년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서신 왕래를 시작, 이듬해에 친분을 쌓았다. 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1904년 역사철학과에 재입학했으나 곧 수업에 나가지 않아 제적원을 제출하고 문예지 '천칭궁'에 기고하는 데 전념했다. 블로크와 그의 아내 류보피 멘델레예바와의 삼각관계로 고뇌하며 자살을 생각하기도 했으나, 류보피는 결국 남편과 헤어지지 않았다. 실의에 빠진 벨리는 2년 이상 외국에서 체류하며 블로크와 류보피에게 바치는 시집 2권을 냈다. 귀국 후 아샤 투르게네바와 결혼하여 시칠리아, 이집트 등을 여행했고, 1912년 베를린에서 슈타이너를 만나 흠모하게 되면서 기존 작가 서클에서 이탈했다. 10월 혁명 이후, 모스크바의 프로레트크리트에서 젊은 프롤레타리아 작가들과 시와 산문의 이론을 배웠고, 이론적 주요 작업인 '상징주의'를 저술했다. 1917년 아샤와 이혼 후 다시 외국으로 떠났으며(후에 클라브지야 니콜라예브나와 재혼), 당시의 시에는 이별의 고통과 아샤를 향한 마음이 담겨 있다.
1912년 베를린에서 루돌프 슈타이너를 만난 벨리는 그의 인智학[10][11]에 깊이 빠져들었다. 이는 기존의 작가 서클에서 이탈하는 결과를 낳았지만, 벨리의 예술적 독자성이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는 기우였다. 벨리는 인지학의 영향을 받아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철학적 아이디어를 슈타이너의 정신 과학과 연결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는 "세계 영혼"과 모든 개인이 공유하는 자아인 "초개인적 자아"와 동일시한 ''영원한 여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13]
벨리는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의 집권을 지지하였고, 모스크바의 프로레트크리트에서 젊은 프롤레타리아 작가들에게 시와 산문의 이론을 가르쳤다. 이 시기에 벨리는 시인으로서 여러 저작을 냈으며, 그의 이론적 주요 작업인 '상징주의'도 완성했다. 1917년 아샤 투르게네바와 이혼하고 다시 외국으로 떠났지만, 이후 클라브지야 니콜라예브나와 재혼했다.
말년에 벨리는 스위스, 독일, 러시아를 오가며 혁명 기간을 보냈다. 소비에트 작가 연맹 조직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소비에트 문화에 헌신했다. 1934년 53세의 나이로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많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1934년 1월 모스크바에서 쓰여진 수많은 시들이 이를 증명한다.[15]
2. 1. 유년기와 청년기
안드레이 벨리(본명: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부가예프)는 모스크바의 저명한 지식인 집안에서 태어났다.[6] 아버지 니콜라이 부가예프는 저명한 수학자[6]이자 모스크바 수학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어머니 알렉산드라 드미트리예브나는 유명한 사교계 미인이자 피아니스트였다.[6] 어린 시절 벨리는 모스크바의 역사적인 지역인 아르바트에서 자랐으며,[7] 수학, 생물학, 화학, 음악, 철학, 문학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가진 박식가였다. 1891년부터 1899년까지 솔로비요프와 브류소프 등이 졸업한 폴리바노프 김나지움에서 공부하며, 도스토옙스키, 입센, 니체에게 영향을 받았다. 또한 불교와 오컬티즘에도 관심을 가졌다.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대학을 다녔으며,[8] 상징주의 운동과 러시아 신칸트주의 학파에 모두 참여했다. 김나지움 시절에는 솔로비요프의 저작을 출판했던 동생 미하일과 친교가 있었으며, 대학교에서는 '데카당'에 접근했다. 1904년에는 파벨 아스트로프 저택에서 '아르고 호의 용사들' 모임을 가졌고, 1906년에는 이 모임에서 '자유의 양심'이라는 제목의 철학과 문학 저작집 2권을 출판했다.[6]
1903년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서신 왕래를 시작하여 이듬해에 서로 알게 되었고,[6] 벨리는 블로크와 그의 아내 류보피 멘델레예바와 친분을 맺었다. 벨리는 류보피와 사랑에 빠져 블로크와 갈등을 겪기도 하였으나, 류보피는 결국 남편과 헤어지지 않았다.[6] 실의에 빠진 벨리는 외국으로 떠났으며, 2년 이상을 국외에서 보내며 블로크와 류보피에게 바치는 시집 2권을 냈다.
