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이씨는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알평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여 여러 인물을 배출하며 가문을 번성시켰으며, 특히 이제현은 고려 후기 성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조선 시대에는 이항복, 이이, 이완, 이광좌, 이종성 등 많은 인물이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명성을 떨쳤고, 독립운동가 이회영, 이시영, 이상설 등을 배출하여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 이건희, 이재용, 이명박 전 대통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도 경주 이씨 가문 출신이다. 경주 이씨는 14개 대파로 분파되었으며,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경주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성씨 | 경주 이씨 |
이칭 | 월성 이씨 |
국가 | 한국 |
관향 | 경상북도 경주시 |
시조 | 이알평(李謁平) |
중시조 | 이거명(李居明) |
집성촌 | |
주요 지역 | 경상북도 경주 경상북도 예천 경상북도 상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해남군 대구광역시 동구 울산광역시 북구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보령시 경상남도 밀양시 |
주요 인물 | |
인물 | 이금현 이금서 이제정 이주좌 이녹천 이총섬 이진 이규 이세기 이제현 이천 혜비 이씨 이달충 이성림 이수림 이보림 이성중 이존오 이래 이항복 이완 이유태 이경억 이태좌 이광좌 이종성 이경일 이유원 이석영 이회영 이시영 이상설 이병철 이종대 이상배 이명박 이건희 이명희 이재용 이부진 |
통계 | |
년도 | 2015 |
인구 | 1,391,867명 |
순위 | 5 |
기타 | |
비고 |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
2. 기원
시조는 신라 건국 신화에 나오는 사로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으로 전해지는 표암공(瓢巖公) 알평이다. 《경주이씨 대종보(大宗譜)》[1] 상계편에 의하면 알평은 6촌 촌장의 수장으로 화백회의를 주재하고 박혁거세를 옹립하여 신라 건국의 원훈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고, 아찬(阿粲)에 올랐다고 한다. 32년(유리 이사금 9년) 알천양산촌은 급량부(及梁部)로 개칭되었고, 이씨(李氏) 성을 사성(賜姓)받았다고 한다.[4][5]
경주 이씨의 중시조는 고려 시대 소판 벼슬을 지낸 이거명이다. 이색이 찬한 이제현 묘지명에 신라 말 소판 벼슬을 지낸 이거명 이후의 세계가 기록되어 있어, 이거명을 1세로 기세하고 있다.
3. 역사
3.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이거명 외에도 이금서, 이총섬, 이제현, 이달충 등 여러 인물이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을 번성시켰다.
다음은 고려시대 주요 인물이다.
이름 | 관직 | 파 | 비고 |
---|---|---|---|
이금서 | 삼한공신, 중원태수, 호부낭중 | 경순왕의 사위, 태조의 외손서[6] | |
이승겸 | 시중, 판예부사 | [6] | |
이주좌 | 형부상서 판어사대사 | 아산 이씨 시조 | [7] |
이총섬 | 문하시중 | [8] | |
이녹천 | 공부상서 상장군 | [9] | |
이핵 | 문하평리, 증 상서좌복야 | 열헌공 | [10] |
이진 | 검교첨의정승, 정당문학, 상의회의도감사 | 임해군 | [11] |
이세기 | 검교정승, 보문각 대제학, 밀직부사 | ||
이규 | 첨의참리, 밀직부사, 수종공신 2등 | 월성군파, 정렬공 | 충혜왕 묘정 배향공신[12][13][14] |
이제현 | 섭정승권단정동성사·도첨의정승·우정승·문하시중 | 계림후, 계림부원군, 문충공, 익재공파 파조 | 공민왕 묘정 배향공신, 시인, 역사학자, 성리학자, 화가 |
이천 | 첨의참리, 정당문학, 추성보리공신 | 월성군, 문효공, 국당공파 파조 | [15][16] |
이과 | 상서 | 상서공파 파조 | [17] |
혜비 이씨 | 공민왕 제2비 | 익재공파 | 이제현의 5녀 |
이경중 | 중서문하판병부사 | 월성부원군, 국당공파 | [18] |
이달충 | 정당문학, 밀직제학, 호부상서 | 계림군, 문정공, 국당공파 | [19] |
이성림 | 좌시중·우시중·수문하시중 | 이암공파 | 신축호종공신 1등 |
이수림 | 추밀원사, 이부·군부판서 | 익재공파 | [20] |
이보림 | 정당문학 | 계림군, 문숙공, 익재공파 | [21] |
이존오 | 우정언, 증 성균대사성 | 석탄공파 파조 |
특히, 이제현은 고려 후기 대표적인 문신이자 학자로, 성리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공민왕의 비인 혜비 이씨 역시 경주 이씨 가문 출신이다.
