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빈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빈 이씨는 조선 효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경주이며 이응헌의 딸이다. 봉림대군 시절부터 그를 보필했으며, 병자호란 당시 심양으로 함께 갔다. 딸 숙녕옹주를 낳았으며, 숙종은 안빈 이씨의 공을 기려 조천하지 못하게 하고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숙의, 소의를 거쳐 1686년 빈으로 책봉되어 안빈의 작호를 받았으며, 1693년 72세로 사망했다. 묘는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사적 제366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2년 출생 - 마쓰다이라 요리시게
미토 번주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장남 마쓰다이라 요리시게는 다카마쓰 번의 초대 번주로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쇼군에게 참근교대 간소화를 건의했다. - 1622년 출생 - 유형원
유형원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토지 제도 개혁과 과거제 폐지 등을 주장하며 《반계수록》을 저술하여 경세치용 실학 사상을 펼쳤다. - 1693년 사망 - 마르크바르트 제바스티안 솅크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르크바르트 제바스티안 솅크 폰 슈타우펜베르크는 가톨릭 성직자로서 밤베르크 주교령의 제후-주교로 선출되어 제호프 성 건설과 그라이펜슈타인 성 재건축 등 건축에도 관여했다. - 1693년 사망 - 메흐메트 4세
메흐메트 4세는 6세에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즉위하여 쾨프륄뤼 가문의 재상들이 제국을 이끌었으나, 빈 전투 패배 후 폐위되어 '사냥꾼 메흐메트'로 불리기도 했다. - 조선 효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조선 효종 - 정축하성
정축하성은 1636년 병자호란 때 조선이 청나라에 맞서 남한산성에서 항전했으나 청군의 빠른 진격과 보급 부족으로 인조가 항복을 결정하며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이 된 사건이다.
안빈 이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효종의 후궁 |
배우자 | 효종 |
자녀 | 1녀 |
딸 | 숙녕옹주 |
아버지 | 이응헌 |
어머니 | 미상 |
출생일 | 1622년 9월 |
사망일 | 1693년 음력 10월 |
능묘 | 안빈묘 |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 |
인물 정보 | |
이름 (한글) | 안빈 이씨 |
이름 (한자) | 安嬪 李氏 |
로마자 표기 | Anbin Issi |
한글 (음독) | 안빈 이씨 |
한자 (음독) | 安嬪 李氏 |
상세 정보 | |
봉작 | 종1품 빈 |
가문 | 경주 이씨 |
생애 | 1622년 9월 출생, 1693년 음력 10월 사망 |
기타 정보 | 효종의 후궁으로, 숙녕옹주를 낳았다. |
묘소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 안빈묘 |
2. 생애
본관은 경주이다. 1622년(광해군 14년)에 이응헌의 딸로 태어났다.[6] 효종이 봉림대군으로 있을 때 그의 첩이 되었다.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끌려갔던 봉림대군을 끝까지 보필하였으며, 훗날 효종의 손자인 숙종은 이 공을 높이 사 그녀를 조천[7]하지 못하도록 하고 역대 왕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주게 하였다.[8]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안빈 이씨는 인선왕후와 함께 봉림대군을 따라 심양으로 갔다. 1649년에는 딸 숙녕옹주를 낳았다.[2] 숙녕옹주는 아버지 효종과 인선왕후의 사랑을 받았는데, 왕이 후궁의 딸에게는 선물을 주지 않고 공주들에게만 선물을 주자, 왕비가 직접 숙녕옹주를 불러 선물을 주기도 하였다. 한번은 안빈 이씨가 딸 숙녕옹주를 "너"라고 불러 파문이 일었으나, 왕비의 설득으로 무사히 넘어간 적도 있었다.
1661년(현종 2년)에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올라갔고,[9] 이후 정2품 소의(昭儀)로 진급했다. 1662년 13살이던 딸 숙녕옹주는 반남 박씨 가문의 아들과 결혼했고, 1667년에 딸 박희경을 낳았다. 1666년 또는 1668년에 숙녕옹주는 27세 또는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 후 소의(昭儀)를 거쳐 1686년(숙종 12년) 정1품 빈에 책봉되어 '''안빈'''(安嬪)의 작호를 받았다.[10] 1693년(숙종 19년) 음력 10월 7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녀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6호로 지정되었다.[6]
2. 1. 출생과 입궁
경주를 본관으로 하는 안빈 이씨는 1622년(광해군 14년)에 이응헌의 딸로 태어났다.[6] 효종이 봉림대군으로 있을 때 첩이 되었다.[6]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끌려갔던 봉림대군을 끝까지 보필하였으며, 훗날 효종의 손자인 숙종은 이 공을 높이 사 그녀를 조천[7]하지 못하도록 하고 역대 왕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주게 하였다.[8]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안빈 이씨는 인선왕후와 함께 봉림대군을 따라 심양으로 갔다. 1649년에는 딸 숙녕옹주를 낳았다.[2] 숙녕옹주는 아버지 효종과 인선왕후의 사랑을 받았는데, 왕이 후궁의 딸에게는 선물을 주지 않고 공주들에게만 선물을 주자, 왕비가 직접 숙녕옹주를 불러 선물을 주기도 하였다. 한번은 안빈 이씨가 딸 숙녕옹주를 "너"라고 불러 파문이 일었으나, 왕비의 설득으로 무사히 넘어간 적도 있었다.