젊은 시절 벨리는 철학자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가족, 특히 그의 동생 미하일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6] 미하일 솔로비요프는 벨리에게 '안드레이 벨리'라는 필명을 지어주었다.
|thumb|left|200px|레온 박스트의 벨리 초상, 1905]]
2. 2. 문학 활동
안드레이 벨리는 모스크바 대학교 물리-수학학부에서 수학하며 다윈을 비롯한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을 접했고, 종교 철학가인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와 교류하며 그의 가족들과 친분을 쌓았다. '안드레이 벨리'라는 필명은 블라디미르의 동생 미하일 솔로비요프가 지어준 것이다. 벨리는 초기에는 솔로비요프의 철학과 니체, 쇼펜하우어의 사상, 리케르트의 신칸트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 이론을 주창하는 등 복잡한 사상적 변화를 겪었다.1904년 첫 시집 《쪽빛 황금》을 출간하며 작가로서 활동을 시작한 벨리는, 네크라소프를 기념하는 시집 《재》(1908), 《유골 항아리》(1909) 등을 발표했다. 소설로는 《심포니야》 4부작(《영웅》(1903), 《드라마》(1902), 《귀환》(1904), 《눈보라의 잔》(1908))과 《은빛 비둘기》(1909), 《코틱 레타예프》(1922) 등을 창작했다. 1911년 집필을 시작하여 1916년 출판한 《페테르부르크》는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표도르 솔로구프, 알렉세이 레미조프와 함께 러시아 산문의 개혁에 기여하였으며, 그의 영향은 예브게니 자먀틴, 보리스 필냑, 이삭 바벨,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등 초기 소비에트 작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16] 뉴욕 타임스의 사이먼 칼린스키는 벨리의 소설들이 후기 서구 소설의 감성과 구조적 장치를 철저하게 예시하고 그려냈다고 평가했다.[16]
벨리는 1900년부터 1908년까지 쓰여진 실험적인 산문 작품 모음인 ''교향곡''으로 문학 경력을 시작했다.[17] 1909년에 출판한 첫 소설 ''은비둘기''는 종말론적 파멸의 감각을 포착하는 능력과 skaz 기법, 독특한 "장식적 산문"으로 유명하며, 미완성 3부작 ''동쪽 또는 서쪽''의 첫 번째 부분이다.[17] ''페테르부르크''(1913/1922)는 3부작의 두 번째 부분으로, 20세기 초 페테르부르크의 분위기와 1905년 러시아 혁명을 배경으로 혁명 정치에 휘말린 니콜라이 아폴로노비치의 이야기를 다룬다.[18] 일부 학자들은 ''페테르부르크''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아이디어를 차용했다고 본다.[18]
혁명 이후 벨리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의 영향을 받은 자전적 소설 ''코티크 레타예프''(1918)와 ''세례받은 중국인''(1921)을 썼다.[19] D. S. 미르스키는 ''코티크 레타예프''를 "벨리의 가장 독특하고 독창적인 작품", ''세례받은 중국인''을 "벨리의 작품 중 가장 현실적이고 재미있는 작품"이라 평했다.[19] 그는 또한 혁명을 찬양하는 시 ''그리스도 부활''(1918), ''글로소라리아''(1917), ''첫 만남''(1921)을 썼다.[19]
마지막 소설 ''모스크바''(1926-1932)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동안 러시아 지식인의 모습을 묘사하려는 시도로, ''은비둘기''와 ''페테르부르크''와 달리 인격의 변화를 경험하는 복잡한 등장인물을 통해 언어적 실험을 이어간다.[20] ''모스크바''의 첫 번째 부분인 ''모스크바의 괴짜''는 2016년에 영어로 출판되었으나, 나머지 두 부분은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20]
벨리는 《녹색 초원》(1910), 《상징주의》(1910), 《아라베스크》(1911) 등 상징주의 철학과 문학 이론에 대한 논문도 다수 저술했다. 그의 에세이 ''청동 기마상에서의 리듬으로서의 변증법''은 나보코프의 소설 ''선물''에서 "리듬에 대한 기념비적인 연구"로 언급된다.[20]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세 편의 회상록(《두 세기의 분수령에서》(1930), 《세기의 시작》(1933), 《두 혁명 사이에서》(1935))을 집필하여, 상징주의 문학과 격동기 러시아 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흐름에 대한 귀중한 자료를 제공했다.