3. 2. 조선 시대
고려 말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많은 경주 이씨 인물들이 정계에 진출하여 활약하였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이름 | 생몰년 | 주요 경력 | 비고 |
---|---|---|---|
이성중 | 1332 ~ 1411 | 고려 밀직제학, 조선 검교좌정승, 정순공 |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
이래 | 1362 ~ 1462 | 판경승부사, 지의정부사, 예문관 대제학, 좌명공신 2등, 계성군, 태종 묘정 배향공신 | 중시조 20세, 석탄공파 |
이항복 | 1556 ~ 1618 | 오성부원군, 문충공, 영의정, 대제학, 평난공신 3등, 호성공신 1등, 임진왜란 극복 공헌[22] | 중시조 2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파조 |
이완 | 1602 ~ 1674 | 우의정, 공조·형조판서, 한성부판윤(11회), 훈련대장(16년), 정익공[22] | 중시조 25세, 국당공파 |
이광좌 | 1674 ~ 1740 | 영의정, 대제학, 문충공, 소론의 영수 | 중시조 29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종성 | 1692 ~ 1759 | 영의정, 문충공, 장조 묘정 배향공신 | 중시조 30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벽 | 1754 ~ 1785 | 한국천주교회 창립성조 5인[23] 중 한 명 | 중시조 33세, 국당공파 |
이유원 | 1814 ~ 1888 | 영의정, 영중추부사, 봉조하, 충문공 | 중시조 34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조선 왕실과의 혼인을 통해 외척 가문으로 성장하기도 하였다.
3. 3. 근현대
일제강점기에 이회영, 이시영, 이상설 등은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1] 이회영은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고,[2] 이시영은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역임하였다.[3] 이상설은 헤이그 특사 정사(正使), 대한광복군정부 초대 정도령(正都領) 등을 역임한 독립유공자이다.[4]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이시영은 초대 부통령을 지냈다.[3] 이병철은 삼성그룹을 창업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하였다.[6] 이건희는 삼성그룹 제2대 총수 및 삼성전자 회장을 역임했으며, 이재용은 삼성그룹 제3대 총수 및 삼성전자 회장으로, 이들은 대한민국 경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0]
이명박은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했고,[16] 이재명은 더불어민주당 제6대 당대표를 맡고 있는 등,[22] 전현직 대통령 및 주요 정치인 중에도 경주 이씨 가문 출신이 있다.
4. 분파
경주 이씨는 고려 말 14개 대파로 분파되었으며, 이후 다시 여러 중소 파로 분파되었다.[2] 주요 14개 대파는 다음과 같다.
5. 주요 인물
- 이알평(李謁平) - 시조. 알천양산촌 촌장. 신라 시조의 좌명대신. 급량부 대인. 충헌공.[4] 은열왕.[5]
- 이거명(李居明) - 중시조. 소판(蘇判).
- 이금현(李金現) - 병부령. 중시조 2세.
- 이금서(李金書) - 삼한공신, 중원태수, 호부낭중. 신라 경순왕의 사위. 고려 태조의 외손서. 중시조 3세.
- 이승겸(李承謙) - 시중, 판예부사.[6] 중시조 5세.
- 이주좌(李周佐, ? ~ 1040) - 형부상서 판어사대사. 중시조 6세. 아산 이씨의 시조.[7]
- 이총섬(李寵暹) - 문하시중.[8] 중시조 9세.
- 이녹천(李錄千)[9] - 공부상서 상장군. 중시조 11세.
- 이핵(李翮) - 문하평리,[10] 증 상서좌복야, 열헌공. 중시조 15세.
- 이진(李瑱) - 검교첨의정승, 정당문학,[11] 상의회의도감사, 임해군. 중시조 16세.
- 이세기(李世基) - 검교정승, 보문각 대제학, 밀직부사. 중시조 16세.
- 이규(李揆, ? ~ 1346?)[12] - 첨의참리,[13] 밀직부사, 수종공신 2등, 정렬공. 충혜왕 묘정 배향공신. 중시조 18세.[14] 월성군파.
- 이제현(李齊賢, 1287 ~ 1367) - 섭정승권단정동성사·도첨의정승·우정승·문하시중, 단성익찬공신, 추성양절공신, 수종공신,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 계림후, 계림부원군, 문충공. 공민왕 묘정 배향공신. 시인·역사학자·성리학자·화가. 중시조 17세. 익재공파 파조.