1661년(현종 2년)에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올라갔고,[9] 이후 정2품 소의(昭儀)로 진급했다. 1662년 13살이던 딸 숙녕옹주는 반남 박씨 가문의 아들과 결혼했고, 1667년에 딸 박희경을 낳았다. 1666년 또는 1668년에 숙녕옹주는 27세 또는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 후 소의(昭儀)를 거쳐 1686년(숙종 12년) 정1품 빈에 책봉되어 '''안빈'''(安嬪)의 작호를 받았다.[10] 1693년(숙종 19년) 음력 10월 7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녀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6호로 지정되었다.[6]
2. 2. 병자호란과 심양 생활
안빈 이씨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끌려갔던 봉림대군(훗날 효종)을 끝까지 보필하였다.[6] 인선왕후와 함께 봉림대군을 따라 심양으로 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그를 보필했다. 훗날 효종의 손자인 숙종은 이 공을 높이 사 그녀를 조천[7]하지 못하도록 하고 역대 왕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주게 하였다.[8]2. 3. 효종의 후궁
안빈 이씨는 경주를 본관으로 하며, 1622년(광해군 14년)에 이응헌의 딸로 태어났다.[6] 효종이 봉림대군으로 있을 때 그의 첩이 되었다.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끌려갔던 봉림대군을 끝까지 보필하였으며, 훗날 효종의 손자인 숙종은 이 공을 높이 사 그녀를 조천[7]하지 못하도록 하고 역대 왕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주게 하였다.[8]1649년, 안빈 이씨는 딸 숙녕옹주를 낳았다.[2] 숙녕옹주는 아버지 효종과 법적 어머니인 인선왕후의 사랑을 받았다. 왕비는 남편 효종이 안빈 이씨의 외동딸을 소외시키는 것을 걱정하여, 직접 숙녕옹주를 불러 선물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안빈 이씨가 딸 숙녕옹주에게 반말을 사용한 것에 대해 왕이 처벌하려 했지만, 왕비는 완강하게 왕을 설득하여 넘어가게 했다.
1661년(현종 2년)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올라갔고[9], 이후 소의(昭儀, 정2품)를 거쳐 1686년(숙종 12년) 종1품 귀인을 거쳐 정1품 빈에 책봉되어 '''안빈'''(安嬪)의 작호를 받았다.[10][3]
1693년(숙종 19년) 음력 10월 7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녀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6호로 지정되었다.[6]
2. 4. 품계와 작호
본관은 경주이다.[6] 1661년(현종 2년)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올라갔고,[9] 이후 종1품 귀인에 책봉되었다가 1686년(숙종 12년) 정1품 빈에 책봉되어 '''안빈'''(安嬪)의 작호를 받았다.[10] 소의(昭儀, 정2품)를 거쳐 귀인이 되었다.[3]2. 5. 사망과 묘소
안빈 이씨는 1693년(숙종 19년) 음력 10월에 7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6]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6호로 지정되었다.[6]안빈 이씨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끌려갔던 봉림대군을 끝까지 보필하였고, 훗날 효종의 손자인 숙종은 이 공을 높이 사 그녀를 조천[7]하지 못하도록 하고 역대 왕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주게 하였다.[8]
3. 가족 관계
안빈 이씨의 아버지는 이응헌이다. 남편은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1619~1659, 재위:1649~1659)이다. 효종과의 사이에서 숙녕옹주(1649[11]~1666[12])를 낳았으며, 숙녕옹주는 박필성에게 하가하였다.[11]
4. 평가
5.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남양주 안빈묘(南楊州安嬪墓)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안빈 이씨(安嬪李氏) 의 묘
https://m.blog.naver[...]
[5]
웹사이트
안빈묘 이야기
https://royaltombs.c[...]
[6]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남양주 안빈묘〉항목
http://100.naver.com[...]
[7]
사전
祧遷. 종묘의 본전에 모시던 신주를 영녕전으로 옮기는 것
http://krdic.naver.c[...]
네이버 국어사전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안빈 이씨〉
https://web.archive.[...]
2012-05-23
[9]
기록
조선왕조실록 현종 2년(1661) 10월 20일 2번째 기사
[10]
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2년(1686) 5월 27일 1번째 기사
[1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숙녕옹주〉
https://web.archive.[...]
2012-05-23
[12]
기록
조선왕조실록 현종 7년(1666) 9월 17일 1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