모스크바 출신으로, 모스크바 수학회 회장이었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니콜라이 부가예프 교수를 아버지로 두었다. 26세까지 아르바트 거리에서 살았으며, 유년기와 청년기를 보낸 집은 현재 "벨리의 집 박물관"이 되었다. 1891년부터 1899년까지 솔로비요프와 브류소프 등이 졸업한 폴리바노프 김나지움에서 수학하며, 문학, 불교, 오컬티즘에 친숙해졌다. 도스토옙스키, 입센, 니체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김나지움 시대에는 솔로비요프의 저작을 출판했던 동생 미하일과, 대학교에서는 '데카당'과 교류했다. 1904년 파벨 아스트로프 저택에서 「아르고 호의 용사들」 모임이 결성되었고, 1906년에는 '자유의 양심'이라는 제목의 철학 및 문학 저작집 2권이 출판되었다. 1903년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서신 왕래를 시작, 이듬해에 친분을 쌓았다. 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1904년 역사철학과에 재입학했으나 곧 수업에 나가지 않아 제적원을 제출하고 문예지 '천칭궁'에 기고하는 데 전념했다. 블로크와 그의 아내 류보피 멘델레예바와의 삼각관계로 고뇌하며 자살을 생각하기도 했으나, 류보피는 결국 남편과 헤어지지 않았다. 실의에 빠진 벨리는 2년 이상 외국에서 체류하며 블로크와 류보피에게 바치는 시집 2권을 냈다. 귀국 후 아샤 투르게네바와 결혼하여 시칠리아, 이집트 등을 여행했고, 1912년 베를린에서 슈타이너를 만나 흠모하게 되면서 기존 작가 서클에서 이탈했다. 10월 혁명 이후, 모스크바의 프로레트크리트에서 젊은 프롤레타리아 작가들과 시와 산문의 이론을 배웠고, 이론적 주요 작업인 '상징주의'를 저술했다. 1917년 아샤와 이혼 후 다시 외국으로 떠났으며(후에 클라브지야 니콜라예브나와 재혼), 당시의 시에는 이별의 고통과 아샤를 향한 마음이 담겨 있다.
2. 3. 인지학과의 만남과 말년
1912년 베를린에서 루돌프 슈타이너를 만난 벨리는 그의 인智학[10][11]에 깊이 빠져들었다.[12] 이는 기존의 작가 서클에서 이탈하는 결과를 낳았지만, 벨리의 예술적 독자성이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는 기우였다.[12] 벨리는 인지학의 영향을 받아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철학적 아이디어를 슈타이너의 정신 과학과 연결하려는 시도를 했다.[12] 그는 "세계 영혼"과 모든 개인이 공유하는 자아인 "초개인적 자아"와 동일시한 ''영원한 여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13]벨리는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의 집권을 지지하였고,[14] 모스크바의 프로레트크리트에서 젊은 프롤레타리아 작가들에게 시와 산문의 이론을 가르쳤다. 이 시기에 벨리는 시인으로서 여러 저작을 냈으며, 그의 이론적 주요 작업인 '상징주의'도 완성했다. 1917년 아샤 투르게네바와 이혼하고 다시 외국으로 떠났지만,[14] 이후 클라브지야 니콜라예브나와 재혼했다.
말년에 벨리는 스위스, 독일, 러시아를 오가며 혁명 기간을 보냈다.[14] 소비에트 작가 연맹 조직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소비에트 문화에 헌신했다.[14] 1934년 53세의 나이로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14] 그의 죽음은 많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1934년 1월 모스크바에서 쓰여진 수많은 시들이 이를 증명한다.[15]
3. 작품 세계
안드레이 벨리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다윈을 비롯한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을 접했고,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와 교제하며 '안드레이 벨리'라는 필명을 얻었다. 초기에는 솔로비요프의 철학과 니체, 쇼펜하우어의 사상, 리케르트의 신칸트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 이론을 주창했다.