- 이천(李蒨, ? ~ 1349) - 첨의참리,[15] 정당문학,[16] 추성보리공신, 월성군, 문효공. 중시조 17세. 국당공파 파조.
- 이과(李薖) - 상서.[17] 중시조 17세. 상서공파 파조.
- 혜비 이씨(惠妃 李氏, ? ~ 1408) - 공민왕 제2비. 이제현의 5녀. 중시조 18세. 익재공파.
- 이경중(李敬中) - 중서문하판병부사,[18] 월성부원군.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 이달충(李達衷, 1309 ~ 1385) - 정당문학,[19] 밀직제학, 호부상서, 계림군, 문정공.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 이성림(李成林, ? ~ 1388) - 좌시중·우시중·수문하시중, 신축호종공신 1등. 중시조 19세. 이암공파.
- 이수림(李壽林, 1332 ~ 1369) - 추밀원사,[20] 이부·군부판서. 중시조 19세. 익재공파.
- 이보림(李寶林, ? ~ 1385) - 정당문학,[21] 계림군, 문숙공. 중시조 19세. 익재공파.
- 이존오(李存吾, 1341 ~ 1371) - 우정언. 증 성균대사성. 중시조 19세. 석탄공파 파조.
- 이성중(李誠中, 1332 ~ 1411) - 고려 밀직제학. 조선 검교좌정승, 정순공. 중시조 18세. 국당공파.
- 이휴(李携, 1372 ~ 1448) - 검교판한성부사. 중시조 19세. 국당공파.
- 이래(李來, 1362 ~ 1462) - 판경승부사, 지의정부사, 예문관 대제학, 좌명공신 2등, 계성군. 태종 묘정 배향공신. 중시조 20세. 석탄공파.
- 이승상(李升商, ? ~ 1413) - 형조판서, 좌명공신 4등, 공정공/공의공. 중시조 20세. 국당공파.
- 이윤인(李尹仁, 1415 ~ 1471) - 평안도관찰사. 중시조 22세. 익재공파.
- 이유인(李有仁) - 예조참판, 사헌부 대사헌, 강원도관찰사. 중시조 22세. 익재공파.
- 이양생(李陽生, 1423 ~ 1488) - 포도대장, 적개공신 3등, 계성군, 양평공. 월성군파.
- 이공린(李公麟, 1437 ~ 1509) - 창평현감, 사육신 박팽년(朴彭年)의 사위. 중시조 23세. 익재공파.
- 이원(李黿) - 호조좌랑, 성균관 박사 겸 봉상시. 무오사화 때 유배. 갑자사화 때 참형.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중시조 24세. 익재공파.
- 이사균(李思鈞, 1471 ~ 1536) - 찬성, 지중추부사 겸 지의금부사, 이조·호조·병조판서, 강원도·함경도·전라도·충청도·경상도관찰사, 문강공. 중시조 24세. 익재공파.
- 이탕(李宕) - 증 영의정, 오산부원군. 중시조 25세. 국당공파.
- 이정암(李廷馣, 1541 ~ 1600) - 황해도초토사, 황해도관찰사 겸 순찰사, 증 좌의정, 선무공신 2등, 월천부원군, 충목공. 중시조 26세. 국당공파.
- 이정형(李廷馨, 1549 ~ 1607) - 이조·호조참판, 동지중추부사, 경기도관찰사, 사헌부 대사헌, 사간원 대사간, 홍문관 부제학. 중시조 26세. 국당공파.
- 이항복(李恒福, 1556 ~ 1618) - 영의정, 대제학, 평난공신 3등, 호성공신 1등, 오성부원군, 문충공. 중시조 2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파조.
- 이시발(李時發, 1569 ~ 1626) - 형조판서, 삼남도검찰사, 증 영의정, 충익공. 중시조 28세. 익재공파.
- 이정(李靖) - 훈국 천총, 동부승지, 김해부사, 진무공신 3등. 중시조 29세. 국당공파.
- 이완(李浣, 1602 ~ 1674) - 우의정,[22] 공조·형조판서, 한성부판윤(11회), 훈련대장(16년), 정익공. 중시조 25세. 국당공파.
- 이경휘(李慶徽, 1617 ~ 1669) - 이조판서, 익헌공. 중시조 29세. 익재공파.
- 이경억(李慶億, 1620 ~ 1673) - 좌의정. 문익공. 중시조 29세. 익재공파.
- 이인환(李寅換, 1633 ~ 1699) -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중시조 30세. 익재공파.
