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우 1세 (콩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토니우 1세는 1661년부터 1665년까지 콩고 왕국의 군주였다. 그는 포르투갈과의 지속적인 갈등 속에서 스페인, 음분두, 뎀보스, 음빌라 등과의 동맹을 통해 대항하려 했다. 포르투갈이 콩고 구리 광산 개발을 시도하자, 안토니우 1세는 이에 반발하며 전쟁을 준비했다. 1665년 므빌라 전투에서 콩고군은 패배했고, 안토니우 1세는 전사했다. 그의 죽음 이후 콩고 왕국은 내전에 휩싸이며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출생 - 메리 리드
메리 리드는 소년으로 위장하여 군 복무와 여관 운영을 하다 해적에게 납치된 후 앤 보니와 함께 18세기 초 존 래컴 해적단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검술 실력을 보인 여성 해적이다. - 17세기 출생 - 아딜 기라이
아딜 기라이는 오스만 제국의 지원으로 17세기 크림 칸국의 칸이 되었으나, 귀족과의 갈등, 국내 정세 불안, 오스만 제국의 정책 변화로 폐위되었으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연대를 추구하기도 했다. - 1665년 사망 -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10년)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페르디난트 2세의 딸로 태어나 막시밀리안 1세와 결혼하여 바이에른 선제후비가 되었으며, 남편 사후 아들의 섭정을 맡아 바이에른 정치에 참여하다가 뮌헨에서 사망했다. - 1665년 사망 - 피에르 드 페르마
피에르 드 페르마는 17세기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로, 해석기하학, 확률론, 정수론, 미적분학 등 여러 분야에 기여했으며, 특히 정수론에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비롯한 업적을 남기고 '페르마의 원리'로 물리학에도 공헌했다. - 마니콩고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마니콩고 - 은라자
안토니우 1세 (콩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마니콩고 |
상세 정보 | |
본명 | António Vita a Nkanga (안토니우 비타 아 은캉가) |
왕조 | 킨라자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통치 | |
즉위 | 1661년 |
퇴위 | 1665년 |
전임자 | 가르시아 2세 |
후임자 | 아폰수 2세 (콩고와 은콘도) |
생애 | |
출생 | 1617년, 므반자 콩고 |
사망 | 1665년, 음부일라 전투 |
매장지 | 루안다 |
배우자 | 알려진 바 없음 |
자녀 | 동 프란시스코 드 메네제스 은캉카 아 마카야 |
2. 포르투갈과의 갈등
1620년부터 콩고 왕국과 포르투갈은 거의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바콩고, 음분두 및 네덜란드의 군사적 승리로 거의 30년 동안 쇠퇴한 후, 포르투갈은 루안다에서 식민지 지배권을 되찾고 오랜 적들과 불안정한 평화를 구축했다.[1] 콩고의 남쪽 국경에서 포르투갈의 귀환에 위협을 느낀 안토니우 1세는 키톰보 전투 때와 유사한 새로운 동맹을 통해 포르투갈과의 전쟁을 재개하려 했다.
2. 1. 포르투갈의 콩고 구리 광산 장악 시도
1663년 12월 22일, 포르투갈의 아폰수 6세는 비달 네그레이로스에게 콩고의 구리 광산을 장악하여 그 매장량을 개발하고 광석을 배로 리스본에 보낼 것을 명령했다.[1] 콩고의 안토니우 1세는 광산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하며,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든 포르투갈 국왕에게 빚을 지고 있지 않다"고 선언하면서 이에 대응했다.[1] 비달 네그레이로스는 군대를 전투에 대비시켰고, 안토니우 1세는 격렬하게 전쟁을 호소했으며, 양측은 울랑가 강을 따라 음빌라에서 만났다.[1]2. 2. 반(反) 포르투갈 동맹 시도
1620년 이래, 콩고와 포르투갈은 거의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있었으며, 결정적인 바콩고의 승리 이후에만 잠시 휴전이 있었다. 바콩고, 음분두 및 네덜란드의 군사적 승리에 직면하여 거의 30년 동안 쇠퇴한 후, 포르투갈은 루안다에서 식민지 지배권을 되찾았고, 오랜 적들과 불안정한 평화를 구축했다. 콩고의 남쪽 국경에서 포르투갈의 귀환에 위협을 느낀 안토니우 1세는 키톰보 전투 때와 유사한 새로운 동맹을 통해 포르투갈과의 전쟁을 재개하려 했다. 그는 네덜란드에 도움을 요청할 수 없었기에, 스페인에 사절을 보냈으나 동맹을 맺는 데 실패했다.[1] 그는 또한 마탐바에 있는 콩고의 음분두 동맹과 뎀보스 및 음빌라의 반독립 왕국에도 연락을 취했다.[1]3. 므빌라 전투와 안토니우 1세의 죽음
므빌라 전투에서 콩고 왕국군은 최악의 군사적 패배를 겪었다.[1] 이 전투에서 400명의 검객 부대를 이끌었던 국왕 안토니우 1세를 포함하여 수백 명이 사망했다.[1] 안토니우 1세는 전투 중 또는 직후 참수되었으며, 그의 머리는 포르투갈인에 의해 왕실의 예우를 갖춰 매장되었다.[1] 그의 왕관과 홀은 전리품으로 포르투갈로 보내졌다.[1]
4. 므빌라 전투 이후 콩고 왕국
안토니우 1세는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그의 자리를 이어받을 수 있었던 많은 인물들과 그의 일곱 살 된 아들은 전투에서 사망하거나 포로로 잡혔다.[1] 집권 세력인 킨라자 가문과 이에 맞서는 킴판주 가문은 왕위를 두고 격렬하게 싸움을 벌였고, 그 결과 파괴적인 내전이 발발했다.[1] 콩고 왕국의 전성기는 막을 내렸으며, 왕국이 다시 통일되기까지 40년이 걸렸다.[1]
5. 참고 문헌
- 존 K. 손턴 (2020). 《콩고의 성 안토니우: 도나 베아트리스 킴파 비타와 안토니우스 운동, 1684–1706》.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브루스 마테소 (2024). 《비타 눙가 치하의 콩고 왕국: 키-늘라자 왕가의 기초 1636-1665》. 라 루프, N'타모(브라자빌). 파리: 파아리 출판사 프랑스어|프랑스어프랑스어.
참조
[1]
서적
The Kingdom of Kongo
Clarendon Press
1985
[2]
서적
A History of West Central Africa to 18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
뉴스
Entre libongos e moedas de cobre: A batalha de Ambuila e as minas preciosas no Congo, 1665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