1904년 첫 시집 《쪽빛 황금》을 출간했고, 네크라소프를 기념하는 시집 《재》(1908), 그리고 마지막 시집 《유골 항아리》(1909)를 발표했다. 소설로는 《심포니야》 4부작(《영웅》(1903), 《드라마》(1902), 《귀환》(1904), 《눈보라의 잔》(1908))과 《은비둘기》(1909), 《코틱 레타예프》(1922) 등을 썼으며, 1916년에는 《페테르부르크》를 출판했다. 또한 《녹색 초원》(1910), 《상징주의》(1910), 《아라베스크》(1911) 등 상징주의 철학과 문학 이론에 대한 논문도 저술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세 편의 회상록을 집필하여 당시 러시아 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흐름을 보여주었다. 회상록으로는 《두 세기의 분수령에서》(1930), 《세기의 시작》(1933), 《두 혁명 사이에서》(1935)가 있다.
벨리의 소설 ''페테르부르크''(1913/1922)는 미완성 3부작의 두 번째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그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소리가 종종 색을 연상시키는 놀라운 산문 방식을 사용한다. 소설은 20세기 초 페테르부르크의 다소 히스테리컬한 분위기와 1905년 러시아 혁명을 배경으로 한다.
혁명 이후, 벨리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의 영향을 크게 받은 두 개의 심리적 자전적 소설인 ''코티크 레타예프''(1918)와 ''세례받은 중국인''(1921)을 썼다. 그는 또한 혁명을 찬양하는 시 ''그리스도 부활''(1918), ''글로소라리아''(1917), ''첫 만남''(1921)을 썼다.
벨리의 마지막 소설은 ''모스크바''(1926-1932)로,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동안 러시아 지식인의 모습을 묘사하려는 시도이다.
「은의 시대」의 시인들이 음악을 최고의 표현 형식이라고 생각했던 것처럼, 안드레이 벨리도 또한 음악과 시, 산문과의 관계를 독자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3. 1. 상징주의와 모더니즘
안드레이 벨리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다윈을 비롯한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을 접했고,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와 교제하며 '안드레이 벨리'라는 필명을 얻었다. 초기에는 솔로비요프의 철학과 니체, 쇼펜하우어의 사상, 리케르트의 신칸트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 이론을 주창했다.1904년 첫 시집 《쪽빛 황금》을 출간했고, 네크라소프를 기념하는 시집 《재》(1908), 그리고 마지막 시집 《유골 항아리》(1909)를 발표했다. 소설로는 《심포니야》 4부작과 《은빛 비둘기》(1909), 《코틱 레타예프》(1922) 등을 썼으며, 1916년에는 《페테르부르크》를 출판했다. 또한 《녹색 초원》(1910), 《상징주의》(1910), 《아라베스크》(1911) 등 상징주의 철학과 문학 이론에 대한 논문도 저술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세 편의 회상록을 집필하여 당시 러시아 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흐름을 보여주었다. 회상록으로는 《두 세기의 분수령에서》(1930), 《세기의 시작》(1933), 《두 혁명 사이에서》(1935)가 있다.