- 이인병(李寅炳) - 황해도관찰사, 사간원 대사간. 중시조 30세. 익재공파.
- 이인엽(李寅燁, 1656 ~ 1710) -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판서, 사헌부 대사헌, 판의금부사, 대제학, 수어사. 중시조 30세. 익재공파.
- 이태좌(李台佐, 1660 ~ 1739) - 좌의정, 판중추부사, 봉조하, 충정공. 중시조 29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성룡(李聖龍, 1672 ~ 1748) - 공조판서, 지돈녕부사, 도승지, 사간원 대사간, 충청도·전광도·황해도관찰사, 도승지, 혜정공. 국당공파. 중시조 31세.
- 이광좌(李光佐, 1674 ~ 1740) - 영의정, 대제학, 문충공. 소론의 영수. 중시조 29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종성(李宗城, 1692 ∼ 1759) - 영의정, 문충공, 장조 묘정 배향공신. 중시조 30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경일(李敬一, 1734 ~ 1820) - 좌의정, 오은군, 봉조하, 효정공. 중시조 31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집두(李集斗, 1744 ~ 1820) - 예조·형조판서, 한성부판윤, 판돈녕부사. 중시조 34세. 익재공파.
- 이벽(李蘗, 1754 ~ 1785) - 한국천주교회 창립성조 5인[23] 중 한 명. 중시조 33세. 국당공파.
- 이현직(李顯稷, 1795 ~ ?) - 판의금부사, 형조·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총융사, 어영대장, 삼도수군통제사, 함경북도·전라도병마절도사, 경상좌도수군절도사. 중시조 34세. 국당공파.
- 이규팽(李圭祊) -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 황해도·평안도관찰사. 중시조 36세. 익재공파.
- 이유원(李裕元, 1814 ~ 1888) - 영의정, 영중추부사, 봉조하, 충문공. 중시조 34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하영(李夏榮, 1858 ~ 1929) -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외부·법부대신. 조선귀족 자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친일반민족행위자. 중시조 3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회영(李會榮, 1867 ~ 1932) - 독립운동가. 중시조 3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시영(李始榮, 1869 ~ 1953) -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중시조 35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상설(李相卨, 1871 ~ 1917) - 독립유공자(건국훈장 대통령장). 성균관 대사성. 법부·학부협판. 의정부 참찬. 국제법 전문가. 헤이그 특사 정사. 권업회 의사부 의장. 대한광복군정부 초대 정도령. 신한혁명당 본부장. 중시조 39세. 익재공파.
- 이종만(李鍾萬, 1885 ~ 1977) - 기업인. 조선총독부 대화숙평의회의장 직무대리 겸 대표상무평의원. 친일반민족행위자. 북한 광업부 고문.
- 이병철(李秉喆, 1910 ~ 1987) - 삼성그룹 창업주 겸 초대 총수. 삼성전자 창업주. 중시조 39세. 판전공파.
- 이규창(李圭昌, 1913 ~ 2005) - 독립운동가. 중시조 36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민우(李敏雨, 1915 ~ 2004) - 신한민주당 제1~3대 총재. 제9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제4·5·7·9·10·12대 국회의원. 중시조 38세.
- 이종대(李鍾大, 1933 ~ 2018) - 유한킴벌리 초대 회장. 한국제지공업연합회 회장.
- 이창희 - 기업인. 중시조 40세. 판전공파.
- 이건희(李健熙, 1942 ~ 2020) - 삼성그룹 제2대 총수. 삼성전자 회장. 대한아마추어복싱연맹 회장. 대한레슬링협회 회장.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이병철의 3남. 중시조 40세. 판전공파.
- 이상득(李相得, 1935 ~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부의장. 중시조 39세. 국당공파.
- 이종찬(李鍾贊, 1936 ~ ) - 제11~14대 국회의원. 국정원장. 중시조 37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명박(李明博, 1941 ~ )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이상득의 동생. 중시조 39세. 국당공파.
- 이재정(李在禎, 1944 ~ ) - 국회의원. 성공회대학교 총장. 통일부장관. 경기도교육감.
- 이만우 - 제19대 국회의원.
- 이상돈 - 제20대 국회의원.
- 이철우(李喆雨, 1955 ~ ) - 제18-20대 국회의원. 제32~33대 경상북도지사.
- 이종걸(李鍾杰, 1957 ~ ) - 제16~20대 국회의원. 중시조 37세. 상서공파-백사공파.
- 이응우(李應雨, 1957 ~ ) - 제6대 충청남도 계룡시장. 중시조 38세.