3. 2. 음악성과 리듬
「은의 시대」의 시인들이 음악을 최고의 표현 형식이라고 생각했던 것처럼, 안드레이 벨리도 또한 음악과 시, 산문과의 관계를 독자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3. 3. 인지학의 영향
4. 주요 작품 목록
- 이야기 2 (공무원의 기록에서) (1902)
- 밝은 이야기 (1903)
- 우리는 그의 귀환을 기다리고 있다 (1903)
- 아르고나우트(Argonauts) (1904)
- 덤불 (1906)
- 산의 여인 (1907)
- 아담에 대한 노트 (1908)
- 요가 수행자 (1918)
- 인간. 소설 ''"인간"'' 서문 - 25세기의 연대기 (1918)
- 조국으로의 귀환 (이야기 발췌, 1922)
4. 1. 소설
〈페테르부르크〉는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과 더불어 20세기 모더니즘 산문의 걸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특히 은유와 환유, 반복과 전위, 라이트모티프 등 독특한 스타일로 모더니즘 계열 작품들 중에서도 실험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난해한 상징으로 가득찬 이 소설에는 프리드리히 니체와 앙리 베르그송 같은 20세기 초 철학자들의 사상에 투영된 러시아 상징주의 특유의 역사적, 철학적 사색이 담겨 있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페테르부르크』를 『율리시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등과 함께 20세기 걸작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은비둘기''(Серебряный голубь, 1910)
- ''페테르부르크''(Петербург, 1913, 1922년 개정 및 단축)
- ''코티크 레타예프''(Котик Летаев, 1918)
- 괴짜의 노트(1922)
- ''[http://community.middlebury.edu/~beyer/cc/index.htm 세례받은 중국인]''(Крещёный китаец, 1927)
- ''모스크바''(Москва, 1926–1932)
- * ''모스크바의 괴짜''(Московский чудак, 1926) - 1권, 1부
- * ''모스크바, 공격을 받다''(Москва под ударом, 1926, 아직 번역되지 않음, 'Moscow Under Siege', 'Moscow in Jeopardy') - 1권, 2부
- * ''가면''(Маски, 1932, 아직 번역되지 않음, 'Masks') - 2권
4. 2. 시집
안드레이 벨리의 주요 시집으로는 ''청금(靑金) 속의 금'' (1904), ''재'' (1909), ''항아리'' (1909)가 있다. ''그리스도 부활'' (1918), ''첫 만남'' (1921), ''언어 구사: 소리에 관한 시'' (1922)도 출간되었다.4. 3. 교향곡
벨리의 교향곡은 다음과 같다.- ''두 번째 교향곡, 드라마틱''(1902)
- ''북방, 혹은 첫 번째—영웅적''(1904, 1900년에 작성)
- ''귀환''—세 번째(1905)
- ''눈보라의 잔''—네 번째(1908)
4. 4. 평론 및 기타
안드레이 벨리는 여러 평론과 회고록을 남겼다. 1910년에는 평론집 《상징주의》(Символизм)와 《푸른 초원》(Луг зелёный)을 출간했고, 1911년에는 《아라베스크》(Арабески)를 발표했다. 1917년에는 《혁명과 문화》(Революция и культура)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1922년에는 《블로크 회고록》(Воспоминания о Блоке)을 출간하여 알렉산드르 블로크와의 관계를 회고했다. 또한 《루돌프 슈타이너 회상록》을 남기기도 했다.1934년에는 《청동 기마상에서의 리듬과 변증법》(Ритм как диалектика и «Медный всадник»)과 《고골의 예술성》(Мастерство Гоголя)을 발표하여 문학 연구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1925년에는 《그림자 왕국에서》(Одна из обителей царства теней)를 출간했다.
그는 자서전 3부작으로 《두 세기의 경계에서》(На рубеже двух столетий, 1930), 《세기의 시작》(Начало века, 1933), 《두 혁명 사이에서》(Между двух революций, 1934)를 남겼다.
참조
[1]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85-01-01
[2]
웹사이트
television interview
http://lib.ru/NABOKO[...]
1965-01-01
[3]
Youtube
Nabokov and the moment of truth
[4]
웹사이트
Nabokov’s Recommendations (opinions on other writers)
http://wmjas.wikidot[...]
[5]
웹사이트
Little theater on the planet of Earth
http://elenafrolova.[...]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ussian Religious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Erotic Utopia: The Decadent Imagination in Russia's Fin de Siecle
Univ of Wisconsin Press
[8]
arXiv
Mathematical Symbolism in a Russian Literary Masterpiece
2017-09-07
[9]
저널
The Spiral as Image and Structural Principle in Andrej Belyj's ''Kotik Lataev''
1976-01-01
[10]
서적
The Red Jester: Andrei Bely's Petersburg as a Novel of the European Modern
[11]
웹사이트
Bely, Andrei.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http://www.bartleby.[...]
2001-07-01
[12]
서적
The First Encoun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서적
Skryabin, Philosophy and the Music of Desire
Taylor & Francis
[14]
웹사이트
Andrey Bely | Russian poet
http://www.britannic[...]
2024-02-16
[15]
서적
Survey, A Journal of Soviet and East European Studies
Eastern News Distributors
[16]
뉴스
The Silver Dove
https://www.nytimes.[...]
1974-10-27
[17]
서적
Reference Guide to Russ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
서적
A Reader's Guide to Andrei Bely's "petersbu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
서적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1881-1925
https://babel.hathit[...]
A. A. Knopf
[20]
서적
The Gi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