- 이재명(李在明, 1963 ~ ) - 더불어민주당 제6대 당대표. 중시조 41세. 국당공파.
- 이장우(李莊雨) - 제16대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제19-20대 국회의원. 제13대 대전광역시장.
- 이재용(李在鎔, 1968 ~ ) - 삼성그룹 제3대 총수. 삼성전자 회장. 이건희의 장남. 중시조 41세. 판전공파.
- 이부진(李富眞, 1970 ~ ) - 호텔신라 대표이사 사장. 이건희의 장녀, 이재용의 동생. 중시조 41세. 판전공파.
6. 집성촌
지역 | 상세 지역 |
---|---|
경상북도 | 경주시 양남면 서동리・신서리・효동리・환서리, 안강읍 양월리, 구정동 |
경상북도 |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다인면 신락리, 안사면 중하동, 점곡면 윤암1리 |
경상북도 | 구미시 선산읍, 송정동 |
경상북도 | 예천군 개포면 동송동, 은풍면 탑2리, 용문면 |
경상북도 | 상주시 함창읍 신덕리 |
경상북도 | 포항시 남구 연일읍 택전리, 구룡포읍 하정리 |
경상북도 | 경산시 자인면 신관리(관상동) |
경상북도 |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 |
경상북도 | 영주시 상망동 |
경상북도 |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
충청북도 |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리, 진천군 |
충청남도 | 공주시 상왕동 중호, 보령시 남포면 양항리 |
전북특별자치도 | 임실군 덕치면 사곡리, 임실읍 현곡리, 신평면 가덕리 |
전북특별자치도 | 완주군 봉동읍 성덕리 |
전라남도 | 고흥군 두원면 성두리,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 |
전라남도 | 해남군 화산면 율동리, 장흥군 관산읍 삼산리, 함평군 신광면 월암리 |
전라남도 | 강진군 대구면 구수리,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월평리 |
경상남도 | 밀양시 상남면 예림리,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
경상남도 | 의령군 정곡면 중교리, 의령읍 무전리, 칠곡면 신포리 |
울산광역시 | 북구 호계동,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
대구광역시 | 수성구, 달서구, 동구 |
경기도 | 안성시 원곡면 칠곡리 |
7. 유적지
구분 | 성명 | 호 | 소재지 |
---|---|---|---|
![]() | 이알평 | 표암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
이상재 | 이준 | 삼효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
도원정사 | 이말동 | 도원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
향현사 | 이유택 | 유곡 | 충청남도 금산군 |
충현사 | 이존오 | 석탄 | 충청남도 공주시 |
단구서원 | 이천 | 국당 | 경상북도 경주시 |
가산서원 | 이항복 | 백사 |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
가산서원 | 이제현 | 익재 |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
화산서원 | 이항복 | 백사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
도천서원 | 이알평 | 표암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신관리 |
도천서원 | 이제현 | 익재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신관리/신도리(이홍우) |
8. 항렬자
경주 이씨는 중시조를 1세로 하여 대동 항렬을 사용한다.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
규(圭) | 종(鍾) | 상(相) | 재(在) | 제(濟) 준(濬) | 병(丙) 심(心) | 진(鎭) | 근(根) | 준(埈) | 태(泰) | 현(炫) | 용(鎔) | 병(秉) |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66세 | 67세 | 68세 | 69세 | 70세 | ||||||||||||||
기(基) | 낙(洛) 영(永) | 덕(德) | 용(鎔) 일(鎰) | 준(住) 채(綵) |
9. 왕실과의 인척 관계
참조
[1]
간행물
경주이씨 대동보
1978
[2]
족보
경주이씨대종보
경주이씨중앙화수회
1987
[3]
족보
경주이씨대종보, 경주이씨대동보, 경주이씨중앙화수회 분파도와 분적도
경주이씨중앙화수회, 경주이씨대동보편찬위원회
1987
[4]
족보
경주 정씨 족보, 경주 설씨 족보, 35대 실전세계
[5]
족보
경주 정씨 족보, 경주 설씨 족보, 35대 실전세계
[6]
족보
경주이씨 족보, 강릉박씨 족보, 고려사
[7]
족보
경주이씨 족보
[8]
족보
경주이씨 무진보, 해주오씨 족보, 함열남궁씨 족보, 고려사
[9]
고려사
[10]
고려사
평리
[11]
고려사
평리
[12]
[13]
고려사
평리
[14]
족보
(신)원주이씨 족보
[15]
고려사
평리
[16]
고려사
평리
[17]
[18]
판병부사
[19]
[20]
추밀원사
[21]
고려사
평리
[22]
[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